KR102033441B1 -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41B1
KR102033441B1 KR1020190058100A KR20190058100A KR102033441B1 KR 102033441 B1 KR102033441 B1 KR 102033441B1 KR 1020190058100 A KR1020190058100 A KR 1020190058100A KR 20190058100 A KR20190058100 A KR 20190058100A KR 102033441 B1 KR102033441 B1 KR 10203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humidity
case bod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도경
Original Assignee
윤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도경 filed Critical 윤도경
Priority to KR102019005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4Scales
    • G01K1/045Scales temperature indication combined with the indication of another vari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며,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10);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의 내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내측바닥체(21), 내측벽체(23) 및 상향경사판(25)으로 내부케이스(20)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바닥체(14)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바닥체(21)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바닥체(21) 상에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낙하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와 내측바닥체(21) 사이에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하부통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벽체(23)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벽체(23) 상에는 케이스본체(10) 내의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서 실내가스가 상승 이동되는 측부통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 상에는 실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외통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기공(24)은 외측직경보다 내측직경이 큰 내향확개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벽체(23) 내부의 실내가스는 측부통로(43) 측으로 이동이 유리하고, 상기 측부통로(43)를 지나는 실내가스는 내측벽체(23)의 내부로 이동이 불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통기공(16)의 내측면에는 외통기공(16)의 개방 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단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단속부재는 외통기공(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통기공(16)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하부수평판(52)과, 상기 수직판(51) 및 하부수평판(52)에 연결되어 개방단속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드(59)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통로(41)와 맞닿는 측부통로(4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내의 실내가스를 측부통로(43)로 상승 이동시키는 연결송풍휀(32); 상기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및 측부통로(43)를 통해 이동된 실내가스를 케이스본체(10)의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송풍휀(34); 상기 내측벽체(23)의 상단부에는 상향중심부측을 향하는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을 구비하되, 상기 상향경사판(25) 상에는 실내가스가 이동되는 내통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 끼리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공기유입로(9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로(91)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방향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로(91)의 상부측에 이격된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시키는 냉온방부재(36);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상단부측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전달받아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키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체(23)에 형성되는 내통기공(24)은 직경이 2∼3㎜인 미세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에 형성되는 외통기공(16)은 직경이 10∼35㎜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맨하단측 외통기공(16a)부터 맨상단측 외통기공(16d)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통로(41)의 수평방향 연장선상의 일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송풍휀(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61)에 마주하는 하부통로(41)의 타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외부개폐판(6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공(63)이 형성되어 하부통로(41)에 머무르는 실내가스 및 먼지를 케이스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풍휀(61)의 작동 시 외부개폐판(64)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통로(41)에서 배기공(63) 측으로 이동되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 구비된 연결송풍휀(3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연결송풍휀(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슬라이딩형 휀막음판(67)이 폐쇄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Switchboards with adjustable internal environmental monitoring includ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주로 고압수용가)에게 수배전할 때 전기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변압기 등과 같은 단위 전기기기를 부착하며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전기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Busbar, Cable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전기기기들을 사각형의 금속재 함체에 안전하게 절연 수납한 제품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발전소·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써 길거리 등에 설치되는 옥외용 수배전반 및 학교나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 및 제어하는 옥내용 수배전반으로 구성되어 인명 및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주차단기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에 연결된 부스바(bus-bar)를 통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의 함체는 주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되고, 전면이나 배면 또는 전면과 배면 모두에 도어가 설치된다. 이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기기들은 주로 변압기나 회로 기판으로서 그 자체가 발열을 하기 때문에 함체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전기기기들의 수명이 좌우된다. 예를 들어, 함체 외부의 온도가 40℃인 경우에 함체 내부의 온도는 전기기기의 발열에 의해 10℃ 이상 더 상승된다.
통상적으로 수배전반에 사용되는 전기기기인 변압기는 55℃ 정도의 온도로 발열되며 55℃의 변압기가 8℃ 상승된 온도인 63℃로 승온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 변압기의 평균 사용 수명이 20년에서 10년으로 반감되는 "8℃반감의 법칙"이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자체 발열에 의한 함체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수명 감소를 막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의 수배전반의 함체의 외부에 생성된 바람과 같은 자연풍이 함체의 내부와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기 배출공을 향해 유입되거나 유동되는 경우에, 즉 상기 함체의 내부의 열기에 의한 공기의 유동력보다 상기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이 더 큰 경우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열기가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91923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10);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의 내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내측바닥체(21), 내측벽체(23) 및 상향경사판(25)으로 내부케이스(20)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바닥체(14)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바닥체(21)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바닥체(21) 상에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낙하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와 내측바닥체(21) 사이에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하부통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벽체(23)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벽체(23) 상에는 케이스본체(10) 내의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서 실내가스가 상승 이동되는 측부통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 상에는 실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외통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기공(24)은 외측직경보다 내측직경이 큰 내향확개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벽체(23) 내부의 실내가스는 측부통로(43) 측으로 이동이 유리하고, 상기 측부통로(43)를 지나는 실내가스는 내측벽체(23)의 내부로 이동이 불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통기공(16)의 내측면에는 외통기공(16)의 개방 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단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단속부재는 외통기공(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통기공(16)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하부수평판(52)과, 상기 수직판(51) 및 하부수평판(52)에 연결되어 개방단속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드(59)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통로(41)와 맞닿는 측부통로(4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내의 실내가스를 측부통로(43)로 상승 이동시키는 연결송풍휀(32); 상기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및 측부통로(43)를 통해 이동된 실내가스를 케이스본체(10)의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송풍휀(34); 상기 내측벽체(23)의 상단부에는 상향중심부측을 향하는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을 구비하되, 상기 상향경사판(25) 상에는 실내가스가 이동되는 내통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 끼리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공기유입로(9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로(91)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방향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로(91)의 상부측에 이격된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시키는 냉온방부재(36);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상단부측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전달받아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키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체(23)에 형성되는 내통기공(24)은 직경이 2∼3㎜인 미세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에 형성되는 외통기공(16)은 직경이 10∼35㎜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맨하단측 외통기공(16a)부터 맨상단측 외통기공(16d)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통로(41)의 수평방향 연장선상의 일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송풍휀(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61)에 마주하는 하부통로(41)의 타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외부개폐판(6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공(63)이 형성되어 하부통로(41)에 머무르는 실내가스 및 먼지를 케이스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풍휀(61)의 작동 시 외부개폐판(64)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통로(41)에서 배기공(63) 측으로 이동되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 구비된 연결송풍휀(3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연결송풍휀(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슬라이딩형 휀막음판(67)이 폐쇄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에서 외측천정체(13)까지 연장되는 폐쇄관(92)을 구비하여 상기 냉방부재(36)를 통해 내부케이스(20)로 유입되는 냉온기의 손실을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의 단면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측벽체 및 외측벽체의 구성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방단속부재의 사용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측벽체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통로에서의 작동상태 구성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케이스본체(10), 내부케이스(20), 하부통로(41), 측부통로(43), 연결송풍휀(32), 송풍휀(34), 냉온방부재(36), 온도센서(74), 습도센서(72)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케이스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며,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등의 금속재로 제작되며,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배전반은 공기의 순환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내부설치되는 전자기기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케이스(20)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케이스(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의 내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내측바닥체(21), 내측벽체(23) 및 상향경사판(25)으로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측바닥체(21)는 상기 외측바닥체(14)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이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바닥체(21) 상에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낙하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와 내측바닥체(21) 사이에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하부통로(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벽체(23)는 외측벽체(12)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내측벽체(23) 상에는 케이스본체(10) 내의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서 실내가스가 상승 이동되는 측부통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 상에는 실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외통기공(1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통로(41)와 맞닿는 측부통로(4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내의 실내가스를 측부통로(43)로 상승 이동시키는 연결송풍휀(32)이 구비되며, 상기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및 측부통로(43)를 통해 이동된 실내가스를 케이스본체(10)의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송풍휀(3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송풍휀(32) 및 송풍휀(34)에 의해 케이스본체(10) 내부의, 보다 상세하게는 2중 제작된 내부케이스(20) 내의 공기를 케이스본체(10)와 내부케이스(20) 사이의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한편, 상기 내측벽체(23)의 상단부에는 상향중심부측을 향하는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향경사판(25) 상에는 실내가스가 이동되는 내통기공(2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 끼리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공기유입로(9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로(91)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방향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로(91)의 상부측에 이격된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시키는 냉온방부재(36)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상단부측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전달받아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키는 제어부(80)가 구비된다.
이에 아울러, 상기 내측벽체(23)에 형성되는 내통기공(24)은 직경이 2∼3㎜인 미세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에 형성되는 외통기공(16)은 직경이 10∼35㎜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맨하단측 외통기공(16a)부터 맨상단측 외통기공(16d)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에서 외측천정체(13)까지 연장되는 폐쇄관(92)을 구비하여 상기 냉온방부재(36)를 통해 내부케이스(20)로 유입되는 냉온기의 손실을 줄이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통기공(24)은 외측직경보다 내측직경이 큰 내향확개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벽체(23) 내부의 실내가스는 측부통로(43) 측으로 이동이 유리하고, 상기 측부통로(43)를 지나는 실내가스는 내측벽체(23)의 내부로 이동이 불리하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통기공(16)의 내측면에는 외통기공(16)의 개방 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단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단속부재는 외통기공(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통기공(16)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하부수평판(52)과, 상기 수직판(51) 및 하부수평판(52)에 연결되어 개방단속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드(59)가 구비되도록 변형 구성이 가능하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통로(41)의 수평방향 연장선상의 일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송풍휀(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61)에 마주하는 하부통로(41)의 타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공(63)이 형성되어 하부통로(41)에 머무르는 실내가스 및 먼지를 케이스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휀(61)의 작동 시 외부개폐판(64)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통로(41)에서 배기공(63) 측으로 이동되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 구비된 연결송풍휀(3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연결송풍휀(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슬라이딩형 휀막음판(67)이 폐쇄되게 구성하고, 이와 반대로 송풍휀(61)의 정지 시 외부개폐판(64)이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휀막음판(67)이 개방되도록 구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의 내부환경 감시 조절 방법은, 지면에 설치되며,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의 내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내측바닥체(21), 내측벽체(23) 및 상향경사판(25)으로 내부케이스(20)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바닥체(21)가 이격 구비되며, 상기 내측바닥체(21) 상에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낙하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와 내측바닥체(21) 사이에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하부통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벽체(23)가 이격 구비되고, 상기 내측벽체(23) 상에는 케이스본체(10) 내의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서 실내가스가 상승 이동되는 측부통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 상에는 실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외통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로(41)와 맞닿는 측부통로(43)의 하단부에 하부통로(41) 내의 실내가스를 측부통로(43)로 상승 이동시키는 연결송풍휀(32)이 구비되며, 상기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및 측부통로(43)를 통해 이동된 실내가스를 케이스본체(10)의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송풍휀(34)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벽체(23)의 상단부에는 상향중심부측을 향하는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향경사판(25) 상에는 실내가스가 이동되는 내통기공(2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 끼리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공기유입로(9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로(91)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방향 중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유입로(91)의 상부측에 이격된 외측천정체(13) 상에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시키는 냉온방부재(36)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상단부측에 케이스본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전달받아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키는 제어부(80)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벽체(23)에 형성되는 내통기공(24)은 직경이 2∼3㎜인 미세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에 형성되는 외통기공(16)은 직경이 10∼35㎜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맨하단측 외통기공(16a)부터 맨상단측 외통기공(16d)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제어부(80)에서 전달받아 상기 온도 및 습도 수치가 적정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켜 케이스본체(10)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에서 외측천정체(13)까지 연장되는 폐쇄관(92)을 구비하여 상기 냉방부재(36)를 통해 내부케이스(20)로 유입되는 냉온기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내통기공(24)은 외측직경보다 내측직경이 큰 내향확개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벽체(23) 내부의 실내가스는 측부통로(43) 측으로 이동이 유리하고, 상기 측부통로(43)를 지나는 실내가스는 내측벽체(23)의 내부로 이동이 불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기공(16)의 내측면에는 외통기공(16)의 개방 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단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단속부재는 외통기공(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통기공(16)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하부수평판(52)과, 상기 수직판(51) 및 하부수평판(52)에 연결되어 개방단속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드(59)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하부통로(41)의 수평방향 연장선상의 일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송풍휀(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61)에 마주하는 하부통로(41)의 타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공(63)이 형성되어 하부통로(41)에 머무르는 실내가스 및 먼지를 케이스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에 의하면 배전반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고, 배전반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내외부 공기 이동량을 부분 구획된 케이스본체의 측벽체 및 천정체를 통해 배출조절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본체 20 : 내부케이스
34 : 송풍휀 36 : 냉온방부재
41 : 하부통로 43 : 연결송풍휀
71 : 온도센서 72 : 습도센서
80 : 제어부 91 : 공기유입로

Claims (10)

  1.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밀폐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10);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 다수의 외측벽체(12) 및 외측천정체(13)의 내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내측바닥체(21), 내측벽체(23) 및 상향경사판(25)으로 내부케이스(20)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바닥체(14)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바닥체(21)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바닥체(21) 상에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낙하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바닥체(14)와 내측바닥체(21) 사이에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하부통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의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내측벽체(23)가 이격 구비되어지되, 상기 내측벽체(23) 상에는 케이스본체(10) 내의 실내가스 및 먼지가 이동되는 다수의 내통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서 실내가스가 상승 이동되는 측부통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체(12) 상에는 실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외통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기공(24)은 외측직경보다 내측직경이 큰 내향확개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벽체(23) 내부의 실내가스는 측부통로(43) 측으로 이동이 유리하고, 상기 측부통로(43)를 지나는 실내가스는 내측벽체(23)의 내부로 이동이 불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통기공(16)의 내측면에는 외통기공(16)의 개방 정도를 단속하는 개방단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단속부재는 외통기공(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통기공(16) 전체를 막을 수 있는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하부수평판(52)과, 상기 수직판(51) 및 하부수평판(52)에 연결되어 개방단속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드(59)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통로(41)와 맞닿는 측부통로(4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내의 실내가스를 측부통로(43)로 상승 이동시키는 연결송풍휀(32);
    상기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하부통로(41) 및 측부통로(43)를 통해 이동된 실내가스를 케이스본체(10)의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송풍휀(34);
    상기 내측벽체(23)의 상단부에는 상향중심부측을 향하는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을 구비하되, 상기 상향경사판(25) 상에는 실내가스가 이동되는 내통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 끼리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공기유입로(9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로(91)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방향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로(91)의 상부측에 이격된 외측천정체(13) 상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냉온기를 유입시키는 냉온방부재(36);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상단부측에 구비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
    상기 온도센서(74) 및 습도센서(72)로부터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전달받아 냉온방부재(36), 송풍휀(34), 연결송풍휀(32)을 구동시키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체(23)에 형성되는 내통기공(24)은 직경이 2∼3㎜인 미세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12)에 형성되는 외통기공(16)은 직경이 10∼35㎜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맨하단측 외통기공(16a)부터 맨상단측 외통기공(16d)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통로(41)의 수평방향 연장선상의 일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송풍휀(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61)에 마주하는 하부통로(41)의 타측 외측벽체(12) 상에는 외부개폐판(6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공(63)이 형성되어 하부통로(41)에 머무르는 실내가스 및 먼지를 케이스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풍휀(61)의 작동 시 외부개폐판(64)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통로(41)에서 배기공(63) 측으로 이동되는 실내가스 및 먼지가 외측벽체(12)와 내측벽체(23) 사이에 구비된 연결송풍휀(3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연결송풍휀(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슬라이딩형 휀막음판(67)이 폐쇄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사판(25)의 상단부에서 외측천정체(13)까지 연장되는 폐쇄관(92)을 구비하여 상기 냉온방부재(36)를 통해 내부케이스(20)로 유입되는 냉온기의 손실을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8100A 2019-05-17 2019-05-17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KR10203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00A KR102033441B1 (ko) 2019-05-17 2019-05-17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00A KR102033441B1 (ko) 2019-05-17 2019-05-17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41B1 true KR102033441B1 (ko) 2019-10-17

Family

ID=6842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100A KR102033441B1 (ko) 2019-05-17 2019-05-17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4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136A (zh) * 2020-12-30 2021-04-02 洺安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8通道rtu数据传输装置
KR20210100900A (ko) * 2020-02-07 2021-08-18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KR102296561B1 (ko) 2021-04-20 2021-09-01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KR102296568B1 (ko) 2021-04-20 2021-09-01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머신러닝 기반 배전반 관제시스템
KR102321734B1 (ko) 2021-04-20 2021-11-04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Ai를 활용한 배전반 온도 감시 시스템
CN113972580A (zh) * 2021-11-05 2022-01-25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阿县供电公司 一种配电房智能降温装置及降温方法
CN114188859A (zh) * 2021-12-07 2022-03-15 山东电工电气集团智能电气有限公司 箱式变电站的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KR20220148001A (ko) * 2021-04-28 2022-11-04 한원계전(주) 먼지 자동 제거 및 습온 제어를 통한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미래형 수배전반
KR102494393B1 (ko) * 2022-06-28 2023-02-06 (주)수도엔지니어링 지상변압기
CN116191254A (zh) * 2022-12-15 2023-05-30 江苏希尔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调节配电盘
CN116191227A (zh) * 2023-03-03 2023-05-30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CN117013377A (zh) * 2023-06-30 2023-11-0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靖江市供电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
CN117013377B (zh) * 2023-06-30 2024-05-2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靖江市供电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890A (ko) * 2013-10-01 2015-04-09 (주)슈펙스 Mcc내의 외기 도입 장치
KR101609363B1 (ko) * 2015-08-10 2016-04-05 (주)제이케이알에스티 최적 운전 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순환 구조가 적용된 배전반
KR101783932B1 (ko) * 2016-11-22 2017-10-10 청석전기 주식회사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919234B1 (ko) 2017-05-22 2018-11-16 이경철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890A (ko) * 2013-10-01 2015-04-09 (주)슈펙스 Mcc내의 외기 도입 장치
KR101609363B1 (ko) * 2015-08-10 2016-04-05 (주)제이케이알에스티 최적 운전 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순환 구조가 적용된 배전반
KR101783932B1 (ko) * 2016-11-22 2017-10-10 청석전기 주식회사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919234B1 (ko) 2017-05-22 2018-11-16 이경철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197B1 (ko) 2020-02-07 2022-04-18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KR20210100900A (ko) * 2020-02-07 2021-08-18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CN112601136A (zh) * 2020-12-30 2021-04-02 洺安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8通道rtu数据传输装置
KR102296561B1 (ko) 2021-04-20 2021-09-01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KR102296568B1 (ko) 2021-04-20 2021-09-01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머신러닝 기반 배전반 관제시스템
KR102321734B1 (ko) 2021-04-20 2021-11-04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Ai를 활용한 배전반 온도 감시 시스템
KR20220148001A (ko) * 2021-04-28 2022-11-04 한원계전(주) 먼지 자동 제거 및 습온 제어를 통한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미래형 수배전반
KR102609827B1 (ko) 2021-04-28 2023-12-06 한원계전(주) 먼지 자동 제거 및 습온 제어를 통한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미래형 수배전반
CN113972580A (zh) * 2021-11-05 2022-01-25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阿县供电公司 一种配电房智能降温装置及降温方法
CN113972580B (zh) * 2021-11-05 2024-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阿县供电公司 一种配电房智能降温装置及降温方法
CN114188859A (zh) * 2021-12-07 2022-03-15 山东电工电气集团智能电气有限公司 箱式变电站的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KR102494393B1 (ko) * 2022-06-28 2023-02-06 (주)수도엔지니어링 지상변압기
CN116191254A (zh) * 2022-12-15 2023-05-30 江苏希尔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调节配电盘
CN116191254B (zh) * 2022-12-15 2023-10-17 江苏希尔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调节配电盘
CN116191227A (zh) * 2023-03-03 2023-05-30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CN116191227B (zh) * 2023-03-03 2023-09-08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CN117013377A (zh) * 2023-06-30 2023-11-0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靖江市供电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
CN117013377B (zh) * 2023-06-30 2024-05-2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靖江市供电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1B1 (ko)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KR100917379B1 (ko) 수, 배전반용 큐비클 및 변압기 함체
JPH05152141A (ja) 2つのユニツトからなる地下変圧室
KR101230072B1 (ko) 수배전반
KR102539930B1 (ko) 제어룸과 에너지저장룸이 구분된 ess의 냉각 시스템
KR100878258B1 (ko)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20160005584A (ko) 지열을 이용한 수배전반 냉각 시스템
KR102085858B1 (ko) 염해저감을 위한 수배전반의 온,습도 제어 시스템
KR101403013B1 (ko) 수배전반
KR200384441Y1 (ko) 전자식 절전형 절연저하 방지장치
KR101025561B1 (ko) 냉각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JP6183930B2 (ja) 電気設備用筐体
CN201556860U (zh) 一种电气成套开关柜中的散热结构
KR200461565Y1 (ko) 변압기 냉각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설비
CN109244886A (zh) 一种户外用开关柜
CZ12701U1 (cs) Prostorový prvek k ochraně vysílačového zařízení nebo jiných elektrotechnických přístrojů pro telekomunikaci
KR101934588B1 (ko) 자동냉각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수배전반
KR101746108B1 (ko) 무동력 공기 순환 구조가 구비된 수배전반
CN214411958U (zh) 一种耐高温的电气开关柜
CN112271580A (zh) 一种带有灭火功能的开关柜
CN201750066U (zh) 变电站
CN220233794U (zh) 一种防潮开关柜
CN210723897U (zh) 一种电气开关柜的散热风道结构
KR101619994B1 (ko) 항온 항습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N217427369U (zh) 一种新型防潮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