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932B1 -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 Google Patents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932B1
KR101783932B1 KR1020160155565A KR20160155565A KR101783932B1 KR 101783932 B1 KR101783932 B1 KR 101783932B1 KR 1020160155565 A KR1020160155565 A KR 1020160155565A KR 20160155565 A KR20160155565 A KR 20160155565A KR 101783932 B1 KR101783932 B1 KR 10178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gion
outside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권
Original Assignee
청석전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석전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청석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개시된 배전반은, 발열부의 가열로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고, 별도의 쿨링 수단 없이도 배전반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발열부가 자동 제어되어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내외부 온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관리자의 감시 및 감독 없이도 배전반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배전반은 내부 공간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차열층이 형성되는 하우징, 외부 공기가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의 제1영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 차열층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의 제2영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 하우징의 제2영역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열부는 하우징 내외부에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DISTRIBUTION PANEL, MOTOR CONTROL CENTER, DISTRIBUTION BOARD FOR REDUCING TEMPERATURE}
개시된 내용은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내부의 전기 설비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를 낮출 수 있는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전반은 발전소에서 고압으로 송전된 전력을 안전하게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변압기나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의 전기 설비가 배치된 것을 말한다.
최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배전반도 첨단화되는 추세이며, 배전반의 전기 설비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전력사용량이 점차 늘고 이로 인해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경우, 전기 설비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선로 부식 현상을 가져오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단전을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5261 '온도 저감을 위한 히트파이프 연결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수배전반'
공기순환에 의해 배전반 내부 온도를 낮춤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배전반 내부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며,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차열층이 형성되는 하우징, 외부 공기가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의 제1영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 차열층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의 제2영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 하우징의 제2영역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발열부는 하우징 내외부에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개시된 배전반은, 발열부의 가열로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고, 별도의 쿨링 수단 없이도 배전반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발열부가 자동 제어되어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내외부 온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관리자의 감시 및 감독 없이도 배전반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단면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통공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블록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유입구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배출구의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6은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배전반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은 하우징(100), 유입구(130), 통공(210), 배출구(140) 및 발열부(300)를 포함한다.
배전반(B)은 내부에 전기 설비가 배치된 철재 구조물로, 이러한 배전반(B)은 각종 전기 설비들을 내부에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의 밀폐 여부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구분된다. 개시된 실시 예는 밀폐형에 특히 적합하지만 개방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후술할 차열층(200)에 의해 제1영역(110)과 제2영역(120)으로 구분된다.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에는 전기 설비가 배치된다. 그러나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에는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기 설비가 배치되지 않는다.
유입구(130)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한편, 유입구(130)에는 에어필터(132)가 구비된다. 에어필터(132)는 하우징(100) 내부로 외부 공기 유입시 같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전기 설비를 보호한다.
통공(210)은 차열층(200)에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통공(210)을 통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유입된다. 통공(210)은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40)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발열부(300)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 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된다. 발열부(300)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를 가열하고, 그 결과 다음의 계산식과 같이 하우징(100) 내외부에 압력차가 형성된다.
Figure 112016113920748-pat00001
여기서 △P는 하우징(100) 내부 압력과 하우징(100) 외부 압력의 차이, H는 배전반(B)의 높이(m), Ta는 하우징(100) 외부 온도(K), Ts는 하우징(100) 내부의 발열부(300) 주위 온도(K)이다.
발열부(300)가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를 가열하면 Ts가 상승하고, 하우징(100) 내부의 압력이 하우징(100) 외부의 압력보다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P가 증가한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고압이 형성된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는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차열층(200)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에 배치된 전기 설비에서 발생된 열을 흡열한다. 또한, 차열층(200)은 발열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영역(100)에 배치된 전기 설비를 보호한다. 차열층(200)은 바람직하게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삭제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은 관통홀(220), 벤츄리홀(230)을 더 포함한다.
관통홀(220)은 통공(210)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220)은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감소하여, 관통홀(220)의 하단부 단면 길이보다 관통홀(220)의 상단부 단면 길이가 짧다.
벤츄리홀(230)은 관통홀(22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차열층(20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벤츄리홀(230)의 직경은 통공(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 결과 통공(210)을 통과하는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는 관통홀(220)을 통해 모아지고, 벤츄리홀(230)을 지나면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러한 관통홀(220)과 벤츄리홀(23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벤츄리홀(230)의 작은 직경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쉽게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속도가 증가하여 벤츄리홀(230)을 빠르게 통과하는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와 충돌하면서 유입이 방해된다.
따라서 관통홀(220)과 벤츄리홀(230)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에서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방향성을 형성한다. 이에 발열부(300)가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를 가열하더라도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쉽게 유입되지 않으며, 배출구(140)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를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팬(미도시)이 통공(210)에 구비될 수 있다. 유입팬은 전기 설비에 의해 가열된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를 빨아들여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유입팬은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로지 배출구(140)를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은 제어부(400), 온도측정부(500), 알람부(600)를 더 포함한다.
온도측정부(500)는 하우징(100)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말한다. 온도측정부(500)는 센서를 통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온도,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온도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400)는 발열부(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0)는 온도측정부(500)에서 측정된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온도와 하우징(100)의 외부 온도를 입력받아 내외부 온도차를 계산한다. 제어부(400)는 만약 내외부 온도차가 상한값을 초과하면 발열부(300)가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온도차가 상한값 이하면 발열부(300)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한값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배전반(B)이 설치되는 환경과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한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변경된 상한값을 입력받아 발열부(300)를 제어한다. 상한값은 배전반(B) 내부의 결로 현상 등의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 0도에서 5도 사이 구간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온도측정부(500)에서 측정된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온도를 입력받는다. 임계값은 발열부(300)로 인한 온도 상승 범위의 한계값에 해당한다. 만약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알람부(600)를 작동시킨다. 알람부(600)는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빛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했다는 것을 알린다.
한편, 제어부(400)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발열부(300)의 가열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자동적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임계값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배전반(B)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설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의 발열부(300)는 제1발열체(310)와 제2발열체(32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열체(310)는 배출구(14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발열체(320)는 제1발열체(310)와 차열층(2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공(210) 사이에 배치된다.
제1발열체(310) 및 제2발열체(32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가열이 제어된다. 제어부(400)는 내외부 온도차가 상한값을 초과하면 제1발열체(310)와 제2발열체(320)가 동시에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300)에서 고열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하우징(100) 내외부에 압력차가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에 의해 내외부 온도차가 감소하여 하한값 이상 상한값 이하가 되면 제어부(400)는 제1발열체(310)만이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배출구(140)에 인접한 제1가열체만이 가열되는 경우, 가열량이 낮아지더라도 배출구(140) 주변에서 고압이 형성된다. 이때, 제2발열체(320)가 동시에 가열될 때보다 벤츄리홀(230)을 통과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가 배출구(140)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은 유지되므로 계속해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한편, 내외부 온도차가 하한값 미만이면 제어부(400)는 제1발열체(310) 및 제2발열체(320) 모두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발열부(300)로 인한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하한값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도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개시된 배전반(B)은 제어부(400)에 의해 하우징(100) 내외부 온도차가 하한값 미만으로 유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은 유입홀(134)을 더 포함한다.
유입홀(134)은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유입홀(134)의 직경은 유입구(130)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러한 유입홀(134)은 유입구(130) 외주면에서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로(131)를 형성한다.
발열부(300)의 가열에 따른 압력차 형성시, 유입구(130)는 유입홀(134)을 통해 유입로(131)의 내부 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많은 외부 공기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신속하게 배전반(B) 내부의 공기가 순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시된 배전반(B)은 차단부(142), 곡면부(144), 곡면연장부(146), 곡면확장부(148)를 더 포함한다.
차단부(142)는 배출구(140) 상단에서 하향되면서 단부가 곡선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차단부(142)는 그 단부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배출구(140)를 통해 다시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곡면부(144)는 배출구(140)를 통해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로(141)를 형성한다. 곡면부(144)는 배출로(141)의 내부 면적이 넓어지도록 호 형상을 이루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감소한다.
곡면연장부(146)는 곡면부(144)에서 연장되어 차단부(142)를 향해 곡선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곡면연장부(146)는 배출로(141)의 내부 면적이 좁아지도록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증가한다.
곡면확장부(148)는 곡면연장부(146)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배출로(141)의 내부 면적이 보다 넓어지도록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감소한다.
곡면부(144)는 배출구(140)의 입구에서 유입로(131)의 내부 면적을 확장시키고, 곡면연장부(146)는 점진적으로 유입로(131)의 내부 면적을 좁혀주게 된다. 이로 인해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로(141)로 유입된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점점 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동시에 부분적으로 저압이 형성된다.
발열부(3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에 고압이 형성되면,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벤츄리홀(23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해되고 저압이 형성된 배출구(140)의 곡면연장부(146)로 유입된다. 그리고 곡면연장부(146)로 배출된 공기는 곡면확장부(14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순환이 더욱 가속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개시된 배전반(B)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400)는 내외부 온도차가 상한값을 초과하면 발열부(300)가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발열부(3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가 가열되면, 하우징(100) 내외부에 압력차가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의 공기는 벤츄리홀(23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해되고, 배출구(140)의 곡면연장부(146)로 인해 발생하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140)로 배출된다. 이후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유입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구(130)의 유입홀(134)을 통해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면서 전체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공기 순환을 통해 저온의 외부 공기가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으로 유입되고, 전기 설비에 의해 가열된 하우징(100)의 제1영역(110)의 공기는 하우징(100)의 제2영역(120)으로 유입된 후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가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이후 내외부 온도차가 하한값 이상 상한값 이하가 되면 제어부(400)는 제1발열체(310)만이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내외부 온도차가 하한값 미만이 되면 제어부(400)는 제1발열체(310)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B : 배전반
100 : 하우징
110 : 제1영역 120 : 제2영역
130 : 유입구
131 : 유입로 132 : 에어필터
134 : 유입홀
140 : 배출구
141 : 배출로 142 : 차단부
144 : 곡면부 146 : 곡면연장부
148 : 곡면확장부
200 : 차열층
210 : 통공
220 : 관통홀
230 : 벤츄리홀
300 : 발열부
310 : 제1발열체 320 : 제2발열체
400 : 제어부
500 : 온도측정부
600 : 알람부

Claims (7)

  1. 내부 공간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판형의 차열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전기 설비가 배치되는 하우징;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차열층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는 통공;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하우징 내외부에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열층은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에서 상기 전기 설비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열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열층과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벤츄리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로,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의 온도,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온도,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의 온도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를 입력받아 내외부 온도차를 계산하며, 상기 내외부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면 상기 발열부가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차가 상기 상한값 이하면 상기 발열부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발열체; 및
    상기 제1발열체와 상기 차열층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공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외부 온도차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발열체와 제2발열체가 동시에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내외부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상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상기 제1발열체만이 가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내외부 온도차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및 제2발열체 모두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외주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1영역으로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로를 형성하고,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상기 유입구로 갈수록 작아지는 유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상단에서 하향되면서 단부가 곡선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제2영역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로의 내부 면적이 넓어지도록 호 형상을 이루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감소하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출로의 내부 면적이 좁아지도록 상기 차단부를 향해 곡선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면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증가하는 곡면연장부; 및
    상기 곡면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출로의 내부 면적이 넓어지도록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감소하는 곡면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160155565A 2016-11-22 2016-11-22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78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65A KR101783932B1 (ko) 2016-11-22 2016-11-22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65A KR101783932B1 (ko) 2016-11-22 2016-11-22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932B1 true KR101783932B1 (ko) 2017-10-10

Family

ID=6018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65A KR101783932B1 (ko) 2016-11-22 2016-11-22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41B1 (ko) * 2019-05-17 2019-10-17 윤도경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96B1 (ko) 2010-10-26 2011-05-06 주식회사 부경이앤티 안전장치와 각도 조절용 환풍기 및 그를 포함하는 냉각 효율 개선 배전반
KR101198125B1 (ko) 2010-06-30 2012-11-12 가아전기(주) 수배전반
KR101609363B1 (ko) * 2015-08-10 2016-04-05 (주)제이케이알에스티 최적 운전 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순환 구조가 적용된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25B1 (ko) 2010-06-30 2012-11-12 가아전기(주) 수배전반
KR101033096B1 (ko) 2010-10-26 2011-05-06 주식회사 부경이앤티 안전장치와 각도 조절용 환풍기 및 그를 포함하는 냉각 효율 개선 배전반
KR101609363B1 (ko) * 2015-08-10 2016-04-05 (주)제이케이알에스티 최적 운전 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순환 구조가 적용된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41B1 (ko) * 2019-05-17 2019-10-17 윤도경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658427B1 (ko) 지중 온도를 이용한 수배전반 냉각 시스템
KR102114069B1 (ko) 전자기기의 냉각장치
CN205610046U (zh) 一种带有防尘装置的电力柜
KR101783932B1 (ko) 온도 저감 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WO2016056141A1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167671B1 (ko) 3차원 공기조화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WO2015111279A1 (ja) 液体加熱装置
KR20130093244A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607325B1 (ko) 배기관에 연결하기 위한 환기 장치 및 중앙 환기 장치
KR20110087928A (ko) 조리기기
KR20170105148A (ko) 전열히터
US20170314247A1 (en) Sanitary apparatus
KR2008009902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4933206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KR100301907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배기구조
KR101488003B1 (ko) 컨버터 냉각 시스템
CN107492805A (zh) 一种具有降温防潮功能的配电箱
KR101489333B1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배수 배기 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12544B1 (ko) 구리피복 알루미늄 부스바와 냉각수단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저압반, 분전반)
KR101149260B1 (ko) 블로워 모터 냉각용 공기 흡입구 구조
JP6236323B2 (ja) 液体加熱装置
JP4187680B2 (ja) 温風暖房装置
KR20190069927A (ko) 배전반
KR101798579B1 (ko)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