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244A -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244A
KR20130093244A KR1020120014656A KR20120014656A KR20130093244A KR 20130093244 A KR20130093244 A KR 20130093244A KR 1020120014656 A KR1020120014656 A KR 1020120014656A KR 20120014656 A KR20120014656 A KR 20120014656A KR 20130093244 A KR20130093244 A KR 20130093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controller
conditioning case
air conditioning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654B1 (ko
Inventor
이용흥
김용상
김진욱
최태혁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PTC 히터의 히터제어기를 공랭식으로 효율좋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PTC 히터와, PTC 히터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히터제어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히터제어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기일부를 바이패스하여 히터제어기측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TC 히터의 히터제어기를 공랭식으로 효율좋게 냉각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이나 전기차량은, 엔진의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엔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난방에 필요한 엔진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엔진 냉각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량(이하, "차량"이라 통칭함)의 공조장치는, 엔진 냉각수 없이도 차실내를 난방할 수 있는 난방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장치가 있다.
PTC 히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상에 설치되는 PTC 히터(20)와, PTC 히터(20)를 제어하는 히터제어기(30)를 포함한다.
PTC 히터(20)는, 고전압 PTC이며,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펄스폭의 넓이)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PTC 히터(20)는,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난방한다.
히터제어기(30)는, 케이싱(32)과,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 기판(34)과, PCB 기판(34)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36), 예를 들면, 마이콤과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히터제어기(30)는, PTC 히터(20)의 "PWM 신호"를 제어한다. 따라서, PTC 히터(20)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통상적으로, 히터제어기(30)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된다. 특히, PTC 히터(20)의 상류측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부분에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제어기(30)는, 고전압의 전류를 제어하므로,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고온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장치(40)를 갖추고 있다.
냉각장치(40)는, 케이싱(32)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향해 뻗어 있는 다수의 방열핀(42)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방열핀(42)들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방열핀(42)들은 히터제어기(30)의 전기부품(36)들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로 방열시킨다.
특히,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따라 흐르는 공기 중에 방열시킨다. 따라서, 히터제어기(30)의 전기부품(36)들을 냉각시킨다. 이로써, 히터제어기(30)의 과열을 방지한다. 그 결과, 과열로 인한 히터제어기(30)의 손상과 고장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히터제어기(30)는, 냉각장치(40)의 방열핀(42)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그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특히, 냉각장치(40)의 방열핀(42)이, PTC 히터(2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히터제어기(30)의 설치위치도 PTC 히터(20)의 상류측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부분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히터제어기(30)의 설치위치가 더욱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공조케이스(10)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따라 공조케이스(10)의 크기가 점차 축소되는 바, 히터제어기(30)를 설치할 수 있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부분도 매우 협소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히터제어기(30)를 설치하기가 더욱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히터제어기(30)는, 냉각장치(40)의 방열핀(42)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히터제어기(3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가 냉각장치(40)의 방열핀(42)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승차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열핀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에 의한 히터제어기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터제어기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열핀과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 상호간의 접촉과, 그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PTC 히터와, 상기 PTC 히터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히터제어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제어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기 일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히터제어기측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기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로 인출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기를 상기 히터제어기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바이패스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인출부는, 상기 블로어의 하류측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어의 하류측부분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이패스 관의 배출부는, 상기 인출된 공기를 상기 히터제어기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제어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기를 바이패스 한 다음, 바이패스된 공기를 통해 히터제어기를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방열핀을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열핀을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방열핀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에 따른 히터제어기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제어기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가 방열핀과의 접촉저항 없이도 차실내로 송풍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송풍특성이 현저하게 좋아진다. 이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히터제어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히터제어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는 인테이크 유닛(50)을 갖추고 있다.
인테이크 유닛(50)은, 외기도입구(52)와 내기도입구(54) 및 블로어(56)를 구비한다. 외기도입구(52)는,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내기도입구(54)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블로어(56)는, 내,외기도입구(52, 54)를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차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PTC 히터 장치를 구비한다.
PTC 히터 장치는, PTC 히터(20)와, PTC 히터(20)를 제어하는 히터제어기(30)를 구비한다.
PTC 히터(2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에 설치되며, PWM 신호의 듀티비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PTC 히터(5)는, 블로어(56)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차실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난방한다.
히터제어기(30)는, 케이싱(32)과,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 기판(34)과, PCB 기판(34)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36)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히터제어기(30)는, PTC 히터(20)의 "PWM 신호"를 제어한다. 따라서, PTC 히터(20)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히터제어기(30)는 공조케이스(10)의 외면부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히터제어기(30)를 구비하되, 상기 히터제어기(30)가 인테이크 유닛(50)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인테이크 유닛(50)의 블로어(56)유닛 측면부분에 설치된다.
블로어(56)유닛의 측면부분에 설치된 히터제어기(30)는, 공간확보가 유리한 인테이크 유닛(50)의 측면부분에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의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쉽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 공기를 바이패스 하여 히터제어기(30)에 공급하는 바이패스 관(60)을 구비한다.
바이패스 관(60)은, 블로어(56)의 공기 토출측과 인테이크 유닛(56)의 내기도입구(54)의 일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바이패스 관(60)은, 인테이크 유닛(56)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바이패스 관(60)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 공기를 인출하는 인출부(62)와, 인출된 공기를 히터제어기(30)에 배출하는 배출부(64)를 포함한다.
인출부(62)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블로어(56) 하류측부분과 PTC 히터(20) 사이의 내부통로(1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인출부(62)는, 블로어(56)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바이패스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출부(62)가 공조케이스(1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특히, 공조케이스(10)의 상면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는, 물 또는 빗물이 인출부(62)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출부(64)는, 히터제어기(30)의 케이싱(32)과 연결된다. 특히,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2)에 형성된 도입유로(32a)와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배출부(64)는, 케이싱(32)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케이싱(32)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부(64)는, 인출부(62)를 통해 바이패스된 공조케이스(10)의 공기를, 히터제어기(30)의 내부로 공급한다. 따라서, 히터제어기(30)의 내부가 냉각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36), 예를 들면, IGBT, 마이콤 등이 냉각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히터제어기(30)의 과열을 방지한다. 그 결과, 과열로 인한 히터제어기(30)의 오작동과 고장을 방지한다.
여기서, 히터제어기(30)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가급적 히터제어기(30)의 내부 전기부품(36)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바이패스 관(60)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케이싱(32)의 도입유로(32a)는, 내부의 전기부품(36)쪽을 향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바이패스된 공기와 전기부품(36)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는 이유는, 바이패스된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자칫 전기부품(36)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전기부품(36)에 부착되어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히터제어기(30)의 케이싱(32)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핀(70)을 구비한다.
방열핀(70)은, 케이싱(32)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방열핀(70)은, 케이싱(32) 내부의 전기부품(36)으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따라서, 히터제어기(3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켜 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난방모드가 선택되면, 히터제어기(30)가 작동되면서 PTC 히터(20)를 온(ON)시킨다. 그리고 블로어(56)도 작동되면서 내,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한다.
그러면, 블로어(56)에서 송풍된 공기가 PTC 히터(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가 차실내로 송풍되면서 차실내를 난방한다.
한편, 블로어(56)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를 통과하는데, 이때, 내부통로(12)를 통과하는 공기는 바이패스 관(60)의 인출부(62)로 바이패스된다.
그리고 인출부(62)로 바이패스된 공기는 배출부(64)로 이송되고, 배출부(64)로 이송된 공기는 히터제어기(30)의 도입유로(32a)를 통해 히터제어기(30)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히터제어기(3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내부의 전기부품(36)들을 냉각시킨다. 이로써, 전기부품(36)들의 과열을 방지한다.
한편, 전기부품(36)들을 냉각시킨 공기는, 케이싱(32)에 형성된 미세 틈새(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공조장치는, 히터제어기(30)의 케이싱(32)에 벤트유로(8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벤트유로(80)는, 히터제어기(30)의 케이싱(32)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케이싱(32)의 내부압력을 낮춰준다. 이로써, 바이패스 관(60)의 공기가 히터제어기(30)의 케이싱(32) 내부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히터제어기(30)의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바이패스 한 다음, 바이패스된 공기를 통해 히터제어기(30)를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방열핀을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30)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핀을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30)를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방열핀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에 따른 히터제어기(30)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히터제어기(30)의 설치위치 제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서도 히터제어기(30)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핀 없이도 히터제어기(30)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가 방열핀과의 접촉과 저항없이도 차실내 송풍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송풍특성이 현저하게 좋아진다. 이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 12: 내부통로
20: PTC 히터(Heater) 30: 히터제어기
32: 케이싱(Casing) 34: PCB 기판
36: 전기부품 50: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
52: 외기도입구 54: 외기도입구
56: 블로어(Blower) 60: 바이패스 관
62: 인출부 64: 배출부
70: 방열핀 80: 벤트유로

Claims (10)

  1.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56)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PTC 히터(20)와, 상기 PTC 히터(20)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히터제어기(30)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제어기(3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공기 일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히터제어기(30)측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인출하는 인출부(62)와, 상기 인출부(62)로 인출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상기 히터제어기(30)에 배출하는 배출부(64)를 구비하는 바이패스 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60)의 인출부(62)는,
    상기 블로어(56)의 하류측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어(56)의 하류측부분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이패스 관(60)의 배출부(64)는,
    상기 인출된 공기를 상기 히터제어기(3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제어기(30)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60)의 배출부(64)는,
    상기 히터제어기(3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공기가 상기 히터제어기(30)의 내부 전기부품(36)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제어기(30)의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제어기(30)에 형성되는 벤트유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제어기(3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공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제어기(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핀(70)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제어기(30)는,
    상기 블로어(56)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60)은, 블로어(56)의 공기 토출측과 인테이크 유닛(56)의 내기도입구(54)의 일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유닛(56)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9. 제 2항 내지 제 4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60)의 인출부(62)는,
    상기 블로어(56) 하류측부분과 상기 PTC 히터(20) 사이의 내부통로(1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10. 제 2항 내지 제 4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60)의 인출부(62)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0120014656A 2012-02-14 2012-02-14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84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56A KR101842654B1 (ko) 2012-02-14 2012-02-14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56A KR101842654B1 (ko) 2012-02-14 2012-02-14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44A true KR20130093244A (ko) 2013-08-22
KR101842654B1 KR101842654B1 (ko) 2018-05-14

Family

ID=4921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656A KR101842654B1 (ko) 2012-02-14 2012-02-14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054A (zh) * 2016-08-18 2016-11-23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空调的hvac总成
WO2019103474A1 (ko) * 2017-11-23 2019-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30553A (ko) 2019-09-09 2021-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220030572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시스템
KR20230036723A (ko) 2021-09-08 202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의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공조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957A (ja) 2004-12-02 2006-06-2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054A (zh) * 2016-08-18 2016-11-23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空调的hvac总成
WO2019103474A1 (ko) * 2017-11-23 2019-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30553A (ko) 2019-09-09 2021-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US11718145B2 (en) 2019-09-09 2023-08-08 Hyundai Motor Company HVAC system having air-conditioning channels for target seats
KR20220030572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시스템
KR20230036723A (ko) 2021-09-08 202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의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공조 제어 시스템
US11951804B2 (en) 2021-09-08 2024-04-09 Hyundai Motor Company Air-conditioning device for mobilities and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mobilitie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654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0739A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KR20130093244A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CN104144807A (zh) 用于机动车辆的电加热流体的装置、相关供暖和/或空气调节设备
CN103512104B (zh) 空调室外机的电器盒及包括该电器盒的空调
US20160137021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vehicle air-conditioning heater, and vehicle air-conditioning method
CN110173402A (zh) 风力涡轮机冷却布置结构
KR102512365B1 (ko) 차량용 피티씨 히터
CN103796487A (zh) 用于电器的冷却装置
CN112135741B (zh) 用于运行通风装置的方法、通风装置、具有通风装置的充电设备以及机动车
CN211238228U (zh) 用于冷却变流器的功率半导体器件的装置和轨道车辆
US20080117595A1 (en) Operating Housing
CN107808739B (zh) 一种带有高效散热功能的变压器防护箱
JP5392213B2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その冷却装置
CN210956653U (zh) 用于冷却变流器的功率半导体器件的装置和轨道车辆
GB2534013A (en) Power converter and rolling stock including the same
KR102495116B1 (ko) 전열히터
KR20120084580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80199311A1 (en) Blower scroll
JP200426924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180069988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시스템 냉각 구조
KR1016385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031766A (zh) 电烤箱散热风道及具有其的电烤箱
KR101856443B1 (ko) 전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N112335345A (zh) 包括壳体和布置在其中的壳体底部上的电力电子电路的布置结构
KR101149260B1 (ko) 블로워 모터 냉각용 공기 흡입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