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474A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474A1
WO2019103474A1 PCT/KR2018/014404 KR2018014404W WO2019103474A1 WO 2019103474 A1 WO2019103474 A1 WO 2019103474A1 KR 2018014404 W KR2018014404 W KR 2018014404W WO 2019103474 A1 WO2019103474 A1 WO 20191034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air conditioning
case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4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용진
김인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1034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4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is integrally mounted with a control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which can be easily removed and mounted as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the air conditioner performance.
  •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 the controller is usually installed in a center facia panel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includes a hous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ousing, and various doors and blower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like.
  • control unit is equipped with a micom,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and a drive circuit,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 the controller of such an air conditioner has been integrated into an AVN system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trend,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touch type display unit of the AVN system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and check the control status of the air conditioner.
  •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ler is composed of articles separate from the AVN system, and the separate control unit thus configure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VN system .
  •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AVN system while forming a set together with an air conditioner case unit having an evaporator, a heater, various doors and blowers, etc.
  • the control unit thus installed is a touch- And controls various doors and blower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air conditioning control value.
  • control unit of such an air conditioner is constituted as one set with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it needs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for convenience in assembly and post management after assembly.
  •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so as to shorten the assembling time and to assemble i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 control unit even if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can be easily removed or mounted from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for the convenience of repairing, repairing, and check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can integrally mount a control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an air conditioner case unit, and which can be mounted or removed more easily.
  •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case unit having a heat exchanger, a heater, various doors and blowers, sucking in and outside ai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or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and the blower according to various air conditioning control values input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switches, And a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capable of detachably mounting the control unit to one sid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mounts the control unit on a case fit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At least one mounting piece formed on the control unit so as to b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a fastening screw for fastening the mounting piece plac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part of the mounting groove to each other.
  •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spacers on an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case of the blower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assistant driver's seat side portion of the cabin; And the pair of mounting pieces are formed in a case portion of the control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mounting grooves.
  •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opened toward the passenger-side side portion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so that the fitting portions of the control unit are seated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side portion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So as to be able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a mounting unit capable of mounting the control unit to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at a maximum;
  • the fu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the mounting pie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 the control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for repair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 the mounting groove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unit and the mounting piece on the control unit side can be mounted and separated on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n repairing, replacing, There is an effect.
  • control unit Since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side in advance before screwing the mounting piec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unting groov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the mounting piec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unting groove of the blower case are fast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control unit without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astening operation more easily with the mounting piece and the mounting groov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ature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efore explain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12 and a control board 14 is housed inside the case 12.
  • the control board 14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a driving circuit.
  • the control board 14 receives various air conditioning control values inputt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switches o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Not shown), the blower 22, and the like of the air conditioner 20.
  • th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30 for mounting the control unit 10 to one sid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30 is configured to mount the control unit 10 to the case fitting portion 24c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 Particularly, one of the parts of the control unit 10 is attached to on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s 20 with the case fitting part 24c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interposed therebetween, Unit 20, as shown in FIG.
  •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30 includes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3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and a control unit 10 for mounting the control unit 10 on the mounting groove 32 At least one mounting piece 34 formed and a fastening screw 36 for fastening the mounting piece 34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2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32 to each other .
  • a pair of mounting grooves 32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blower case 24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assistant driver's seat side portion of the cabin. Particularly, they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blower case 24 at intervals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 the pair of mounting grooves 32 are formed by projecting ribs 26 integrally injection-m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wer case 24, And the front portion is opened.
  • the mounting grooves 32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re opened so as to face the passenger compartment side portion of the cabin whe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is assembled to the vehicle.
  • the reason for this construction is that the mounting pieces 34 of the control unit 10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mounting groove 32 of the blower case 24 on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in the cabin, The control unit 10 can be easily removed or moun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on the assistant driver's side of the room.
  • control unit 1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assenger seat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r can be easily mounted. As a result, the repairing, checking, repairing and replacing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On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blower case 24 is formed in the upper case portion 24a of the blower case 24 and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blower case 24 is formed in the lower case portion 24b.
  • the mounting piece 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ase 12 of the control unit 10. Particularly, the mounting pieces 34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grooves 32 of the blower case 24, respectively. The mounting pieces 34 thus formed ar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32 of the blower case 24, respectively.
  • the fastening screw 36 is formed by a mounting piece 34 of the control unit 10 which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2 of the blower case 24 and a mounting portion 34 of the blower case 24 Are screwed together.
  • the mounting piece 34 is attached to the blower case 24, thereby fixing the control unit 10 on which the mounting piece 34 is form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in a fixed manner.
  • the mounting piece 34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32.
  • the control unit 10 Can be remov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st fitting portion 40 capable of fitting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control unit 10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
  • the most fitting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the control unit 10 is most likely to be insert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before screwing the mounting piece 34 and the mounting groove 32 into the fixing screw 36 .
  • the fuzzy fitting portion 40 includes at least one fuzzy fitting protrusion 42 protruding from the blower case 24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and a control unit 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2 of the case 12.
  • the pair of adhered protrusions 4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blower case 24 at an interval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blower case 24 thus formed.
  • the best fitting protrusion 42 is formed on the mounting groove 32 side of the blower case 24.
  • the portion of the protruding rib 26 which forms the mount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portion of the protruding rib 26 which forms the mounting groove 32.
  • the most fitting groove 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st fitting protrusion 42 of the blower case 24 and the most fitting groove 44 thus formed is engaged with the most fitting protrusion 42 of the blower case 24. [ The control unit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lower case 24 most.
  • the best fitting protrusion 42 and the most fitting grooves 4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most fitting projections 42 and the most fitting grooves 44 thus combined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ounting pieces 34 of the control unit 10 are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s 32 of the blower case 24,
  • the control unit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lower case 24 so that the posture can be maintained.
  • the protrusion ribs 16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iece 34 of the control unit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ribs 16 and the mounting pieces 34 And the most grooves 44 thus formed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ost fitting projections 42 on the side of the blower case 24 corresponding thereto.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30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18 of the control unit 10 i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control unit 10 is mount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so as to face the bottom surface portion.
  • the mount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side
  • the mounting piece 34 is formed on the control unit 10 side, So that the control unit 10 can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 the mounting groove 32 on the side of the air-tight casing unit 20 which is screwed and the mounting piece 34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10 can be released as required,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for repair, inspection, and replacement, if necessary.
  • the mounting groove 32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and the mounting piece 34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10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on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in the cabin, To improve workability in repairing, replacing, and inspecting work.
  • the control unit 10 Before the mounting member 34 of the control unit 10 and the mounting groove 3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are screwed together, the control unit 10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unit 20 side in advance The flow of the control unit 10 can be prevented without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mounting piece 34 of the control unit 10 and the mounting groove 32 of the blower case 24, As a result,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mounting piece 34 and the mounting groove 32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장착하되, 필요에 따라 손쉽게 탈거 및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리, 교체, 점검 시의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 각종 도어 및 블로어가 내장되며, 내,외기를 흡입한 후, 온도를 조절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공조케이스 유닛과, 마이콤과 각종 전기,전자부품 및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공조제어용 스위치들을 통해 입력된 각종 공조 제어값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에 설치된 도어들과 블로어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제어유닛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의 일측부분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제어유닛 장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장착하되, 필요에 따라 손쉽게 탈거 및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리, 교체, 점검 시의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장치를 제어하기 의한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한다.
콘트롤러는, 통상적으로 운전석 전방의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며,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디스플레이부 및, 각 스위치의 제어값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의 각종 도어와 블로어와 디스플레이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유닛은, 마이콤(Micom)과 각종 전기,전자부품 및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는, 최근 들어 AVN 시스템(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에 통합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별도의 스위치들과 디스플레이부 없이, AVN 시스템의 터치식(Touch Type)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공조장치를 제어하고, 공조장치의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공조장치의 콘트롤러가 AVN 시스템에 통합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콘트롤러의 제어유닛은, AVN 시스템과 별개의 물품으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별개의 제어유닛은, 상기 AVN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유닛은, 증발기와 히터와 각종 도어 및 블로어 등이 설치된 공조케이스 유닛과 함께 한 세트(Set)를 구성하면서 상기 AVN 시스템에 연결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제어유닛은, AVN 시스템의 터치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공조 제어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공조 제어값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의 각종 도어와 블로어 등을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은, 공조케이스 유닛과 한 세트로 구성되므로, 조립 시의 편의성과 조립 후의 사후 관리를 위해서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차량의 조립 시에는, 조립시간의 단축과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장착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조립 후, 제어유닛의 수리, 보수 및 점검을 위해서도 상기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장착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장착하더라도, 수리, 보수 및 점검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으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장착하되, 보다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장치의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보다 손쉽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리, 교체, 점검 시의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기, 히터와 각종 도어 및 블로어가 내장되며, 내,외기를 흡입한 후, 온도를 조절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공조케이스 유닛과, 마이콤과 각종 전기,전자부품 및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공조제어용 스위치들을 통해 입력된 각종 공조 제어값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에 설치된 도어들과 블로어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의 일측부분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제어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는, 상기 제어유닛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의 케이스 형합부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의 외면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편 및; 상기 장착홈에 안착된 장착편과 장착홈의 공조케이스 유닛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의 외면부분 중,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에 대응되는 블로어의 케이스 외면부분에 상,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편은, 상기 한 쌍의 장착홈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의 케이스부분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은, 전면부분과 측면부분이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에서 상기 제어유닛의 장착편들을 상기 블로어 케이스의 장착홈에 끼워서 안착시키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에 가장착시킬 수 있는 가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장착부는, 상기 제어유닛의 외면부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에 가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 유닛측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제어유닛측에 장착편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결합시켜 나사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 체결된 공조케이스 유닛측의 장착홈과, 제어유닛측의 장착편을 필요에 따라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어유닛을 필요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리, 점검,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 유닛측의 장착홈과, 제어유닛측의 장착편을 차실내의 조수석측에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제어유닛의 수리, 교체, 점검 작업 시에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유닛의 장착편과 공조케이스 유닛의 장착홈을 나사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어유닛을 공조케이스 유닛측에 미리 가장착시키는 구조이므로, 제어유닛의 장착편과 블로어 케이스의 장착홈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제어유닛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착편과 장착홈을 체결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제어유닛(10)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공조장치의 제어유닛(10)은, 케이스(12)를 구비하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제어기판(14)이 내장된다.
제어기판(14)은, 마이콤과 각종 전기,전자부품 및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운전석 전면의 공조제어용 스위치들을 통해 입력된 각종 공조 제어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공조 제어값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20)의 각종 도어(도시하지 않음)와 블로어(22)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일측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제어유닛 장착부(30)를 구비한다.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케이스 형합부(24c)부분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유닛(10)부분 중, 일측부분을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케이스 형합부(24c)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한쪽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에 장착하고, 타측부분을 다른 쪽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유닛 장착부(30)는,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32)과, 상기 장착홈(32)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제어유닛(10)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편(34) 및, 장착홈(32)에 안착된 장착편(34)과 장착홈(32)의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스크류(36)를 포함한다.
장착홈(32)은,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외면부분 중,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에 대응되는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에 한 쌍이 형성된다. 특히,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장착홈(32)은,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돌출리브(Rib)(26)들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장착홈(32)들은 측면부분과 전면부분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장착홈(32)들은, 공조케이스 유닛(20)을 차량에 조립했을 시에,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을 향하도록 측면부분과 전면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실내의 조수석측에서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들을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에 끼워서 장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차실내의 조수석측에서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으로부터 쉽게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으로부터 차실내의 조수석측 방향으로 쉽게 탈거하거나 또는 쉽게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유닛(10)의 수리, 점검, 보수, 교체작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장착홈(32)은,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 중, 어느 하나는 블로어 케이스(24)의 상부케이스부(24a)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부케이스부(24b)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장착편(34)은, 제어유닛(10)의 케이스(12)부분에 돌출 형성된다. 특히,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장착편(34)들은,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들에 각각 끼워져 안착된다.
체결스크류(36)는,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에 안착된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과, 상기 장착홈(32)의 바닥면인 블로어 케이스(24)부분을 서로 나사 체결한다.
따라서, 장착편(34)을 블로어 케이스(24)에 장착하고, 이로써, 장착편(34)이 형성된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고정적으로 장착한다.
여기서, 체결스크류(36)를 장착편(34)과 장착홈(32)으로부터 풀게 되면, 장착편(34)은 장착홈(3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이러한 분리작업을 통해, 제어유닛(10)은 공조케이스 유닛(2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유닛(10)의 외면부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가장착시킬 수 있는 가장착부(40)를 더 포함한다. 특히, 가장착부(40)는, 체결스크류(36)로 장착편(34)과 장착홈(32)을 나사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가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장착부(40)는, 공조케이스 유닛(20)의 블로어 케이스(2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착 돌기(42)와, 가장착 돌기(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어유닛(10)의 케이스(12)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착홈(44)을 포함한다.
가장착 돌기(42)는,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착 돌기(42)가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장착홈(32)을 형성하는 돌출리브(26)부분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가장착홈(44)은, 블로어 케이스(24)의 가장착 돌기(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가장착홈(44)은, 블로어 케이스(24)의 가장착 돌기(42)에 결합되면서 제어유닛(10)을 블로어 케이스(24)에 가장착시킨다.
특히,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을,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장착홈(32)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장착 돌기(42)와 가장착홈(44)들은 서로 결합되는데, 이렇게 결합된 가장착 돌기(42)와 가장착홈(44)들은,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들이,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들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제어유닛(10)을 블로어 케이스(24)에 가장착시킨다.
따라서, 체결스크류(36)를 이용하여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과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을 체결할 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제어유닛(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장착편(34)과 장착홈(32)을 체결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가장착홈(44)은,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 상측부분에 돌출리브(16)를 간격을 두고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리브(16)와 장착편(34)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가장착홈(44)은, 이에 대응되는 블로어 케이스(24)측의 가장착 돌기(4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유닛 장착부(3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제어유닛(10)의 단자부(18)가 차실내 바닥면부분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장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제어유닛(10)의 단자부(18)에는, 전기 케이블의 접속되는 바,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분에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 유닛(20)측에 장착홈(32)을 형성하고, 제어유닛(10)측에 장착편(34)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결합시켜 나사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일체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체결된 공조케이스 유닛(20)측의 장착홈(32)과, 제어유닛(10)측의 장착편(34)을 필요에 따라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어유닛(10)을 필요에 따라 공조케이스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리, 점검,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 유닛(20)측의 장착홈(32)과, 제어유닛(10)측의 장착편(34)을 차실내의 조수석측에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제어유닛(10)의 수리, 교체, 점검 작업 시에 작업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과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장착홈(32)을 나사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측에 미리 가장착시키는 구조이므로,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과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제어유닛(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착편(34)과 장착홈(32)을 체결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4)

  1. 열교환기, 각종 도어 및 블로어(22)가 내장되며, 내,외기를 흡입한 후, 온도를 조절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공조케이스 유닛(20)과, 마이콤과 각종 전기,전자부품 및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공조제어용 스위치들을 통해 입력된 각종 공조 제어값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에 설치된 도어들과 블로어(2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0)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0)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일측부분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제어유닛 장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상기 제어유닛(10)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케이스 형합부(24c)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상기 제어유닛(10)부분 중, 일측부분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케이스 형합부(24c)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한쪽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에 장착하고, 타측부분을 다른 쪽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외면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32)과;
    상기 장착홈(32)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편(34) 및;
    상기 장착홈(32)에 안착된 장착편(34)과 장착홈(32)의 공조케이스 유닛(20)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스크류(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32)은,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외면부분 중,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에 대응되는 블로어(22)의 케이스(24) 외면부분에 상,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편(34)은,
    상기 한 쌍의 장착홈(3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의 케이스(12)부분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32)은,
    전면부분과 측면부분이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차실내의 조수석측부분에서 상기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들을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에 끼워서 안착시키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32)은,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에 일체로 성형된 돌출리브(Rib)(26)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32)은,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상부케이스부(24a)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하부케이스부(24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0)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가장착시킬 수 있는 가장착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장착부(40)는, 상기 제어유닛(10)의 외면부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가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착부(40)는,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의 체결스크류(36)로 상기 장착편(34)과 장착홈(32)을 나사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이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장착홈(3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을 공조케이스 유닛(20)에 가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착부(40)는,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블로어 케이스(2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착 돌기(42)와;
    상기 가장착 돌기(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착홈(44)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착 돌기(42)와 가장착홈(44)들은, 상기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을,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장착홈(32)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착 돌기(42)는,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외면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가장착홈(44)은, 상기 한 쌍의 가장착 돌기(4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10)의 케이스(12)부분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착 돌기(42)는, 상기 블로어 케이스(24)의 장착홈(32)을 형성하는 돌출리브(26)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장착홈(44)은, 상기 제어유닛(10)의 장착편(34)과, 상기 장착편(34)의 일측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돌출리브(1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0)은,
    전기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18)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30)는,
    상기 제어유닛(10)의 단자부(18)가 차실내 바닥면부분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어유닛(10)을 상기 공조케이스 유닛(20)의 일측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PCT/KR2018/014404 2017-11-23 2018-11-22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034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63 2017-11-23
KR1020170157363A KR102428766B1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74A1 true WO2019103474A1 (ko) 2019-05-31

Family

ID=6663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404 WO2019103474A1 (ko) 2017-11-23 2018-11-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8766B1 (ko)
WO (1) WO2019103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17A (ko) * 2020-10-13 2022-04-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924A (ja) * 1999-08-20 2002-02-1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066973A (ko) * 2004-12-14 2006-06-19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 유니트
KR20110089578A (ko) * 2010-02-01 2011-08-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93244A (ko) * 2012-02-14 2013-08-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70119769A (ko) * 2016-04-19 2017-10-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7U (ja) * 1991-06-26 1993-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ーリングユニツ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924A (ja) * 1999-08-20 2002-02-1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066973A (ko) * 2004-12-14 2006-06-19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 유니트
KR20110089578A (ko) * 2010-02-01 2011-08-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93244A (ko) * 2012-02-14 2013-08-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70119769A (ko) * 2016-04-19 2017-10-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00A (ko) 2019-05-31
KR102428766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0503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210061060A1 (en) Climatization and Window System for Mobile Homes
US20210061054A1 (en) Air Conditioning Unit
KR100856581B1 (ko) 공용(公用) 디스플레이
JP2011090897A (ja) 壁スイッチ装置
WO2016085142A1 (en)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JPH102947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ユニット
US6296303B1 (en) Vehicle cockpit module
WO2019103474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1159801A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
CN205561013U (zh) 柜式空调器
WO201910333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23516B1 (ko) 표시창과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 조화기
WO2017142137A1 (ko)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JPH08318761A (ja) メータモジュールの車両への組付け方法および組付け構造
WO2010047442A1 (en) Air conditioner
EP0878687A3 (de) Kampfpanzerturm
JPH0590989U (ja) 空調制御装置
KR20090001867U (ko) 공기조화기
KR20030055048A (ko)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H1020581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9050892B2 (en) Dial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CN219201688U (zh) 车机测试机柜
WO2023120994A1 (ko)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207116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06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06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