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2137A1 -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2137A1
WO2017142137A1 PCT/KR2016/005703 KR2016005703W WO2017142137A1 WO 2017142137 A1 WO2017142137 A1 WO 2017142137A1 KR 2016005703 W KR2016005703 W KR 2016005703W WO 2017142137 A1 WO2017142137 A1 WO 20171421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air
ioni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7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홍석
신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81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698486B/zh
Publication of WO20171421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21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n ionizer configured to prevent the discharged ions while the air conditio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compartment.
  • the interior (vehicle) of the vehicle is narrow and closed, which is easy to be polluted.
  • the air pollution of the vehicle is increasing due to the fine dust and various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 bacteria and molds inhabit due to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these bacteria, molds, etc. are introduced into the room, causing odors and various diseases. Will ca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an ioni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an HVAC modul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20 is installed to suck and ventilate and ventilate the cabin or outdoor air, and the HVAC module 20 has an air conditioning duct as shown in FIG. 1.
  • Module 40 is connecte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conditioning air through a plurality of vents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compartment.
  • the ionizer 50 is installed in the HVAC module 20, as shown in Figure 1, most of which is installed in the evaporator 21 before the air conditioning.
  • ions emitted from the ionizer 50 are metal-oriented, and most of them die while passing through the metallic evaporator 21.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ion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but the ionize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so that ions generated from the ionizer are not killed, but of course, the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is s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ionizer efficiency of the Niger.
  • HVAC modul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 HVAC modul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 An air-conditioning duct module arrang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HVAC module and a plurality of ven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of the vehicle compartment, and guide an air-conditioning air flow path inside the air-conditioning duct module so as to guide the air-conditioned air to the vehicl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ionizers disposed to produce anions.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include a pattern electrode imprinted on an ion plate as an electrode for generating ions.
  • the pattern electrode may include a + pole pattern portion and a -pole pattern portion, and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the -pole pattern portion may be disposed orthogonal to a flow direction of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
  •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the ⁇ pole pattern portion.
  • the ion plate may include a + pole ion plate imprinted with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a-pole ion plate with the ⁇ pole pattern portion imprinted therein, and the + pole ion plate and the-pole ion plate
  • the positive electrode pattern portion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ttern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opposite directions.
  • the + pole ion plate and the-pole ion plate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so as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triangle that the adjacent portion forms the highest vertex.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include a lower case fix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open to one side, a shield cover tightly coupl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the shield cover.
  • a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an inner space,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in which the ion plate is coupl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wherein the ion plate includes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hield cover. It may have a size seated on.
  • the ion plate is imprinted with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the-pole pattern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the-pole on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exposed portion of the + pole pattern portion and the-pole pattern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 the radio wave shield portion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attern portion may be plated.
  • the upper edge of the lower case is formed with a hook support for supporting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ion plat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lurality of ionizers, the hook support and the top of the shield cover and the ion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rubber mold interposed between the ends of the plate.
  •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includes a left side duct and a right side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air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compartment, and the left side duct and the right side duct extend left or right from the HVAC module.
  • the left and right extensions may be included, and the left and right discharge parts may be bent backwards from the left and right extensions to extend downwardly.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be disposed in the left extension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be disposed in the left discharge part and the right discharge part.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end portion of the left discharge portion or an end portion of the right discharge portion.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discharge part and the left extension part or between the right discharge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left foot duct and a front right foot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air from below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o the fee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ccupant, and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of the cabin. It may further include a rear left foot duct and a rear right foot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air toward the foot.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be provided in the left side duct, the right side duct, the front left foot duct, the front right foot duct, the rear left foot duct and the rear right foot duct, respectively.
  • the electrode for ion generation of the ionizer can be controlled by the pulse output method by adopting a pattern electrode, so that the transformer can be miniaturized and the entir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 the ion plate since the ion plate itself serves as a radio wave shield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in relatio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ion plate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 an individual ionizer is installed in each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and the air quality sensor can control the individual detected pollution zones, thereby improving the air qualit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with an ioni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first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n optimal position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of the air conditioning air for designing the optimal position of the ioniz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ond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n optimal position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ode of a plurality of ionizers
  •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onize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8,
  •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ion plate of the ionizer.
  • FIG. 2 is a first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n optimum position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ioniz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flow chart of air conditioning air for designing an optimum position of a jersey
  • FIG. 4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timal position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d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ontrol state of several ionizer.
  • a vehicl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 'HVAC module 120
  •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nd a plurality of ionizers 150 are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 path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to generate ions.
  • the HVAC module 120 is install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nd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housing having an air conditioning space capable of inhaling air or outdoor air, and is dispos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according to a refrigeration cycl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 An evaporator is provided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 the HVAC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s shown in FIG. 2, to flow air condition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nd the plurality of front end portions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re provided. 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ven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vehicle compartment, and is provided so that air-conditio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compartment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s.
  •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includes a left side duct 141 and a right side duct 141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air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cabi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 Front left foot duct and front right foot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from below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to the driver's and passenger's foot
  • the rear left foot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to the foot of the occupant's rear seat
  • a center console duct for supplying air conditioning air toward the occupant of the rear right foot duct and the rear seat of the cabin.
  • the left side duct 141 and the right side duct 141 are, as referenced in FIG. 3, a left extension and a right extension, a left extension and a lef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HVAC module 120 to the left or right. It may include a left discharge portion and a right discharge portion which is bent backward from the right extension portion and inclined downward.
  • the ionizer 150 is not provided inside the HVAC module 120, unlike the ionizer 150 of the item 'Background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minimizes the death of ions. In order to be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 the left side duct 141 and the right side duct 141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re places for occupants to frequently ride, and are optimal for the ionizer 150 to minimize the death of ions. Location design is very important.
  • the ionizer 150 may be disposed in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which are on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left side duct 141 and the right side duct 141, as indicated by 1 of FIG. 2. , And may be disposed inside adjacent to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ions indicated by 2 in FIG. 2, between the left and left discharge portions and between the right extension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s indicated by 3 in FIG. 2. Can be.
  • the ionizer 150 described in the section 'Technology a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s merely provided with the ionizer 150 in the left side duct 141 and the right side duct 141 as described above. Naturally, the ionization efficiency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 the left side extension and the right side extension Mixing zones formed by turbulence are formed inside the ends of the left discharge portion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that are bent backwards from the front end and are inclined downwardly, so that the ionizer 150 can induce the death of minimum ions.
  • Individual designs of specific configurations will be requir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onizer 150.
  • the ionizer 150 has a left side duct 141, a right side duct 141, a front left foot duct, a front right foot duct, a rear left foot duct, and a rear right foot, as shown in FIG.
  • the duct and the center console duct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 the ionizer 150 provided in the left side duct 141 serves to reliev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driver's polluted air by using the air conditioning air directly blown to the occupant in the driver's seat as the flow medium of ions, and the right side
  • the ionizer 150 provided in the duct 141 likewise discharges ions to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to benefit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 the ionizer 150 provided in the front left foot duct and the front right foot duct is useful for removing odor generated from shoes of a driver or a passenger occupant and the like, and is also provided in the rear left foot duct and the rear right foot duct.
  • the ionizer 150 is useful for a rear seat occupant.
  • the ionizer 150 provided in the center console duct can discharge ions to the rear seat occupant.
  • the ionizer 150 is operated by individually installing the ionizer 150 in each of the duc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ents provided in the vehicle compartment.
  • the air-conditioning and the like such as effective odor removal for the entire vehicle has the advantage possible.
  • the air quality sensor that can detect the air quality of the vehicle can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 Pollutant gas in the vehicle by individuall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onizers 15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vehicle air quality data of the current state detected through the air quality detection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vehicl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quality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the estimated position, the HVAC module 120 and the ionizer 150 may be linked with each other to effectively remove the pollutant.
  • the area set in the vehicle is set as a pollution estimation area,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individual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air quality sensor described above,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 Is determined by pattern recognition method or Bayesian estimation method by us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 or Bayesian estimation method using each ve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vents connected to each other, whether the air is blown into the room according to HVAC module 120, whether the door window is opened or closed,
  •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onizer 150 may be controlled.
  • FIG.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ionize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mounting view of the ion plat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onizer.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onizer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8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ion plat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ionizer.
  • the plurality of ionizers may include pattern electrodes 151 and 152 imprinted on the ion plate 161 as electrodes for generating ions.
  • a pulse control method can be introduced, which provides an advantage of pursuing miniaturization of a product by enabling a miniaturized design of a transformer.
  • a DC output system such as a needle electrode or a carbon electrode
  • the plurality of ionizers 150 is fix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nd has a lower case 16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opened to one side, and a lower case ( The shield cover 163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160, the printed circuit board 164 coupled 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hield cover 163, and the ion plat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ield cover 163 ( 161 and an upper case 166 coupled to cover the ion play.
  • the lower case 160 may be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nd may be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center portion where air conditioning air flows.
  • the shield cover 163 is formed in a smaller volume than the lower case 160, is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maining inner surface except the open portion of the lower case 160, ion plate 161 as described below
  • the shielding member 163 ' which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radio wave shield 161' plated on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 the printed circuit board 164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ical signals or power applied from the pattern electrodes 151 and 152 of the ion plate 161.
  • the ion plate 161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imprinted pattern electrodes 151 and 152 to seal the carbon brush type needle electrode and the needle type needle electrode with a high ozone generation rate relative to the ion generation amou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application to the room for the first time.
  • the ion plate 161 is imprin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attern portion 15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ttern portion 152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pattern portion 151 on the lower surface.
  • the radio wave shield 161 ′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pattern portion 152 may be plated on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expos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le pattern portion 152.
  • the radio wave shield 161 ' together with the shielding member 163' of the shield cover 163 described above, completely blocks the printed circuit board 164 provided in the lower case 160, thereby preven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plays a ro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ionized ions and radio wave component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164).
  •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pattern portion 152 By actively utiliz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on plate 161 imprinted on the virtual surface to create the sam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rts, deriving more efficient performance.
  • the ion plate 161 is disposed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seated on the upper edge of the shield cover 163, the ion plate by the hook support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case 160 A portion of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61 is provided to be suppo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front end of the shield member 163 ′ of the shield cover 163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adio wave shield 161 ′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on plate 161, so that the top of the edge of the shield cover 163 is provided.
  • the radio wave blocking function may be completed only by the operation in which the ion plate 161 is installed.
  • the ionizer 150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rubber frame 165 interposed between the hook support formed on the lower case 160, the top of the shield cover 163, and the end of the ion plate 161. have.
  • the waterproof rubber frame 165 is interposed on the inner edge of the lower case 160 to prevent moisture intrusion such as condensed water due to the flow of air conditioning air, as well as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conditioning air. Absorbs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role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ide the lower case (160).
  • the pattern electrodes 151 and 152 formed on the ion plate 161 of the ionizer 150 that is,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 the pattern portion 152 is preferably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module 140.
  •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pattern portion 15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conditioning air, so that the opposite generated from the opposite poles. This is to minimize the mixing of the polar ions with each other.
  • the ioniz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53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 ⁇ pole pattern portion 152.
  • the partition wall 153 also serves to prevent the ions generated in each of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pattern portion 152 from being killed.
  • the ionizer 150 is disposed in the mixing zon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o that the ionizer 150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vents in a state in which ions are minimized. desirable.
  • the ionizer 150 includes a + pole ion plate 161 a having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imprinted therein, and a-pole pattern portion 152 having the imprinted thereon. I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ion plate 161 of the pole ion plate 161b, and the + pole ion plate 161a and the -pole ion plate 161b are respectively the + pole pattern portion 151 and the-pole pattern portion (
  • the surfaces on which the 152 is formed may be inclined so as to fac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6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61b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such that adjacent portions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forming the highest vertex.
  • the + pole ion plates 161a and-pole ion plates 161b disposed inclined in this case are similar to the partition wall 153 described above. This is to minimize the extinction.
  • the air duct module having a relatively high flow rate has a relatively high ion killing prevention effect. Since the position can be set inside the 14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side the left extension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실 외측에 배치된 차량용 공기조화 모듈(HVAC 모듈,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이하, 'HVAC 모듈'이라 함)과, 상기 HVAC 모듈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상기 차실로 안내하도록, 상기 HVAC 모듈과 상기 차실의 복수개소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배치된 공조 덕트 모듈과, 상기 공조 덕트 모듈 내부의 공조 공기 유동로에 배치되어 음이온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를 포함함으로써, 생성된 이온의 사멸을 방지하고, 탑승자에게 최대 이온화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 공기가 차실로 토출되면서 방출된 이온이 사멸되지 않도록 구성된 이오아이져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차실)는 좁고 밀폐되어 있어 오염되기 쉬우며, 특히 차실로 유입된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차실의 공기오염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비가 오거나 습도가 매우 높은 날씨에 공조기를 가동하게 되면, 증발기 표면에 응축되어 있는 수분 등으로 인하여 세균과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고, 이러한 세균, 곰팡이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들이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고, 더 나아가서는 기존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에 직접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오나이져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차량의 엔진룸에는, 차실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토출시키는 HVAC 모듈(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20)이 설치되고, HVAC 모듈(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조 덕트 모듈(40)이 연결되어 차실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미도시)를 통하여 공조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오나이져(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VAC 모듈(20) 내부에 설치되되, 공기가 공조되기 전인 증발기(21)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져(50)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기의 경우에는, 이오나이져(50)로부터 방출된 이온은 금속지향적인 바, 금속성의 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대부분 사멸됨으로써 실질적인 이온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오나이져로부터 발생된 이온이 사멸되지 않도록 공조 덕트 모듈의 내부에 이오나이져를 설치하되, 최적의 설치 위치를 설정함은 물론, 이오나이져의 이온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실 외측에 배치된 차량용 공기조화 모듈(HVAC 모듈,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이하, ‘HVAC 모듈’이라 함)과, 상기 HVAC 모듈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상기 차실로 안내하도록, 상기 HVAC 모듈과 상기 차실의 복수개소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배치된 공조 덕트 모듈과, 상기 공조 덕트 모듈 내부의 공조 공기 유동로에 배치되어 음이온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이온 생성을 위한 전극으로써, 이온 플레이트에 임프린팅된 패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전극은, +극 패턴부와 -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는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을 유동하는 공조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기 +극 패턴부가 임프링팅된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패턴부가 임프린팅된 -극 이온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는,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부위가 가장 높은 꼭지점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공조 덕트 모듈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로워 케이스와, 상기 로워 케이스 내의 내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쉴드 커버와, 상기 쉴드 커버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온 플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공간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기 쉴드 커버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안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가 임프린팅되고, 하면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의 하면 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와 동일한 재질의 전파쉴드부가 도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이온 플레이트의 상면 테두리 단부 일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후크 지지부와 상기 쉴드 커버의 상단 및 상기 이온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러버 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은, 상기 차실의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좌측 사이드 덕트 및 우측 사이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덕트 및 우측 사이드 덕트는, 상기 HVAC 모듈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와,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의 단부 또는 상기 우측 토출부의 단부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와 상기 좌측 연장부 사이 또는 상기 우측 토출부와 상기 우측 연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은,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운전석 탑승자 및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프론트 좌측 풋 덕트 및 프론트 우측 풋 덕트와, 상기 차실의 후방석의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리어 우측 풋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사이드 덕트, 상기 우측 사이드 덕트, 상기 프론트 좌측 풋 덕트, 상기 프론트 우측 풋 덕트, 상기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상기 리어 우측 풋 덕트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공조 덕트 모듈 내에 이오나이져를 설치하여 이온의 사멸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이오나이져의 이온 생성을 위한 전극을 패턴 전극을 채용함으로써 펄스 출력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 트랜스를 소형화시켜 전체 제품의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이온 플레이트가 자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과의 관계에서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파쉴드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의 절감을 가져오는 이점을 가진다.
넷째, 공조 덕트 모듈 각각에 개별 이오나이져를 설치하고, 공기질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개별 감지된 오염 구역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공기질 개선의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이오나이져의 형상을 이온 사멸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공조 덕트 모듈 내에서의 최적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공조 덕트 모듈에 설치되는 최적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이오나이져의 최적 위치를 설계하기 위한 공조 공기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공조 덕트 모듈에 설치되는 최적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개념도이며,
도 5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의 제어 모습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이오나이저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이오나이져의 구성 중 이온 플레이트의 장착도이고,
도 9는 이오나이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이오나이져의 구성 중 이온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공조 덕트 모듈에 설치되는 최적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이오나이져의 최적 위치를 설계하기 위한 공조 공기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공조 덕트 모듈에 설치되는 최적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개념도이고, 도 5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의 제어 모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실 외측에 배치된 차량용 공기조화 모듈(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이하, ‘HVAC 모듈(120)’ 이라 함)과, HVAC 모듈(120)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차실로 안내하도록, HVAC 모듈(120)과 차실의 복수개소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미도시)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배치된 공조 덕트 모듈(140)과, 공조 덕트 모듈(140) 내부의 공조 공기 유동로에 배치되어 이온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150)를 포함한다.
HVAC 모듈(120)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되, 차실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킬 수 있는 공조 공간이 구비된 공조 하우징과, 공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의 냉동 사이클 운전에 따라 공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공조시키는 증발기가 구비된다.
한편, HVAC 모듈(120)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은, 공조 덕트 모듈(140)과 연결되어 공조 공기를 공조 덕트 모듈(140)로 유동시키고, 공조 덕트 모듈(140)의 복수개의 선단부는 차실의 복수개소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공조 공기가 복수개의 벤트를 통하여 차실로 토출되도록 구비된다.
공조 덕트 모듈(140)은,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실의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전석 및 조수석의 하방으로부터 운전석 탑승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프론트 좌측 풋 덕트 및 프론트 우측 풋 덕트와, 차실의 후방석의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리어 우측 풋 덕트 및 차실의 후방석의 탑승자를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센터 콘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HVAC 모듈(120)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와,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오나이져(150)는, 이미 서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의 이오나이져(150)와는 달리, HVAC 모듈(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이온의 사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조 덕트 모듈(140)의 내부에 구비된다.
공조 덕트 모듈(140)의 구성 중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는, 탑승자가 빈번하게 탑승하기 위한 곳으로서, 이온의 사멸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오나이져(150)의 최적의 위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이오나이져(150)는, 도 2의 ①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의 세부 구성 중 하나인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도 2의 ②로 표시된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의 단부에 인접되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의 ③으로 표시된 좌측 연장부와 좌측 토출부 사이 및 우측 연장부와 우측 토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의 내부에 이오나이져(150)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기술하고 있는 이오나이져(150)보다 이온화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의 내부 중에서도 어느 위치가 최적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는지 및 각 설정된 위치 별 이오나이져(150)의 구체적인 구성의 개별 설계가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이오나이져(150)를 좌측 사이드 덕트(141) 및 우측 사이드 덕트(141)의 내부 중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내에 배치할 경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의 단부 내측에서 난류로 인한 믹싱 존(Mixing Zone)이 형성되는 바, 최소 이온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이오나이져(150)의 구체적인 구성의 개별 설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이오나이져(15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오나이져(15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덕트(141), 우측 사이드 덕트(141), 프론트 좌측 풋 덕트, 프론트 우측 풋 덕트, 리어 좌측 풋 덕트, 리어 우측 풋 덕트 및 센터 콘솔 덕트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덕트(141)에 구비된 이오나이져(150)는 운전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직접 송풍되는 공조 공기를 이온의 유동 매개체로 함으로써 운전자의 오염 공기에 따른 불쾌감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우측 사이드 덕트(141)에 구비된 이오나이져(150)는 마찬가지로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이온을 토출시켜 조수석 탑승자를 이롭게 한다.
또한, 프론트 좌측 풋 덕트 및 프론트 우측 풋 덕트에 구비된 이오나이져(150)는,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신발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제거 등에 유용하고, 마찬가지로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리어 우측 풋 덕트에 구비된 이오나이져(150)는, 후방석 탑승자에 유용하다.
또한, 센터 콘솔 덕트에 구비된 이오나이져(150)는, 후방석 탑승자에게 이온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차실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와 연결된 각각의 덕트들에 이오나이져(150)를 개별 설치함으로써 이오나이져(150) 작동에 의해 발생된 이온의 사멸을 최소화함은 물론, 차실 전체에 대한 효율적인 악취 제거 등의 공조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실의 오염이 예상되는 부위에는, 차실의 공기질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질 감지 센서를 복수개소에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질 감지 센서를 통한 차실의 복수개소에서의 공기질 감지를 통하여 감지된 현재 상태의 차실 공기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복수개의 이오나이져(150)를 개별 작동 제어함으로써 차내 오염 가스 추정 위치에 따라 HVAC 모듈(120) 및 이오나이져(150)를 연동하여 효율적인 오염원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실 중 설정된 구역을 오염 추정 구역으로 설정하되,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설정하고, 상술한 공기질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개별 감지값과, 공조 덕트 모듈(140)과 연결된 복수개의 벤트의 각 개폐 여부, HVAC 모듈(120)에 따른 외기의 실내로의 송풍량, 도어 창문의 개폐 여부 및 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하여 패턴인식법 또는 베이지안 추정법으로 결정하여 어느 구역에 해당하는 이오나이져(150)의 작동을 활성화시킬 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 중 이오나이저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이오나이져의 구성 중 이온 플레이트의 장착도이며, 도 9는 이오나이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이오나이져의 구성 중 이온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이노나이져는, 이온 생성을 위한 전극으로써, 이온 플레이트(161)에 임프린팅된 패턴 전극(15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 전극(151,152)을 이온 생성을 위한 전극으로 채용함으로써 펄스 제어방식을 도입할 수 있는 바, 이는 트랜스의 소형화 설계가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 니들 전극이나 카본 전극과 같은 DC 출력방식의 제어에서는 트랜스의 사이즈가 비대하여 제품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복수개의 이오나이져(150)는, 도 6 내지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조 덕트 모듈(140)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로워 케이스(160)와, 로워 케이스(160) 내의 내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쉴드 커버(163)와, 쉴드 커버(163)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64)과, 쉴드 커버(163)의 상측에 결합되는 이온 플레이트(161)와, 이온 플레이를 덮도록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16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워 케이스(160)는 공조 덕트 모듈(140) 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공조 공기가 유동하는 중심부를 향하여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쉴드 커버(163)는, 로워 케이스(160)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되되, 로워 케이스(160)의 개구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온 플레이트(161)에 도금된 전파쉴드부(16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차폐부재(163')가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64)은, 이온 플레이트(161)의 패턴 전극(151,152)으로부터 인가된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 플레이트(1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프린팅된 패턴 전극(151,152)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온 발생량 대비 오존의 발생 비율이 높은 탄소 브러쉬 타입의 카본 전극 및 니들 타입의 니들 전극의 밀폐된 공간에서의 차실용으로의 적용이 어려운 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이온 플레이트(161)는, 상면 즉, 공조 덕트 모듈(140)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극 패턴부(151) 및 -극 패턴부(152)가 임프린팅되고, 하면에 +극 패턴부(151) 및 -극 패턴부(152)의 하면 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극 패턴부(151) 및 -극 패턴부(152)와 동일한 재질의 전파쉴드부(161')가 도금될 수 있다.
전파쉴드부(161')는, 상술한 쉴드 커버(163)의 차폐부재(163')와 함께, 로워 케이스(160)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64)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64)로 발생되는 전자파 등의 전파 성분과 이온화된 이온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전자파 차폐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극 패턴부(151) 및 -극 패턴부(152)가 상면에 임프린팅된 이온 플레이트(161)의 반대면을 적극 활용하여 동일한 전자파 차폐 효과를 창출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증가를 예방하고, 보다 효율적인 성능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온 플레이트(161)는, 쉴드 커버(163)의 상단 테두리에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로워 케이스(16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후크 지지부에 의하여 이온 플레이트(161)의 상면 테두리 단부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쉴드 커버(163)의 차폐부재(163')의 선단은 이온 플레이트(161)의 반대면에 형성된 전파쉴드부(161')와 상호 접점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쉴드 커버(163)의 테두리 상단에 이온 플레이트(161)가 설치되는 동작만으로 전파 차단 기능이 완성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오나이져(150)는, 로워 케이스(160)에 형성된 후크 지지부와 쉴드 커버(163)의 상단 및 이온 플레이트(161)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러버 틀(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러버 틀(165)은, 로워 케이스(16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 개재됨으로써 공조 공기의 유동에 따른 응결수 등의 습기 침입을 방지함은 물론, 공조 공기의 유동에 따른 공조 덕트 모듈(1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로워 케이스(160) 내부의 구성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오나이져(150)의 이온 플레이트(161)에 형성된 패턴 전극(151,152), 즉, +극 패턴부(151)와 -극 패턴부(152)는 공조 덕트 모듈(140)을 유동하는 공조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극 패턴부(151)와 -극 패턴부(152)가 각각 공조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대향 극에서 발생된 대향 극 이온이 상호 섞여 사멸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오나이져(15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극 패턴부(151)와 -극 패턴부(152) 사이에 소정 높이의 격벽(153)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53) 또한 +극 패턴부(151)와 -극 패턴부(152) 각각에서 생성된 이온이 사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격벽(153)이 구비된 이오나이져(150)의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믹싱 존(Mixing Zone)에 구비되어 이온의 사멸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벤트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오나이져(15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극 패턴부(151)가 임프린팅된 +극 이온플레이트(161a)와, -극 패턴부(152)가 임프린팅된 -극 이온플레이트(161b)의 개별 이온 플레이트(161)로 구비될 수 있고, +극 이온플레이트(161a)와 -극 이온플레이트(161b)는, 각각 +극 패턴부(151)와 -극 패턴부(152)가 형성된 면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극 이온플레이트(161a)와 -극 이온플레이트(161b)는 인접하는 부위가 가장 높은 꼭지점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의 경사지게 배치된 +극 이온플레이트(161a) 및 -극 이온플레이트(161b) 또한 상술한 격벽(153)과 마찬가지로 +극 패턴부(151) 및 -극 패턴부(152)에서 생성된 이온의 사멸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경사진 +극 이온플레이트(161a) 및 -극 이온플레이트(161b)를 구비한 이오나이져(150)의 경우, 대체적으로 이온 사멸화 방지 효과가 높은 바,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른 공조 덕트 모듈(140)의 내부에 위치 설정이 가능하므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차실 외측에 배치된 차량용 공기조화 모듈(HVAC 모듈,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이하, ‘HVAC 모듈’이라 함)과;
    상기 HVAC 모듈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를 상기 차실로 안내하도록, 상기 HVAC 모듈과 상기 차실의 복수개소에 구비된 복수개의 벤트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배치된 공조 덕트 모듈과;
    상기 공조 덕트 모듈 내부의 공조 공기 유동로에 배치되어 음이온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이온 생성을 위한 전극으로써, 이온 플레이트에 임프린팅된 패턴 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은, +극 패턴부와 -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는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을 유동하는 공조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격벽이 구비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기 +극 패턴부가 임프링팅된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패턴부가 임프린팅된 -극 이온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는, 상기 +극 패턴부와 상기 -극 패턴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와 상기 -극 이온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부위가 가장 높은 꼭지점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공조 덕트 모듈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로워 케이스와;
    상기 로워 케이스 내의 내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쉴드 커버와;
    상기 쉴드 커버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온 플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공간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기 쉴드 커버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안착되는 크기를 가지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온 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가 임프린팅되고,
    하면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의 하면 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극 패턴부 및 -극 패턴부와 동일한 재질의 전파쉴드부가 도금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이온 플레이트의 상면 테두리 단부 일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후크 지지부와 상기 쉴드 커버의 상단 및 상기 이온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러버 틀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0.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은,
    상기 차실의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좌측 사이드 덕트 및 우측 사이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덕트 및 우측 사이드 덕트는,
    상기 HVAC 모듈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와;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내에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 및 우측 토출부 내에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의 단부 또는 상기 우측 토출부의 단부에 인접되게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토출부와 상기 좌측 연장부 사이 또는 상기 우측 토출부와 상기 우측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구비된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연장부와 상기 좌측 토출부 사이 및 상기 우측 연장부와 상기 우측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극 이온 플레이트 및 상기 -극 이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상기 우측 연장부 내에 배치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 모듈은,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운전석 탑승자 및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프론트 좌측 풋 덕트 및 프론트 우측 풋 덕트와;
    상기 차실의 후방석의 탑승자의 발을 향하여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리어 우측 풋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나이져는,
    상기 좌측 사이드 덕트, 상기 우측 사이드 덕트, 상기 프론트 좌측 풋 덕트, 상기 프론트 우측 풋 덕트, 상기 리어 좌측 풋 덕트 및 상기 리어 우측 풋 덕트에 각각 구비된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PCT/KR2016/005703 2016-02-15 2016-05-30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WO20171421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81908.7A CN108698486B (zh) 2016-02-15 2016-05-30 车辆的空气调节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365 2016-02-15
KR1020160017365A KR101762804B1 (ko) 2016-02-15 2016-02-15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137A1 true WO2017142137A1 (ko) 2017-08-24

Family

ID=5942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703 WO2017142137A1 (ko) 2016-02-15 2016-05-30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62804B1 (ko)
CN (1) CN108698486B (ko)
WO (1) WO2017142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1216B2 (ja) * 2019-03-01 202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空調システム
JP2022098445A (ja) 2020-12-21 2022-07-01 研能科技股▲ふん▼有限公司 車内気体汚染の濾過方法
KR102612708B1 (ko) * 2021-06-15 2023-12-12 위니코니 주식회사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314A (ko) * 2004-02-18 2005-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내장형 공기청정기
KR20060016084A (ko) * 2003-05-15 2006-02-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이온 발생 소자, 이온 발생 장치, 전기 기기
US20080251236A1 (en) * 2007-04-12 2008-10-16 Halla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495838B1 (ko) * 2013-09-24 2015-0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20150128451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수직배치형 이온발생기용 쉴드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5464B2 (ja) 2002-10-17 2008-08-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CN101621182B (zh) * 2003-05-15 2012-07-18 夏普株式会社 离子发生元件、离子发生装置、电气设备
JP4799143B2 (ja) * 2005-11-18 2011-10-26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空調装置
JP4948108B2 (ja) 2006-10-10 2012-06-06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EP2082176B1 (en) * 2006-11-06 2018-08-15 LG Electronics Inc. Fan motor assembly for blowing cooling ai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1219233B (zh) * 2008-01-22 2010-08-25 苏州康喜医疗净化设备有限公司 车用空调高压电离空气消毒机
KR102119798B1 (ko) * 2012-12-13 2020-06-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 플레이트
CN204956008U (zh) * 2015-08-11 2016-01-13 株式会社电装 带有离子发生器的汽车空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084A (ko) * 2003-05-15 2006-02-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이온 발생 소자, 이온 발생 장치, 전기 기기
KR20050082314A (ko) * 2004-02-18 2005-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내장형 공기청정기
US20080251236A1 (en) * 2007-04-12 2008-10-16 Halla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495838B1 (ko) * 2013-09-24 2015-0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20150128451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수직배치형 이온발생기용 쉴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804B1 (ko) 2017-07-28
CN108698486B (zh) 2021-07-20
CN108698486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0719A1 (en) Active air purifier of vehicle
EP22897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WO2017142137A1 (ko)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0452028B1 (ko) 공조기용 실내 유닛
WO2010029716A1 (ja) 空気調和機
WO2013061865A1 (ja) 発生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機器
WO2019132201A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CN204956008U (zh) 带有离子发生器的汽车空调
WO2012173384A2 (ko)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 장착용 탈취 장치
WO201910333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861803A (ja) 盤内除湿装置
JP5109889B2 (ja) 空気調和機
KR20080092532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N214874135U (zh) 一种壁挂等离子体空气消毒机
WO2019103331A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3291338A (zh) 空气处理装置、空调器和用于轨道交通的车辆
CN214755051U (zh) 一种防潮配电柜
KR100352527B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CN215042752U (zh) 风道内结构和用于轨道交通的空调器
JP7456201B2 (ja) 吹出ユニットおよび空調・換気システム
WO2022080726A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20366509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CN212930239U (zh) 空调室内机
CN213480404U (zh) 用于空调器的杀菌模块及具有其的空调器
WO2022124428A1 (ko) 차량 통풍시트의 넥벤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07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07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