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08B1 -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08B1
KR102612708B1 KR1020210077479A KR20210077479A KR102612708B1 KR 102612708 B1 KR102612708 B1 KR 102612708B1 KR 1020210077479 A KR1020210077479 A KR 1020210077479A KR 20210077479 A KR20210077479 A KR 20210077479A KR 102612708 B1 KR102612708 B1 KR 10261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fant
air chamber
valu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003A (ko
Inventor
조은희
Original Assignee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코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7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1Upholstery, padded or cushioned mem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실, 상기 공기실에 마련되는 센서부, 상기 공기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앱 또는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실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하체를 받쳐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좌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3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우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4 공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Baby car seat and control method of baby car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유아의 불편함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카시트(car sea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시트는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 설치된다. 유아는 카시트에 안착되고, 고정된다.
이에 따라, 차량이 급발진, 주행 또는 급정거되는 경우에도 유아가 임의로 카시트 또는 뒷자석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시트를 설치하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아는 카시트를 이용하여 뒷자석에 앉히고, 보호자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앉는 경우가 많아, 유아 주변의 공기질이나, 유아의 대소변 상황을 보호자가 재빨리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73722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유아의 불편함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실, 상기 공기실에 마련되는 센서부, 상기 공기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앱 또는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실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하체를 받쳐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좌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3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우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4 공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공기실에서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공기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공기실에서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공기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3 공기실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실 주변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공기질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상기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를 착석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을 설정하고,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며,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도센서에서 상기 제 1 공기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온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온도값이 상기 온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온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4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송출된 온도이상알림 및 온도값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상기 습도센서에서 상기 제 1 공기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습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습도값이 상기 습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습도이상알림 및 해당 습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7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7 단계에서 송출된 습도이상알림 및 습도값을 확인하는 제 8 단계, 상기 공기실센서에서 상기 제 3 공기실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생성된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공기질값을 확인하여 상기 공기질값이 상기 공기질기준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공기질이상알림 및 해당 공기질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10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0 단계에서 송출된 공기질이상알림 및 공기질값을 확인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제어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유아의 불편함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실(100), 상기 공기실(100)에 마련되는 센서부(200), 상기 공기실(1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200)와 연동되어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앱 또는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실(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하체를 받쳐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공기실(12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공기실(14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좌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3 공기실(16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우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4 공기실(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공기실(100)이 마련된다. 상기 공기실(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공기를 채우면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고 사고시 유아를 효과적으로 보호 가능하며, 공기를 빼면 부피가 줄어들어 사용자가 손쉽게 보관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공기실(100)은 4개의 구역으로 나눠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공기실(120), 제 2 공기실(140), 제 3 공기실(160), 제 4 공기실(18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공기실(120)은 상기 공기실(100)에서 유아의 하체를 받치는 역할을 하여, 유아가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공기실(140)은 상기 공기실(100)에서 유아의 등을 받치는 역할을 하여 유아가 편하게 기대어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기실(160)은 상기 공기실(100)에서 유아의 좌측을 받치는 역할을 하여, 유아가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4 공기실(180)은 상기 공기실(100)에서 유아의 우측을 받치는 역할을 하여, 유아가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센서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200)는 온도센서(220), 습도센서(240), 공기질센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실(100)의 온도, 습도, 공기질을 감지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제어부(300)로 송부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센서부(200)에는 온도센서(220)가 마련된다.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제 1 공기실(120) 외면,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하기에서 설명될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온도센서(220)에서 측정하는 온도센서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대소변 상태에 따른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확인하고 처리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200)에는 습도센서(240)가 마련된다. 상기 습도센서(240)는 상기 제 1 공기실(120) 외면,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습도센서(240)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습도를 감지하여 측정된 습도값을 하기에서 설명될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습도센서(240)에서 측정하는 습도센서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대소변 상태에 따른 습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확인하고 처리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200)에는 공기질센서(260)가 마련된다. 상기 공기질센서(260)는 상기 제 3 공기실(160)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18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마련된다. 상기 공기질센서(260)는 상기 제 3 공기실(160)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180)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측정된 공기질값을 하기에서 설명될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하기에서 표현된 구성도인 도 2에서는, 상기 공기질센서(260)가 상기 제 4 공기실(180)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공기질센서(260) 또한, 상기 공기질센서(260)에서 측정하는 공기질센서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주변의 공기질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확인하고 처리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제어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공기실(1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200)와 연동되어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한 센서값을 인식하여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종 알림 및 온도, 습도, 공기질값을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알림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을 설정하고,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며,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아가 착성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 및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은, 착석하는 유아에 따라 온도 및 습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기질기준값은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통해 임의로 설정해둘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200)에서 생성된 온도값, 습도값,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300)에서 인식한 뒤, 상기 온도값이 상기 온도기준값보다 높다면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온도값을 송출하고, 상기 습도값이 상기 습도기준값보다 높다면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습도값을 송출하며, 상기 공기질값이 상기 공기질기준값 범위를 벗어난다면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공기질이상알림 및 해당 공기질값을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이상알림, 습도이상알림, 공기질이상알림이 상기 제어부(300)에서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각종알림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사용자단말기(400)가 마련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앱 또는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출력 가능한 각종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온도값, 온도이상알림, 습도값, 습도이상알림, 공기질값, 공기질이상알림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입력 가능한 각종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공기질기준값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를 착석시키는 제 1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을 설정하고,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며,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 및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은, 착석하는 유아에 따라 온도 및 습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기질기준값은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통해 임의로 설정해둘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센서(220)에서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제 3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온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온도값이 상기 온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온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제 4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송출된 온도이상알림 및 온도값을 확인하는 제 5 단계가 이뤄진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온도값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대소변 상태에 따른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재빨리 처리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습도센서(240)에서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습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제 6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습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습도값이 상기 습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습도이상알림 및 습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제 7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7 단계에서 송출된 습도이상알림 및 해당 습도값을 확인하는 제 8 단계가 이뤄진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습도이상알림 및 해당 습도값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대소변 상태에 따른 습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재빨리 처리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질센서(260)에서 상기 제 3 공기실(160) 및 상기 제 4 공기실(180)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생성된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제 9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공기질값을 확인하여 상기 공기질값이 상기 공기질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공기질이상알림 및 해당 공기질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제 10 단계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0 단계에서 송출된 공기질이상알림 및 공기질값을 확인하는 제 11단계가 이뤄진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질이상알림 및 해당 공기질값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주변의 공기질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로 보내어 사용자가 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의 공기실(100)에는 제 1 보조공기실(122), 제 3 보조공기실(162), 제 4 보조공기실(18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전방 중앙 부분에 제 1 보조공기실(12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은 유아의 무릎 뒷 부분 내지 허벅지가 닿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전방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에 의해 착석하는 유아의 바른 자세를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3 공기실(160) 중 유아의 어깨가 닿는 부분에 제 3 보조공기실(16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은 유아의 좌측 어깨가 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에 의해 착석하는 유아의 바른 자세를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4 공기실(180) 중 유아의 어깨가 닿는 부분에 제 4 보조공기실(18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은 유아의 우측 어깨가 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에 의해 착석하는 유아의 바른 자세를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의 지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의 제어부(300)에는 스위치(310),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위치(31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작동을 준비 또는 중지시키는 배터리(320),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32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펌프(330),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1 공기실(120)을 연결하는 제 1 솔레노이드밸브(341),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을 연결하는 2 솔레노이드밸브(342),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2 공기실(140)을 연결하는 제 3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3 공기실(160)을 연결하는 제 4 솔레노이드밸브(344),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을 연결하는 제 5 솔레노이드밸브(345),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4 공기실(180)을 연결하는 제 6 솔레노이드밸브(346), 상기 제어부(30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을 연결하는 제 7 솔레노이드밸브(34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지시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330), 상기 제 1 솔레노이드밸브(341), 상기 제 2 솔레노이드밸브(342), 상기 제 3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제 4 솔레노이드밸브(344), 상기 제 5 솔레노이드밸브(345), 상기 제 6 솔레노이드밸브(346), 상기 제 7 솔레노이드밸브(347)에 공기 주입신호 또는 공기 흡입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지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제어부(300)의 외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스위치(3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310)의 전원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의 전원을 제어하여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를 작동 준비 또는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320)는 상기 스위치(310)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10)가 켜지면, 상기 배터리(320) 또한 작동을 위한 준비상태가 되어 상기 제어부(300) 및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스위치(310)가 꺼지면, 상기 배터리(320)가 함께 작동을 멈추어 상기 제어부(300) 및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의 작동이 멈춘다. 상기 배터리(320)는 차량용 시거잭으로 마련될 수 있고, 추가적인 배터리(320)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전기를 공급한다면 어느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330)는, 상기 배터리(32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320)가 작동을 위한 준비상태가 되어있을 때 작동가능하며,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 흡입을 위해 마련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40)는, 상기 배터리(32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320)가 작동을 위한 준비상태가 되어있을 때 작동가능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40)는 상기 제어부(300)와 상기 공기실(10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공기실(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40)에 의해, 상기 공기실(100)에 상기 에어펌프(330)에서 만들어진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를 흡입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실(100)에는 공기 주입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40)는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 주입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프(330)는 상기 에어펌프(330) 만으로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과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나,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 역할을 하는 제 1 에어펌프(332)와 상기 공기실(100)의 공기 흡입 역할을 하는 제 2 에어펌프(334)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펌프(330)가 상기 제 1 에어펌프(332)와 상기 제 2 에어펌프(334)로 나눠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도 공기 주입용과 공기 흡입용으로 나눠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세한 구성은 상기 에어펌프(330)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330), 상기 제 1 솔레노이드밸브(341), 상기 제 2 솔레노이드밸브(342), 상기 제 3 솔레노이드밸브(343), 상기 제 4 솔레노이드밸브(344), 상기 제 5 솔레노이드밸브(345), 상기 제 6 솔레노이드밸브(346), 상기 제 7 솔레노이드밸브(347)에 공기 주입신호 또는 공기 흡입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지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상기 공기실(100)에 압력센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로 인해 각 공기실(100)에 눌러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유아가 바른 자세로 착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공기실(100)에는 상기 제 1 공기실(120) 중 유아의 엉덩이가 닿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공기실(120)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는 제 1 압력센서(124), 상기 제 2 공기실(140)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공기실(140)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는 제 2 압력센서(144),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 중 유아의 어깨가 닿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는 제 3 압력센서(164),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 중 유아의 어깨가 닿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는 제 4 압력센서(18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압력센서(124)는 상기 제 1 공기실(120) 중 유아의 엉덩이가 닿는 면에 마련되어, 착석한 유아에 의해 상기 제 1 공기실(120)에 눌러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유아를 바른 자세로 착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 1 압력센서(124)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에 눌러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 1 압력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공기실(140)에는 제 2 압력센서(144)가 마련되어 착석한 유아에 의해 상기 제 2 공기실(140)에 눌러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유아를 바른 자세로 착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 2 압력센서(144)는 상기 제 2 공기실(140)에 눌러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 2 압력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에는 제 3 압력센서(164)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압력센서(164)는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 중 유아의 좌측 어깨가 닿는 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 3 압력센서(164)는 착석한 유아에 의해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에 눌러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유아를 바른 자세로 착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 3 압력센서(164)는 상기 제 3 공기실(162)에 눌러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 3 압력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에는 제 4 압력센서(184)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압력센서(184)는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 중 유아의 우측 어깨가 닿는 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 4 압력센서(184)는 착석한 유아에 의해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에 눌러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유아를 바른 자세로 착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 4 압력센서(184)는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에 눌러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 4 압력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실(100)에 상기 압력센서들이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상기 압력센서값들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값과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값과 상기 압력이상알림은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각종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압력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1 압력센서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유아가 앞으로 쏠려있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1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1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압력센서기준값은 상기 제 1 압력센서의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압력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2 압력센서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유아가 바른 자세로 착석하여 있지 않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2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2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압력센서기준값은 상기 제 2 압력센서의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3 압력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3 압력센서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유아가 좌측으로 기대어있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3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3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압력센서기준값은 상기 제 3 압력센서의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압력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4 압력센서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유아가 우측으로 기대어있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4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4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압력센서기준값은 상기 제 4 압력센서의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압력센서값과 압력이상알림을 송출받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각 압력센서값과 압력이상알림을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300)로 공기 주입을 지시하는 것이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송출하는 지시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1 압력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서의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로의 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로의 공기 주입을 통해, 유아의 무릎 내지 허벅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전방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앞으로 쏠려있던 유아가 뒤로 기대어져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주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밸브(342)를 통해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로의 공기 주입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지시된 제 1 보조공기실(122)로의 공기 주입은, 공기 주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 설정된 제 1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으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가능하며, 상기 제 1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이란, 상기 제 1 보조공기실(122)에 알맞은 공기압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2 압력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유아를 바른 자세로 착석하게 도와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3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3 압력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서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로의 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로의 공기 주입을 통해, 유아의 좌측 어깨가 닿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이 유아의 좌측 어깨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좌측으로 기대어있던 유아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주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5 솔레노이드밸브(345)를 통해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로의 공기 주입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지시된 제 3 보조공기실(162)로의 공기 주입은, 공기 주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 설정된 제 3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으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가능하며, 상기 제 3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이란 상기 제 3 보조공기실(162)에 알맞은 공기압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압력센서값과 상기 제 4 압력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서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로의 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로의 공기 주입을 통해, 유아의 우측 어깨가 닿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이 유아의 우측 어깨가 닿는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우측으로 기대어있던 유아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주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7 솔레노이드밸브(347)를 통해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로의 공기 주입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지시된 제 4 보조공기실(182)로의 공기 주입은, 공기 주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 설정된 제 4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으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5분 내지 10분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가능하며, 상기 제 4 보조공기실공기압기준값이란 상기 제 4 보조공기실(182)에 알맞은 공기압 기준값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에는, 상기 공기실(200)에 공기압센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센서는 상기 공기실(100)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상기 공기실(100) 내부의 공기가 적당히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가 충분하지 않아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공기가 과도하게 포함되어 있어 본 발명인 유아용 카시트가 터지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여기서, 각 공기실(100)의 내부에 적절히 포함되어야 할 각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 자체에 설정되어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한 유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어느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을 벗어나는 공기의 주입 또는 공기의 흡입은 불가능하나, 외부적 요인에 의해 각 공기실(100) 내부의 공기압에 변화가 있을 때 상기 공기압센서가 이를 바로잡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압센서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공기실(120) 내부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제 1 공기압센서(126), 상기 제 2 공기실(140)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공기실(140) 내부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제 2 공기압센서(146), 상기 제 3 공기실(160)에 마련되어 상기 제 3 공기실(160) 내부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제 3 공기압센서(166), 상기 제 4 공기실(180)에 마련되어 상기 제 4 공기실(180) 내부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제 4 공기압센서(18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 1 공기실(120)에는 제 1 공기압센서(126)가 마련되어 상기 제 1 공기실(120) 내부의 공기가 적절히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공기압센서(126)는 상기 제 1 공기실(120) 내부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실(140)에는 제 2 공기압센서(146)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공기실(140) 내부의 공기가 적절히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공기압센서(146)는 상기 제 2 공기실(140) 내부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공기실(160)에는 제 3 공기압센서(166)가 마련되어, 상기 제 3 공기실(160) 내부의 공기가 적절히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제 3 공기압센서(166)는 상기 제 3 공기실(160) 내부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공기실(180)에는 제 4 공기압센서(186)가 마련되어, 상기 제 4 공기실(180) 내부의 공기가 적절히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제 4 공기압센서(186)는 상기 제 4 공기실(180) 내부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실(100)에 상기 공기압센서들이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상기 공기압센서값들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공기압이상알림은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하는 각종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1 공기실공기압기준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1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2 공기실공기압기준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2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3 공기실공기압기준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3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이 기 설정한 제 4 공기압기준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4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공기실공기압기준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설정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에 유아의 나이, 성별, 체중, 키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해둘 수 있으며, 임의로 바꿀 수 있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기압센서값과 공기압이상알림을 송출받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공기실(100)로의 공기 주입 또는 각 공기실(100)의 공기 흡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각 공기압센서값과 공기압이상알림을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300)로 공기 주입 또는 공기흡입을 지시하는 것이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송출하는 지시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1 공기압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의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1 공기실(12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이 낮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1 공기실(120)로의 공기 주입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 1 공기압센서값이 높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공기 흡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 및 공기 흡입은, 제 1 공기실공기압기준값 범위로만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기실(12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공기 흡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밸브(341)를 통해 상기 제 1 공기실(12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1 공기실(120)의 공기 흡입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2 공기압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의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2 공기실(14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2 공기실(140)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이 낮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2 공기실(140)로의 공기 주입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 2 공기압센서값이 높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2 공기실(140)로의 공기 흡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 및 공기 흡입은, 제 2 공기실공기압기준값 범위로만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실(14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2 공기실(140)의 공기 흡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3 솔레노이드밸브(343)를 통해 상기 제 2 공기실(14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2 공기실(140)의 공기 흡입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3 공기압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의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3 공기실(16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3 공기실(160)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이 낮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3 공기실(160)로의 공기 주입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 3 공기압센서값이 높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3 공기실(160)로의 공기 흡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 및 공기 흡입은, 제 3 공기실공기압기준값 범위로만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기실(16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3 공기실(160)의 공기 흡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4 솔레노이드밸브(344)를 통해 상기 제 3 공기실(16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3 공기실(160)의 공기 흡입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과 상기 제 4 공기압이상알림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이나 웹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앱 또는 웹의 버튼 클릭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상기 제 4 공기실(18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180)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이 낮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4 공기실(180)로의 공기 주입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 4 공기압센서값이 높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상기 제 4 공기실(180)로의 공기 흡입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공기실(18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180)의 공기 흡입을 지시받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에어펌프(330)와 상기 제 6 솔레노이드밸브(346)를 통해 상기 제 4 공기실(180)로의 공기 주입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180)의 공기 흡입을 실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관리서버 및/또는 시스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관리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기실 120 : 제 1 공기실
122 : 제 1 보조공기실 124 : 제 1 압력센서
126 : 제 1 공기압센서 140 : 제 2 공기실
144 : 제 2 압력센서 146 : 제 2 공기압센서
160 : 제 3 공기실 162 : 제 3 보조공기실
164 : 제 3 압력센서 166 : 제 3 공기압센서
180 : 제 4 공기실 182 : 제 4 보조공기실
184 : 제 4 압력센서 186 : 제 4 공기압센서
200 : 센서부 220 : 온도센서
240 : 습도센서 260 : 공기질센서
300 : 제어부 310 : 스위치
320 : 배터리 330 : 에어펌프
332 : 제 1 에어펌프 334 : 제 2 에어펌프
340 : 솔레노이드밸브 341 : 제 1 솔레노이드밸브
342 : 제 2 솔레노이드밸브 343 : 제 3 솔레노이드밸브
344 : 제 4 솔레노이드밸브 345 : 제 5 솔레노이드밸브
346 : 제 6 솔레노이드밸브 347 : 제 7 솔레노이드밸브
4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5)

  1.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실;
    상기 공기실에 마련되는 센서부;
    상기 공기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각종 알림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앱 또는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실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의 하체를 받쳐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좌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3 공기실;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뤄져 유아 착석 시, 유아의 우측을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4 공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공기실에서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공기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공기실에서 유아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공기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3 공기실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 3공기실 또는 상기 제 4공기실 주변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공기질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를 착석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기준값을 설정하고, 유아가 착석하고 일정시간 후의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기준값을 설정하며, 유아에게 적절한 공기질값을 기준으로 공기질기준값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도센서에서 상기 제 1 공기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온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온도값이 상기 온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온도이상알림 및 해당 온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4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송출된 온도이상알림 및 온도값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상기 습도센서에서 상기 제 1 공기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생성된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습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습도값이 상기 습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습도이상알림 및 해당 습도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7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7 단계에서 송출된 습도이상알림 및 습도값을 확인하는 제 8 단계;
    상기 공기질센서에서 상기 제 3 공기실 또는 상기 제 4 공기실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생성된 공기질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송출된 상기 공기질값을 확인하여 상기 공기질값이 상기 공기질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공기질이상알림 및 해당 공기질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하는 제 10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0 단계에서 송출된 공기질이상알림 및 공기질값을 확인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7479A 2021-06-15 2021-06-15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1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79A KR102612708B1 (ko) 2021-06-15 2021-06-15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79A KR102612708B1 (ko) 2021-06-15 2021-06-15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03A KR20220168003A (ko) 2022-12-22
KR102612708B1 true KR102612708B1 (ko) 2023-12-12

Family

ID=8457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79A KR102612708B1 (ko) 2021-06-15 2021-06-15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7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804B1 (ko) * 2016-02-15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JP6545963B2 (ja) * 2014-02-25 2019-07-17 センシリオン オートモーティブ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ーゲー 温度又は湿度センサーを有するシートアッ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490A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삼송 개별제어 가능한 에어 튜브가 구비된 유아용 안전시트
KR101373722B1 (ko) 2013-07-01 2014-03-17 (유)삼송 에어튜브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20190019420A (ko) * 2017-08-17 2019-02-27 문진아 단말과 연동되는 맞춤형 자세 교정 모듈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5963B2 (ja) * 2014-02-25 2019-07-17 センシリオン オートモーティブ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ーゲー 温度又は湿度センサーを有するシートアッセンブリ
KR101762804B1 (ko) * 2016-02-15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03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1405B1 (en) Diagnostics of bed with an air mattress
US8225792B2 (en) Mask device with blower
JP6262853B2 (ja) 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204367993U (zh) 婴幼儿汽车安全报警器
KR102612708B1 (ko) 유아용 카시트 및 이의 제어방법
CN102874135B (zh) 汽车座椅调节控制器及其控制方法
JP2022514129A (ja) 睡眠パラメータを判定するための力センサの利用
US20110246026A1 (en) Vehicle console control system
CN105739563B (zh) 车内温度控制方法及系统
CN208576462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智能控制系统
CN105261149B (zh) 防止幼童被遗忘在汽车内的装置及方法
US10332482B2 (en) Automated display dimness control for a medical device
CN205844794U (zh) 车载儿童安全座椅及其控制器、以及车载儿童安全座椅系统
CN109131074A (zh) 车内生命体防遗留的告警方法及系统
CN205524106U (zh) 汽车高温生命安全感应器
KR101950254B1 (ko) 차량탑승자의 부재를 감지하는 지능형 카시트
CN209240926U (zh) 一种基于汽车物联网对儿童安全座椅的控制系统
US11884187B2 (en) Adjustable child restraint system
CN108608896A (zh) 用于汽车的驾驶位座椅的控制系统
Arney et al. Generic infusion pump hazard analysis and safety requirements version 1.0
CN109835222A (zh) 一种儿童安全座椅电控系统及包括其的儿童安全座椅
KR20220150016A (ko) 유아용 카시트
CN108803379A (zh) 一种马桶和排风扇联动系统
CN207889535U (zh) 一种行驶辅助系统及车辆
WO2020155122A1 (zh) 指纹模组、指纹识别系统、控制方法及智能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