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838B1 -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838B1
KR101495838B1 KR20130113298A KR20130113298A KR101495838B1 KR 101495838 B1 KR101495838 B1 KR 101495838B1 KR 20130113298 A KR20130113298 A KR 20130113298A KR 20130113298 A KR20130113298 A KR 20130113298A KR 101495838 B1 KR101495838 B1 KR 10149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
anion
discharge needle
generator
cluster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홍
김종호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to KR2013011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이온 발생부가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 내측에 양이온 방전침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양이온 방전침의 상단이 매립되도록 설치고정되는 구성을 통하여, 양이온이 방출되는 양이온 발생부에서 양이온 방전침이 매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일정거리를 가지고 마주하는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의 수평방향으로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이온 및 양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Cluster ion generating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이온의 방출에 대하여 수직 상향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방출되도록 안내하여, 종래와 달리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의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음이온 및 양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외부온도에 관계없이 실내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나 히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실내의 공조를 위한 에어컨디셔너(이하, "에어컨"이라 함)는 차량의 구동원인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며 차내를 냉방상태로 공기 조화시키는 쿨링유닛과 엔진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자동차 실내를 난방상태로 공기 조화시키는 히터유닛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용 공기를 필터링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전술한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은 에어필터를 교환하기 전까지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곰팡이의 발생 등에 의하여 악취가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에어컨의 동작시 증발기 코어에서 발생되는 습기로 인하여 증발기 코어의 표면에는 곰팡이나 세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성분이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이러한 악취 및 오염물질로 인한 공기의 오염에 의하여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불쾌감 및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가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을,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양이온으로서의 H+(H2O)m과 음이온으로서의 O2-(H2O)n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 공기의 질 개선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과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들 이온을 공기 중으로 송출하면 이들 이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공기를 부유 세균이 없는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개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과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이 살균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극에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가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전리되어 양이온으로는 수소 이온 수화물 H+(H2O)m이 생성되고, 음이온으로는 산소 이온 수화물 O2-(H2O)n이 생성되어 음이온과 양이온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활성종인 수산기(OH)나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여 세균의 세포에서 수소 원자를 빼내 살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학반응은 산화 반응으로써 수산기(OH)에는 살균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의 근원이 되는 여러 가지 분자를 산화하여 무취화 하는 작용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공기 중의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나 공기조화기 등에 적용되어 가정은 물론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공기 중으로 송출되는 이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을 통해 공기 중의 냄새입자를 분해시거나 공기 중의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30호(2006.2.2.공개, 명칭: 이온발생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2540호(2008.3.5. 등록, 명칭: 이온 클러스터의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102호(2010.12.08. 등록, 명칭: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발명들은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방전 방식을 채용하거나 전자 방사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특히 전자 방사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그 방전침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음이온 발생부에는 브러쉬 형상을 취하고, 양이온 발생부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을 형성하여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다량으로 발생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보다 음이온이 더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나, 양이온 발생부의 상부로 돌출된 양이온 발생부의 방전침과 음이온 발생부의 상부로 돌출된 음이온 발생부의 방전침의 상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므로 각 방전침이 마주하는 공간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간섭 및 충돌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양이온을 방출하는 방전침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방전침이 마주하는 공간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간섭 및 충돌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방출량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양이온 방전침과 음이온 방전침이 마주하는 공간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간섭,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102호 2010.12.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이온의 방출에 대하여 수직 상향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방출되도록 안내하여 종래와 달리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이온 및 양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루는 본체의 일측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주하여 상향 돌출 구비되는 전자 방사식 구조를 갖는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음이온 방전침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음이온 방전침의 상단이 상향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이온 발생부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 내측에 양이온 방전침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양이온 방전침의 상단이 매립되도록 설치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이온 발생부의 연장부는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상단으로 돌출 설치되는 상기 음이온 방전침 상단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이온이 방출되는 양이온 발생부에서 양이온 방전침이 매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양이온의 방출에 대하여 수직 상향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방출되도록 안내하여 종래와 달리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이온 및 양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에 대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서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방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음이온 발생부와 양이온 발생부에 대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서 음이온 방전침과 양이온 방전침으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방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100)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루는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주하여 상향 돌출 구비되는 전자 방사식 구조를 갖는 음이온 발생부(120)와 양이온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는 음이온 방전침(125)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의 상단이 상향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100)에서 특히,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131)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31) 내측에는 양이온 방전침(135)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의 상단이 매립되도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의 연장부(131)는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의 상단으로 돌출 설치되는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의 연장부(131)는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131) 내측에 매립 설치되는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의 상단부로부터 방출되는 양이온이 상기 연장부(131) 내측으로부터 상향 방사형으로 안내되어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의 연장부(131)는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보다 일정길이 높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131) 내측에 매립 설치되는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의 상단부로부터 방출되는 양이온이 상기 연장부(131)의 내측 면에 안내되어 비교적 작은 각도를 가지는 상향 방사형 범위를 가지고 안내되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장부(131)의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된 경우보다는 상기 연장부(131)의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보다 일정길이 높게 연장 형성된 경우에 비교적으로 상향 방사형으로 작은 각도의 범위를 가지고 안내되어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으로부터 방출되는 양이온이 상향 방사형으로 방출되도록 안내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과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와 양이온 발생부(130)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100)는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으로부터 방출되는 양이온이 상향 방사형으로 방출되도록 안내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과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와 양이온 발생부(130)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과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와 양이온 발생부(130)의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섭 및 충돌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이온발생장치에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출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110: 본체
120: 음이온 발생부 125: 음이온 방전침
130: 양이온 발생부 131: 연장부
135: 양이온 방전침

Claims (2)

  1.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루는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주하여 상향 돌출 구비되는 전자 방사식 구조를 갖는 음이온 발생부(120)와 양이온 발생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는 음이온 방전침(125)이 설치고정되되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의 상단이 상향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양이온 방전침(135)이 설치고정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는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13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31) 내측에 상기 양이온 방전침(135)의 상단이 매립되도록 설치고정되는 한편,
    상기 양이온 발생부(130)의 연장부(131)는 상단이 상기 음이온 발생부(120)의 상단으로 돌출 설치되는 상기 음이온 방전침(125) 상단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2. 삭제
KR20130113298A 2013-09-24 2013-09-24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49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298A KR101495838B1 (ko) 2013-09-24 2013-09-24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298A KR101495838B1 (ko) 2013-09-24 2013-09-24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838B1 true KR101495838B1 (ko) 2015-02-27

Family

ID=5259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298A KR101495838B1 (ko) 2013-09-24 2013-09-24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137A1 (ko) * 2016-02-15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818947B1 (ko) * 2017-03-07 2018-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KR101843489B1 (ko) * 2018-01-04 2018-03-30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WO2018164437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처리설비
KR102045259B1 (ko) * 2019-08-28 2019-1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환경에이앤씨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겸용 환기덕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532A (ko) * 2007-04-12 2008-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00069923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음이온/양이온 발생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내의공기정화장치
KR20110023300A (ko) * 2009-08-31 2011-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84913A (ko) * 2011-01-21 2012-07-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532A (ko) * 2007-04-12 2008-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00069923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음이온/양이온 발생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내의공기정화장치
KR20110023300A (ko) * 2009-08-31 2011-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84913A (ko) * 2011-01-21 2012-07-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137A1 (ko) * 2016-02-15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818947B1 (ko) * 2017-03-07 2018-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WO2018164437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처리설비
KR101843489B1 (ko) * 2018-01-04 2018-03-30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KR102045259B1 (ko) * 2019-08-28 2019-1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환경에이앤씨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겸용 환기덕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838B1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CN107537053B (zh) 采用紫外发光二极管的空气净化装置
US20180207311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hotocatalytic filter
US7691335B2 (en) Sterilizing method, steriliz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00175391A1 (en) Ioniz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ing the Same
US8663570B2 (en) Sterilizing apparatus and ion generating apparatus
JP2005193884A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型空気清浄機
WO2015015587A1 (ja) 放電を用いた除菌装置
US20180361009A1 (e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non-thermal plasma
JP6680306B2 (ja) 光脱臭方法および光脱臭装置
JP4668649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20070071571A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70071570A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JP2013158657A (ja) 活性種発生装置、空気清浄装置、汚水浄化装置、及びスチームクリーナ
KR100720356B1 (ko) 이온 발생기
WO2013042854A1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CN202368526U (zh) 带空气净化装置的安全逃生窗
KR20110107979A (ko) 살균 장치
KR10130789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20034289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N103182919A (zh) 一种客车用空气净化及安全逃生的方法
KR101307904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WO2019082703A1 (ja) 光脱臭装置および光脱臭方法
EP1790360B1 (en) Steriliz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