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028B1 - 공조기용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조기용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028B1
KR100452028B1 KR10-2002-7001635A KR20027001635A KR100452028B1 KR 100452028 B1 KR100452028 B1 KR 100452028B1 KR 20027001635 A KR20027001635 A KR 20027001635A KR 100452028 B1 KR100452028 B1 KR 10045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ode
indoor
generating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252A (ko
Inventor
와다고지
츠치야야스토시
오자와데츠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18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3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18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3018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원 발명은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고, 열교환기(5)에 의해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며, 송풍기(7)를 거쳐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1)에 있어서, 열교환기(5)의 흡입측에 위치되어 유닛 몸체 내로 흡입된 실내 공기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해서 정화될 수 있게 해주는 공기 정화 수단(13)과; 송풍기의 송풍 경로 내에 위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해주는 음이온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기용 실내 유닛{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공조기의 실내 유닛은 유닛 몸체 내에 열교환기와 송풍기를 보유하고,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며, 열교환기를 지나는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고, 송풍기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는다.
최근에는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부가 가치 특성으로서 실내 공기 속에 부유된 오물/먼지 입자 등의 불순물을 제거해서 이 불순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실내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즉, 매우 작은 오물/먼지 입자들이 실내 공기 속에 부유되며, 이들 입자는 흡입되는 경우에도 인체에 무해하다. 그러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겐 어떤 역효과가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물/먼지 입자의 제거는 매우 유익한 요건을 구성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공보 제62-124421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제11-72240호는 음이온 발생 장치가 합체된 공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공보에서, 음이온은 직접 또는 열교환된 공기와 더불어 실내로 공급된다. 인체 내에 흡수되는 음이온은 세포 조직을 활성화하고, 배설물의 배설을 촉진해서 신진대사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공보는 단순히 공기 유동 경로 근방 또는 송풍 경로 내에 위치되는 음이온 발생 장치의 전극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며, 그 상세 사항은 분명하지 않다.
단순히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들 음이온을 실내로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공기 속에 부유된 오물/먼지 입자로 인해 실내 거주자에게 보다 손쉽게 역효과를 가한다. 송풍 경로 내의 어떤 위치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에도 한계가 있어서 음이온의 저조한 발생을 초래한다.
또한, 전극부가 송풍기의 팬 근방에 위치되는 경우에 전극부로부터 방출된 음이온은 주변 구조물 내로 흡수되고 이들의 발생량은 불균형하고 불안정하게 된다.
전극부에 대한 보다 큰 전위차를 얻기 위해서는 장치를 접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부가 접지 단자 근방에 위치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은 증대된다. 이 경우에, 다른 한편으로는 인체에 유해한 오존이 발생된다.
전극부가 송풍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즉 송풍 속도가 관련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음이온이 보다 적게 생성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출력전압을 극도로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높은 작동 비용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을 포함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용 실내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실내 유닛 내에 보유되는 구성 부품들과 이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 다이아그램이다.
도 2B는 비교를 위한 다른 배치를 도시한 모델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실내 유닛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용 실내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내 유닛 내에 보유되는 구성 부품들과 이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이다.
도 6은 실내 유닛 내에 합체된 음이온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음이온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음이온 발생 장치 및 그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열교환기 및 송풍기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수단 및 음이온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또 이를 기반으로 해서 각각의 수단을 구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음이온을 공급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고, 열교환기에 의해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며, 송풍기를 거쳐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흡입측에 위치되어 유닛 몸체 내로 흡입된 실내 공기로부터 오물/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해서 정화될 수 있게 해주는 공기 정화 수단과; 송풍기의 공기 취출 경로 내에 위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해주는 음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열교환기 및 송풍기뿐만 아니라 음이온 발생 수단도 구비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서 실내 공기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고 음이온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고, 열교환기에 의해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며, 송풍기를 거쳐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있어서, 송풍기의 공기 취출 경로에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 음이온을 실내로 공급하기 위기 위치된 음이온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음이온 발생 장치는 보호 용기 내에 발생 전극을 보유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실내 유닛(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내 유닛(1)은 정면 패널(2)과, 상부 패널(3)과, 양 측면부, 배면부및 저면부로 된 일체형 유닛을 구비한 배면판(4)을 포함하고, 측면부가 더 긴 상자모양 유닛을 제공한다.
실내 유닛(1)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5)가 배치되고, 이 열교환기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도된 V자형 형태를 갖는다. 실내 열교환기(5)는 정면측에 위치된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 및 배면측에 위치된 배면측 열교환기 부분(5b)을 포함하며, 특히 배면측 열교환기 부분(5b)의 상부면을 따라서는 보조 열교환기(5c)가 배치되며, 이들은 파이프를 통해 직렬 배열로 연결된다.
정면 배수팬(6a)이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 아래에 배치되고, 배면 배수팬(6b)이 배면측 열교환기 부분(5b) 아래에 배치된다. 이들 정면 및 배면 배수팬(6a, 6b)은 배면판(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실내 송풍기(7)가 실내 열교환기(5)의 내측 위치에서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과 배면측 열교환기 부분(5b) 사이에 위치되며, 횡류 팬을 구비한다. 배면판(4)은 배면 배수팬(6b) 아래의 실내 송풍기(7)의 배면측으로부터 저면부 쪽으로 굴곡되어 정면 배수팬(6a)의 하부면 부분과 그 연장부 사이에 송풍 경로(8)를 제공한다.
정면 패널(2)의 하부 폭방향을 따라서는 송풍 경로(8)의 전방 단부를 제공하는 취출구(9)가 제공된다. 공기 방향 안내부(10)가 취출구(9)에 제공되고 수직/수평 시트 루버(louver)의 조합체로 구성되어 취출구(9)로부터의 공기의 방향이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해준다.
상부 패널(3)에는 프레임모양의 유닛이 상부 흡입구(11)로서 형성된 공기 공간에 끼워맞추어진다. 정면 패널(2)에는 상이한 구조의 정면 흡입구(12a, 12b)가 상부측 및 하부측의 상이한 스테이지에 제공되며, 도시되지 않은 힌지 구조체가 상단 연부를 따라 제공되어 실내 유닛(1)에 대한 개폐 가능한 흡입 그릴을 제공한다. 정면 패널(2)은 실내 열교환기(5)의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에 대한 소정의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서 R자형 단면을 갖는다.
공기 정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공기 정화기(13)가 정면 패널(2)의 정면 흡입구(12a)에 대향한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의 정면측 상부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공기 정화기(13)는 정면측 열교환기 부분(5a)과 정면 패널(2) 사이의 공기 공간에 위치된다.
공기 정화기(13)는 챔버 내의 오물/먼지 입자 제거와 관련된 전기 집진기(13A)와, 챔버 내의 냄새 제거와 관련된 도시하지 않은 벌집모양의 활성탄 구조의 고성능 탈취 필터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부의 좌우로 배치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전기 집진기(13A)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전위 전하 전극(이온화장치부)(14)과, 음전위 집진 전극(수집부)(15)을 포함한다.
전하 전극(14)은 방전 전극(14a)과 카운터 전극(14b) 사이의 DC 고전압의 인가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오물/먼지 입자를 이온화하는 이온화 광선이라 불린다. 집진 전극(15)은 한 쪽면에 도전성 전극을 구비하고 교류 음/양전하를 제공하는 시트(15a)로 층상화된 물결모양 전극으로서, 시트들 사이에 발생되는 쿨롱력으로 이온화된 오물/먼지 입자를 흡입/수집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파지부(a)가 전기 집진기(13A)의 하부에 제공되며, 흡입 그릴로 구성된 정면 패널(2)은 사용자쪽에서 정면 패널을 개방함으로써 실내 유닛으로부터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다. 특히, 집진 전극(15) 상에 퇴적된 오물/먼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탈착 가능한 필터(16)가 전기 집진기(13A)의 수파지부(a), 열교환기 부분(5a) 하부의 정면, 및 정면 패널(2)로 봉입된 공간에 장착된다. 그리고, 퇴적된 오물/먼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이온 발생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음이온 발생 장치(17)는 송풍 경로(8) 상에 배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17)는 전기 집진기(13A)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송풍 경로(8)의 정면 배수팬(6a)의 하부면 부분에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구(9)의 하부측에서 실내 유닛(1)을 바라본 상태에서, 음이온 발생 장치(17)의 일부는 공기 방향 안내부(10)를 통해 취출구(9)의 한 측면부에서 보여진다. 또한, 후술할 제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어 장치를 내장한 전장 박스(18)가 실내 유닛(1)의 측면부에 장착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음이온 발생 장치(17)의 기본 구조는 고전압 회로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극판(20)과 이 전극판(20)의 측면부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그 첨단부에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바늘모양 전극(21)을 구비한 음이온 발생 전극(22)과, 이 발생 전극(22)을 내장해서 보호하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보호 용기(23)를 포함한다.
음이온 발생 장치(17)와, 초기에 설명한 전기 집진기(13A), 및 실내 열교환기(5)의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 및 실내 송풍기(7) 등은 모두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된다.
음이온 발생 장치(17)로 하여금 보다 많은 음이온을 방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와 이들 첨단부의 주변간에 보다 큰 전위차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접지 전극(24)이 보호 용기(23)의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 이웃 영역에 장착되고, 보호 용기(23)는 접지선(25)을 통해 접지되며, 이에 따라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에 대한 전위차를 확보한다.
예를 들어, 음이온 발생 장치(17)가 초기에 설명한 실내 송풍기(7)의 바로 근방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방사된 음이온은 송풍 경로(8)를 제공하는 케이싱 및 노즈 상에서 흡수되므로, 이들 음이온의 실내 공간 내로의 방사량은 크게 감소된다. 이 때문에, 음이온 발생 장치(17)는 공기 취출구(9)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음이온이 공기 방향 안내부(10)의 수직/수평 루버를 통해 방사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전극판(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바늘모양 전극(21)은 그 첨단부가 송풍 경로(8)의 송풍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배향되도록 되어 있으며, 접지 단자(24)는 바늘모양 전극(21)의 하류측에 장착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가 송풍 방향 상류측에 장착된 접지 단자(24)와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로부터 방사되는 음이온은 거의 모두 전극판(20) 내에 흡수되어 음이온의 실내 공간 내로의 방사량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배치는 채택되지 않는다.
공조기의 실내 유닛이 그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원격 제어 유닛의 작동 개시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40)는 실내 열교환기(5)에 대한 냉동 사이클 작동과, 실내 송풍기(7)의 작동 제어를 수행한다.
실내 공기는 실내 유닛(1)의 정면 패널(흡입 그릴)(2)과 상부 패널(3)의 흡입구(12a, 12b, 11)로부터 실내 유닛(1) 내로 흡입된다. 특히, 정면 흡입구(12a)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전기 집진기(13A)를 직접 통과하며, 이 전기 집진기는 실내 공기 속에 존재하는 오물/먼지 입자를 수집해서 이들을 정화한다.
정화된 공기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5) 내로 도입되고, 실내 송풍기(7)를 거쳐 송풍 경로(8) 내로 더욱 도입되며, 취출구(9)를 거쳐 실내 공간 내로 송풍된다. 취출구(9)의 근방에서는 음이온 발생 장치(17)로부터 음이온이 발생되어 실내 공간 내로 공급된다.
열교환된 후에 취출구(9)로부터 취출된 정화 공기는 음이온을 감소시키는 오물/먼지 입자를 절대로 함유하지 않으므로 음이온 발생 장치(17)로부터 방사된 음이온은 감소되지 않고 그대로 실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내 공기는 상술한 루트를 통해 순환하며, 실내 유닛 내의 전기 집진기(13A), 실내 열교환기(5) 및 음이온 발생 장치(17) 내로 도입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공기 정화, 소망하는 공조, 및 인체에 유리한 영향을 주는 음이온의 공급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실내 열교환기(5)의 흡기측에 배치된 공기 정화기(13A)는 양전위 전하 전극(14)과, 음전위 집진 전극(15)을 구비하며, 송풍 경로(8)의 하류측에는 음이온 발생 장치(17)가 배치된다.
따라서, 전기 집진기(13A)를 통과하는 공기 속의 오물/먼지 입자는 전하 전극(14)에 의해 양전위로 대전되고, 음전위로 대전된 집진 전극(15)으로 확실하게 끌어당겨져서 중화된 다음에 취출구(9)를 거쳐 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약간의 양전위로 대전된 공기는 활성 산소로서 남게 되지만, 일부는 송풍 방향 하류측에서 음이온 발생 장치(17)로부터 방사된 음이온 부분에 의해 중화되므로 전기 집진기(13A)에 의한 높은 공기 정화 효과와 보다 나은 효율의 음이온 발생이 상승 효과로서 얻어진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공기 정화기(13)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즉, 집진기(13A)에 의한 집진 기능)과 음이온 발생 장치(17)에 의한 음이온 발생 기능이 연동 관계로 수행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음이온은 오물/먼지 입자 내로 흡수되기 쉬우며, 이들 입자의 존재로 인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음이온 발생 장치(17)의 작동 중에 공기 정화기(13)의 작동이 항상 동시에 수행되어 공기 속의 어떠한 불순물도 제거될 수 있게 해주므로 향상된 효율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실내 열교환기(5)에 의한 열교환 기능, 공기 정화기(13)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 및 음이온 발생 장치(17)에 의한 음이온 발생 기능이 연동 관계로 수행되는 제어를 수행한다.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음이온의 발생량은 오물/먼지 입자의 존재로 인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공기 속의 습도가 높을수록 음이온의 발생량이 더 많다는 사실은알려져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공조 운전을 동시에 수행해서 공기 속의 습도가 저하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음이온의 발생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40)는 공기 정화기(13)로서의 전기 집진기(13A)가 비정상인 것으로 검출되면 전기 집진기(13A)와 음이온 발생 장치(17)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음이온의 발생량은 오물/먼지 입자의 존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기 집진기(13A)가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음이온 발생 장치(17)에서의 음이온의 발생량은 극도로 저하되며 소모 작동이 초래된다. 따라서, 전기 집진기(13A)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어 정지되는 경우에, 음이온 발생 장치(17)도 그와 연동해서 정지되어 불량한 효율의 작동 계속이 방지된다.
실내 유닛(1)의 정면 패널(흡입 그릴)(2)이 유지 보수시에 개방되면 제어 장치(40)는 전기 집진기(13A) 및 음이온 발생 장치(17)의 작동이 즉시 중지되게 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흡입 그릴(2)이 개방되면 전기 집진기(13A)는 노출된다. 이 장소에는 고전압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안전을 위해서 전류 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 장치(17)에도 고전압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음이온 발생 장치는 공기 공급 경로(8)에 배치되어 흡입 그릴(2)의 개폐에 대한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 장치(17)와 접촉할 위험성이 없다. 그러나, 전기 집진기(13A)로의 전류 공급의 중지에 후속해서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불량한 효율의 작동 계속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실내 유닛(5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부품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가리키기 위해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채택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음이온 발생 수단인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ⅰ) 전기 집진기(13A)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송풍 경로(8)의 정면 배수팬(6a)의 하부면 부분보다 취출구(9) 쪽으로 더 연장된 영역에 제공되고, ⅱ) 취출구(9)의 한 측면에 제공되는 점에서 음이온 발생 장치(17)와 상이하다.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음이온 발생 장치(17)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을 주지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 장치(19)의 기본 구조는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극판(20)과 이 전극판(20)의 측면과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그 첨단부에서 음이온이 방사될 수 있게 해주는 바늘모양 전극(21)을 포함하는 음이온 발생 전극(22)과, 음이온 발생 전극(22)을 내장해서 보호하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보호 용기(23)를 포함한다.
음이온 발생 장치(19)에서는 보다 많은 음이온들이 방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와 이 첨단부의 주변 영역간에 보다 큰 전위차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후술할 접지 영역(E)이 보호 용기(23)의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 근방의 영역에 제공된다. 그리고 보호 용기(23)는 스크류모양의 접지 단자(24)와 접지선(25)을 통해 접지되므로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에 대한 전위차를 확보한다.
음이온 발생 장치(19)도 방사된 음이온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취출구(9)에 제공된다. 또한, 전극판(20)으로부터 돌출된 바늘모양 전극(21)은 그 첨단부가 송풍 경로(24)의 송풍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 쪽으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접지 단자(24)는 바늘모양 전극(21)의 하류측에 제공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상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과 이 전극에 대해 대향 관계로 송풍 방향 상류측에 접지 단자(24)를 장착하는 것은 채택되지 않는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기초로 해서 음이온 발생 장치(19)의 상세한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보호 용기(23) 내에 내장된다. 보호 용기(23)는 상부면쪽이 개방되고 개방 연부를 따라 플랜지(23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형인 상자모양 형태를 가지며, 전체면이 소정의 정전기 방지 처리를 받는다. 맞물림 클로(claw)(23b)가 좌우 플랜지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이미 상술한 장착 영역 상에 한번의 조작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접지 영역(E)은 보호 용기(23)의 정면측의 중앙 영역에 제공된다. 즉, 플랜지(23)의 중앙에는 보스(23c)가 용기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벽의 중앙부 쪽으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공된다. 하부 구멍(27)이 보스(23c)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쪽으로 연장되며, 접지 단자(24)가 상부면측으로부터 나사결합식으로 삽입된다. 접지 단자(28)가 접지 단자(24)의 머리부와 보호 용기(23)의 상단부면 사이에 고정되고접지선(25)은 접지 단자(28)에 접속된다.
접지 단자(24)의 전체 길이는 보스(23c)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선택되므로 접지 단자의 하단부는 보스(23c)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슬릿(30, 30)이 보호 용기(23)에서 개방된다. 이들 슬릿(30)은 보호 용기(23)의 좌우측에 위치되고, 상호 평행한 관계로 저부면 전체를 횡단하고 정면 및 배면의 일부에 걸쳐서 제공된다.
지지 레그(31)는 예를 들어 보호 용기(23)의 저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직립으로 제공되고, 지지 레그(31) 상에 고전압 회로 접속 단자(33)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장착 스크류(34)가 지지 레그 내로 나사결합된다.
고전압 리드선(32)이 고전압 회로 접속 단자(33)로부터 연장되며, 이것은 실내 유닛(1)의 한 측면에 제공된 전장 부품 박스(35) 내의 고전압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고전압 접속 단자(33)는 좌우로 연장되며, 상술한 전극판(20)은 좌우 단부에 제공된다.
바늘모양 전극(21)은 전극판(20)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들의 첨단부가 한 쌍의 슬릿(30)에 대향한 채로 한 쌍의 좌우 전극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두 세트의 전극판(20, 20)과 바늘모양 전극(21, 21)을 포함하는 발생 전극(22)이 보호 용기(23) 내에 보유된다.
음이온 발생 전극(22)이 내장된 보호 용기(23)는 취출구(9)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그와 같이 함으로써 보호 용기(23)의 슬릿(30)은 송풍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한 쌍의 바늘모양 전극(21)은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되며, 그 첨단부는하류측의 취출구(9)를 통해 실내 공간 쪽으로 배향된다. 돌출한 바늘모양 전극(21)을 갖는 전극판(20)은 바늘모양 전극(21)보다 송풍 방향 상류측에 위치된다.
보호 용기(23)에 제공되는 접지 영역(E)은 음이온 발생 전극(22)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된다. 그리고 접지 영역(E)은 아크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예를 들어, -5000V에서 약 5㎜)만큼 음이온 발생 전극(22)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접지 전극(E)은 음이온 발생 전극(22)의 전방 단부의 연장선상에서 변위된 위치에 위치되고 송풍 방향 쪽으로 위치된다.
특히,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 장치(19)가 장착되는 취출구(9)의 상부면 벽단부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된 가드 부분(40)이 음이온 발생 장치(19)에 대향한 영역에 제공되므로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취출구(9)로부터 차폐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와 같이 배치된 공조기의 실내 유닛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작동이 수행되며, 취출구(9) 상에 제공된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음이온의 방사를 허용하는 작용을 하고, 이들 음이온을 감소되지 않고 실내 공간 내로 공급한다. 그리고, 실내 유닛 내의 전기 집진기(13A), 실내 열교환기(5) 및 음이온 발생 장치(19)에 의해 공기 정화, 소망하는 공조, 및 인체에 유리한 영향을 주는 음이온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음이온 발생 장치(19)는 보호 용기(23) 내에 발생 전극(22)을 보유하고, 발생 전극(22)의 장착 위치는 고정 유지된다. 송풍 경로(8)의 소정 영역에 보호 용기(23)를 장착함으로써 발생 전극(22)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한 장착을 보장한다.
또한, 발생 전극(22)은 전극판(20)과 바늘모양 전극(21)을 포함한다. 바늘모양 전극(21)은 송풍 경로(8)의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되며, 그 첨단부가 송풍 방향 쪽으로 배향되도록 보호 용기(23) 내에 보유된다. 바늘모양 전극(21)은 송풍 방향 쪽으로 음이온을 방사하고, 음이온은 열교환된 공기에 동반되어 실내로 효과적으로 보내진다.
여기서, 쌍을 이룬 바늘모양 전극(21, 2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음이온이 각각의 바늘모양 전극(21)으로부터 동시에 방사될 수 있게 해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음이온이 실내로 일정하게 공급된다.
또한, 바늘모양 전극(21)은 전극판(20)과 일체형이며, 보호 용기(23) 내의 제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전극판(20)은 바늘모양 전극(21)의 송풍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며, 전극판(20)의 이러한 위치 설정은 음이온의 발생에 대한 역효과를 가하지 않는다.
또한, 보호 용기(23) 내의 슬릿(30)은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에 대향하고 송풍 경로(8)의 송풍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제공된다. 발생 전극(22)을 내장한 보호 용기(23)는 슬릿(30)을 통해 송풍 경로(8)와 연통한다. 따라서, 송풍은 슬릿(30)을 통해 발생 전극(22)의 주변 영역 쪽으로 보내진다. 그 결과, 보호 용기(23)의 내부와 외부간에는 온도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용기(23) 내의 그리고 발생 전극(22) 상의 이슬 방울의 맺힘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보호 용기(23) 상에 제공된 접지 영역(E)은 보호 용기(23) 내에 보유된 발생 전극(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즉, 보호 용기(23)의 표면이 음이온으로 대전되면 발생 전극과 그 주변간의 전위차가 감소되므로 음이온 방사의 감소를 유발시킨다. 보호 용기(23) 표면상의 전하가 접지 전극(E)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발생 전극(22)과 그 주변간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서 음이온이 발생되기 쉬운 보다 좋은 조건이 생성된다.
한편, 접지 영역(E)이 발생 전극(22)에 너무 근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경우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고, 스파크가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한 오존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접지 영역(E)이 발생 전극(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어 보호 용기(23) 표면상의 전하가 방출되게 하므로 음이온의 방사가 안정화된다.
또한, 보호 용기(23)의 접지 영역(E)은 아크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만큼 음이온 발생 전극(22)으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된다. 따라서, 아크 방전으로부터 초래되는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호 근접 상태에서 발생 전극(22)에 대한 보다 큰 전위차를 획득하고 이로써 보다 큰 음이온 방사량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호 용기(23)의 접지 영역(E)은 음이온 발생 전극(22)의 전방 단부 연장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로부터 방사된 음이온은 접지 영역(E)으로 보내져 방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이온의 실내로의 방사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용기(23)의 접지 영역(E)은 음이온 발생 전극(22)의 송풍 방향 쪽에 제공된다. 즉, 바늘모양 전극(21)의 첨단부로부터 방사된 음이온은 접지 영역(E) 근방에서 최대 전위차가 발생되어 음이온의 방사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풍 방향 쪽에 접지 영역(E)을 제공함으로써 음이온의 발생량은 증대되고 음이온의 실내로의 방사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보호 용기(23)의 접지 영역(E)은 그 접지선(25)이 접지 단자(24)에 의해, 보호 용기(23)와 일체형으로 제공된 보스(23c)에 접속된다. 보스(23c)는 보호 용기(23)와 일체형이고, 스크류(24)를 보스(24) 내로 장착함으로써 확실하게 접지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멍(27)은 보스(23c)를 관통하고, 보스(23c)보다 길이가 더 짧은 접지 단자(24)가 하부 구멍(27) 내에 장착되고 접지선(25)이 접속되며, 그 결과 발생 전극(22)과 접지 단자(24) 사이에 비정상적인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발생 전극(22)은 하부 구멍(27)에 있는 접지 단자(24)의 전방 단부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음이온 양의 증대를 허용한다. 그리고, 음이온은 보스(23c)의 방향과 일치된 취출구(9) 쪽으로 효과적으로 방사된다.
보호 용기(23)의 전체면은 정전기 방지 처리를 받기 때문에 보호 용기(23)는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 결과 발생 전극(22)과 그 주변간에는 전위차가 일정하게 확보된다. 따라서, 음이온이 발생되기 쉬운 조건이 설정되어 음이온이 안정적으로 방사된다.
또한, 보호 용기(23)는 송풍 경로(8)를 제공하는 취출구(9) 근방의 상부면 벽에서 발생 전극(22)이 송풍 경로(8)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보호 용기(23)의 장착이 확실하게 수행되며, 실내로 음이온을 확실하게 공급하는 것도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지 전극(28)이, 접지 영역(E)을 제공하는 보스(23c) 상의 접지 단자(24)에 의해 장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접지 단자(24) 자체가 접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고, 열교환기에 의해 상기 공기의 열 교환을 수행하여 송풍기를 통해 상기 실내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공기흡입측에 위치하고 상기 유닛 몸체 내로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여 상기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공기 정화 수단과,
    상기 송풍기의 공기 취출 경로(air blow-off path) 내에 위치하고 음이온이 발생되어 상기 실내로 제공되도록 하는 음이온 발생 수단과,
    상기 공기 정화 수단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과 상기 음이온 발생 수단에 의한 음이온 발생 기능과 연동해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 수단은 전기 집진기(electric dust collection machine)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 집진기는 대전 전극과 집진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대전 전극은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 - 여기서, 상기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DC 고전압이 인가되어 코로나 방전을 야기하므로써 상기 실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를 양전위로 대전시킴 -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 전극은 상기 대전 전극의 하류(downstream)에 위치하고 음전위로 대전되어 양전위로 대전된 먼지를 흡수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 수단은 상기 음이온을 상기 정화된 공기로 방사하여 상기 음이온을 상기 실내로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한 열교환 기능과, 상기 공기 정화 수단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과, 상기 음이온 발생 수단에 의한 음이온 발생 기능과 연동되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몸체는 상기 실내 공기의 흡입 측에서 개폐 가능한 흡입 그릴(suction grille)을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공기 정화 수단이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거나 상기 흡입 그릴이 개방 상태로 될 때, 상기 공기 정화 수단과 상기 음이온 발생 수단이 그 기능을 정지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6. 삭제
  7. 실내 공기를 유닛 몸체 내로 흡입하고, 열교환기에 의해 상기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송풍기에 의해 상기 실내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에 있어서,
    음이온을 발생하여 상기 실내로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상기 송풍기의 공기 취출 경로(air blow-off path)의 취출구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취출구의 상부벽에 부착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보호 용기 내에 발생 전극을 보유하고,
    상기 발생 전극은 복수개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과 일체형이고 송풍 방향 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바늘모양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모양 전극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송풍 방향 쪽으로 배향되고 상기 공기 취출부에서 노출되는 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 용기는 슬릿 - 여기서, 상기 슬릿은 상기 바늘모양 전극의 첨단부와 반대되는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송풍 경로의 송풍 방향으로 개방됨 - 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용기는 정전기 방지 처리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용기는 상기 발생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접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 영역은 아크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 만큼 상기 발생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접지 영역은 상기 발생 전극의 전방 단부 연장선으로부터 떨어져 있고(displaced), 상기 발생 전극의 송풍 방향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용기의 접지 영역은 접지선이 장착 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 용기의 표면과 일체형으로 제공된 보스(boss)에 접속되고, 하부 구멍이 상기 보스를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보스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구멍 내로 장착되고,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하부 구멍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접지 단자가 상기 장착 수단과 상기 보스의 상단부면 사이에 제공되어 접지선의 접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실내 유닛.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2-7001635A 1999-08-31 2000-08-11 공조기용 실내 유닛 KR100452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18999A JP4323019B2 (ja) 1999-08-31 1999-08-31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4618799A JP4323018B2 (ja) 1999-08-31 1999-08-31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JP-P-1999-00246189 1999-08-31
JPJP-P-1999-00246187 199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252A KR20020026252A (ko) 2002-04-06
KR100452028B1 true KR100452028B1 (ko) 2004-10-08

Family

ID=2653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635A KR100452028B1 (ko) 1999-08-31 2000-08-11 공조기용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12571B1 (ko)
KR (1) KR100452028B1 (ko)
CN (1) CN1143092C (ko)
AU (1) AU6474300A (ko)
WO (1) WO2001016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499A1 (en) * 2012-06-21 2013-12-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7148B (en) * 2001-08-24 2003-01-11 Sanyo Electric Co Wall mounting air conditioner
WO2003033040A1 (en) * 2001-10-19 2003-04-24 Sudo Premium Engineering Co., Ltd. Air shower system
JP4511143B2 (ja) * 2003-09-05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ン付き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455911C (zh) * 2004-09-30 2009-0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的室内机
JP2007127333A (ja) * 2005-11-04 2007-05-2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ES2288119B1 (es) * 2006-05-12 2008-08-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para la limpieza y la climatizacion de aire.
JP4581024B1 (ja) * 2009-09-10 2010-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9260191B2 (en) 2011-08-26 2016-02-16 Hs Marston Aerospace Ltd. Heat exhanger apparatus including heat transfer surfaces
CN103949345A (zh) * 2014-05-05 2014-07-30 孟金来 组合式径流电除尘空气净化器
US10463470B2 (en) 2015-07-31 2019-11-0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king a prosthesis with a smooth covering
CN106765579A (zh) * 2017-01-09 2017-05-3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净化装置及柜机
CN106765580A (zh) * 2017-01-09 2017-05-3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净化装置及挂机
CN106839109A (zh) * 2017-02-18 2017-06-13 上海程欣环保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空调
CN108286748A (zh) * 2017-07-29 2018-07-17 苏州志佳电子科技有限公司 空气优化器
CN113587217B (zh) * 2020-04-30 2023-04-28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室内机及包括该空调室内机的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421A (ja) 1985-11-25 1987-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重量検出装置
JPH0723777B2 (ja) * 1989-08-29 1995-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H0490428A (ja) * 1990-08-02 1992-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0182545B1 (ko) * 1995-05-1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8044A (ja) * 1997-06-12 1999-01-12 Corona Corp 空気調和機または空気清浄機
JPH1172240A (ja) 1997-08-28 1999-03-16 Corona Corp 空気調和機または空気清浄機
JP3364421B2 (ja) * 1997-11-27 2003-01-08 株式会社コロナ 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499A1 (en) * 2012-06-21 2013-12-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86080B2 (en) 2012-06-21 2019-08-2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having an ion gene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092C (zh) 2004-03-24
AU6474300A (en) 2001-03-26
KR20020026252A (ko) 2002-04-06
WO2001016533A1 (en) 2001-03-08
CN1371461A (zh) 2002-09-25
EP1212571B1 (en) 2005-11-09
EP1212571A1 (en)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028B1 (ko) 공조기용 실내 유닛
CN105264298B (zh) 离子发生器以及具有离子发生器的空调
KR20080074012A (ko) 공기 조화기
JP537169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853604B2 (ja) 空気調和機
US5060717A (en) Air conditioner
JP2006284164A (ja) 空気調和機
JP432301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997687B2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の電極構造
JP2004347264A (ja) 送風装置、ルーバ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JP416735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32301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307488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7107805A (ja) 空気調和機
CN220379909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CN220366509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JP200418400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68065B1 (ko) 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한 급기장치
CN218884126U (zh) 空调器室内机
CN218672416U (zh) 空调器室内机
JP2003120972A (ja) 空気清浄機または空気調和機
WO2024045602A1 (zh) 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KR100192296B1 (ko) 전기식 집진장치
JPH06134342A (ja) 空気清浄機
KR100484868B1 (ko) 전기식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