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13B1 -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13B1
KR101403013B1 KR1020120098119A KR20120098119A KR101403013B1 KR 101403013 B1 KR101403013 B1 KR 101403013B1 KR 1020120098119 A KR1020120098119 A KR 1020120098119A KR 20120098119 A KR20120098119 A KR 20120098119A KR 101403013 B1 KR101403013 B1 KR 10140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heat
roof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607A (ko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전기
Priority to KR102012009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에 관계없이 함체의 내부의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배전반은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양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장착되며 한 쌍의 도어를 갖는 전방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부와 전,후방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열기 유도경사면이 형성된 지붕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부 사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에 상기 조립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어 조립홀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붕판 고정부와, 상기 전방판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공과, 상기 후방판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후방 사이에 상기 배출공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외기 흡입공과, 상기 지붕판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흡입 안내부와, 상기 배출공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판의 상부와 지붕판의 전방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촉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PANEL}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에 관계없이 함체의 내부의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주로 고압수용가)에게 수배전(受配電)할 때 전기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변압기 등과 같은 단위 전기기기를 부착하며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전기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Busbar, Cable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전기기기들을 사각형의 금속재 함체에 안전하게 절연 수납한 제품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써 길거리 등에 설치되는 옥외용 수배전반 및 학교나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 및 제어하는 옥내용 수배전반으로 구성되어 인명 및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주차단기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에 연결된 부스바(bus-bar)를 통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의 함체는 주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되고, 전면이나 배면 또는 전면과 배면 모두에 도어가 설치된다. 이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기기들은 주로 변압기나 회로 기판으로서 그 자체가 발열을 하기 때문에 함체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전기기기들의 수명이 좌우된다. 예를 들어, 함체 외부의 온도가 40℃인 경우에 함체 내부의 온도는 전기기기의 발열에 의해 10℃ 이상 더 상승된다.
통상적으로 수배전반에 사용되는 전기기기인 변압기는 55℃ 정도의 온도로 발열되며 55℃의 변압기가 8℃ 상승된 온도인 63℃로 승온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 변압기의 평균 사용 수명이 20년에서 10년으로 반감되는 "8℃ 반감의 법칙"이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자체 발열에 의한 함체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수명 감소를 막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었으며, 본 출원인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는 기술로 함체의 내부 온도를 최소 12℃까지, 예를 들어 63℃인 경우 51℃까지 자연 배기에 의해 낮출 수 있는, 즉 8℃ 반감의 법칙"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등록을 받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한국등록특허 제0917379호 "수배전용 큐비클 및 변압기 함체"(2009. 09. 08)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배전반은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기기(T)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측판(200)과, 상기 측판(200)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지붕판(300)과, 상기 측판(200)의 사이로 상기 바닥판(100)의 전방과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400)와, 상기 지붕판(300)의 하면으로 상기 도어(400)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도어(400)의 사이에 하부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대칭되게 형성되는 배출안내부(500)와, 상기 배출안내부(500)에 의해 안내되는 열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도어(400)의 상단과 상기 지붕판(30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공(50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배전반의 함체는 통상 변압기인 상기 전기기기(T)가 작동되면서 차제 발열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열기가 발생되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지붕판(300)의 하면을 향해 상승되다가 상기 배출안내부(500)에 맞닿으면서 열기가 상기 도어(400)의 상부측을 향해 안내되어 상기 배출공(501)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즉, 상기 전기기기(T)에 의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는 열기 자체의 상승력에 의해 상기 배출안내부(500)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된 열기는 상기 배출안내부(500)에 의해 상기 배출공(501)으로 안내되어 상기 배출공(501)을 통해 자연적으로 상기 함체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별도의 배출장치 없이 자연 배출을 통해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수배전반의 함체의 외부에 생성된 바람과 같은 자연풍이 함체의 내부와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기 배출공을 향해 유입되거나 유동되는 경우에, 즉 상기 함체의 내부의 열기에 의한 공기의 유동력보다 상기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이 더 큰 경우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열기가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에 관계없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열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17379호 "수배전용 큐비클 및 변압기 체"(주식회사 일신전기, 2009. 09. 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한국등록특허 제0917379호 "수배전용 큐비클 및 변압기 함체"를 개량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에 관계없이 함체의 내부의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방 상부에 외기 흡입공을 형성하여 외기의 흡입을 통해 내부 열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붕판을 양 측판에 지지되게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 안내면을 형성하여 토출공을 통해 열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도부재의 내측에 유동 안내면을 형성하여 열기의 배출 중에 압력 손실이 저감되면서 상기 유도부재를 통해 열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열기를 다수의 열기 안내홈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고, 뜨거운 외부의 열기가 지붕판에서 전도되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의 둘레에 하부 외기흡입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하부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상승되어 배출되게 함에 따라, 내부 열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상부에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양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장착되며 한 쌍의 도어를 갖는 전방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부와 전,후방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열기 유도경사면이 형성된 지붕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부 사이에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에 상기 조립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어 조립홀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붕판 고정부와; 상기 전방판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붕판의 열기 유도경사면으로 안내되는 내부 열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과; 상기 후방판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후방 사이에 상기 배출공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흡입공과; 상기 지붕판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게 형성된 후방 돌출판과 후방 돌출판의 후방에서 하향지게 수직으로 세워져 외기를 상기 외기 흡입공으로 안내하는 수직 안내판을 가지는 흡입 안내부와; 상기 배출공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판의 상부와 지붕판의 전방 사이에 설치되고, 배출공을 통해 외기가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배출공을 통한 내부 열기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배출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상기 지붕판 고정부는,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하부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는 돌출볼트와, 상기 돌출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상면과 지붕판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관과,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볼트에 체결되어 지붕판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상기 배출촉진부는, 상기 전방판의 상부와 상기 지붕판의 전방 사이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배출공을 가리고 상단이 상기 지붕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기억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외기가 유도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유입공과, 상기 외기 유입공을 통해 유도부재로 유입된 외기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도부재로 유입된 함체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부재의 상단에 상기 지붕판의 상면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토출공과, 상기 토출공의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상기 토출공의 상단으로 상기 유도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토출 안내면과, 상기 유도부재의 절곡된 부위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유도부재의 절곡된 부위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상기 지붕판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하부에 사다리꼴홈, 사각홈, 반원호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열기를 상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열기 안내홈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하부의 둘레에 다수로 형성되고, 각각은 사각 관통홀과 사각 관통홀에 내측을 향해 상향지게 경사져 구비된 다단의 경사 안내판을 가지는 하부 외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함체의 외부의 공기의 유동력에 관계없이 함체의 내부의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함체의 내부의 열기에 의한 전기기기의 수명 저하가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후방 상부에 외기 흡입공을 형성하여 외기의 흡입을 통해 내부 열기의 냉각도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판을 양 측판에 지지되게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배전반의 강도를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 안내면을 형성하여 토출공을 통해 열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부재의 내측에 유동 안내면을 형성하여 열기의 배출 중에 압력 손실이 저감되고, 상기 유도부재를 통해 열기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열기가 다수의 열기 안내홈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배출되고, 뜨거운 외부의 열기가 지붕판에서 전도되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의 둘레에 하부 외기흡입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하부로 유입된 외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배출되게 함에 따라, 내부의 열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a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D선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수배전반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수배전반을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a의 B 부분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기기(T)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는 상부에 상기 전기기기(T)가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양측에 장착되는 양 측판(20)과, 상기 바닥판(10)의 전방에 장착되며 한 쌍의 도어(31)를 갖는 전방판(30)과, 상기 바닥판(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판(40)과, 상기 양 측판(20)의 상부와 전,후방판(30)(40)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열기 유도경사면(54)이 형성된 지붕판(50)과, 상기 양 측판(20)의 상부 사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조립홀(61)이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60)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에 상기 조립홀(6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어 조립홀(61)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붕판 고정부(70)와, 상기 전방판(30)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공(32)과, 상기 후방판(40)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후방 사이에 상기 배출공(3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외기 흡입공(41)과, 상기 지붕판(5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흡입 안내부(51)와, 상기 배출공(32)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판(30)의 상부와 지붕판(50)의 전방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촉진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과, 상기 측판(20) 및 한 쌍의 도어(31)가 구비된 전방판(30)은 내부가 빈 함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된 구성요소이므로 이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지붕판(5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은, 지붕판(50)의 하면으로 상승되는 열기와 상기 외기 흡입공(41)으로부터 흡입된 찬 외기를 상기 배출공(32)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의 열기와 후방에서 흡입된 외기를 전방으로 확산시키면서 배출공(32)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60)는, 지붕판(50)을 상기 양 측판(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60)는, 상기 양 측판(20)의 상부 사이에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다수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붕판 고정부(70)는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조립홀(61)에 삽입되는 돌출볼트(71)와, 상기 돌출볼트(71)에 삽입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대(60)의 상면과 지붕판(5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관(72)과, 상기 조립홀(61)에 관통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볼트(71)에 체결되어 지붕판(50)을 고정하는 고정너트(7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볼트(71)의 상부는 용접 또는 체결을 통해 상기 지붕판(50)의 하부에 고정되는데, 도면에서는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60)와 다수의 지붕판 고정부(70)를 통해, 상기 지붕판(50)을 양 측판(20)에 지지되게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배전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 흡입공(41)은, 후방판의 상부에 상기 배출공(3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외기 흡입공(41)은, 외기의 흡입량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후방판(40)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후방 사이에 긴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기 흡입공(41)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 안내부(51)는, 지붕판(50)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후방 돌출판(52)과 후방 돌출판(52)의 후방에서 하향지게 수직으로 세워져 외기를 상기 외기 흡입공(41)으로 안내하는 수직 안내판(53)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이 불 경우 외기가 상기 수직 안내판(53)과 후방 돌출판(52)의 사이 공간으로 취합되면서 원활하게 함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촉진부(80)는, 상기 배출공(32)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판(30)의 상부와 지붕판(50)의 전방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외기가 상기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배출공(32)을 통한 상기 함체 내부의 열기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출촉진부(80)는 상기 전방판(30)의 상부와 상기 지붕판(50)의 전방 사이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배출공(32)을 가리고 상단이 상기 지붕판(5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기억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유도부재(81)와, 상기 유도부재(81)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외기가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유입공(82)과, 상기 외기 유입공(82)을 통해 유도부재(81)로 유입된 외기와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유도부재(81)로 유입된 함체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부재(81)의 상단에 상기 지붕판(50)의 상면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토출공(83)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재(81)는 기억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32)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유도부재(81)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기를 상기 지붕판(50)의 상면으로 유도하는 유도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외기 유입공(82)은 상기 도어(31)의 외면과 상기 유도부재(81)의 외면을 향해 유동되는 외기 즉, 자연풍이나 바람이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공(83)은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열기가 상기 유도부재(81)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촉진부(80)는 상기 토출공(83)의 상단으로 상기 유도부재(81)의 끝단에 형성되는 토출 안내면(8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 안내면(84)은 상기 토출공(83)의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토출공(83)에 벤튜리관 현상을 발생시켜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토출공(83)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촉진부(80)는 상기 유도부재(81)의 절곡된 부위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동 안내면(8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동 안내면(85)은 상기 유도부재(81)의 절곡된 부위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열기 배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기의 유동이 없을 때, 즉 상기 함체의 외부로 바람이 불지 않을 때는 상기 지붕판(50)의 열기 유도경사면(54)을 통해 안내되는 열기가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를 통해 상기 토출공(83)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아울러 후방 상부의 외기 흡입공(41)을 통해 함체의 내부보다 찬 외기가 내부로 흡입됨에 따라, 함체 내부의 냉각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의 외부로 외기의 유동이 있을 때, 즉 상기 함체의 외부로 바람이 불 때는, 외기가 상기 외기 유입공(82)을 통해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유도부재(81)를 따라 상승한 후에 상기 토출공(83)을 통해 토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도부재(81)를 통과하는 외기는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를 상기 함체의 내부보다 순간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태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함체의 내부에 있는 압력이 높은 공기가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기와 함께 상기 유도부재(81)를 지나 상기 토출공(8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베르누이의 정리"에 근거함).
따라서, 상기 외기 유입공(82)을 통해 상기 유도부재(81)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력이 크면 클수록 상기 함체의 내부의 공기가 강하게 흡입되듯이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상기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공(83)을 통해 상기 유도부재(81)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함체 내부의 공기의 흡입 및 배출과 함께 상기 함체 내부에 있는 열기가 함께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수배전반은 상기 함체의 외부로 공기의 유동력이 크든지 작든지 간에 관계없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있는 열기를 내부의 공기와 함께 적절히 배출시켜 상기 함체의 내부의 온도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판(50)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 상기 내부의 열기를 상기 배출공(32)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열기 안내홈(5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열기 안내홈(5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홈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호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열기를 다수의 열기 안내홈(55)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배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붕판(50)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판(56)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단열판(56)은 뜨거운 외부의 열기가 지붕판(50)에서 전도되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외기를 내부로 유입 받아 상승되게 하는 다수의 하부 외기흡입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외기흡입부(90)는, 내부의 하부로 흡입된 외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배출되게 함에 따라, 내부 열기의 토출을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 외기흡입부(90)는, 하부의 둘레에 다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은 사각 관통홀(91)과 사각 관통홀(91)에 내측을 향해 상향지게 경사져 구비된 다단의 경사 안내판(9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하부 외기흡입부(90)를 통해 함체 내부의 열기를 신속하면서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닥판
20 : 측판
30 : 전방판
31 : 도어
32 : 배출공
40 : 후방판
41 : 외기 흡입공
50 : 지붕판
51 : 흡입 안내부 52 : 후방 돌출판
53 : 수직 안내판
54 : 열기 유도경사면 55 : 열기 안내홈
56 : 단열판
60 : 횡방향 지지대
61 : 조립홀
70 : 지붕판 고정부
71 : 돌출볼트
72 : 간격 유지관
73 : 고정너트
80 : 배출촉진부
81 : 유도부재 82 : 외기 유입공
83 : 토출공 84 : 토출 안내면
85 : 유동 안내면
90 : 외기흡입부
91 : 사각 관통홀 92 : 경사 안내판
T : 전기기기

Claims (5)

  1. 상부에 전기기기(T)가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양측에 장착되는 양 측판(20)과;
    상기 바닥판(10)의 전방에 장착되며 한 쌍의 도어(31)를 갖는 전방판(30)과;
    상기 바닥판(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판(40)과;
    상기 양 측판(20)의 상부와 전,후방판(30)(40)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열기 유도경사면(54)이 형성된 지붕판(50)과;
    상기 양 측판(20)의 상부 사이에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조립홀(61)이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지지대(60)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에 상기 조립홀(6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어 조립홀(61)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붕판 고정부(70)와;
    상기 전방판(30)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붕판(50)의 열기 유도경사면(54)으로 안내되는 내부 열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32)과;
    상기 후방판(40)의 상단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후방 사이에 상기 배출공(3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흡입공(41)과;
    상기 지붕판(50)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된 후방 돌출판(52)과 후방 돌출판(52)의 후방에서 하향지게 수직으로 세워져 외기를 상기 외기 흡입공(41)으로 안내하는 수직 안내판(53)을 가지는 흡입 안내부(51)와;
    상기 배출공(32)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판(30)의 상부와 지붕판(50)의 전방 사이에 설치되고, 배출공(32)을 통해 외기가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배출공(32)을 통한 내부 열기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배출촉진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고정부(70)는,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조립홀(61)에 삽입되는 돌출볼트(71)와,
    상기 돌출볼트(71)에 삽입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대(60)의 상면과 지붕판(5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관(72)과,
    상기 조립홀(61)에 관통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볼트(71)에 체결되어 지붕판(50)을 고정하는 고정너트(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촉진부(80)는,
    상기 전방판(30)의 상부와 상기 지붕판(50)의 전방 사이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배출공(32)을 가리고 상단이 상기 지붕판(5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기억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유도부재(81)와,
    상기 유도부재(81)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외기가 유도부재(8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유입공(82)과,
    상기 외기 유입공(82)을 통해 유도부재(81)로 유입된 외기와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유도부재(81)로 유입된 함체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유도부재(81)의 상단에 상기 지붕판(50)의 상면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토출공(83)과,
    상기 토출공(83)의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상기 토출공(83)의 상단으로 상기 유도부재(81)의 끝단에 형성되는 토출 안내면(84)과,
    상기 유도부재(81)의 절곡된 부위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유도부재(81)의 절곡된 부위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동 안내면(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50)은,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 사다리꼴홈, 사각홈, 반원호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열기를 상기 배출공(32)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열기 안내홈(55)과,
    상기 열기 유도경사면(54)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판(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하부의 둘레에 다수로 형성되고, 각각은 사각 관통홀(91)과 사각 관통홀(91)에 내측을 향해 상향지게 경사져 구비된 다단의 경사 안내판(92)을 가지는 하부 외기흡입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KR1020120098119A 2012-09-05 2012-09-05 수배전반 KR10140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19A KR101403013B1 (ko) 2012-09-05 2012-09-05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19A KR101403013B1 (ko) 2012-09-05 2012-09-05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07A KR20140031607A (ko) 2014-03-13
KR101403013B1 true KR101403013B1 (ko) 2014-06-03

Family

ID=5064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19A KR101403013B1 (ko) 2012-09-05 2012-09-05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640B1 (ko) 2016-03-04 2017-03-24 문운하 열수렴 배출유니트의 조립설치가 용이한 자가대류 열배출형 옥내용 수배전반 장치
KR102041747B1 (ko) 2019-02-15 2019-11-06 문운하 옥내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20230000573U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선셰이드를 구비한 수배전반 외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78B1 (ko) * 2021-08-11 2022-04-14 강철수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CN116471786B (zh) * 2023-06-20 2023-11-07 棚丰信息科技(陕西)有限公司 带棉被大拱棚数字化控制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34A (ja) 1998-06-23 2000-01-14 Nissin Electric Co Ltd 屋外形スイッチギヤ
KR200411963Y1 (ko)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20090040084A (ko) * 2007-10-19 2009-04-2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KR20100090221A (ko) * 2009-02-05 2010-08-13 (주)웨이버스 온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34A (ja) 1998-06-23 2000-01-14 Nissin Electric Co Ltd 屋外形スイッチギヤ
KR200411963Y1 (ko)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20090040084A (ko) * 2007-10-19 2009-04-2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KR20100090221A (ko) * 2009-02-05 2010-08-13 (주)웨이버스 온도 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640B1 (ko) 2016-03-04 2017-03-24 문운하 열수렴 배출유니트의 조립설치가 용이한 자가대류 열배출형 옥내용 수배전반 장치
KR102041747B1 (ko) 2019-02-15 2019-11-06 문운하 옥내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20230000573U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선셰이드를 구비한 수배전반 외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07A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7746B2 (en) Modular draw out fan module with chimney design for cooling components in low voltage switchgear
KR101403013B1 (ko) 수배전반
KR102033441B1 (ko)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KR101230072B1 (ko) 수배전반
KR200411963Y1 (ko) 배전반의 방열장치
KR101658427B1 (ko) 지중 온도를 이용한 수배전반 냉각 시스템
EP3263803B1 (en) Substation
KR100917379B1 (ko) 수, 배전반용 큐비클 및 변압기 함체
KR102153257B1 (ko) 자연배기가 가능한 옥외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100878258B1 (ko)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CN211958548U (zh) 一种高散热性能的大电流中压开关柜结构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JP2005065496A (ja) 熱放出要素を有する保護囲い付きスイッチング装置
CN112909811A (zh) 一种大电流空气绝缘开关柜
KR101719640B1 (ko) 열수렴 배출유니트의 조립설치가 용이한 자가대류 열배출형 옥내용 수배전반 장치
CN201656324U (zh) 空气绝缘开关设备电缆室的一次主回路
CN104852287B (zh) 集成板式强电控制柜
KR101637181B1 (ko)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함체
CN216214984U (zh) 一种高压开关柜
CN109217139B (zh) 架空进线开关柜及其柜体
CN213125311U (zh) 一种铠装移开式开关柜
CN210273232U (zh) 加强散热型低压抽屉式开关柜
KR102168078B1 (ko) 방열성능이 향상된 배전 변압 장치
CN111682428B (zh) 一种箱变结构
KR20210022847A (ko)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