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578B1 -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578B1
KR102386578B1 KR1020210106100A KR20210106100A KR102386578B1 KR 102386578 B1 KR102386578 B1 KR 102386578B1 KR 1020210106100 A KR1020210106100 A KR 1020210106100A KR 20210106100 A KR20210106100 A KR 20210106100A KR 102386578 B1 KR102386578 B1 KR 10238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oling device
main body
transformer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수 filed Critical 강철수
Priority to KR102021010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00Devices using naturally cold air or cold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1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ainly consisting of a frame onto which plates are moun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판(21) 및 하판(22), 상기 하판(22)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측벽(23),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문(24)을 포함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변압기(30),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하부에 다수 설치된 계기용 변류기(32) 및 상기 변압기(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측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통해 상기 변압기(30) 및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The switchboard with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후방에 개폐문이 각각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차단기, 고압차단기, 계기용 변류기 및 변압기가 구획별로 분리 배치되고, 상기 변압기의 후방에 외부 공기를 이용한 냉각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전력 소비량이 높은 고층 아파트 또는 공장 등에 설치 가능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고층 아파트 또는 공장 등의 옥외에 변압기 설치 시, 변압기의 주위에는 넓은 안정망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변압기의 설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변압기의 설치 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설치된 박스의 내부에 변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인입선에 연결되는 차단기 및 고압차단기, 계기용 변류기 및 고압차단기, 변압기는 3개의 박스 내부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3개의 박스는 옥내/외에 각각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반에서 상기와 같이 3개의 박스가 설치되는 경우, 이같은 경우, 박스의 점유 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박스의 설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기 및 각종 설비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27954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에 개폐문이 각각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차단기, 고압차단기, 계기용 변류기 및 변압기가 구획별로 분리 배치되고, 상기 변압기의 후방에 외부 공기를 이용한 냉각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판(21) 및 하판(22), 상기 하판(22)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측벽(23),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문(24)을 포함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변압기(30),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하부에 다수 설치된 계기용 변류기(32) 및 상기 변압기(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측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통해 상기 변압기(30) 및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방 중앙에 구비된 수평플레이트(25),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상부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중앙에 구비된 제1 중앙지지대(27) 및 상기 제1 중앙지지대(27)의 하부에 구비된 제2 중앙지지대(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25)의 상부에 다수 설치된 차단기(31), 상기 상부지지대(26)의 하부에 다수 설치된 제1 고압차단기(33) 및 상기 제1 중앙지지대(27) 및 제2 중앙지지대(28)를 따라 다수 설치된 제2 고압차단기(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40)는 상기 냉각장치(4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로(41), 상기 유입로(41)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로(4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42) 및 상기 냉각장치(4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유로(42)와 연통되어, 상기 내부유로(42)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로(48)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유로(4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구비된 직선유로(43), U자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유로(43) 및 상기 직선유로(43)와 인접한 직선유로(43)를 서로 연결하는 곡선유로(45) 및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유로(43)의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에 다수 구비된 굴곡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46)의 외측에는 상기 직선유로(43)의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직선유로(43)의 내측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미세유로(47)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22)의 좌측에 구비된 측벽(23)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로(50)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에서는 전/후방에 개폐문이 각각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차단기, 고압차단기, 계기용 변류기 및 변압기가 구획별로 분리 배치되어, 배전반의 설치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배전반의 내부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에서는 상기 변압기의 후방에 외부 공기를 이용한 냉각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본체 내부의 변압기 및 각종 설비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은 인입선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고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차단기 및 고압차단기가 상기 고압 전류를 차단하여, 변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압기 및 냉각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변압기 및 냉각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의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각장치(40)가 적용된 배전반(1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압기(30) 및 냉각장치(40)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변압기(30) 및 냉각장치(40)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장치(40)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10)은 본체(20), 변압기(30), 차단기(31), 계기용 변류기(32), 제1 고압차단기(33), 제2 고압차단기(34) 및 냉각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20)는 상판(21), 하판(22), 측벽(23), 개폐문(24), 수평플레이트(25), 상부지지대(26), 제1 중앙지지대(27) 및 제2 중앙지지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판(21) 및 하판(22)은 본체(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판(21) 및 하판(2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판(21)의 두께는 하판(2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23)은 하판(22)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20)의 상판(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벽(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개폐문(24)이 형성된다. 이때, 개폐문(24)은 측벽(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경첩(24a)(미도시)을 통해 측벽(23)과 연결되고, 개폐문(24)의 외측 중앙에는 개폐문(24)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4b)가 구비된다. 관리자는 개폐문(24)의 손잡이(24b)를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개폐문(24)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플레이트(2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20) 내부의 전방 중앙에 구비된다. 이때, 수평플레이트(25)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지대(26)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20) 내부의 후방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수평플레이트(2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중앙지지대(27)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20) 내부의 후방 중앙에 구비된다. 이때, 제1 중앙지지대(27)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중앙지지대(28)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중앙지지대(27)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제2 중앙지지대(28)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중앙지지대(28)의 길이는 제1 중앙지지대(27)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변압기(30)는 본체(20) 내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변압기(30)는 전압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치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차단기(31)는 수평플레이트(25)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다. 이때, 차단기(31)는 평상시에 회로의 수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단락 고장 등의 이상 발생 시, 회로의 자동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계기용 변류기(32)는 본체(20) 내부의 후방 하부에 다수 설치된다. 이때, 계기용 변류기(32)는 고전압의 전류를 저전압의 전류로 변성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 고압차단기(33)는 상부지지대(26)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고압차단기(34)는 제1 중앙지지대(27) 및 제2 중앙지지대(28)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다. 이때, 제1 고압차단기(33) 및 제2 고압차단기(34)는 특고압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제1 고압차단기(33)는 차단기(31) 및 계기용 변류기(32)와 인입선(35)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제2 고압차단기(34)는 계기용 변류(32)기 및 변압기(30)와 인입선(35)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변압기(30) 및 차단기(31)는 인입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냉각장치(40)는 변압기(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측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통해 변압기(30) 및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장치(40)는 유입로(41), 내부유로(42) 및 배출로(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유입로(41)는 냉각장치(4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내부유로(42)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때, 유입로(41)는 하판(22)의 좌측에 구비된 측벽(23)을 좌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내부유로(42)는 유입로(41)와 연통되어, 유입로(4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배출로(48)는 냉각장치(4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유로(42)와 연통되어, 내부유로(42)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가 된다. 이때, 배출로(48)는 하판(22)의 좌측에 구비된 측벽(23)을 좌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한편, 내부유로(42)는 직선유로(43), 곡선유로(45) 및 굴곡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직선유로(43)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구비된다. 이때, 직선유로(43)는 내측이 비어 있고, 평평한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곡선유로(45)는 U자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직선유로(43) 및 상기 직선유로(43)와 인접한 직선유로(43)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곡선유로(45)는 내측이 비어 있고, 1회 절곡된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곡선유로(45)의 폭은 직선유로(4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굴곡부(46)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직선유로(43)의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구비된다. 이때, 굴곡부(46)는 굴곡진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굴곡부(46)는 본체(20) 내부의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해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굴곡부(46)의 직경은 직선유로(4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굴곡부(46)는 직선유로(43)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저온으로 변환되어,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굴곡부(46)의 외측에는 직선유로(43)의 내측과 연통되어, 직선유로(43)의 내측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미세유로(47)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미세유로(47)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세유로(47)의 중심축은 직선유로(43)의 중심축과 직교한다. 그리고, 미세유로(47)의 직경은 굴곡부(46)의 직경의 1/5 이하로 작게 형성된다.
미세유로(47)를 통과하여, 본체(20)의 내부로 배출되는 외부 공기는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다시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하판(22)의 좌측에 구비된 측벽(23)의 하부 일측에는 미세유로(47)를 통과하여,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로(50)가 좌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유출로(50)의 직경은 배출로(48)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된 외부 공기는 유출로(5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결론적으로, 유입로(4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다수의 직선유로(43) 및 곡선유로(45)를 통과하며, 변압기(30) 및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고온으로 변환된 외부 공기는 배출로(4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직선유로(43)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는 다수의 굴곡부(46)의 미세 유로를 통과하여, 본체(20)의 내부로 배출되어,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다시 냉각시킨 후, 유출로(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굴곡부(46)는 직선유로(43)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저온으로 변환되어,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다시 냉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에서는 전/후방에 개폐문(24)이 각각 구비된 본체(20)의 내부에 차단기(31), 고압차단기(33,34), 계기용 변류기(32) 및 변압기(30)가 구획별로 분리 배치되어, 배전반(10)의 설치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10)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배전반(10)의 내부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에서는 상기 변압기(30)의 후방에 외부 공기를 이용한 냉각장치(40)가 별도로 구비되어, 본체(20) 내부의 변압기(30) 및 각종 설비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은 인입선(35)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고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차단기(31) 및 고압차단기(31)가 상기 고압 전류를 차단하여, 변압기(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배전반 20: 본체
21: 상판 22: 하판
23: 측벽 24: 개폐문
24a: 경첩 24b: 손잡이
25: 수평플레이트 26: 상부지지대
27: 제1 중앙지지대 28: 제2 중앙지지대
30: 변압기 31: 차단기
32: 계기용 변류기 33: 제1 고압차단기
34: 제2 고압차단기 35: 인입선
40: 냉각유로 41: 유입로
42: 내부유로 43: 직선유로
45: 곡선유로 46: 굴곡부
47: 미세유로 48: 배출로
50: 유출로

Claims (5)

  1.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판(21) 및 하판(22), 상기 하판(22)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측벽(23),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문(24)을 포함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변압기(30);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하부에 다수 설치된 계기용 변류기(32); 및
    상기 변압기(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측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통해 상기 변압기(30) 및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는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방 중앙에 구비된 수평플레이트(25);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상부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
    상기 본체(20) 내부의 후방 중앙에 구비된 제1 중앙지지대(27); 및
    상기 제1 중앙지지대(27)의 하부에 구비된 제2 중앙지지대(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1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25)의 상부에 다수 설치된 차단기(31);
    상기 상부지지대(26)의 하부에 다수 설치된 제1 고압차단기(33); 및
    상기 제1 중앙지지대(27) 및 제2 중앙지지대(28)를 따라 다수 설치된 제2 고압차단기(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40)는
    상기 냉각장치(4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로(41);
    상기 유입로(41)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로(4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42); 및
    상기 냉각장치(4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유로(42)와 연통되어, 상기 내부유로(42)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로(48);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유로(4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구비된 직선유로(43);
    U자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유로(43) 및 상기 직선유로(43)와 인접한 직선유로(43)를 서로 연결하는 곡선유로(45); 및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유로(43)의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에 다수 구비된 굴곡부(46);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부(46)의 외측에는
    상기 직선유로(43)의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직선유로(43)의 내측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미세유로(47)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판(22)의 좌측에 구비된 측벽(23)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로(5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46)는
    굴곡진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46)는
    상기 직선유로(43)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저온으로 변환되어,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미세유로(47)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세유로(47)의 중심축은
    상기 직선유로(43)의 중심축과 직교하고,
    상기 미세유로(47)의 직경은
    상기 굴곡부(46)의 직경의 1/5 이하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6100A 2021-08-11 2021-08-11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KR10238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100A KR102386578B1 (ko) 2021-08-11 2021-08-11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100A KR102386578B1 (ko) 2021-08-11 2021-08-11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578B1 true KR102386578B1 (ko) 2022-04-14

Family

ID=8121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100A KR102386578B1 (ko) 2021-08-11 2021-08-11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23U (ko) * 1997-06-04 1999-01-15 강철수 변압기의 설치구조
KR100279548B1 (ko) 1997-11-26 2001-03-02 이기표 수배전 장치
KR20080102297A (ko) * 2006-04-13 2008-11-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장치 및 전력 변환 장치
KR20140031607A (ko) * 2012-09-05 2014-03-1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23U (ko) * 1997-06-04 1999-01-15 강철수 변압기의 설치구조
KR100279548B1 (ko) 1997-11-26 2001-03-02 이기표 수배전 장치
KR20080102297A (ko) * 2006-04-13 2008-11-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장치 및 전력 변환 장치
KR20140031607A (ko) * 2012-09-05 2014-03-1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5215A1 (zh) 一种内调式电气控制柜
DE102007023980B3 (de) Stromsammelschienenanordnung
CN210040091U (zh) 一种固定式断路器
KR102064422B1 (ko) 다단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11178792B1 (en) Heat exchange structure of telecommunication cabinet
WO2018001599A1 (en) Substation
KR102386578B1 (ko) 냉각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US20190045644A1 (en) Ventilation cover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nclosure including water-resistant and arc-resistant features
US20040240160A1 (en) Electric switchgear with an enclosed design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KR20180085966A (ko) 폭발 방지형 수배전반
CN109326981A (zh) 一种小型化智能预装式变电站
NO332561B1 (no) Elektrisk koblingsutstyr for hoy- eller mellomspenning
KR102200293B1 (ko) 자연 대류 공기순환 냉각식 전기 함체
KR20200117150A (ko) 배전반의 상부 덮개
CN215834996U (zh) 一种多重散热的箱式变电站
CN205140813U (zh) 控制与保护开关的灭弧系统
CN209071839U (zh) 一种带有防盗保护系统的电力智能开关柜
CN209250041U (zh) 一种小型化智能预装式变电站
CN209592643U (zh) 一种开关柜及其内部燃弧通道结构
KR20120021913A (ko) 열감응 개폐형 수배전반
KR20210030656A (ko) 자연 대류 공기순환 냉각식 전기 함체
CN206274593U (zh) 一种低温升高压开关柜
KR102386580B1 (ko) 배전반에 적용된 냉각장치의 제어 방법
CN208257226U (zh) 低压成套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