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084A -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084A
KR20090040084A KR1020070105682A KR20070105682A KR20090040084A KR 20090040084 A KR20090040084 A KR 20090040084A KR 1020070105682 A KR1020070105682 A KR 1020070105682A KR 20070105682 A KR20070105682 A KR 20070105682A KR 20090040084 A KR20090040084 A KR 2009004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witchgear
opening
heat dissipation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010B1 (ko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전기
Priority to KR102007010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0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있어서, 특히 단열, 방열 및 방음(차음)의 효과를 향상시켜 주기 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수 개의 방열구(22)가 형성되는 개폐문(20a)(20b)을 양측에 가진 수배전반 함체(10); 그리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 상기 개폐문(20a)(20b)을 구성하는 흡음 겹판을 마련함에 있어서, 외부 판넬(60)과 요(凹)부를 갖는 내부 판넬(80)과 상기 두 판넬들(60, 80) 사이의 내면에 흡음재(70)을 밀착 적층하여 상기 흡음 겹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면판을 마련함에 있어서, 수 개의 방열공(11)을 갖는 상기 상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30)의 내부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지붕(30)의 하측 테두리와 상기 상면판 둘레 간에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방열공간(50)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수배전반

Description

수배전반{receiving and distributing panel}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열, 방열 및 방음(차음)의 효과를 향상시켜 주기 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에 위한 수배전반이나 동력 전등 배전반 등의 함체는 단면의 판재로 제작된다. 특히 여러 면의 판넬로써 함체 형태로 구획되고 또한 그 함체에 개폐문 등이 구비된다.
함체 내부에는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 등이 설비되는데, 이러한 수배전반 함체의 내부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함체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내부에 설비된 기기들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함체 내부에 설비된 기기들의 동작 소리나 흡/배기 진동음 등의 소음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그 발생된 소음을 없애고자 하는 요구가 많다.
상기한 함체 내부의 온도 유지나 소음 제거(방음,차음) 등의 요구는 수배전반을 설치함에 있어서, 그의 함체 내부에 설비되는 각종 기기들의 결로나 열화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수배전반에는 상기 언급된 기능들 즉, 내부 온도 유지나 방음(차음)과 같은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수배전반 함체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부터 내부에 설비된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의 결로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고, 또한 함체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화현상이나 부식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결국,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결로, 열화 및 부식 현상등을 방지할 수 없었음은 물론 수배전반 함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없었다. 그로 인해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의 오작동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수배전반 주변에 심각한 소음을 발생시켰다.
또한 종래의 수배전반은 함체 상부가 단일한 구조이면서 평면형으로 설비되어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로 직사광선의 열 전달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거의 억제할 수 없었다. 그로 인해,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의 가동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낳았다.
더욱이, 종래의 수배전반 함체는 그 상부 면이 노출되어 있어서, 열을 방출할 구멍을 형성하기도 용이하지 못했다. 그 때문에, 내부 열기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이루지 못하여 수배전반 내의 온도 상승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이 종래의 수배전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 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안출한 것으로, 수배전반에 단열, 방열 및 방음(차음) 모두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수배전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열이 용이하도록 함체 상부를 개선한 구조의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수배전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흡수 및 수배전반 내부에 영향을 주는 외부 열의 차단이 용이하도록 함체의 벽 구조를 개선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배전반에 단열성, 방열성 및 방음성(차음성)을 부여하여 내부에 설비되는 각종 기기들의 결로, 열화 및 부식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특징은, 수 개의 방열구(22)가 형성되는 개폐문(20a)(20b)을 양측에 가진 수배전반 함체(10); 그리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 상기 개폐문(20a)(20b)을 구성하는 흡음 겹판(60,70,80)을 마련함에 있어서, 외부 판넬(60)과 요(凹)부를 갖는 내부 판넬(80)과 상기 두 판넬들(60, 80) 사이의 내면에 흡음재(70)을 밀착 적층하여 상기 흡음 겹판(60,70,80)을 구비하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면판(12)을 마련함에 있어서, 수 개의 방열공(11)을 갖는 상기 상면판(12)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30)의 내부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지붕(30)의 하측 테두리와 상기 상면판(12) 둘레 간에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방열공간(50)을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상기 지붕(30)이 고정되면서 상기 방열공간(50)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붕(30)의 내부 공간 양측에 부착되는 고정체(40)와, 상기 고정체(40)의 하단에 부착편(41)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기 상면판(12)과 상기 부착편(41)을 보울트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판넬(60)의 내면에 수 개의 너트(90a)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고, 보울트(100a)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상기 내부 판넬(80)에 형성하여, 상기 보울트(100a)가 상기 내부 판넬(80)의 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너트(90a)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흡음 겹판(60,70,80)이 밀착 적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판넬(80)의 상기 요부는 상기 내부 판넬(80)의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일정 간격의 다수 홀들(81)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음 겹판(60,70,80)의 밀착 적층을 위해, 상기 흡음 겹판(60,70,80)의 테두리를 감싸서 상기 외부 판넬(60)과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을 고정하는 절곡부(110)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의 테두리를 감싸서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을 고정하도록, 상기 외부 판넬(60)의 끝단에 절곡편(61)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음재(70)의 적어도 일면이 굴곡면을 갖는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20a,20b)의 상기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상기 흡음 겹판(60,70,80)에 사용되는 흡음재(70)는 상기 방열구(22)에 대응되 는 위치에 각각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70b)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문(20a,20b)의 상기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상기 흡음 겹판에서, 상기 외부 판넬(60a)이 상기 방열구(22)를 위해 하부로 개구된 돔형 개구부(60b)를 구비하고, 상기 흡음재(70a)가 상기 방열구(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70b)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판넬(80a)이 상기 다수 관통 홀들(7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일정 간격의 다수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판넬(60a)의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개구 크기가 D1, 상기 흡음재(70a)의 관통 홀(70b)의 크기가 D2, 그리고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돔의 직경 크기가 D3일 때, D1 < D2 < D3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70a)의 관통 홀(70b)은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상기 하부 개구된 측(6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에 단열성 및 방열성을 부여하여 내부에 설비되는 각종 기기들의 결로, 열화 및 부식을 방지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수배전반 내부의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의 오작동과 저효율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에 방음성(차음성)을 부여하여 수배전반 주변에 발생되는 심각한 소음을 최소화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수배전반에 내부 기기의 진동음이 외부로 퍼지는것을 방지하는 방진 효과도 발휘한다.
즉,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 개폐문(20a)(20b)을 구성하는 수배전반 벽 면을 흡음재(70)를 포함하는 겹판으로 구현함으로써 수배전반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해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배전반 내의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가 결로나 열화로 인해 오작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 함체(10)의 부식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수배전반 함체(10) 상부에 지붕(30)을 마련함과 아울러 단열 기능의 벽면을 마련함으로써 수배전반 내부로 직사광선의 열 전달이나 외부의 열기(복사열, 전도열)나 냉기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의 가동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 개폐문(20a)(20b)을 구성하는 수배전반 벽면을 흡음재(70)를 포함하는 겹판으로 구현함은 물론 흡음재(70)의 표면을 요철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함체(10) 겹판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함체(10)에서 외부로의 소음 방출을 방지해 준다.
또한, 수배전반 함체(10) 상부에 지붕(30)을 마련함과 동시에 함체(10) 상부면에 방열공(11)을 마련하고, 또한 지붕(30)과 함체(10) 사이에 방열공간(50)을 마련함으로써, 방열 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는 함체(10) 내부의 온도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전체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함체(10)와, 그 함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30)으로 구성된다.
지붕(30)은 일종의 부착편이 결합되어 있으며, 그 부착편의 타측에 함체(10)가 결합됨으로써, 함체(10)와 지붕(30)이 결합된 수배전반을 형성한다.
함체(10)는 외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20a,20b)을 가진다. 특히, 그 개폐문(20a,20b)은 함체(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시 사용되는 손잡이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개폐문(20a,20b)은 내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데 용이하도록 수 개의 방열구(22)를 구비한다.
그 방열부(22)는 개폐문(20a,20b)의 하측에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붕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일부를 파절한 예시도이다.
함체(10)는 상부 보호 및 지붕(30)과의 결합을 위한 상면판(12)을 구비한다.
그 상면판(12)은 내부 열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수 개의 방열공(11)을 갖는다.
지붕(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채워지지 않고, 그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면서,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고정체(40)를 그 지붕(30)의 내부 공간에 구비한다. 내부 공간을 갖도록, 지붕(30)은 판상의 금속을 성형한 것으로, 특히 지붕(30)의 처마 부위가 내부 공간을 향하여 접히도록 구현된다.
고정체(40)는 지붕(30)의 내부 공간에서 쌍을 이루는 교각 형상을 갖는다. 특히 고정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30)의 내부 공간 양측에 마주보게 상단에 부착되며, 그 고정체(40)의 하단 즉, 함체(10)의 상부에 결합할 부위에 부착편(41)이 구비된다.
상기한 고정체(40) 및 부착편(41)을 구비한 지붕(30)이 함체(10)와 결합할 시에는, 부착편(41)과 함체(10)의 상면판(12)이 보울트로써 고정된다.
지붕(30)이 상기한 고정체(40) 및 부착편(41)을 이용하여 함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공간(50)을 형성한다.
상기 방열공간(50)은 지붕(30)과 함체(10) 간에 이격되는 공간으로써, 지붕(30)의 하측 테두리 즉, 처마부위와 함체(10) 상면판(12) 둘레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배전반 함체의 벽면과 개폐문을 구성하는 흡음 겹판을 나타낸 예시도로써, 도 4a는 흡음 겹판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흡음 겹판의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또는 개폐문(20a, 20b)은 흡음 겹판(60,70,80)으로 구성된다.
흡음 겹판(60,70,80)은 내외부 판넬(60,80)과, 그들 사이의 흡음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판넬(60)과 요(凹)부를 갖는 내부 판넬(80)은 전기도금강판을 사용한다. 예로써, 내외부 판넬(60.80)로는 전기아연도금강판 (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70)는 흡음율(NRC)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며, 예로써 밀도가 어느 정도 높고 섬유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유리면, 암면, 스폰지, 폴리에스터 등이다.
그리고 흡음 겹판(60,70,80)은 상기 두 판넬들(60, 80) 사이 내면에 흡음재(70)을 밀착 적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흡음재(70)는 단열, 방열 및 방음(차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거기에, 본 발명에서는 내부 판넬(80)에 흡음/방음(차음)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요(凹)부를 형성시킨다. 그 요부의 형태는 함체(10)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는 구조로써, 부딛히는 소리나 진동을 상쇄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 내부 판넬(80)의 요부는 다수 홀들(81)이다. 즉, 요부는 내부 판넬(80)의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홀들(81)이다. 그리고 그 홀들(81)은 내부 판넬(80)에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홀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흡음 겹판(60,70,80)을 형성할 시에는, 사이에 흡음재(70)을 두고 두 판넬들(60, 80) 간을 밀착 고정시킨다. 그때 보울트와 너트를 사용하는데, 상기한 원형 홀의 일부는 상기 밀착 고정 시에 보울트가 관통하는 고정용 홀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흡음 겹판(60,70,80)의 밀착 고정의 여러 예들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흡음 겹판을 이루는 내외부 판넬과 흡음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외부 판넬(60)은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수 개의 너트(90a)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90a)는 외부 판넬(60)의 외곽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판넬(80)은 보울트(100a)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구비한다. 전술했듯이, 보울트(100a)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은 흡음/방음(차음)을 위해 형성된 홀들(81)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는 수배전반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보울트(100a)가 내부 판넬(80)의 하나의 홀을 관통하면서 외부 판넬(60)의 너트(90a)와 체결됨으로써, 흡음 겹판(60,70,80)이 밀착 고정된다.
도 5b는 도 5a의 밀착 고정 형태를 기본으로 하면서, 흡음 겹판(60,70,80)의 측부 테두리 근처에서의 결합을 예시한 것으로, 별도의 절곡부(110)를 사용하는 예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곡부(110)는 흡음 겹판(60,70,80)의 밀착 적층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 겹판(60,70,80)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고정한다. 그 절곡부(110)는 보울트(100b)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구비한다. 그리고 절곡부(110)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외부 판넬(60)은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수 개의 너트(90b)를 구비하며, 그 너트(90b)는 외부 판넬(60)의 외곽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 판넬(80)도 보울트(100b)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구비한다.
결국, 보울트(100b)가 절곡부(110)의 하나의 홀과 내부 판넬(80)의 하나의 홀을 관통하면서 외부 판넬(60)의 너트(90b)와 체결됨으로써, 흡음 겹판(60,70,80)이 밀착 고정된다.
도 5c는 흡음 겹판(60,70,80)의 측부 테두리 근처에서의 결합을 또한 예시한 것으로, 별도의 절곡부(110)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판넬(60) 자체적으로 끝단에 절곡편(61)을 구비하는 예이다.
도 5c의 예는 도 5b와 거의 동일한 결합 형태이나, 별도의 절곡부(110)를 대신하여 외부 판넬(60)의 끝단에 절곡편(61)을 구비한 예이다.
상기 절곡편(61)의 형성을 위해 외부 판넬(60)은 내부 판넬(80)에 비해 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다. 즉, 외부 판넬(60)의 외측 일부를 내부로 접히도록 형성한다. 그럼으로써, 외부 판넬(60)의 접히는 부분 중 내부 판넬(80)을 감싸는 부위가 절곡편(61)이 된다. 그 절곡편(61)은 보울트(100c)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구비한다.
외부 판넬(60)의 일부일 절곡편(61)은 흡음재(70)와 내부 판넬(80)의 테두리 를 감싸면서 그 흡음재(70)와 내부 판넬(80)을 외부 판넬(60)과 함께 고정시킨다.
이에 반하여, 상기 도 5b의 절곡부(110)는 흡음재(70)와 내부 판넬(80)는 물론 외부 판넬(60)까지 감싸면서 고정시킨다.
한편, 외부 판넬(60)은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수 개의 너트(90c)를 구비한다. 그 너트(90c)는 외부 판넬(60)의 외곽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나 절곡편(61) 보다 내측이면서 외부 판넬(60)의 접히는 부분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 판넬(80)도 보울트(100c)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구비한다.
결국, 보울트(100c)가 절곡편(110)의 하나의 홀과 내부 판넬(80)의 하나의 홀을 관통하면서 외부 판넬(60)의 너트(90c)와 체결됨으로써, 흡음 겹판(60,70,80)이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여러 예들에서 보울트(100a, 100b, 100c)가 흡음재(70)를 관통하도록 구현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흡음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흡음재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한다. 즉,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판넬(80)과 외부 판넬(60) 사이에 삽입되는 흡음재의 적어도 일면이 주름지거나 골이 지도록(corrugated) 형성한다. 즉, 흡음재의 적어도 일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도 6a는 흡음재가 요부와 돌출된 삼각탑 형상을 갖는 요철부로 형성되는 예 이다.
도 6b는 흡음재가 오목한 요부와 볼록한 돌출부를 갖는 웨이브 형상의 요철부로 형성되는 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흡음재의 표면 형상을 도 6a 내지 도 6b로만 한정하지는 않고, 본 발명으로부터 흡음재의 표면이 평면이 아닌 굴곡면을 갖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음재의 표면을 다양한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양면이 모두 평면인 흡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수배전반에 방음성(차음성)을 더 부여하여 수배전반의 심각한 소음을 더욱더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음재의 표면을 다양한 요철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흡음재에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20a,20b)에서 방열구(22)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와 상세도로써, 도 7a는 개폐문(20a,20b)의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흡음 겹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서 일 방열구(22) 부위(A)의 상세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개폐문(20a,20b)의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흡음 겹판도 외부 판넬(60a)과 흡음재(70a)와 내부 판넬(80a)로 구성된다.
특히 외부 판넬(60a)은 방열구(22)를 위한 돔형 개구부(60b)를 구비한다. 돔형 개구부(60b)는 하부에서 개구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올 수 있는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차단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돔형 개구부(60b)에 의해 도 8 과 같은 정면도 형상을 갖는다.
흡음재(70b)는 방열구(22)의 기능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방열구(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70b)을 구비한다. 특히, 그 관통 홀(70b)은 돔형 개구부(60b)의 돔의 직경 크기보다 작으며, 그 관통 홀(70b)은 돔형 개구부(60b)의 개구된 측에 배치된다. 즉, 도 7b에서와 같이 돔형 개구부(60b)에서 하부 측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예시된 방열구(22)의 형상에 맞춰서 흡음재(70a)의 관통 홀들(70b)을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내부 판넬(80a)도 방열구(22)의 기능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다수 관통 홀들(7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일정 간격의 다수 홀들을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판넬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한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열구(22) 부위에서는 함체(10) 내부로부터 내부 판넬의 홀과 흡음재의 관통 홀과 외부 판넬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까지 관통하는 통로가 구비된다.
추가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외부 판넬(60a)의 돔형 개구부(60b)의 개구 크기(D1)와, 흡음재(70a)의 관통 홀(70b)의 크기(D2)와, 돔형 개구부(60b)의 돔의 직경 크기(D3)가 하기한 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D1 < D2 < D3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 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전체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붕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일부를 파절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배전반 함체의 벽면과 개폐문을 구성하는 흡음 겹판을 나타낸 예시도로써, 도 4a는 흡음 겹판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흡음 겹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흡음 겹판을 이루는 내외부 판넬과 흡음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흡음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에서 방열구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판넬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판넬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배전반 함체 11 : 방열공
12 : 상면판 20a,20b : 개폐문
22 : 방열구 30 : 지붕
40 : 고정체 41 : 부착편
50 : 방열공간 60, 60a : 외부 판넬
60b : 돔형 개구부 60c :개구
61 : 절곡편 70, 70a : 흡음재
70b : 관통 홀 80, 80a : 내부 판넬
81 : 홀 90a,90b,90c : 너트
100a,100b,100c : 보울트 110 : 절곡부
130 : 내부 밑면 140 : 기기고정판
150 : 제1절연체 160 : 제2절연체

Claims (11)

  1. 수 개의 방열구(22)가 형성되는 개폐문(20a)(20b)을 양측에 가진 수배전반 함체(10); 그리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벽면 및 상기 개폐문(20a)(20b)을 구성하는 흡음 겹판(60,70,80)을 마련함에 있어서, 외부 판넬(60)과 요(凹)부를 갖는 내부 판넬(80)과 상기 두 판넬들(60, 80) 사이의 내면에 흡음재(70)을 밀착 적층하여 상기 흡음 겹판(60,70,80)을 구비하고,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면판(12)을 마련함에 있어서, 수 개의 방열공(11)을 갖는 상기 상면판(12)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30)의 내부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지붕(30)의 하측 테두리와 상기 상면판(12) 둘레 간에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방열공간(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상기 지붕(30)이 고정되면서 상기 방열공간(50)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붕(30)의 내부 공간 양측에 부착되는 고정체(40)와, 상기 고정체(40)의 하단에 부착편(41)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배전반 함체(10)의 상기 상면판(12)과 상기 부착편(41)을 보울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판넬(60)의 내면에 수 개의 너트(90a)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고, 보울트(100a)가 관통하는 수 개의 홀을 상기 내부 판넬(80)에 형성하여, 상기 보울트(100a)가 상기 내부 판넬(80)의 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너트(90a)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흡음 겹판(60,70,80)이 밀착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판넬(80)의 상기 요부는,
    상기 내부 판넬(80)의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일정 간격의 다수 홀들(8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겹판(60,70,80)의 밀착 적층을 위해, 상기 흡음 겹판(60,70,80)의 테두리를 감싸서 상기 외부 판넬(60)과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을 고정하는 절곡부(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의 테두리를 감싸서 상기 흡음재(70)와 상기 내부 판넬(80)을 고정하도록, 상기 외부 판넬(60)의 끝단에 절곡편(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70)의 적어도 일면이 굴곡면을 갖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20a,20b)의 상기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상기 흡음 겹판(60,70,80)에 사용되는 흡음재(70)는 상기 방열구(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70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20a,20b)의 상기 방열구(22)를 마련하기 위한 상기 흡음 겹판에서,
    상기 외부 판넬(60a)이 상기 방열구(22)를 위해 하부로 개구된 돔형 개구부(60b)를 구비하고, 상기 흡음재(70a)가 상기 방열구(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다수 관통 홀들(70b)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판넬(80a)이 상기 다수 관통 홀들(7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면에서 내면까지 관통하는 일정 간격의 다수 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판넬(60a)의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개구 크기가 D1, 상기 흡음재(70a)의 관통 홀(70b)의 크기가 D2, 그리고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돔의 직경 크기가 D3일 때, D1 < D2 < D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 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70a)의 관통 홀(70b)은 상기 돔형 개구부(60b)의 상기 하부 개구된 측(60c)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KR1020070105682A 2007-10-19 2007-10-19 수배전반 KR10093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682A KR100936010B1 (ko) 2007-10-19 2007-10-19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682A KR100936010B1 (ko) 2007-10-19 2007-10-19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084A true KR20090040084A (ko) 2009-04-23
KR100936010B1 KR100936010B1 (ko) 2010-01-11

Family

ID=4076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682A KR100936010B1 (ko) 2007-10-19 2007-10-19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0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13B1 (ko) * 2012-09-05 2014-06-0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KR102111421B1 (ko) *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승압 또는 강압의 변전기능을 수행하는 옥내 변전소용 방음 방폭 설비
KR102118985B1 (ko) * 2019-04-15 2020-06-05 주식회사 엘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및 ess용 도어개폐 시스템
CN111490622A (zh) * 2020-05-25 2020-08-04 安徽诚诚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发电机的多功能箱体组件
CN111786268A (zh) * 2020-07-14 2020-10-16 山东中科智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减噪功能的实验室电力设备
KR2020013445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KR102419778B1 (ko) * 2021-12-06 2022-07-12 (주)일강케이스판 외면에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어 표면적을 넓혀 방열성을 향상하는 접속반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751B1 (ko) * 2010-10-19 2012-07-09 박선용 옥외 배전반용 지붕 패널
KR102027870B1 (ko) 2018-01-18 2019-11-14 송기현 수배전반 함체
KR102239612B1 (ko) * 2019-10-28 2021-04-13 (주)대우건설 방음 엘리베이터 제어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34A (ja) * 1998-06-23 2000-01-14 Nissin Electric Co Ltd 屋外形スイッチギヤ
KR200293430Y1 (ko) * 2002-07-24 2002-10-30 (주) 에스아이이 수배전설비용 큐비클의 단열패널
KR100705284B1 (ko) *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13B1 (ko) * 2012-09-05 2014-06-03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KR102118985B1 (ko) * 2019-04-15 2020-06-05 주식회사 엘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및 ess용 도어개폐 시스템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KR2020013445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KR102111421B1 (ko) *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승압 또는 강압의 변전기능을 수행하는 옥내 변전소용 방음 방폭 설비
CN111490622A (zh) * 2020-05-25 2020-08-04 安徽诚诚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发电机的多功能箱体组件
CN111786268A (zh) * 2020-07-14 2020-10-16 山东中科智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减噪功能的实验室电力设备
CN111786268B (zh) * 2020-07-14 2021-10-26 山东中科智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减噪功能的实验室电力设备
KR102419778B1 (ko) * 2021-12-06 2022-07-12 (주)일강케이스판 외면에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어 표면적을 넓혀 방열성을 향상하는 접속반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010B1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10B1 (ko) 수배전반
WO2020110624A1 (ja) 電気機器用ケース及び電力制御装置
US20190124800A1 (en) Conductive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of Use
CN109256700A (zh) 箱式变电站散热系统
US20090278428A1 (en) Introduced in Cabinet to Hous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JP201103525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474729B1 (ko) 이중함체 변압기
KR100936012B1 (ko) 수배전반
KR100944495B1 (ko) 옥외함체용 단열부재
JP2017118609A (ja) 電気機器収納箱
KR20080036034A (ko) 저소음 이중외함변압기
CN212304382U (zh) 一种静音式高压低压预装式变电站
CN211238895U (zh) 一种防昆虫的高压开关柜
CN210984439U (zh) 一种箱式变压器
CN211201271U (zh) 一种集装箱门框及集装箱
CN107171260A (zh) 一种分接箱
RU61493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WO2023079790A1 (ja) 配電盤
US9824814B2 (en) Acoustic panels for transformers
RU2310960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CN211201274U (zh) 一种设备集装箱
CN213782523U (zh) 一种带有降噪系统的变电站
KR20140077269A (ko) 내진성이 향상된 전자기펄스 방호용 랙
CN219087518U (zh) 一种中央控制板安装盒
CN220043932U (zh) 一种防水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