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07Y1 -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07Y1
KR200156707Y1 KR2019960015641U KR19960015641U KR200156707Y1 KR 200156707 Y1 KR200156707 Y1 KR 200156707Y1 KR 2019960015641 U KR2019960015641 U KR 2019960015641U KR 19960015641 U KR19960015641 U KR 19960015641U KR 200156707 Y1 KR200156707 Y1 KR 200156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tance
fixing
fixed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90U (ko
Inventor
장재우
장치용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2019960015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07Y1/ko
Publication of KR980003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설비되는 각종 파이프관을 배관할 시 배관되는 파이프를 지지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킴에 있어 파이프를 고정지지시키는 건축물의 골조부가 평활하지 않은 경우, 즉 골조표면과 배관용 파이프의 간격이 고정부위별로 상이한 경우에도 파이프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도록 고정부위별로 골조표면으로부터 배관파이프까지의 이격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골조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위치에서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골조표면에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골조표면에 고정되는 부착구와, 그 내벽면들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1쌍의 반원형홀더 사이에서 파이프를 감싸 잡아주도록 서로 체결되는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부착구와 파이프지지부를 연결하면서 그 거리를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리조절수단으로 구성하여 고정부위별로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되는 파이프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거리조절수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지지부를 이동시켜 파이프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이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기술에 관한 도면으로서,
(a)도는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새들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b)도는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철물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에 관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해 배관용 파이프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의 작동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과 배관용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해 배관용 파이프가 벽면에 고정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파이프 2 : U자형판고리
3, 3' : 플랜지부 4, 4': 벽면
5, 5' : 지지나사 6 : 나사홈
7 : U자형선고리 8 : 상판
9 : 구멍 10 : 너트
11 : 부착구 12 :부착판
13 : 원추형받침부 14 : 구멍
15 : 고정나사 16 : 거리조절관
17 : 결합구멍 18 : 나사결할돌출부
19 : 나사구멍 20 : 조절나사
21 : 파이프지지부 22 : 거리조절봉
24a, 24b : 플랜지부 25 : 지지폴트
26 : 너트 27 : 벽면
28 : 파이프
[고안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건축물에 설비되는 각종 파이프관을 배관할 시 배관되는 파이프를 지지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킴에 있어 파이프가 고정되어지는 건축물의 골조부가 평활하지 않은 경우, 즉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용 파이프의 간격이 고정부위별로 상이한 경우에도 파이프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도록 고정부위별로 건축물의 골조표면으로부터 배관파이프까지의 이격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건축물내에 설비되는 가스관 각종 파이프관을 배관할 시 배관되는 파이프를 지지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킴에 있어 파이프가 고정되어지는 건축물의 골조부가 평활하지 않은 경우, 즉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용 파이프의 간격이 고정부위별로 상이한 경우에도 파이프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도록 고정부위별로 건축물의 골조표면으로부터 배관파이프까지의 이격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건축물내에 설비되는 가스관·상수도관·배수관·유류공급관 또는 보일러관등 각종 파이프를 건축물의 골조부에 배관할 시, 주로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시공하게 된다. 어러한 경우, 배관되는 파이프들을 벽체 또는 바닥에 고정지지시켜야 하는데, 이때 파이프를 고정지지시킴에 있어 별도의 고정철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먼저 파이프를 보호층으로 감싼 다음, 그 고정철물을 건축물의 골조부 주로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파이프를 배열하여 그 고정출물내에 수용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파이프를 배관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제1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새들(saddle)이 있으나, 이러한 새들은 파이프(1)를 감싸주는 U자형판고리(2)와, 상기 U자형판고리(2)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일체로 직각 연장되는 1쌍의 플랜지부(3)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U자형판고리(2)의 내면과 벽면(4)의 사이에 배관용 파이프(1) 를 위치시킨 다음에 그 파이프(1)의 외주면을 상기 U자형판고리(2)의 내면과 벽면 (4)사이에서 압박되도록 상기 1쌍의 플랜지부(3)를 지지나사(5)로 벽면(4)에 고정 부착시켜서 배관용 파이프(1)를 벽면(4)에 밀착되게 지지고정시키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는 제1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철물이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철물은 그 중간부가 파이프(1')를 감싸주며 양끝단부에는 나사홈(6)들이 형성된 U자형선고리(7)와, 찬넬형상을 가지는 상판(8)에 상기 1쌍의 U자형선고리(7)가 끼워지는 구멍(9)들이 형성되고 그 측면들이 직각으로 연장되어서 벽면(4')에 부착되는 1쌍의 플랜지부(3')와, 상기 상판(8)의 구멍(9)에 U자형선고리(7)가 끼워지며, 상기 나사홈(6)에 결합되는 너트(10)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철물은 먼저 배관용 파이프(1)를 고정시킬 벽면의 위치에 상기 플랜지부(3')를 지지나사(5')로 부착시킨 후, 배관용 파이프(1)를 U자형선고리(7)에 감싸도록 끼우고, 다시 나사홈(6)이 형성된 V자형선고리(7)의 양끝단부들을 상판(8)에 형성된 구멍(9)들에 관통시켜 끼운 다믐에, 파이프(1')의 외주면을 상기 U자형선고리(7)의 내면과 상판(8)사이에서 압박되도륵 상기 너트(10)들을 회동시켜 배관용 파이프(1')가 U자형선고리(7)의 내면과 상판(8)사이에서 고정되어 벽면(4')에 밀착시켜 파이프플 지지고정시키는 형태로 사용하고 일다.
(종래기슬의 문제점 )
그러나, 상기 제1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진 종래의 새들은 콘크리트등으로 성형된 건축물의 골조부가 그 표면의 수직도 및 수평도가 일정치 않을 경우, 즉 울퉁불퉁할 경우 그 골조표면과 배관용 파이프의 간격이 처음에는 그 간격이 그리 크지 않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간격은 대단히 커지게 되므로 이 때 배관되는 파이프의 길이가 길면 파이프예 무리한 힘을 가한 상태, 즉 파이프를 휜 상태에서 벽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새들을 고정시킬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첫째 배관용 파이프를 벽면에 부착시켜 지지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설치벽면이 울퉁불퉁할 경우에는 파이프가 일직선상으로 배관되지 못하여 파이프를 휘게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벽면에 새들을 고정시키는 지지나사가 휘어진 파이프의 원상회복하려는 휨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고정 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빠지게 되므로, 새들에 고정된 파이프가 고정부위에서 이탈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계점이 있으며, 둘째, 특히 배관되는 관이음부가 국부적으로 무리한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결국에는 관이음부의 기밀이 저하되거나 심하면 파손되어서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물질 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과, 셋째, 배관용 파이프가 벽면에 밀착되도록 새들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에는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파이프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벽체에 박힌 나사를 뽑아 새들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상 어려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1도의 (a)도에 도시된 새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또 다른 종래기술조서 제1도의 (b)도에 도시된 고정철물이 있는데, 이러한 고정철물은 배관용 파이프를 벽면등에 밀착시켜 지지시키지 않고 벽면등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제1도의 (a)도에 도시된 새들이 갖고 있는 설치작업상의 어려움과 설치벽면이 울퉁불퉁하여서 파이프를 일직선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계점을 어느 정도는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철물도 건축물 골조표면의 수직도나 수평도가 일정치 않을 경우에는 파이프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파이프를 휜 상태로 고정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상기한 새들의 문제점과 별다를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첫째, 휘어진 파이프의 원상회복하려는 휨응력을 견디지 못하여 파이프가 고정부위로부터 이탈될 수 밖에 없는 문계점이 있으며, 둘째, 배관되는 관이음부분이 부분적으로 무리한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야기되는 관이음부의 연결상태가 헐거워짐으로 인하여 관내부를 흐르는 유체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그대로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특히 가스 및 유류관 배관에 있어서,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물질이 가스 또는 유류등의 인화성물질로서 그 유체물질의 외부유출은 곧바로 화재 및 폭발사고의 가능성을 갖고 있어 그 결과 건물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물론 주변사람들의 생명과 재산까지도 앗아가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에 설비되는 파이프를 배관함에 있어, 건축물의 골조표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이격되어진 위치에서 파이프를 일직선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되는 파이프와의 간격에 상관없이 파이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골조표면에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첫째, 건축물에 파이프를 배관함에 있어 설치부위의 골조표면이 울퉁불퉁한 경우에도 파이프를 일직선상으로 배관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째,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되는 파이프와의 간격이 일정치 않더라도 고정되는 골조표면으로부터 파이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파이프에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즉 파이프를 휘게 하지 않고서도 파이프를 골조표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작업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정구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대별하면 부착구(11)와 파이프지지부(21)로 구별되는데. 벽면(27)에 고정되는 부착판(12), 상기 부착판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추형받침부(13), 상기 원추형받침부로부터 관통되어 연장된 거리조절관(16), 상기 거리조절관 단부상단에 수직으로 관통되어진 나사구멍(19)이 있는 나사결합돌출부(18)를 형성한 부착구(11)와, 그 내벽면들이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그 사이에 끼워지는 파이프(28)를 감싸 잡아주는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 상기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내로 끼워져 신축이동할 수 있는 일측 반원형홀더(23a)로부터 연장돌출된 거리조절봉(22)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지지부(21)로 구성되어, 상기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내로 파이프지지부 (21)의 거리조절봉(22)을 삽입시켜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파이프사이의 간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되는 거리조절수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지지부(21)의 거리조절봉(%)의 위치를 이동시켜, 조절나사(20)를 나사구멍(19)에 결합하여 거리조절봉(22)의 표면을 조여줌으로써 벽면(27)에 파이프(28)를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구성상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제5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파이프가 건축물의 골조표면에 고정설치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상기 배관용 파이프(28)를 고정시키는 벽면(27)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부착구(11)를 고정부착시킨 후, 상기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에 파이프지지부(21)의 거리조절봉(22)을 삽입하여 연결시킨 다음, 상기 파이프지지부(21)를 벽면(27)으로부터 파이프(28)가 배관되는 적합한 위치로 거리조절수단의 신축을 통하여 이동시켜 조절나사(20)로 고정시킨 후, 상기 파이프지지부 (21)의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가 상기 파이프(28)를 감싸 잡아주도록 플랜지부(24a)(24b)를 서로 체결하여 벽면(27)에 파이프(28)를 고정지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부착구(11)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부착판(12)과 그 양측변의 내측에는 구멍(1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판(1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파이프슬 고정시킬 벽면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판(12)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구멍(14)들에 고정나사(15)들을 끼워, 벽면(27)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부착구(11)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부착판(12)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원추형받침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원추형받침부(13)로부터 연장되어 결합구멍(17)이 관통된 거리조절관(16)과, 상기 거리조절관의 단부상단에 수직으로 관통되어진 나사구멍(19)이 있는 나사결합 돌출부(18)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19)에 조절나사(20)를 끼워 조여줌에 따라 거리조절관(16)내에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지지부(21)의 거리조절봉(22)의 표면을 지지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받침부(13)는 파이프지지부(21)의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에 의하여 감싸 잡아주는 배관용 파이프(28)의 하중을 거리조절봉(22)과 거리조절관(16)으로부터 일부 전달받아 골조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부착판(12) 전체에 걸쳐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원추형받침부(13)는 고정되는 배관용 파이프(28)가 상대적으로 무겁더라도 골조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부착판(12)에 그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전달하여 주므로 배관된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지지부(21)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들이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플랜지부(24a)(24b)에서 지지볼트(25) 및 너트(26)의 체결에 의하여 상호결합시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그 내벽면들 사이에 끼워지는 파이프(28)를 감싸 잡아 주게 되며, 또한 일측 반원형홀더(23)의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거리조절봉(22)이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의 결합구멍(17)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이프지지부(21)는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파이프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다음 플랜지부(24a)(24b)에서 서로 체결됨으로 배관용파이프를 파이프지지부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그 단면이 배관용 파이프의 단면과 동일한 원형의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 파이프를 견고하게 감싸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부착판(12)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원추형받침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원추형받침부(13)로부터 연장되어 결합구멍(17)이 형성된 거리조절관(16)과 상기 거리조절관의 단부상단에 수직으로 관통되어진 나사구멍(13)을 형성하는 나사결합돌출부(18)를 형성하며, 파이프지지부(21)의 일측 반원형 홀더(23a)의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거리조절봉(22)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봉(22)이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배관되는 파이프사이의 간격에 따라 거리조절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나사구멍(19)에 조절나사(20)를 끼워 조여줌에 따라 거리 조절봉(22)의 표면을 고정시켜 배관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일직선상으로 배관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리조절수단은 거리조절관(16)내로 거리조절봉(22)을 삽입이동시켜 그 거리조절봉(22)에 연결된 파이프지지부(21)를 길이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절하여서 골조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진 배관용 파이프의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골조부 표면의 수직도나 수평도가 일정치 않더라도 배관되는 파이프를 원형 그대로의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배관되는 관이음 부분에 무리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관이음부분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부분과 파이프지지부(21)의 거리조절봉(22)부분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서, 즉 부착구에 거리조절봉을 파이프지지부에 거리조절관을 치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간격조정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부착판의 밑면으로부터 나사결합돌출부까지의 거리조절관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수도 있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는 배관되는 파이프의 설치위치가 골조표면으로부터 일정치 않더라도 자유자재로 그 거리를 조절하여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서 파이프 고정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관이음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킨 상태로 계속적으로 유지케 하는 기본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첫째, 건축물의 골조표면이 평활하지 않을 경우, 즉 고정구의 설치위치에 따라 배관용파이프가 골조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아닌 경우에 거리조절수단을 통하여 파이프지지부를 길이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절하여서 고정하기 때문에 건축물 골조표면의 수직도나 수평도가 일정치 않더라도 배관되는 파이프를 원형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서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배관되는 관이 음부분에 무리한 인장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그로 인하여 관이믐부에서 관내부의 유체물질이 누출되지 않는 사고 예방의 효과가 있다.
둘째, 배관용 파이프를 골조표면에 밀착시키지 않고서도 골조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인하여 파이프 고정설치작업이 용이한 효과도 함께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살퍼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구체화하거나 부가하는 기술구성들을 통하여 그에 따른 소망의 효과를 얻도록 변경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Claims (4)

  1. 벽면(27)에 고정되는 부착판(12), 상기 부착판의 중앙부로부터 관통되어 연장된 결합구멍이 형성된 거리조절관(16), 상기 거리조절관 상단에 나사구멍(19)이 형성되어진 부착구(11)와, 내벽면들이 반원형으로 그 사이에서 파이프(28)를 감싸 잡아 주는 1쌍의 반원형홀더(23a)(23b), 상기 일측 반원형홀더(23a)로부터 연장돌출된 거리조절봉(22)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지지부(21)로 구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봉 (22)이 부착구(11)의 거리조절관(16)내로 삽입되어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파이프사이의 간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되어 조절나사(20)에 의하여 나사구멍(19)에서 조여주는 거리조절수단을 통하여 파이프(28)를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11)과 거리조절관(16) 사이에는 원추형받침부(13)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관(16) 단부상단에 수직으로 관통되어진 나사구멍(19)이 있는 나사결합돌출부(1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부착구(11)쪽에 거리조절봉(22)을 형성하고, 파이프지지부(21)쪽에 거리조절관(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2019960015641U 1996-06-13 1996-06-13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200156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641U KR200156707Y1 (ko) 1996-06-13 1996-06-13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641U KR200156707Y1 (ko) 1996-06-13 1996-06-13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90U KR980003990U (ko) 1998-03-30
KR200156707Y1 true KR200156707Y1 (ko) 1999-09-01

Family

ID=1945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641U KR200156707Y1 (ko) 1996-06-13 1996-06-13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89B1 (ko) * 2006-04-27 2007-02-15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의 노면침투수 배수처리장치
KR101919234B1 (ko) * 2017-05-22 2018-11-16 이경철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49B1 (ko) * 2005-12-03 2007-08-30 삼정크린마스터(주) 브러시 겸용 물걸레 청소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89B1 (ko) * 2006-04-27 2007-02-15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의 노면침투수 배수처리장치
KR101919234B1 (ko) * 2017-05-22 2018-11-16 이경철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9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4175A (en) Pipe supports and hanger
AU658464B2 (en) Pipe coupling
US2628799A (en) Supporting bracket for water pipe fittings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US5141633A (en) Replacement roof drain insert coupling
KR930004673A (ko) 파이프와 배관 및 그 파이프 고정 방법
KR200156707Y1 (ko)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10101227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102264918B1 (ko)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KR102063981B1 (ko) 배관용 행거장치
KR102277788B1 (ko) 배관 지지대
JP3084657B2 (ja) 耐震配管継手
KR920003741Y1 (ko) 세면기의 배수 및 고정장치
KR19980038718U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2936992B2 (ja) 鉄骨梁貫通部の設備配管の施工方法および鉄骨梁貫通部の設備配管固定具
CN216143363U (zh) 一种单管四向抗震支架
JP2023183714A (ja) 暗渠の継手
KR102360113B1 (ko) 가지배관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
JP2010084498A (ja) 排水竪管の支持構造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223565Y1 (ko) 스프링클러헤드용 배관연결장치
JPH06201071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管固定装置
JP3942676B2 (ja) 管接続装置
JP2003027536A (ja) 免震構造物における給水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