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26B1 -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826B1
KR102200826B1 KR1020200102575A KR20200102575A KR102200826B1 KR 102200826 B1 KR102200826 B1 KR 102200826B1 KR 1020200102575 A KR1020200102575 A KR 1020200102575A KR 20200102575 A KR20200102575 A KR 20200102575A KR 102200826 B1 KR102200826 B1 KR 10220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ignal
emergency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장원
Original Assignee
(주)세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0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0Exchange station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도로 통로 등에 설치되는 공용조명등의 점멸을 신체 감지센서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와 병렬로 단지를 관리하고 있는 단지의 관리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경보장치와 연결하여 화재의 경보가 발령됨과 동시에 공용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평소에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 등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하여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됨은 물론 특히 무선 통신을 위한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갖춘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Apartment lighting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 중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도로 통로 등에 설치되는 공용조명등의 점멸을 신체 감지센서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와 병렬로 단지를 관리하고 있는 단지의 관리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경보장치와 연결하여 화재의 경보가 발령됨과 동시에 공용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평소에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 등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하여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됨은 물론 특히 무선 통신을 위한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갖춘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에서의 전기에너지는 인류사회에서는 소중한 인간의 필수 에너지로, 많은 기기에 전기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설비 부하에 비해 전력량은 늘어나고 있어, 하루에도 몇 건씩 전기로 인한 화재가 발생되고 있다.
화재는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발생되기 때문에 순식간에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가 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매일 생활하고 출입하는 익숙한 장소라도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와 정전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출입문을 찾지 못한다.
화재로 야기되는 다양한 방해요소들로 인해 방향성을 잃고 탈출구를 찾지 못하여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85167]에서는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한정된 면적에 보다 많은 인구를 수용하는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화재시 그 피해가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50745호(2019.02.15.)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복도로 통로 등에 설치되는 공용조명등의 점멸을 신체 감지센서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와 병렬로 단지를 관리하고 있는 단지의 관리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경보장치와 연결하여 화재의 경보가 발령됨과 동시에 공용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평소에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 등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하여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됨은 물론 특히 무선 통신을 위한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갖춘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화재를 포함한 비상사태시 관리사무소(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조명등을 비상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유선으로 송신하는 제1비상점등제어부(210)와; 상기 제1비상점등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공용조명등을 점멸하는 수신점등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점등제어부(300)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310)와; 상기 이동감지부(3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원제어부(330)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증폭부(320)와; 상기 신호증폭부(320) 및 스위칭부(212)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공용조명등(410)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330)는 상기 신호증폭부(320) 및 스위칭부(212)의 신호를 받아 상용전원을 센서에 의한 점등 상태에서 비상신호에 의한 점등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릴레이(331)와; 상기 공용조명등이 점등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등이 소등되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332);를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공용쉼터나 놀이터에 설치된 가로등(1100)을 고정하는 가로등주(1200)에 카메라베이스(CB)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는 360°회전가능하며 상기 관리사무소(51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는 방범카메라(CCD)가 설치되며,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몸체 상면에는 방범카메라(CCD)와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LAP)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의 하단면에는 스피커(SPK)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LAP)와 함께 음성으로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로등주(1200)에는 약액노즐(130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약액노즐(1300)을 통해 방제, 방충용 약액이 자동적으로 분무되게 하여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 가로등(1100)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액노즐(1300)은 상기 가로등주(1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11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로등주(1200)의 하측에는 약액통(14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통(1400)에는 펌프(1500)와 컨트롤러(160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150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1700)가 배관되고, 상기 공급호스(1700)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1300)에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1700)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 및 펌프(15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상기 약액노즐(1300) 하측 가로등주(1200) 상에는 상기 관리사무소(510)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1900)가 구비되고, 상기 등주통신부(19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와 연결되며;
상기 공동주택의 임의 옥상에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더 설치하되, 상기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은 고정블럭(3000); 상기 고정블럭(3000)의 양측면 상측에 각각 고정된 편상의 고정브라켓(3200);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겹쳐지게 배치되고 회전축(3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유동편(3300); 상기 회전유동편(3300)에 회전축(3400)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호 형상의 안내슬릿(3500); 상기 안내슬릿(3500)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3200)에 체결되면서 상기 안내슬릿(3500)을 위치고정하는 조임볼트(3600);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고정된 메인고정판(3700);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원중심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쉬(3800); 상기 부쉬(3800)에 끼워지고 메인고정판(3700)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3700)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3920)에 의해 고정되는 통축(3900); 상기 통축(3900)의 반대단에 일체로 고정된 위성안테나통(4000); 상기 위성안테나통(400)을 마주보는 부쉬(3800)의 일측면에 구비된 탄성끼움구(4100); 탄성끼움구(4100)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4000)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탄성끼움구(4100)가 탄성걸림되게 구비된 걸림홈(4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도로 통로 등에 설치되는 공용조명등의 점멸을 신체 감지센서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이와 병렬로 단지를 관리하고 있는 단지의 관리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경보장치와 연결하여 화재의 경보가 발령됨과 동시에 공용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평소에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 등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하여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됨은 물론 특히 무선 통신을 위한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갖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관리사무소에서 비상점등을 위한 전원을 직접 전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메라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연계되어 가로등 주변을 방제, 방충 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해충 박멸용 하수구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은은 도 7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기지국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에서 화재나 기타 비상상황 발생시 공용조명등을 점등시킴으로써 해당지역의 조명과 함께 비상상태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용조명등 제어시스템이다.
예컨대, 제1비상점등제어부(210)에서 비상점등신호를 비상신호선(E)을 통하여 전원제어부(33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원제어부(330)의 릴레이(331)를 동작시켜 공용조명등(410)을 센서등의 상태에서 비상등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파트 단지에는 관리사무소를 두고 있다. 아울러 이 관리사무소(510)에서는 단지나 건물의 상황을 체크하여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경보하고 또 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화재경보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관리사무소(510)와 각 건물(551, 552, 553)은 유선(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 전기공급중단, 기타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관리사무소(510)에는 제일 먼저 이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시 이를 인지하고 공용조명등을 센서등에서 비상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제1비상점등제어부(210)와; 상기 제1비상점등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이동감지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공용조명등을 점멸하는 수신점등제어부(30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비상점등제어부(210)는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감지전원입력부(211)와; 상기 제1감지전원입력부(21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원제어부(330)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부(212)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비상신호선(E)을; 포함한다.
상기 제1비상점등제어부(210)는 보통 각 건물의 지하 혹은 1층에 설치되어 있고, 관리사무소의 화재감지장치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리사무소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장치는 주수신기, 화재속보기, 소화설비 등과 같은 여러가지 설비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를 모두 합쳐 화재감지장치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점등제어부(300)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310)와; 상기 이동감지부(3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원제어부(330)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증폭부(320)와; 상기 신호증폭부(320) 및 스위칭부(212)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공용조명등(410)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330)는 상기 신호증폭부(320) 및 스위칭부(212)의 신호를 받아 상용전원을 센서에 의한 점등 상태에서 비상신호에 의한 점등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릴레이(331)와; 상기 공용조명등이 점등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등이 소등되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관리사무소(510)에는 화재나 비상사태를 체크하고 경고하는 화재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1비상점등제어부(210)의 제1감지전원입력부(211)는 이러한 화재감지장치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최종적인 조치를 하는 출력 제어단자(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전원입력부(211)의 후단에는 스위칭부(212)가 연결된다.
따라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관리사무소(510)에 설치된 화재감지장치에서 비상사태가 검출되면 소화 및 경보를 위해 건물에 설비된 각종 자동화설비를 작동시키도록 최종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렇게 제어된 최종전원은 제1감지전원입력부(211)로 입력되어 스위칭부(212)을 작동시킴으로써 비상등 점등신호를 비상신호선(E)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비상점등제어부(210)는 건물의 관리사무소에 설치된 화재감지장치에 연결되어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점등신호를 수신점등제어부(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수신점등제어부(300)의 이동감지부(310)는 건물의 통로나 복도 등에 설치된 공용조명등의 주위에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이동감지부(310)에서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후단의 신호증폭부(320)로 이동감지신호를 보내고 신호증폭부(320)에서는 이를 구동용(driving) 신호크기로 증폭하여 후단의 전원제어부(330)로 출력하게 된다.
비상점등신호를 전송할 경우, 이 신호는 관리사무소(510)와 각 아파트단지(551,552, 553)를 연결하는 화재감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선로를 통해 제1비상점등제어부(210)로 전달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1비상점등제어부(210)가 이를 비상신호선(E)을 통해 수신점등제어부(300)로 전송하면, 상기 비상신호는 수신점등제어부(300)의 전원제어부(330)로 수신된다.
상기 전원제어부(330)에 비상점등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제어부(330)는 전원입력을 스위칭시켜 제어함으로써 공용조명등(410)을 점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전원제어부(330)는 공용조명등(410)을 신호증폭부(320) 및 제1비상점등제어부(210)의 출력신호가 끊긴 경우에도 타이머(352)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소등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건물의 공용조명등(410)의 주위에 사람의 이동이 감지될 때는 물론이고, 화재 등 건물에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관리사무소 등에서 전송된 비상신호에 의해 건물의 각 층별 위치별 다수 설치된 공용조명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각지역, 혹은 공동주택의 공동쉼터나 놀이터 등에서 특히, 야간에 혹시 발생할지모를 성추행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 3의 예시와 같이, 가로등(1100)을 활용하여 방범할 수 있도록 추가 구성된다.
즉, 가로등주(1200)의 일정 높이에는 카메라베이스(CB)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는 방범카메라(CCD)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몸체 상면에는 방범카메라(CCD)와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LAP)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포인터(LAP)는 출사력이 높아 색상이 선명하고 두꺼운 레이저가 출사되도록 구성하여 방범카메라(CCD)를 움직여 표적에 조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관리사무소(510)에서 직접 제어 가능하며, 이를 위해 관리사무소(510)는 방범카메라(CCD)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관리사무소(510)란 관리사무소에 설치된 관리서버를 의미한다. 물론, 상주하는 사람이 모니터링한 후 관리서버를 조작할 수 있다.
이렇게 레이저포인터(LAP)를 설치한 이유는 방범카메라(CCD) 만으로는 영상만 찍힐 뿐 가시적으로 위협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타겟에 조준하는 느낌을 주어 범행을 방지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방범카메라(CCD)는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서 360°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방범 범위를 매우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베이스(CB)의 하단면에는 스피커(SPK)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LAP)와 함께 음성으로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취약 지역에서의 방범 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황실에서 방범카메라(CCD)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경우, 후술되는 약액노즐(1300)로부터 카메라렌즈가 더럽혀 지지 않도록 충분히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간격은 상하 뿐만 아니라, 돌출시킨 정도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로등(1100)에는 상기 관리사무소(510)와 연계하여 하절기 자동 방제, 방충 작업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에서와 같이, 가로등(1100)을 고정하는 가로등주(1200)에 약액노즐(1300)을 설치하고, 이 약액노즐(1300)을 통해 방제, 방충용 약액이 자동적으로 분무되게 하여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 가로등(1100)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병,해충은 주로 하절기에 급증하기 때문에 병,해충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하절기, 이를 테면 5월부터 9월 사이에만 자동 분무하여 살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가로등(1100)의 경우, 빗물로부터 가로등(1100)을 보호하기 위해 그 상부에 설치된 빗물커버(1110)의 내주면에 예시와 같은 삼각반사판(1112)을 설치하여 가로등(1100)에서 발광하여 조사된 빛이 다시 가로등(1100)을 향해 대부분 반사되게 하여 가로등(1100)의 휘도를 높게 함으로써 주변을 더욱 밝게 하면서 멀리에 있는 병,해충까지 유인하는 효과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1300)은 상기 가로등주(1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11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가로등(1100)의 하부에 불빛을 보고 모여든 수많은 병,해충에 직접 약액을 분무하여 살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가로등주(1200)의 하측에는 약액통(14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통(1400)에는 펌프(1500)와 컨트롤러(160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150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1700)가 배관되는데, 상기 공급호스(1700)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1300)에 접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호스(1700)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 및 펌프(15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1300) 하측 가로등주(1200) 상에는 상기 관리사무소(510)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1900)가 구비되고, 상기 등주통신부(19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와 연결된다.
따라서, 관리사무소(510)에서 방제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등주통신부(1900)를 통해 컨트롤러(1600)가 수신 후 펌프(1500)와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의 가동을 제어하여 방제, 방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만 방제모드가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약액통(1400)의 둘레 하측에는 약액검출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컨트롤러(1600)에 연결되어 약액이 떨어졌음을 감지하여 관리사무소(510)로 보충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약액이 떨어지면 방제모드는 자동 종료되고, 생활모드로 전환된다.
생활모드는 약액을 분무하는 것을 중단하고, 가로등 기능만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는 약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차를 두고 개폐를 반복하면서 공급과 중단을 단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약액노즐(1300)에서 푹푹하고 단속적인 분무가 이루어지게 하여 맥동을 일부러 유발시킴으로써 살충반경을 넓게 하고 약액은 비산거리를 높이도록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약액노즐(1300)을 독특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약액노즐(1300)은 원통형상의 노즐본체(1310)와, 상기 즐본체(1310)의 둘레 일부에 경사 형성되어 양액을 분무할 수 있는 상방경사공(1312)과, 상기 상방경사공(1312) 반대쪽에 형성되어 공급호스(1700)가 접속되는 호스접속단(1360)과, 상기 노즐본체(1310)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가로등주(120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부(1320)와, 상기 고정나사부(1320) 반대단에 형성된 개방부(1330)와, 상기 개방부(1330)에 체결되어 밀폐하며 전방분무공(1342)을 갖는 전방마개(1340)와, 상기 노즐본체(1310) 속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호스접속단(1360)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맞춤그루브(G1)를 둘레면에 구비한 유동자(1350)와, 상기 맞춤그루브(G1)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방경사공(1312)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연장그루브(G2)와, 상기 유동자(1350)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인 챔버(1352)와, 상기 맞춤그루브(G1) 및 챔버(1352)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L1)와, 상기 챔버(1352) 및 상기 전방분무공(1342)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L2)와, 상기 전방마개(1340)와 유동자(13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SPR)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약액이 공급되기 전에는 스프링(SPR)에 의해 유동자(1350)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맞춤그루브(G1)와 호스접속단(1360)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약액은 먼저 이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된다.
약액이 채워질수록 수압이 증가하고, 증가된 수압은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을 이기고 스프링(SPR)을 압축하면서 유동자(1350)를 이동시킨다.
물론, 이때 제1유로(L1)를 통해 약액의 일부는 챔버(1352)에 채워지는데, 이 경우에도 제1유로(L1)는 매우 가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약액, 바람직하게는 2/3의 약액이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되고, 나머지 1/3의 약액만 챔버(1352)로 공급된다.
그리고, 챔버(1352)에 공급된 약액은 제2유로(L2)를 통해 전방분무공(1342)으로 분무되어 전방 방제, 방충작업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에 의해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분무는 연속적이 아닌 단속적, 즉 푹푹하고 분무되게 된다.
한편, 유동자(1350)가 전진하면 연장그루브(G2)가 상방경사공(1312)과 연통되게 되므로 이때 약액은 상방인 가로등(1100)을 향해 분무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푹푹하고 분무되는데, 이는 유동자(1350)가 좌우방향으로 심하게 유동되기 때문이다.
즉, 약액이 공급될 때는 그 압에 의해 스프링(SPR)을 누르고 전진하여 분무되지만, 약액 공급이 멈췄을 때는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 때문에 다시 후퇴하여 약액 분무가 중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약액 분무작업이 일어나 약액의 비산거리를 늘리고, 분무 반경을 넓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배수로의 배수분기함(2000)에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를 설치하여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임의로 혹은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배수분기함(2000)에서 발생되는 모기를 포함한 각종 해충을 박멸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분기함(2000)은 지상 주차장 등의 일측에 만들어진 매립형 배수로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관리상 필요에 의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 배수분기함(2000)은 아파트의 각 동 당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물이 고여 있는 경우가 많아 특히, 하절기 모기 등의 해충이 알을 낳고 부화하여 성장함으로써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를 매번 방제하기 위해 일일이 사람이 작업하는 것도 어렵고 번거롭기 때문에 이를 통신장비를 통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분기함(20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이며, 상단부 내주면에는 단턱(2210)이 형성되어 있어 격자판(222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하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수관(P1,P2)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격자판(2220)은 지상주차장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상기 배수분기함(2000) 속으로 유입시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분기함(2000)의 내부 상측에는 수조(WDP)에 결합된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가 설치되고, 플라즈마처리된 수조(WDP)내 살균수는 배수분기함(2000) 내부 상측에서 분무되어 내부를 살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조(WDP)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통체로서 상단면에 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단면에는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하는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이 설치되며, 상기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는 상기 수조(WDP)의 일측에 부착된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플라즈마컨트롤러(2400)는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를 통해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되며,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살균동작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WDP)의 하단 일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무할 수 있는 구형상이 분무노즐(NZ)이 관체로 연결되고, 관체의 일부에는 상기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의 제어하에 개폐되는 분무솔레노이드밸브(241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WDP)의 상단부에는 물공급관(2500)이 연결되고, 물공급관(2500) 상에는 물공급펌프(25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물공급펌프(2510)는 수조(WDP)에 내장된 부레(미도시)에 의해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물공급관(25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수도로부터 인출하여 연결배관할 수 있다. 이것은 관경도 작고, 아파트 동당 하나씩이므로 배관 설비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때문에, 수조(WDP) 내부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WDP) 내부에는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가 설치된다.
상기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는 일종의 수중저온플라즈마 발생기로서, 밀폐된 원통형상의 양극하우징(212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일측단면에서 연장된 음극하우징(213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관(2160)과, 상기 음극하우징(2130) 내부에 수직하게 나사고정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음전원이 연결되는 원통형 캐소드(2140)와, 상기 양극하우징(2120)을 관통하여 상기 캐소드(2140)의 내부 하단까지 연장되고 양전원이 연결되는 애노드(2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상단면은 밀폐됨이 바람직하고, 애노드(2150)는 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공기도입관(2160)을 통해 도입된 공기 혹은 산소가 양극하우징(2120) 내부에서 캐소드(2140)을 향해 원활하게 흘러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를 통해 플라즈마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2140)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관체이고, 상단부에는 상기 음극하우징(2130)에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2170)가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다수의 방출홀(2180)이 형성되게 하여 플라즈마 발생효율도 높이면서 발생된 플라즈마가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중저온플라즈마란 저온상태인 물속에서 전류가 방전되면서 플라즈마 살균효과를 구현하는 것으로 수중방전에 의한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에 의해 물 분자가 수소이온, 산소이온, 수산기 라디칼을 포함한 여러종류의 라디칼 다발로 분리되고, 이중에서 특히 수산기 라디칼은 강력한 소독작용 및 냄새제거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수조(WDP) 내부의 물은 살균수로 전환되고, 플라즈마 처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일정시간내에 살균수 분무가 이루어져 모기 등의 해충의 유충을 박멸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전원은 상용전원을 사용하며,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애애노드(2150) 캐소드(2140)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면서 저온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것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을 포함한 다수의 라디칼을 주기적으로 생성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유선시스템 혹은 이동통신기지국이 천재지변 등 여러가지 사유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통신불량을 막고, 소통 가능하게 하여 안전대피, 인명구조, 방호, 구호 등의 비상사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은 위성통신이 가능하도록 공동주택의 관리실 지붕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관리실에 비치되는 위성통신용 무선통신기를 통해 비상시 연결되는 비상관리국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채널이 연결되는 것이므로 통상적인 위성통신 방식을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의 외관 형상과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은 도 9의 예시와 같이, 고정블럭(30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럭(3000)은 사각형상으로 내부가 채워진 형태지만, 작업자 한 사람이 들 수 있는 중량이며, 고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럭(300)의 양측면에는 웨이트(3100)를 더 부착할 수도 있다.
이것은 고정블럭(3000)의 무게중심이 최대한 후측 아래에 있게 하여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며, 필요한 경우 앵커와 와이어, 고정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벽체나 콘크리트바닥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3000)의 양측면 상측에는 각각 편상의 고정브라켓(3200)이 볼트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는 회전유동편(3300)이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일측면에 겹쳐지고, 회전유동편(3300)의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3400)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축(3400)이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유동편(3300)에는 상기 회전축(340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호 형상의 안내슬릿(3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릿(350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고정되는 조임볼트(360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유동편(3300)이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임볼트(3600)는 회전유동편(3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종의 각도 조절구이다.
때문에, 상기 안내슬릿(3500)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브라켓(3200) 상에는 회전유동편(3300)을 기울일 수 있는 각도를 미리 정하고 해당 위치에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볼트(3600)를 끼워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조임볼트(3600)는 볼트머리, 즉 볼트헤드의 직경이 일반적인 볼트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편면을 강하게 조여 압착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일측에는 메인고정판(3700)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원중심 일측면에는 부쉬(38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부쉬(3800)에는 통축(3900)이 끼워지고, 상기 통축(3900)은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3700)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39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부쉬(380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통축(3900)의 반대단에는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체로 고정된다.
결국, 상기 위성안테나통(4000)은 상기 통축(3900)을 기점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편파(Skew)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3400)을 기점으로 안내슬릿(3500)과 조임볼트(3600)의 안내에 따라 고정블럭(3000)의 측면에서 상면으로 폴딩가능하므로 방위각(Azimuth)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성안테나통(40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위성안테나통(400)을 마주보는 부쉬(3800)의 일측면에는 탄성끼움구(4100)가 구비되고,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4000)에는 원주방향으로 15도 혹은 30도 혹은 45도의 각도간격을 두고 걸림홈(4200)이 형성된다.
때문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공지의 탄성끼움구(4100)는 상기 걸림홈(4200)에 들락걸리면서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정 위치에 있도록 위치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위성안테나통(4000) 내부에는 편파방식으로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듈들이 내장된다.
특히, 와이파이 모듈을 더 내장하면, 주변에 모인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비상시 와이파이망을 통해 무선통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상시(전쟁, 천재지변 등) 비상 연락망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11: 출입문
13: 감시카메라
14: 호스트장치
16: 경보장치

Claims (1)

  1. 화재를 포함한 비상사태시 관리사무소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조명등을 비상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유선으로 송신하는 제1비상점등제어부와; 제1비상점등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공용조명등을 점멸하는 수신점등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신점등제어부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이동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원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증폭부와; 신호증폭부 및 스위칭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공용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며, 전원제어부는 신호증폭부 및 스위칭부의 신호를 받아 상용전원을 센서에 의한 점등 상태에서 비상신호에 의한 점등 상태로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공용조명등이 점등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등이 소등되도록 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공용쉼터나 놀이터에 설치된 가로등을 고정하는 가로등주에 카메라베이스가 고정되고 카메라베이스에는 360°회전가능하며 관리사무소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는 방범카메라가 설치되며 방범카메라의 몸체 상면에는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가 설치되고 하단면에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와 함께 음성으로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로등주에 약액노즐을 설치하여 방제, 방충용 약액을 자동 분무하여 가로등이 켜졌을 때 가로등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하도록 구성하되,
    약액노즐은 가로등주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로등주의 하측에는 약액통이 설치되고 약액통에는 펌프와 컨트롤러가 설치되며 펌프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가 배관되고 공급호스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에 접속되며 공급호스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전자단속솔레노이드 및 펌프는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약액노즐 하측 가로등주 상에는 관리사무소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가 구비되고 등주통신부는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공동주택의 임의 옥상에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을 더 설치하되 위성 통신용 초소형 기지국은 고정블럭; 고정블럭의 양측면 상측에 각각 고정된 편상의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에 겹쳐지게 배치되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유동편; 회전유동편에 회전축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호 형상의 안내슬릿; 안내슬릿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에 체결되면서 안내슬릿을 위치고정하는 조임볼트; 회전유동편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고정된 메인고정판; 메인고정판의 원중심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쉬; 부쉬에 끼워지고 메인고정판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통축; 통축의 반대단에 일체로 고정된 위성안테나통; 위성안테나통을 마주보는 부쉬의 일측면에 구비된 탄성끼움구; 탄성끼움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탄성끼움구가 탄성걸림되게 구비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KR1020200102575A 2020-08-14 2020-08-14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KR10220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75A KR102200826B1 (ko) 2020-08-14 2020-08-14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75A KR102200826B1 (ko) 2020-08-14 2020-08-14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826B1 true KR102200826B1 (ko) 2021-01-13

Family

ID=7414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575A KR102200826B1 (ko) 2020-08-14 2020-08-14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KR102369691B1 (ko) * 2021-07-19 2022-03-0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370948B1 (ko) * 2021-10-29 2022-03-08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용 세대별 단자함
KR102373341B1 (ko) * 2021-07-12 2022-03-11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시간 화재감시 시스템
WO2023129022A3 (en) * 2021-12-31 2023-08-31 Bartin Üni̇versi̇tesi̇ Intelligent pest and fly control system in citi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006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200306862Y1 (ko) * 2002-09-06 2003-03-10 (주)세아전기조명 센서 및 비상 점등 기능을 구비한 공용조명등 제어시스템
KR100793276B1 (ko) * 2006-09-29 2008-01-10 동부건설 주식회사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KR2009000959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세스코 야외 조명기의 살충장치
KR20120008661A (ko) * 2010-07-19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가로등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50745B1 (ko) 2018-06-12 2019-02-21 서한컨설탄트(주)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006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200306862Y1 (ko) * 2002-09-06 2003-03-10 (주)세아전기조명 센서 및 비상 점등 기능을 구비한 공용조명등 제어시스템
KR100793276B1 (ko) * 2006-09-29 2008-01-10 동부건설 주식회사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KR2009000959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세스코 야외 조명기의 살충장치
KR20120008661A (ko) * 2010-07-19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가로등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50745B1 (ko) 2018-06-12 2019-02-21 서한컨설탄트(주)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KR102373341B1 (ko) * 2021-07-12 2022-03-11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시간 화재감시 시스템
KR102369691B1 (ko) * 2021-07-19 2022-03-0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370948B1 (ko) * 2021-10-29 2022-03-08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용 세대별 단자함
WO2023129022A3 (en) * 2021-12-31 2023-08-31 Bartin Üni̇versi̇tesi̇ Intelligent pest and fly control system in ci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826B1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KR1022293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KR10206330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CN1762607B (zh) 光敏喷雾器系统
CN101808502A (zh) 光敏便携烟雾喷射装置
US20050190063A1 (en) Electronic termite detector
KR1022886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진압 소방 자동 시스템
KR102283833B1 (ko)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KR10236902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82265B1 (ko)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181333B1 (ko) 공동주택 통신 케이블 시스템
KR102297352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감시 시스템
KR102359417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수 관리시스템
US9226493B2 (en) Varmint and intruder deterrent system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211459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KR1023420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감지 소방 시스템
US20190318593A1 (en) Non-lethal weapon fixture and method of defense with a non-lethal weapon
KR10255933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KR102160459B1 (ko)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102348673B1 (ko) 공동주택의 원격통신장치를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973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KR20010035482A (ko) 조류 퇴치 장치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