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59B1 -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59B1
KR102211459B1 KR1020200095828A KR20200095828A KR102211459B1 KR 102211459 B1 KR102211459 B1 KR 102211459B1 KR 1020200095828 A KR1020200095828 A KR 1020200095828A KR 20200095828 A KR20200095828 A KR 20200095828A KR 102211459 B1 KR102211459 B1 KR 10221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dp
chemical liquid
water tank
street ligh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씨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9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함을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Security system of apartment hous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함을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출입자를 관리하고 보안 및 방범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 및 종류의 통신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CCTV장치와 출입자 관리장치가 설치된다.
CCTV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 공동 현관문, 지하 주차장, 노인정, 산책로, 놀이터 등의 다양한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영상을 수집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영상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여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공동주택은 무엇보다 다수의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거주자가 손쉽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원치않는 방문자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917호(20121008)호에는 '출입문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출입문 제어 시스템은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되면 식별 번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식별 번호가 허용 식별 번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은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함을 구분키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중 한적한 곳에서는 성인들에 의한 성추행 사건이 종종 발생되어 사회문제로 이슈화되기도 한다.
또한,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능력이 부족해 매년 병해충으로부터 피해를 입는 입주민들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917호(2012.10.08.) '출입문 제어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54179호(2014.01.15.)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함을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출입문(11) 주위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 상기 출입문(11) 주위에 설치된 감시카메라(13); 입력되는 출입문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11)을 구동하는 출입문 구동장치(15); 입력되는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16); 및 상기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의 태그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 제어 신호를 상기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면서 진입 태그들을 인식하며, 상기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진입 인원수를 계수하여, 상기 진입 태그 개수와 상기 진입 인원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도록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장치(14)를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공용쉼터나 놀이터에 설치된 가로등(1100)을 고정하는 가로등주(1200)에 카메라베이스(CB)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는 360°회전가능하며 상기 호스트장치(14)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는 방범카메라(CCD)가 설치되며,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몸체 상면에는 방범카메라(CCD)와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LAP)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의 하단면에는 스피커(SPK)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LAP)와 함께 음성으로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로등주(1200)에는 약액노즐(130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약액노즐(1300)을 통해 방제, 방충용 약액이 자동적으로 분무되게 하여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 가로등(1100)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액노즐(1300)은 상기 가로등주(1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11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로등주(1200)의 하측에는 약액통(14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통(1400)에는 펌프(1500)와 컨트롤러(160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150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1700)가 배관되고, 상기 공급호스(1700)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1300)에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1700)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 및 펌프(15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상기 약액노즐(1300) 하측 가로등주(1200) 상에는 상기 호스트장치(14)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1900)가 구비되고, 상기 등주통신부(19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와 연결되며;
공동주택의 지상 주차장에 설치되는 배수로의 배수분기함(2000)에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를 설치하고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되면서 살균수를 분무하여 배수분기함(2000)에서 발생되는 모기를 포함한 각종 해충을 박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함을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동주택의 공용 쉼터나 어린이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 성추행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하절기 병,해충에 대한 방제, 방역 기능도 강화시켜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의 동작 원리는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의 감시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 및 2의 호스트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메라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연계되어 가로등 주변을 방제, 방충 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해충 박멸용 하수구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무인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 적어도 하나의 감시카메라(13), 출입문 구동장치(15), 경보장치(16) 및 호스트장치(1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는 출입문(11) 주위에 설치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한 개의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가 필요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을 별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감시카메라(13)는 출입문(11) 주위에 설치된다.
출입문 구동장치(15)는 입력되는 출입문 제어 신호에 따라 출입문(11)을 구동한다.
경보장치(16)는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호스트장치(14)는, 상황실에 설치되어,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의 태그 신호에 따라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면서 진입 태그들을 인식한다.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진입 인원수를 계수하여, 진입 태그 개수와 진입 인원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도록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호스트장치(14)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되면 식별 번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식별 번호가 허용 식별 번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와 진입 인원수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는, 태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태그 신호를 디코딩하고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신호이면 디코딩된 태그 신호를 호스트장치(14)에 전송한다.
감시카메라(13)는, 사람 형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람 형상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동영상 신호를 호스트장치(14)에 전송한다.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를 영(0)으로 초기화한 상태에서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최초로 수신되면, 설정 시간 동안에 태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를 계수한다.
여기에서, 호스트장치(14)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될 때 마다 식별 번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식별 번호가 허용 식별 번호이면, 출입문(11)이 열리도록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고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를 한 개씩 증가시킨다.
또한,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 동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에서 전경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여 전경 영역의 동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전경 영역의 동영상에서 사람 형상을 검출하면서 진입 인원수를 계수한다.
도 1 및 2의 실시예를 요약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의 태그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태그 개수가 계수되며,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인원수가 계수되며, 상기 진입 태그 개수와 상기 진입 인원수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함께 진입함을 경보할 수 있다.
상황실의 경비원은 진입 허용자에게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과의 동행 여부를 묻고, 동행이 아닌 경우에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할 수 없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 12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 122)는 설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860 내지 960 메가헤르쯔(MHz)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31) 이에 따라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의 소지자가 진입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가 동작하여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에 태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는, 태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단계 S32) 태그 신호를 디코딩하고(단계 S33)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34), 정상적인 신호이면 디코딩된 태그 신호를 호스트장치(14)에 전송한다(단계 S35).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36).
도 4는 도 1 및 2의 감시카메라(13)의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여 감시카메라(13)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시카메라(13)는 잘 알려져 있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사람 형상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1).
사람 형상이 검출되었으면, 감시카메라(13)는 잘 알려져 있는 움직임 검출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사람 형상의 움직임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그리고 사람 형상의 움직임이 검출되었으면, 감시카메라(13)는 동영상 신호를 호스트장치(14)에 전송한다(단계 S43).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44).
도 5는 도 1 및 2의 호스트장치(14)의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도 1, 2 및 5를 참조하여 호스트장치(14)의 동작 과정을 발췌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장치(14)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의 태그 신호에 따라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면서 진입 태그 개수(IDcnt)를 계수한다(단계 S501 내지 단계 S506).
또한,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진입 인원수(VDcnt)를 계수하여(단계 S507 내지 단계 S509), 진입 태그 개수(IDcnt)와 진입 인원수(VDcnt)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도록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512 및 단계 S513).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장치(14)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되면 식별 번호를 해석하고(단계 S502 및 단계 S503), 해석된 식별 번호가 허용 식별 번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한다(단계 S504 및 단계 S505) 여기에서,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와 진입 인원수(VDcnt)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512 및 단계 S513).
또한,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를 영(0)으로 초기화한 상태에서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최초로 수신되면(단계 S501 및 단계 S502), 설정 시간 동안에 태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를 계수한다(단계 S506 및 단계 S510) 여기에서, 호스트장치(14)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식별 번호를 해석하고(단계 S502 및 단계 S503), 해석된 식별 번호가 허용 식별 번호이면, 출입문(11)이 열리도록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고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를 한 개씩 증가시킨다(단계 S504 내지 단계 S506).
또한,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 동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에서 전경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여 전경 영역의 동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전경 영역의 동영상에서 사람 형상을 검출하면서 진입 인원수(VDcnt)를 계수한다(단계 S507 내지 단계 S509).
호스트장치(14)의 제어 동작을 요약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의 태그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태그 개수가 계수되며(단계 S501, 단계 S506 및 단계 S510 참조),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인원수(VDcnt)가 계수되며(단계 S509), 진입 태그 개수(IDcnt)와 진입 인원수(VDcnt)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된다(단계 S512 및 단계 S513).
따라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함께 진입함을 경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실의 경비원은 진입 허용자에게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과의 동행 여부를 묻고, 동행이 아닌 경우에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할 수 없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호스트장치(14)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를 영(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S501),
다음에,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태그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502), 호스트장치(14)는, 식별번호를 해석하고(단계 S503), 해석된 식별 번호가 진입 허용자의 식별 번호이면 출입문(11)이 열리도록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한다(단계 S504 및 단계 S505).
다음에, 호스트장치(14)는 허용 식별 번호의 개수(IDcnt)를 한 개 증가시킨다(단계 S506).
다음에,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507), 동영상에서 전경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여 전경 영역의 동영상을 추출하고(단계 S508), 추출된 전경 영역의 동영상에서 사람 형상을 검출하면서 진입 인원수(VDcnt)를 계수한다(단계 S509).
다음에, 호스트장치(14)는, 설정 시간 동안에 태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단계 S503 내지 단계 S509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단계 S510).
다음에, 상기 단계 S510에서 설정 시간 동안에 태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호스트장치(14)는 출입문(11)이 닫히도록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한다(단계 S511).
다음에, 호스트장치(14)는 진입 태그 개수(IDcnt)와 진입 인원수(VDcnt)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 경보장치(16)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도록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512 및 단계 S513).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14).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로부터의 태그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태그 개수가 계수되며, 감시카메라로부터의 동영상 신호가 이용되어 진입 인원수가 계수되며, 진입 태그 개수와 진입 인원수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 경보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함께 진입함을 경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실의 경비원은 진입 허용자에게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과의 동행 여부를 묻고, 동행이 아닌 경우에 진입 허용자가 아닌 사람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침입자가 함께 진입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황실에 설치된 호스트장치(14)와 연계하여 사각지역, 혹은 공동주택의 공동쉼터나 놀이터 등에서 특히, 야간에 혹시 발생할지모를 성추행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 6의 예시와 같이, 가로등(1100)을 활용하여 방범할 수 있도록 추가 구성된다.
즉, 가로등주(1200)의 일정 높이에는 카메라베이스(CB)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는 방범카메라(CCD)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몸체 상면에는 방범카메라(CCD)와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LAP)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포인터(LAP)는 출사력이 높아 색상이 선명하고 두꺼운 레이저가 출사되도록 구성하여 방범카메라(CCD)를 움직여 표적에 조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호스트장치(14)를 통해 직접 제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호스트장치(14)와 방범카메라(CCD)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레이저포인터(LAP)를 설치한 이유는 방범카메라(CCD) 만으로는 영상만 찍힐 뿐 가시적으로 위협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타겟에 조준하는 느낌을 주어 범행을 방지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방범카메라(CCD)는 상기 카메라베이스(CB)에서 360°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방범 범위를 매우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베이스(CB)의 하단면에는 스피커(SPK)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LAP)와 함께 음성으로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취약 지역에서의 방범 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황실에서 방범카메라(CCD)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방범카메라(CCD)의 경우, 후술되는 약액노즐(1300)로부터 카메라렌즈가 더럽혀 지지 않도록 충분히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간격은 상하 뿐만 아니라, 돌출시킨 정도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로등(1100)에는 상기 호스트장치(14)와 연계하여 하절기 자동 방제, 방충 작업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가로등(1100)을 고정하는 가로등주(1200)에 약액노즐(1300)을 설치하고, 이 약액노즐(1300)을 통해 방제, 방충용 약액이 자동적으로 분무되게 하여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 가로등(1100)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병,해충은 주로 하절기에 급증하기 때문에 병,해충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하절기, 이를 테면 5월부터 9월 사이에만 자동 분무하여 살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가로등(1100)의 경우, 빗물로부터 가로등(1100)을 보호하기 위해 그 상부에 설치된 빗물커버(1110)의 내주면에 예시와 같은 삼각반사판(1112)을 설치하여 가로등(1100)에서 발광하여 조사된 빛이 다시 가로등(1100)을 향해 대부분 반사되게 하여 가로등(1100)의 휘도를 높게 함으로써 주변을 더욱 밝게 하면서 멀리에 있는 병,해충까지 유인하는 효과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1300)은 상기 가로등주(1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11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가로등(1100)의 하부에 불빛을 보고 모여든 수많은 병,해충에 직접 약액을 분무하여 살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가로등주(1200)의 하측에는 약액통(14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통(1400)에는 펌프(1500)와 컨트롤러(160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150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1700)가 배관되는데, 상기 공급호스(1700)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1300)에 접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호스(1700)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 및 펌프(15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1300) 하측 가로등주(1200) 상에는 상기 호스트장치(14)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1900)가 구비되고, 상기 등주통신부(1900)는 상기 컨트롤러(16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호스트장치(14)에서 방제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등주통신부(1900)를 통해 컨트롤러(1600)가 수신 후 펌프(1500)와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의 가동을 제어하여 방제, 방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만 방제모드가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약액통(1400)의 둘레 하측에는 약액검출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컨트롤러(1600)에 연결되어 약액이 떨어졌음을 감지하여 호스트장치(14)로 보충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약액이 떨어지면 방제모드는 자동 종료되고, 생활모드로 전환된다.
생활모드는 약액을 분무하는 것을 중단하고, 가로등 기능만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는 약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차를 두고 개폐를 반복하면서 공급과 중단을 단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약액노즐(1300)에서 푹푹하고 단속적인 분무가 이루어지게 하여 맥동을 일부러 유발시킴으로써 살충반경을 넓게 하고 약액은 비산거리를 높이도록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약액노즐(1300)을 독특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상기 약액노즐(1300)은 원통형상의 노즐본체(1310)와, 상기 즐본체(1310)의 둘레 일부에 경사 형성되어 양액을 분무할 수 있는 상방경사공(1312)과, 상기 상방경사공(1312) 반대쪽에 형성되어 공급호스(1700)가 접속되는 호스접속단(1360)과, 상기 노즐본체(1310)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가로등주(120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부(1320)와, 상기 고정나사부(1320) 반대단에 형성된 개방부(1330)와, 상기 개방부(1330)에 체결되어 밀폐하며 전방분무공(1342)을 갖는 전방마개(1340)와, 상기 노즐본체(1310) 속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호스접속단(1360)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맞춤그루브(G1)를 둘레면에 구비한 유동자(1350)와, 상기 맞춤그루브(G1)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방경사공(1312)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연장그루브(G2)와, 상기 유동자(1350)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인 챔버(1352)와, 상기 맞춤그루브(G1) 및 챔버(1352)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L1)와, 상기 챔버(1352) 및 상기 전방분무공(1342)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L2)와, 상기 전방마개(1340)와 유동자(13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SPR)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약액이 공급되기 전에는 스프링(SPR)에 의해 유동자(1350)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맞춤그루브(G1)와 호스접속단(1360)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약액은 먼저 이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된다.
약액이 채워질수록 수압이 증가하고, 증가된 수압은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을 이기고 스프링(SPR)을 압축하면서 유동자(1350)를 이동시킨다.
물론, 이때 제1유로(L1)를 통해 약액의 일부는 챔버(1352)에 채워지는데, 이 경우에도 제1유로(L1)는 매우 가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약액, 바람직하게는 2/3의 약액이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되고, 나머지 1/3의 약액만 챔버(1352)로 공급된다.
그리고, 챔버(1352)에 공급된 약액은 제2유로(L2)를 통해 전방분무공(1342)으로 분무되어 전방 방제, 방충작업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에 의해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분무는 연속적이 아닌 단속적, 즉 푹푹하고 분무되게 된다.
한편, 유동자(1350)가 전진하면 연장그루브(G2)가 상방경사공(1312)과 연통되게 되므로 이때 약액은 상방인 가로등(1100)을 향해 분무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푹푹하고 분무되는데, 이는 유동자(1350)가 좌우방향으로 심하게 유동되기 때문이다.
즉, 약액이 공급될 때는 그 압에 의해 스프링(SPR)을 누르고 전진하여 분무되지만, 약액 공급이 멈췄을 때는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 때문에 다시 후퇴하여 약액 분무가 중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약액 분무작업이 일어나 약액의 비산거리를 늘리고, 분무 반경을 넓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배수로의 배수분기함(2000)에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를 설치하여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임의로 혹은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배수분기함(2000)에서 발생되는 모기를 포함한 각종 해충을 박멸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분기함(2000)은 지상 주차장 등의 일측에 만들어진 매립형 배수로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관리상 필요에 의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 배수분기함(2000)은 아파트의 각 동 당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물이 고여 있는 경우가 많아 특히, 하절기 모기 등의 해충이 알을 낳고 부화하여 성장함으로써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를 매번 방제하기 위해 일일이 사람이 작업하는 것도 어렵고 번거롭기 때문에 이를 통신장비를 통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분기함(20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이며, 상단부 내주면에는 단턱(2210)이 형성되어 있어 격자판(222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하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수관(P1,P2)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격자판(2220)은 지상주차장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상기 배수분기함(2000) 속으로 유입시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분기함(2000)의 내부 상측에는 수조(WDP)에 결합된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가 설치되고, 플라즈마처리된 수조(WDP)내 살균수는 배수분기함(2000) 내부 상측에서 분무되어 내부를 살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조(WDP)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통체로서 상단면에 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단면에는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하는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이 설치되며, 상기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는 상기 수조(WDP)의 일측에 부착된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플라즈마컨트롤러(2400)는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를 통해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되며,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살균동작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WDP)의 하단 일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무할 수 있는 구형상이 분무노즐(NZ)이 관체로 연결되고, 관체의 일부에는 상기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의 제어하에 개폐되는 분무솔레노이드밸브(241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WDP)의 상단부에는 물공급관(2500)이 연결되고, 물공급관(2500) 상에는 물공급펌프(25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물공급펌프(2510)는 수조(WDP)에 내장된 부레(미도시)에 의해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물공급관(25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수도로부터 인출하여 연결배관할 수 있다. 이것은 관경도 작고, 아파트 동당 하나씩이므로 배관 설비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때문에, 수조(WDP) 내부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WDP) 내부에는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가 설치된다.
상기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는 일종의 수중저온플라즈마 발생기로서, 밀폐된 원통형상의 양극하우징(212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일측단면에서 연장된 음극하우징(213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관(2160)과, 상기 음극하우징(2130) 내부에 수직하게 나사고정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음전원이 연결되는 원통형 캐소드(2140)와, 상기 양극하우징(2120)을 관통하여 상기 캐소드(2140)의 내부 하단까지 연장되고 양전원이 연결되는 애노드(2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상단면은 밀폐됨이 바람직하고, 애노드(2150)는 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공기도입관(2160)을 통해 도입된 공기 혹은 산소가 양극하우징(2120) 내부에서 캐소드(2140)을 향해 원활하게 흘러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를 통해 플라즈마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2140)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관체이고, 상단부에는 상기 음극하우징(2130)에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2170)가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다수의 방출홀(2180)이 형성되게 하여 플라즈마 발생효율도 높이면서 발생된 플라즈마가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중저온플라즈마란 저온상태인 물속에서 전류가 방전되면서 플라즈마 살균효과를 구현하는 것으로 수중방전에 의한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에 의해 물 분자가 수소이온, 산소이온, 수산기 라디칼을 포함한 여러종류의 라디칼 다발로 분리되고, 이중에서 특히 수산기 라디칼은 강력한 소독작용 및 냄새제거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수조(WDP) 내부의 물은 살균수로 전환되고, 플라즈마 처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일정시간내에 살균수 분무가 이루어져 모기 등의 해충의 유충을 박멸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전원은 상용전원을 사용하며,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애애노드(2150) 캐소드(2140)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면서 저온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것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을 포함한 다수의 라디칼을 주기적으로 생성시키게 된다.
11: 출입문
13: 감시카메라
14: 호스트장치
16: 경보장치

Claims (1)

  1. 출입문(11) 주위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 리더(121,122)와 감시카메라(13); 출입문 제어신호에의해 출입문(11)을 구동하는 출입문 구동장치(15); 경보제어신호에의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16); 알에프아이디 리더(121,122)의 태그 신호에의해 출입문 제어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고 진입 태그를 인식하며,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진입 인원수를 계수하여 진입 태그 개수와 진입 인원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장치(14)를 포함하고; 가로등(1100)을 고정하는 가로등주(1200)에 카메라베이스가 고정되고, 360°회전가능하며 호스트장치(14)와 유선,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는 방범카메라가 설치되며 그 몸체의 상면에 평행하게 레이저포인터가 설치되고 그 하단면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레이저포인터와 함께 음성 경고방송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가로등주(1200)에는 약액노즐(1300)을 더 설치하고 약액노즐(1300)을 통해 방제, 방충용 약액이 자동 분무하여 가로등(1100)이 켜졌을 때 가로등(1100)을 향해 모여드는 병,해충을 살충하도록 구성하되, 약액노즐(1300)은 가로등주(1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체결되어 가로등(11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로등주(1200)의 하측에는 약액통(1400)이 설치되고 약액통(1400)에는 펌프(1500)와 컨트롤러(1600)가 설치되며 펌프(150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한 공급호스(1700)가 배관되고 공급호스(1700)의 상단은 다수 분기되어 각 약액노즐(1300)에 접속되며 공급호스(1700)의 일부에는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가 설치되고 전자단속솔레노이드(1800)와 펌프(1500)는 컨트롤러(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약액노즐(1300) 하측 가로등주(1200) 상에는 호스트장치(14)와 무선통신하는 등주통신부(1900)가 구비되고 등주통신부(1900)는 컨트롤러(1600)와 연결되며; 공동주택의 지상 주차장에 설치되는 배수로의 배수분기함(2000)에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를 설치하고 관리서버(2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되면서 살균수를 분무하여 배수분기함(2000)에서 발생되는 모기를 포함한 각종 해충을 박멸하도록 구성된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분기함(2000) 내부 상측에는 수조(WDP)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WDP)는 직사각형상의 통체로서 상단면에 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수조(WDP)의 상단면에는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하는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이 설치되고, 상기 플라즈마무선통신기(2300)는 상기 수조(WDP)의 일측에 부착된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수조(WDP)의 하단 일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무할 수 있는 구형상이 분무노즐(NZ)이 관체로 연결되고, 관체의 일부에는 상기 플라즈마컨트롤러(2400)의 제어하에 개폐되는 분무솔레노이드밸브(2410)가 설치되며, 상기 수조(WDP)의 상단부에는 물공급관(2500)이 연결되고, 물공급관(2500) 상에는 물공급펌프(2510)가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펌프(2510)는 수조(WDP)에 내장된 부레에 의해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조(WDP) 내부에는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가 설치되되, 상기 수중플라즈마살균기(2100)는 일종의 수중저온플라즈마 발생기로서, 밀폐된 원통형상의 양극하우징(212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일측단면에서 연장된 음극하우징(2130)과,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관(2160)과, 상기 음극하우징(2130) 내부에 수직하게 나사고정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음전원이 연결되는 원통형 캐소드(2140)와, 상기 양극하우징(2120)을 관통하여 상기 캐소드(2140)의 내부 하단까지 연장되고 양전원이 연결되는 애노드(2150)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하우징(2120)의 상단면은 밀폐되며, 상기 캐소드(2140)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관체이고 상단부에는 상기 음극하우징(2130)에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2170)가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다수의 방출홀(2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시스템.
KR1020200095828A 2020-07-31 2020-07-31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KR10221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28A KR102211459B1 (ko) 2020-07-31 2020-07-31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28A KR102211459B1 (ko) 2020-07-31 2020-07-31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459B1 true KR102211459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28A KR102211459B1 (ko) 2020-07-31 2020-07-31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06B1 (ko) * 2021-09-13 2022-03-21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유무선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59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세스코 야외 조명기의 살충장치
KR101187917B1 (ko) 2011-02-07 2012-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101354179B1 (ko) 2012-04-26 2014-01-23 (주)문화지엔코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60085148A (ko) * 2015-01-07 2016-07-15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2005846B1 (ko) * 2019-01-14 2019-08-01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무인 보안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59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세스코 야외 조명기의 살충장치
KR101187917B1 (ko) 2011-02-07 2012-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101354179B1 (ko) 2012-04-26 2014-01-23 (주)문화지엔코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60085148A (ko) * 2015-01-07 2016-07-15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2005846B1 (ko) * 2019-01-14 2019-08-01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무인 보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06B1 (ko) * 2021-09-13 2022-03-21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유무선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3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KR102200826B1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CN1762607B (zh) 光敏喷雾器系统
KR102283833B1 (ko)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KR102211459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KR10236902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80001429A (ko)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CN116007684B (zh) 饮用水水源地智慧化无人监管系统及方法
US5528220A (en) Anti-graffiti apparatus
KR101819202B1 (ko) 지능형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KR102005846B1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무인 보안시스템
CN212836880U (zh) 一种人员自动检测消毒防疫通道系统
KR102232987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KR102376406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유무선 시스템 제공방법
KR1021755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장비 관리시스템
KR102188481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보안 시스템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CN212631290U (zh) 物联网智能消杀平台系统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CN110618721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211751269U (zh) 一种可移动式的多功能杀菌消毒安全管理装置
CN114170752A (zh) 周界安防的监视方法
KR20220031260A (ko) 자동 충전기능이 구비된 초음파 가습분사 방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