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169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169B1
KR101959169B1 KR1020180092976A KR20180092976A KR101959169B1 KR 101959169 B1 KR101959169 B1 KR 101959169B1 KR 1020180092976 A KR1020180092976 A KR 1020180092976A KR 20180092976 A KR20180092976 A KR 20180092976A KR 101959169 B1 KR101959169 B1 KR 10195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signal
unit
insect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계월
Original Assignee
대양디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디아이 (주) filed Critical 대양디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8009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장소에 각각 위치되어 해당 장소에서 출현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다수의 해충퇴치기(100)(100')(100") 및 다수의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를 모니터링하는 관제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해충퇴치기(100)(100')(100")는, 상부측에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상기 흡입구(111)와 연통되는 착탈구(112)가 형성된 퇴치기본체(110)와; 흡입구(111) 측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형성하고 착탈구(112)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압을 형성하는 팬유니트(120)와; 날아다니는 해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인하기 위한 제1유인부(130)와; 제1유인부(130) 측으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상기 흡입구(111) 측으로 유인하는 제2유인부(140)와; 흡입구(111)에서 흡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60)와; 퇴치기본체(110) 주위의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출현을 의미하는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해충감지부(170)와; 해충출현신호(A)에 연동되어 팬유니트(120) 및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는 신호연동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CONTROL SYSTEM OF PEST INSECT USING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관제부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면서 해충이 출현될 때 자동으로 감지한 후 유인 및 퇴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각종 질병을 옮기거나, 전염병을 유발 시키는등 유해하기 때문에 다양한 퇴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 퇴치 방법으로, 해충퇴치용 약제을 살포하거나 끈끈이를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의 경우 잠시동안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약제를 자주 살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대기중에 약제가 살포되므로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 흡입하여 피해가 생길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약제를 살포하지 않고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하기 위한 기술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자동으로 주위를 비행하는 해충을 감지한 후 감지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한 해충을 포집하여 퇴치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등록특허 10-1733079 호에 원통형 모터 포충기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충을 자동으로 감지한 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포집 및 퇴치하며, 이러한 과정을 네트워크와 연결된 관제부를 통하여 모니터링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각각 위치되어 해당 장소에서 출현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다수의 해충퇴치기(100)(100')(100") 및 원격지에서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를 모니터링하는 관제부(2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퇴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는, 특정 장소에 위치되어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에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상기 흡입구(111)와 연통되는 착탈구(112)가 형성된 퇴치기본체(110); 상기 흡입구(111)와 착탈구(11) 사이의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111) 측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형성하고 상기 착탈구(112) 측으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압을 형성하는 팬유니트(120);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인하기 위한 제1유인부(130); 상기 흡입구(111) 내측에 상기 제1유인부(130) 측으로 대향된 가이드지지판(141)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유인부(130) 측으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상기 흡입구(111) 측으로 유인하는 제2유인부(140); 상기 퇴치기본체(11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111)에서 흡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60); 상기 퇴치기본체(110) 주위의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출현을 의미하는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해충감지부(170); 상기 해충출현신호(A)에 연동되어 상기 팬유니트(120) 및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는 신호연동제어부(180); 및 상기 해충출현신호(A) 및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를 상기 네트워크(N)를 통하여 관제부(20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95);를 포함하고, 상기 해충감지부(170)는, 성가 해충의 날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리신호(S1)를 발생하는 소리감지센서(171)와; 상기 소리신호(S1)가 설정 시간(T0) 이상 발생되었을 때 타임신호(S2)를 발생하는 연동타이머(172)와; 상기 소리신호(S1)와 타임신호(S2)가 함께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충의 출현을 의미하는 상기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출현신호 발생부(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12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가이드지지판(141)의 표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덕트(1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충출연신호(A)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해충퇴치가 완료되었다라는 해충퇴치신호(E)를 발생하는 해충퇴치신호 발생부(1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120)는, 상기 흡입구(111)에서 흡입압을 형성하는 시로코팬(121)과, 상기 흡입구(111)의 측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시로코팬(121) 근처까지 연장되어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벤츄리형성판(1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200)는, 상기 신호전송부(195)에서 송신된 상기 해충출현신호(A) 및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신호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상황 및 작동회수를 체크하는 작동상황체크부(220)와; 상기 작동상황체크부(22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회수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특정 해충퇴치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관리자의 모바일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는 출동신호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충 감지가 이루어지면 해충을 유인하는 과정이나, 유인된 해충을 흡입압을 이용하여 포집 및 퇴치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무인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해충 퇴치가 가능하다.
또한 해충 퇴치 과정이 네트워크(N)와 연결된 관제부(200)로 전송되어 원격 모니터링되며, 관제부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해충퇴치기의 작동 회수를 고려하여 관리자가 특정 해충퇴치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출동하라는 지시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어 다수의 해충퇴치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해충퇴치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해충퇴치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해충퇴치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퇴치기본체에서 포집망이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해충감지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관제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충퇴치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3은 도 2의 해충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해충퇴치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퇴치기본체에서 포집망이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해충감지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관제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각각 위치되어 해당 장소에서 출현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다수의 해충퇴치기(100)(100')(100") 및 원격지에서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를 모니터링하는 관제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해충퇴치기(100)(100')(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각각 식별을 위한 식별코트를 가진다.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는, 특정 장소에 위치되어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에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상기 흡입구(111)와 연통되는 착탈구(112)가 형성된 퇴치기본체(110)와; 흡입구(111)와 착탈구(112) 사이의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입구(111) 측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형성하고 상기 착탈구(112) 측으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압을 형성하는 팬유니트(120)와; 퇴치기본체(1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인하기 위한 제1유인부(130)와; 흡입구(111) 내측에 제1유인부(130) 측으로 대향된 가이드지지판(141)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유인부(130) 측으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상기 흡입구(111) 측으로 유인하는 제2유인부(140)와; 팬유니트(12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지지판(141)의 표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덕트(150)와; 퇴치기본체(11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111)에서 흡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60)와; 퇴치기본체(110) 주위의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출현을 의미하는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해충감지부(170)와; 해충출현신호(A)에 연동되어 상기 팬유니트(120),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는 신호연동제어부(180)와; 해충출연신호(A)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해충퇴치가 완료되었다라는 해충퇴치신호(E)를 발생하는 해충퇴치신호 발생부(190); 해충출현신호(A),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 및 해충퇴치신호(E)를 상기 네트워크(N)를 통하여 관제부(20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95);를 포함한다.
퇴치기본체(110)는 많은 양의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cm 내외가 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퇴치기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11)의 길이 역시 50cm 에 달할 정도로 매우 크다.
착탈구(112)는 퇴치기본체(110)의 하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16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된 포집부(160)가 착탈구(1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착탈구(112)의 단부에는 포집부(130)의 하단이 걸치어지는 단턱(112a)이 형성된다.
팬유니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1)에서 흡입압을 형성하는 시로코팬(121)과, 흡입구(111)의 측단부에서 시작되어 시로코팬(121) 근처까지 연장되어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벤츄리형성판(122)을 포함하며, 벤츄리형성판(122) 근처로 갈수록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음압이 강해진다.
시로코팬(121)은 기다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날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해충이 흡입구(111) 근처로 접근하면 시로코팬(121)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압은 해충을 흡입구(111) 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하고, 벤튜리형성판(122) 근처로 갈수록 강해지는 흡입구(111) 측으로 이동된 해충을 포집부(160) 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유인부(130)는 퇴치기본체(110)의 상부측 전방측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하여 해충이 좋아하는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러한 제1유인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치기본체(110) 전방측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31)와, 자외선램프(1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전방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경(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유인부(130)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퇴치기본체(110) 근처로 1차 유인할 수 있다.
제2유인부(140)는 제1유인부(130)에 의하여 퇴치기본체(110) 근처로 유인된 해충을 흡입구(111) 측으로 2차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유인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1) 내측에 제1유인부(130) 측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지지판(141)과, 가이드지지판(141)에 설치되는 2 개의 자외선램프(142)(143)를 포함한다.
가이드지지판(141)은 제1유인부(130) 측에 대향되는 투명한 재질의 판으로서, 후방측에서 2 개의 자외선램프(142)(143)가 지지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2 개의 자외선램프(142)(143)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을 제1유인부(130) 측으로 투과시킨다.
여기서 제1유인부(130) 측으로 투과되는 자외선은 2 개의 자외선램프(142)(143)로부터 조사되는 것이기 때문에, 1 개의 자외선램프를 가지는 제1유인부(130)에 비하여 자외선의 양이 많다. 이에 따라 퇴치기본체(110) 근처로 1차 유인된 해충은 많은 양의 유인용 자외선이 조사되는 제2유인부(140) 측, 즉 흡입구(111) 내측으로 2차 유인되는 것이다.
포집부(160)는 팬유니트(120)에 의하여 이동되는 해충을 포집하여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유니트(120)에 의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가 경유하는 입구(161a) 및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161)와; 케이스(16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포집망(162)을 포함한다.
케이스(161)에 형성된 입구(161a)는 시로코팬(121)과 퇴치기본체(110)의 내측벽 사이에 대향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이에 따라 포집망(162)으로 진입된 해충은 입구(161a)를 통하여 빠져나올 수 없다.
포집망(162)은, 내부의 수용 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많은 양의 해충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160)에 포집된 해충은, 펜유니트(20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탈수되어 죽게 된다. 그리고 해충을 비우고자 할 경우에는, 포집부(160)를 퇴치기본체(110)의 착탈구(112)로부터 분리한 후 포집구(160)를 거꾸로 들어 입구(161a)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해충감지부(170)는, 해충퇴치부(100)(100')(100") 근처에서 출현한 해충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해충의 날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리신호(S1)를 발생하는 소리감지센서(171)와; 상기 소리신호(S1)가 설정 시간(T0) 이상 발생되었을 때 타임신호(S2)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연동타이머(172)와; 상기 소리신호(S1)와 타임신호(S2)가 함께 발생되었을 때 해충의 출현을 의미하는 상기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출현신호 발생부(173);를 포함한다.
즉, 해충퇴치기 주위에서 단순히 소리만 발생되었을 때, 이 소리가 해충에 의하여 발생된 소리인지, 외부 소음인지 분간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은 소리감지센서(171)와 연동타이머(17)를 채용함으로써 해충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수 있는 것이다.
신호연동제어부(180)는 해충출현신호(A)에 연동되어 상기 팬유니트(120) 및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고, 해충퇴치신호 발생부(190)는 해충출연신호(A)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해충퇴치가 완료되었다라는 해충퇴치신호(E)를 발생함으로써, 관제부(200)에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전송부(195)는 해충출현신호(A),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 및 해충퇴치신호(E)를 상기 네트워크(N)를 통하여 관제부(200)로 전송한다.
관제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N)와 연결된 다수의 해충퇴치기(100)(100')(100")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관제부(200)는, 신호전송부(195)에서 송신된 해충출현신호(A),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 및 해충퇴치신호(E)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0)와; 신호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상황 및 작동회수를 체크하는 작동상황체크부(220)와; 상기 작동상황체크부(22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회수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특정 해충퇴치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관리자의 모바일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는 출동신호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제부(200)는, 작동상황체크부(220)에 의하여 각각의 해충퇴치기(100)(100')(100")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특정 해충퇴치기의 현재 작동 상황이나 관리 필요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판단될 때 출동신호 전송부(230)는 관리자가 특정 해충퇴치기로 출동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해충감지부(170)가 해출퇴치기(100)(100')(100") 주위를 비행하는 해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해충 감지가 이루어지면 신호연동제어부(180)가 팬유니트(120) 및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며, 제1유인부(130)는 원거리에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1차로 유인하고, 제2유인부(140)는 1차로 유인된 해충을 흡입구(111) 측으로 유인하며, 팬유니트(120)는 유인된 해충을 포집부(160) 측으로 이동시겨 포집 및 퇴치한다.
그리고 관제부(200)는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특정 해충퇴치기의 관리 필요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판단될 때 관리자가 특정 해충퇴치기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충 감지가 이루어지면 해충을 유인하는 과정이나, 유인된 해충을 흡입압을 이용하여 포집 및 퇴치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무인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해충 퇴치가 가능하다.
또한 해충 퇴치 과정이 네트워크(N)와 연결된 관제부(200)로 전송되어 원격 모니터링되며, 관제부(200)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해충퇴치기의 작동 회수를 고려하여 관리자가 특정 해충퇴치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출동하라는 지시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어 다수의 해충퇴치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100, 100', 100" ...해충퇴치기
110 ... 퇴치기본체 111 ... 흡입구
112 ... 착탈구 120 ... 팬유니트
121 ... 시로코팬 122 ... 벤튜리형성판
130 ... 제1유인부 131 ... 자외선램프
132 ... 반사경 140 ... 제2유인부
141 ... 가이드지지판 142, 143 ... 자외선램프
150 ... 가이드덕트 160 ... 포집부
161 ... 케이스 162 ... 포집망
170 ... 해충감지부 171 ... 소리감지센서
172 ... 연동타이머 173 ... 출현신호 발생부
180 ... 신호연동제어부 190 ... 해충토치신호 발생부
195 ... 신호전송부 200 ... 관제부
210 ... 신호수신부 220 ... 작동상황퇴치부
230 ... 출동호 전송부

Claims (6)

  1. 특정 장소에 각각 위치되어 해당 장소에서 출현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다수의 해충퇴치기(100)(100')(100") 및 원격지에서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를 모니터링하는 관제부(2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퇴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100)(100')(100")는,
    특정 장소에 위치되어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에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상기 흡입구(111)와 연통되는 착탈구(112)가 형성된 퇴치기본체(110);
    상기 흡입구(111)와 착탈구(112) 사이의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111) 측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형성하고 상기 착탈구(112) 측으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압을 형성하는 팬유니트(120);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인하기 위한 제1유인부(130);
    상기 흡입구(111) 내측에 상기 제1유인부(130) 측으로 대향된 가이드지지판(141)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유인부(130) 측으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상기 흡입구(111) 측으로 유인하는 제2유인부(140);
    상기 퇴치기본체(11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111)에서 흡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60);
    상기 퇴치기본체(110) 주위의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출현을 의미하는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해충감지부(170);
    상기 해충출현신호(A)에 연동되어 상기 팬유니트(120) 및 제1,2유인부(130)(140)를 작동시키는 신호연동제어부(180); 및
    상기 해충출현신호(A) 및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를 상기 네트워크(N)를 통하여 관제부(20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95);를 포함하고,
    상기 해충감지부(170)는, 성가 해충의 날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리신호(S1)를 발생하는 소리감지센서(171)와; 상기 소리신호(S1)가 설정 시간(T0) 이상 발생되었을 때 타임신호(S2)를 발생하는 연동타이머(172)와; 상기 소리신호(S1)와 타임신호(S2)가 함께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충의 출현을 의미하는 상기 출현신호(A)를 발생하는 출현신호 발생부(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12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가이드지지판(141)의 표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덕트(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출연신호(A)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해충퇴치가 완료되었다라는 해충퇴치신호(E)를 발생하는 해충퇴치신호 발생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120)는,
    상기 흡입구(111)에서 흡입압을 형성하는 시로코팬(121)과, 상기 흡입구(111)의 측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시로코팬(121) 근처까지 연장되어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벤츄리형성판(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200)는,
    상기 신호전송부(195)에서 송신된 상기 해충출현신호(A) 및 상기 퇴치기본체(110)의 식별 번호(N)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신호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상황 및 작동회수를 체크하는 작동상황체크부(220)와;
    상기 작동상황체크부(22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해충퇴치기의 작동 회수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특정 해충퇴치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관리자의 모바일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는 출동신호 전송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1020180092976A 2018-08-09 2018-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10195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76A KR101959169B1 (ko) 2018-08-09 2018-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76A KR101959169B1 (ko) 2018-08-09 2018-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169B1 true KR101959169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976A KR101959169B1 (ko) 2018-08-09 2018-08-09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92B1 (ko) * 2019-12-04 2020-09-04 송용복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11636B1 (ko)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재난대피소용 해충방지시스템
KR20220080276A (ko) 2020-12-07 2022-06-14 서명랑 초지향성 스피커와 인공지능 스트리밍기반의 스마트팜 해충퇴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997U (ja) * 2008-03-17 2008-05-29 株式会社シューサン 害虫捕獲器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60042705A (ko) * 2014-10-10 2016-04-20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20170131250A (ko) * 2016-05-18 2017-11-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997U (ja) * 2008-03-17 2008-05-29 株式会社シューサン 害虫捕獲器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60042705A (ko) * 2014-10-10 2016-04-20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20170131250A (ko) * 2016-05-18 2017-11-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36B1 (ko)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재난대피소용 해충방지시스템
KR102151592B1 (ko) * 2019-12-04 2020-09-04 송용복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112598A1 (ko) * 2019-12-04 2021-06-10 송용복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0276A (ko) 2020-12-07 2022-06-14 서명랑 초지향성 스피커와 인공지능 스트리밍기반의 스마트팜 해충퇴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5865B (zh) 捕虫器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1229487B1 (ko)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1825819B1 (ko)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101224706B1 (ko) 진공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90001406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479066B1 (ko)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KR20160008284A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100673029B1 (ko) 해충사멸장치
WO2000003588A1 (en) Combination mosquito killing system and insect attractor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20120139482A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JP2000501605A (ja) 電子虫捕り機
CN211558542U (zh) 一种大覆盖范围多用途农林业害虫诱捕器
JP2000135043A (ja) 飛翔性害虫の発生状況監視装置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KR200485582Y1 (ko) 해충 포집장치
WO2020021892A1 (ja) 捕虫器
KR102550057B1 (ko) 비래해충 포획장치
KR101959170B1 (ko) 해충 퇴치 장치
JP2009179420A (ja) エレベータかごおよび室内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