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029B1 - 해충사멸장치 - Google Patents

해충사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029B1
KR100673029B1 KR1020040038232A KR20040038232A KR100673029B1 KR 100673029 B1 KR100673029 B1 KR 100673029B1 KR 1020040038232 A KR1020040038232 A KR 1020040038232A KR 20040038232 A KR20040038232 A KR 20040038232A KR 100673029 B1 KR100673029 B1 KR 10067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lampshade
blower
pests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017A (ko
Inventor
이용길
Original Assignee
이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길 filed Critical 이용길
Priority to KR102004003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0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사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 해충을 빛을 발하는 램프를 통해 포집통의 내부로 유인하여 고압의 송풍팬으로 흡입 송풍하는 과정에서 걸림망에 걸려 서랍식 물통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해충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일정크기의 해충 포집통(110),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등갓(120), 등갓(12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되어 발하는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는 해충 유인등(130), 해충 유인등(130)에 의해 해충 포집통(110) 상부와 등갓(120) 사이로 유인된 해충을 해충 포집통(110)의 내측 하부로 강제 흡입 송풍하는 송풍기(140), 송풍기(140)의 송풍압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기(140)에 의해 강제로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리는 걸림망(150) 및 포집액이 충진되어지되 걸림망(150)에 의해 걸린 해충이 낙하되어 사멸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통(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해충, 파리, 모기, 유인등, 포집통, 해충퇴치기, 박멸

Description

해충사멸장치{Exterminate vermin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해충사멸장치 110. 해충 포집통
112. 지지부재 120. 등갓
130. 해충 유인등 140. 송풍기
150. 걸림망 160. 서랍통
170. 고리 180. 지지각
본 발명은 해충사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 해충을 빛을 발하는 램프를 통해 내부로 유인하여 고압의 송풍팬으로 흡입 송풍하는 과정에서 걸림망에 걸려 서랍식 물통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해충을 사멸할 수 있도록 한 해충사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의 해충은 음식물이나 식수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인체나 동물에 각종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질병이나 전염병을 유발시키는 등 매우 유해한 것임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따라서, 이처럼 인체에 유해한 해충들을 사멸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해충에 약을 직접 살포하여 잡는 방법과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음식물에 약을 섞어 잡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은 해충에 직접 약을 살포하는 경우 일정 시간동안 일시에 사멸할 수 있는 효과는 볼 수 있으나 약을 자주 살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해충에 직접 약을 살포하는 경우에는 대기 중에 약이 살포되므로 인체에 흡입되어 폐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해충을 사멸하는 방법은 접착제의 표면에 해충의 사체가 달라붙어 있어 미관상이나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을 뿐더러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은 1회용이므로 연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에 약을 섞어 잡는 방법은 애완동물이나 어린아이들에 노출되어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음식물을 먹은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의 해충이 한 곳에서 죽지 않고 돌아다니다 아무 곳에서나 죽으므로 비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이처럼 음식물에 약을 섞어 잡는 방법은 해충들을 음식물 주위로 몰려들게 하므로 위생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따라서, 최근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해충을 퇴치하거나 사멸시키는 방법 이외에 각 종 해충들이 싫어하는 특정 영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일정 지역내 해충의 근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와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나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나 자기장은 성장과정에 있는 어린아이들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어린아이들은 신체기능이 매우 민감하고 또한 성장과정에 있기 때문에 초음파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자기장의 경우에는 영아의 두뇌작용(두뇌작용은 뉴런을 통해 매우 미세한 전기신호가 전달되어 화학물질을 분비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기장에 의해서 악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자기장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나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는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의 해충들을 일정 지역 내로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뿐 완전히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는데 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해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해충사멸장치의 필요성이 요구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 해충을 빛을 발하는 램프를 통해 포집통의 내부로 유인하여 고압의 송풍팬으로 흡입 송풍하는 과정에서 걸림망에 걸려 서랍식 물통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해충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한 해충사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해충퇴치장치와는 달리 초음파나 자기장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의 해충사멸장치를 통해 인체에 무해하도록 함은 물론, 해충을 퇴치하여 근접을 방지하는 것이 아닌 사멸을 통해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한편 그 상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부재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해충 포집통,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부측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해충 포집통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등갓,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단과 등갓의 하단 사이에 중심부에 위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포집통의 상단과 등갓의 하단 사이의 열린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해충을 유인하도록 하는 유인등,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해충 유인등에 의해 해충 포집통 상부와 등갓 사이로 유인된 해충을 해충 포집통의 내측 하부로 강제 흡입 송풍하는 송풍기 및 상기 해충 포집통의 하부로부터 일정높이의 양측에 설치되어 송풍기의 송풍압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기에 의해 강제로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리는 걸림망으로 이루어진 해충사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망 하부측의 해충 포집통 전면에 내외로 출몰되도록 설치되어 그 내부에 포집액을 충진한 상태로 걸림망에 의해 걸린 해충이 낙하되어 사멸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통이 형성되고, 상기 해충포집통의 송풍기 상부로부터 해충 포집통의 상단에 이르는 공간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의 구성에서 등갓의 상부면 중심에는 본 발명의 제품을 천정이나 벽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충 포집통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본 발명의 제품을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일정간격의 지지각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사멸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 예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일정크기의 해충 포집통(110),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등갓(120), 등갓(12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되어 발하는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는 해충 유인등(130), 해충 유인등(130)에 의해 해충 포집통(110) 상부와 등갓(120) 사이로 유인된 해충을 해충 포집통(110)의 내측 하부로 강제 흡입 송풍하는 송풍기(140), 송풍기(140)의 송풍압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기(140)에 의해 강제로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리는 걸림망(150) 및 포집액이 충진되어지되 걸림망(150)에 의해 걸린 해충이 낙하되어 사멸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통(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충사멸장치(100)는 등갓(120)의 상부면 중심에 형성된 고리(170)를 통해 천정이나 벽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매달아 놓을 수도 있고,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면 귀퉁이에 형성된 지지각(180)을 통해 바닥면에 올려 올려놓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는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해충 유인등(130)에 불빛이 발하는 것과 함께 송풍기(14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충 유인등(130)의 의해 유인되어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와 등갓(120) 하단 사이의 열린 공간을 통해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와 등갓(120) 사이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면 유입된 해충은 송풍기(140)의 흡입압에 의 해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와 등갓(120) 사이의 내부로부터 송풍기(140) 하부의 해충 포집통(110) 내부로 흡입 송풍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140)의 송풍압에 의해 해충 포집통(110) 내측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은 걸림망(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송풍압과 함께 해충 포집통(110) 내측 하부로 흡입 송풍된 해충은 걸림망(15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송풍기(140)의 구동을 잠시 정지시키게 되면 걸림망(150)에 걸린 상태의 해충은 서랍통(160)에 충진된 포집액(통상 물을 사용한다)에 낙하되어 탈출할 수 없게 됨으로써 사멸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충 포집통(110)은 송풍기(140)에 의한 흡입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해충 포집통(110)은 사각형태의 통체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최하부에는 후술하는 서랍통(160)의 출몰될 수 있도록 서랍공간이 형성되고, 서랍공간 그 상부의 양측면 상에는 걸림망(1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절개된 공간이 형성되며,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면에는 지지부재(112)가 일정높이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해충 포집통(110)은 그 상부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하부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송풍기(140)의 상부를 구성하는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측은 송풍기(140)의 상부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해충 포집통(110)의 구성에서 상향으로 확장 구성 된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지지부재(112)는 해충 포집통(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12)는 후술하는 등갓(120)을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부재(112)를 통해 등갓(120)은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과 일정간격으로 유지된다.
등갓(120)은 해충 유인등(13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 등갓(120)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에 직립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재(112)에 의해 해충 포집통(110)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지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2)에 의해 해충 포집통(110)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된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는 내외로 개방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를 개방된 구조로 하는 것은 후술하는 해충 유인등(130)으로부터 발하는 불빛이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를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해충을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의 내부로 유인하기 위함이다.
해충 유인등(130)은 발하는 불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 해충 유인등(130)은 등갓(12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다. 이때, 등갓(12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되는 해충 유인등(130)은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충 유인등(130)을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해충 유인등(130)으로부터 발하는 불빛이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통 해 불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해충 유인등(130)은 백열등, 네온등, 수은등 및 기타 형광등 등 모든 종류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송풍기(140)는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불빛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여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것으로, 이 송풍기(140)는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에 설치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기(140)는 해충 포집통(110)의 상부측에 상향으로 확장되는 부분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 해충 포집통(110)의 내측 하부로 송풍을 하게 된다. 따라서,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불빛에 의해 유인된 해충은 송풍기(140)에 의해 흡입되어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측으로 송풍된다.
걸림망(150)은 송풍기(140)에 의해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걸림망(150)은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서랍통(16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개된 공간상에 설치되어 송풍기(140)에 의해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송풍기(140)에 의해 흡입 송풍되는 송풍압은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로 송풍되어 걸림망(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처럼 송풍기(140)의 송풍압이 걸림망(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기(140)에 의해 흡입 송풍된 해충은 걸림망(150)에 걸리게 된다.
서랍통(160)은 걸림망(150)에 걸린 해충이 낙하되어 충진된 포집액에 의해 사멸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서랍통(160)은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공간에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해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포집액이 충진되어 있다. 이때, 포집액으로는 통상 물이 사용된다.
한편, 걸림망(150)에 걸린 해충이 송풍기(140)의 송풍압이 잠시 정지된 상태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서랍통(160) 안으로 낙하되면 서랍통(160)의 포집액이 충진된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해충이 걸림망(150)에 걸린 상태로 살아있다고 하더라도 포집액으로 낙하된 해충은 포집액에 의해 탈출할 수 없게 되어 결구 사멸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를 천정이나 벽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170)가 등갓(120)의 상부면 중심에 더 형성된다. 이러한 고리(170)는 끈과 같은 줄이나 못 등을 통해 실내·외의 천정이나 벽 등에 해충사멸장치(100)를 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에는 본 제품을 천정이나 벽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170)의 구성 이외에 실내·외의 지면이나 바닥에 본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지지각(180)이 해충 포집통(110)의 하부면 귀퉁이에 더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충사멸장치(100)는 해충 유인등(130)에 의해 등갓(120)의 하단과 해충 포집통(110)의 상단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인된 해 충을 송풍기(140)를 통해 해충 포집통(110)의 내측 하부로 흡입 송풍하여 걸림망(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걸림망(150)을 통해 해충을 걸러 서랍통(160) 내부에 충진된 포집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충을 포집하여 사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충사멸장치(100)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나 기타의 해충사멸장치에 비해 위생적으로 해충을 사멸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주파의 초음파나 자기장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비하여 인체에 무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안전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리, 모기, 하루살이 및 기타 해충을 빛을 발하는 램프를 통해 포집통의 내부로 유인하여 고압의 송풍팬으로 흡입 송풍하는 과정에서 걸림망에 걸려 서랍식 물통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해충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의 해충퇴치장치와는 달리 초음파나 자기장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의 해충사멸장치를 통해 인체에 무해하도록 함은 물론, 해충을 퇴치하여 근접을 방지하는 것이 아닌 사멸을 통해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한편 그 상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부재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해충 포집통,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부측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해충 포집통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등갓,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단과 등갓의 하단 사이에 중심부에 위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포집통의 상단과 등갓의 하단 사이의 열린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해충을 유인하도록 하는 유인등, 상기 해충 포집통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해충 유인등에 의해 해충 포집통 상부와 등갓 사이로 유인된 해충을 해충 포집통의 내측 하부로 강제 흡입 송풍하는 송풍기, 상기 해충 포집통의 하부로부터 일정높이의 양측에 설치되어 송풍기의 송풍압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기에 의해 강제로 흡입 송풍되는 해충이 걸리는 걸림망 및 상기 걸림망 하부측의 해충 포집통 전면에 내외로 출몰되도록 설치되어 그 내부에 포집액을 충진한 상태로 걸림망에 의해 걸린 해충이 낙하되어 사멸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통으로 이루어진 해충사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충포집통의 송풍기 상부로부터 해충 포집통의 상단에 이르는 공간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등갓의 상부면 중심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해충 포집통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일정간격의 지지각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사멸장치.
KR1020040038232A 2004-05-28 2004-05-28 해충사멸장치 KR10067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232A KR100673029B1 (ko) 2004-05-28 2004-05-28 해충사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232A KR100673029B1 (ko) 2004-05-28 2004-05-28 해충사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595U Division KR200358639Y1 (ko) 2004-06-04 2004-06-04 해충사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17A KR20040053017A (ko) 2004-06-23
KR100673029B1 true KR100673029B1 (ko) 2007-01-24

Family

ID=3734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232A KR100673029B1 (ko) 2004-05-28 2004-05-28 해충사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0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9375A (zh) * 2010-01-28 2010-12-22 黄竹 光诱除蚊装置
CN101979916A (zh) * 2010-06-23 2011-02-23 中北大学 多功能爱眼器
CN102885019A (zh) * 2012-10-31 2013-01-23 江西新正耀科技有限公司 吸入式杀蚊装置
CN103975912A (zh) * 2014-05-22 2014-08-13 佛山市顺德区机灵电器有限公司 具有收纳蚊虫及灭蚊功能的新型家电
WO2017185229A1 (zh) * 2016-04-26 2017-11-02 邢皓宇 一种灭蚊器
WO2017185228A1 (zh) * 2016-04-26 2017-11-02 邢皓宇 一种灭蚊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767A1 (ko) * 2009-05-26 2010-12-02 Park Ji Woong 살충 장치
KR101049293B1 (ko) * 2009-05-26 2011-07-14 박지웅 살충 장치
KR101232956B1 (ko) * 2012-09-07 2013-02-13 함정식 해충 포집장치
CN110024766B (zh) * 2019-04-11 2021-08-13 缪一诺 一种多功能鱼塘水面捕虫装置
KR102354715B1 (ko) * 2020-01-14 2022-01-24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해충 퇴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9375A (zh) * 2010-01-28 2010-12-22 黄竹 光诱除蚊装置
CN101979916A (zh) * 2010-06-23 2011-02-23 中北大学 多功能爱眼器
CN102885019A (zh) * 2012-10-31 2013-01-23 江西新正耀科技有限公司 吸入式杀蚊装置
CN103975912A (zh) * 2014-05-22 2014-08-13 佛山市顺德区机灵电器有限公司 具有收纳蚊虫及灭蚊功能的新型家电
WO2017185229A1 (zh) * 2016-04-26 2017-11-02 邢皓宇 一种灭蚊器
WO2017185228A1 (zh) * 2016-04-26 2017-11-02 邢皓宇 一种灭蚊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17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451B1 (ko) 파리 퇴치기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100673029B1 (ko) 해충사멸장치
CN201451113U (zh) 多功能诱捕器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US20180177175A1 (en) Vortex insect trap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JP2002125563A (ja) 飛翔性害虫駆除用複合トラップ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478938Y1 (ko) 해충 포획기
KR200358639Y1 (ko) 해충사멸장치
CN114532309B (zh) 一种用于林果防虫害的灭虫装置
JPH05103571A (ja) 吸血昆虫の誘引捕獲装置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20120036408A (ko) 해충사멸장치
KR200495060Y1 (ko) 파리유인 살충장치
CN210695617U (zh) 一种蚁蟓引诱装置
KR200387267Y1 (ko) 파리잡이 통
JP2000324999A (ja) 音感知器、モーターファン、粘着ネット、特殊形状容器を利用した害虫捕獲器
CN211558542U (zh) 一种大覆盖范围多用途农林业害虫诱捕器
KR200339661Y1 (ko) 곤충 포획기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