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938Y1 - 해충 포획기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938Y1
KR200478938Y1 KR2020140003740U KR20140003740U KR200478938Y1 KR 200478938 Y1 KR200478938 Y1 KR 200478938Y1 KR 2020140003740 U KR2020140003740 U KR 2020140003740U KR 20140003740 U KR20140003740 U KR 20140003740U KR 200478938 Y1 KR200478938 Y1 KR 200478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sect
pest
capturing
insect t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02U (ko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2020140003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3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낮에 활동하는 해충인 파리와 밤에 활동하는 모기를 모두 포획할 수 있는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의 발광부, 하단부의 해충유인부, 중간부의 포획부로 구성하여 상기 유인부를 통해 들어온 해충들은 해충포획부로 이동하여 자연사되어 박멸되므로 박멸 효율성이 높고 위생적이어서 자연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는 매우 유익한 고안이다
[색인어] 유인제 수납부, 개구, 턱부, 해충포획통 받침부, 통공, 망사천, 배공, 통기공

Description

해충 포획기{omitted}
본 고안은 낮에 활동하는 해충인 파리와 밤에 활동하는 모기를 모두 포획할 수 있는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해충이 좋아하는 유인제를 동시에 이용한 포획기인데 상단부의 발광부, 하단부의 유인부, 중간부의 포획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비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함은 물론 각종 질병을 전염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폐단을 유발하는 파리나 모기를 간단한 구조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인 포획하여 박멸시키는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낮에 활동하는 파리는 감각기능을 갖는 발에 의해 각종 음식물 폐기물 등을 묻혀 다니면서 사람이나 가축 등에 유해한 요소를 제공하며 주로 밤에 활동하는 모기는 인체와 가축 등에 피를 빨아 먹고 각종 무서운 질병을 유발시키는 악성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살충제를 살포 또는 분무하거나 끈끈이가 도포된 포지를 바닥에 깔거나 천정에 매달아 놓고 파리나 모기를 붙게 하여 자연사 시키는 등 여러가지 방법 등이 있으나 살충제 살포의 경우 실내에 한정되어 효력이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 문을 밀폐하여야만 약제의 효능이 유지되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었으며 인체에도 매우 유해하여 호흡기, 피부 등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과 이를 시정한 각종 해충포획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한결같이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어서 비경제적이고 이에 반해 해충의 박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여 안출한 것으로 빛을 발하는 램프와 해충들이 좋아하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포집통 속으로 해충들을 유인한 다음 자연사시켜 박멸하므로 위생적이고 실내뿐만 아니라 가축을 키우는 축산농가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보급형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더 많은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해충포획기를 제공코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부의 발광부, 하단부의 유인부, 중간부의 포획부로 구성하며 날아다니는 해충들 대부분이 밑에서 위로 비상하고자 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포집통 하측에 해충 유인부를 형성하여 여기로 들어온 해충들은 위쪽 포획부로 올라가 집결, 자연사되어 박멸되기 때문에 박멸 효율성이 높고 바닥이나 나무, 천정 등에도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 사용이 매우 편리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해충유인제는 천연재료로 만들어져 인체 및 가축에 무해, 무독할 뿐만 아니라 유인성분 효능이 향상되어 해충을 자극하는 램프와 함께 보다 많은 해충들을 유인하여 박멸시킬 수 있고 위생적이므로 매우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포집통(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단부에 해충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2)가 형성된 유인제 수납통(1)의 턱부(3)에 해충포획통(4)의 받침부(5)를 연결하고 상기 유인제 수납통(1)의 구멍(15)과 대설되는 해충포획통(4)의 통공(6)에 원추형 망사천(7)을 설치하여 상기 망사천(7) 상단에 배공(8)을 형성하고 해충포획통(4)의 상단에는 망사그물(10)로 이루어진 통기공(10)로 이루어진 통기공(9)이 형성되며 상기 해충포획통(4)의 상단부는 램프(12)가 장착된 덮개(11)의 괘지홈(13)에 끼워져 포집통(A)이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유인제 저장용기이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포집통(A)의 하단부 유인제 수납통(1)에는 유인제 저장용기(14)가 수납될 수 있고 또한 유인제(미도시)를 유인제 수납통(1)에 직접 넣을 수 있게 되는데 유인제의 냄새와 램프(12)의 불빛에 의해 밑에서 위로 비상하는 습성이 있는 파리나 모기 등은 포집통(4) 하측에 있는 유인제 수납통(1)의 개구(2)를 통해 들어가 상측의 구멍(15)과 해충포획통(4)의 통공(6)을 거쳐 원추형 망사천(7)의 배공(8)을 통해 상기 해충포획통(4)의 받침부(5)에 떨어져 자연사 되는 것으로 그 과정이 신속 간편하고 해충의 박멸 효율성이 보다 높아지고 위생적이서 자연친화적인 기구로서 사용자에게는 매우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1)

  1. 포집통(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단부에 해충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2)가 형성된 유인제 수납통(1)의 턱부(3)에 해충포획통(4)의 받침부(5)를 연결하고 상기 유인제 수납통(1)의 구멍(15)과 대설되는 해충포획통(4)의 통공(6)에 원추형의 망사천(7)을 설치하여 망사천(7) 상단에 배공(8)을 형성하고 상기 해충포획통(4)의 상단에는 망사그물(10)로 이루어진 통기공(9)이 형성된 구성인 해충포획기
KR2020140003740U 2014-05-13 2014-05-13 해충 포획기 KR200478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40U KR200478938Y1 (ko) 2014-05-13 2014-05-13 해충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40U KR200478938Y1 (ko) 2014-05-13 2014-05-13 해충 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2U KR20150004202U (ko) 2015-11-23
KR200478938Y1 true KR200478938Y1 (ko) 2015-12-02

Family

ID=5486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40U KR200478938Y1 (ko) 2014-05-13 2014-05-13 해충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069A (ko) * 2020-02-19 2021-08-30 주식회사 케이엔티21 파리유인 포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17B1 (ko) * 2019-03-12 2021-01-07 유지형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KR200495060Y1 (ko) * 2020-03-02 2022-03-15 조영수 파리유인 살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66Y1 (ko) 2005-02-02 2005-04-18 이준길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0945366B1 (ko)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66Y1 (ko) 2005-02-02 2005-04-18 이준길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0945366B1 (ko)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069A (ko) * 2020-02-19 2021-08-30 주식회사 케이엔티21 파리유인 포획기
KR102383937B1 (ko) * 2020-02-19 2022-04-08 (주)케이엔티21 파리유인 포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2U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75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0478938Y1 (ko) 해충 포획기
US20140007488A1 (en) Passive Flycatcher
WO2020081031A2 (en) A catcher device developed for harmful flies and insects
KR100673029B1 (ko) 해충사멸장치
KR100675197B1 (ko) 파리 유인 및 박멸용 트랩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CN205390076U (zh) 一种枣食芽象甲成虫诱杀装置
CN205284698U (zh) 一种太阳能杀虫灯
KR200495060Y1 (ko) 파리유인 살충장치
CN210695617U (zh) 一种蚁蟓引诱装置
CN104756966A (zh) 太阳能诱虫灯
CN204616843U (zh) 太阳能诱虫灯
CN205727749U (zh) 一种高效的昆虫捕捉器
KR102208426B1 (ko) 포충기
CN108064831A (zh) 一种可全天候捕虫器
TWM564331U (zh) Insect trap construction
CN215380952U (zh) 一种植物保护用防逃杀虫箱
CN213044860U (zh) 一种林业苗圃用诱虫灯
CN213819484U (zh) 一种农业植保虫害诱杀灯
KR20100104305A (ko) 해충포획장치
CN207820903U (zh) 一种栽培大棚用害虫诱捕器
KR20220029897A (ko) 해충 유인 포획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