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065Y1 - 흡입식 포충기 - Google Patents

흡입식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065Y1
KR200166065Y1 KR2019990013884U KR19990013884U KR200166065Y1 KR 200166065 Y1 KR200166065 Y1 KR 200166065Y1 KR 2019990013884 U KR2019990013884 U KR 2019990013884U KR 19990013884 U KR19990013884 U KR 19990013884U KR 200166065 Y1 KR200166065 Y1 KR 200166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conduit
light
suction
manned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우
Original Assignee
최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우 filed Critical 최종우
Priority to KR2019990013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인등의 불빛에 의해서 유도된 나방등의 야행성 해충이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으로 인해서 포획되도록 한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10)는 원추형 유인등갓(11)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유인등(12)과, 유인등(1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단부에 개구부(13a)가 구비된 원형도관(13)과, 원형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4)에 의해서 회전되는 흡입팬(15)과, 상기 원형도관(13)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컨트롤부(16)가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17)와, 상기 원형도관(13)의 하부에 원형도관(13)보다 작은 지름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유입통로(18)와, 유입통로(18)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통풍망(19)과, 상기 유입통로(18)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해충수집통(20)이 삽입되는 수집통 보관부(21) 및 상기의 구성부재들이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도록 수집통 보관부(2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다리(22)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는 유인등의 상부에 설치된 유인등갓에 의해 불빛의 산란을 최대한 방지하므로써 해충이 원형도관 내의 모터축 중심부로 날아들도록 하여 해충의 포획효과가 증대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인등의 불빛에 의해서 유도된 해충이 모터에 연결된 흡입팬의 회전으로 인한 흡입력만으로 포획되기 때문에 농약이나 살충제의 살포로 인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인체에 끼치는 부작용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입식 포충기{Insect inhalation trap}
본 고안은 나방등의 해충이나 날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포충기의 상부에 유인등을 설치하고 그 하부의 원형도관내에 모터와 연결된 흡입팬을 장착하여 유인등의 불빛에 의해서 유도된 해충이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으로 포획되도록 한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밤나방, 혹파리등의 각종 수목이나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농림해충과 파리나 모기 또는 바퀴벌레와 같이 음식이나 피부접촉을 통해 인체에 직접·간접적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는 위생해충으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이들 해충을 없애기 위해서 각종 농약이나 살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농약 및 살충제는 인체에 흡입되거나 접촉되었을 경우에 치명적인 독극물로 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을 비롯한 익충에게까지도 영향을 미쳐 생태계가 파괴되고, 해충이 농약이나 살충제에 대한 저항력이 계속 증가하여 사람들은 더 강력한 농약을 살포하게 되므로써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이 살충제 또는 농약살포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해충 및 날벌레들의 효과적인 살충을 위한 상기 강공법의 실패를 자인하고, 그 대안으로 생분해성 살충제의 개발과 페로몬 또는 천적을 이용한 퇴치법 및 유도 살충등을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도 살충을 이용한 몇몇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특별한 살충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형광등을 이용한 유도 살충기(실용신안출원공고 96-5541호 참조)가 고안된 바 있으나 이는 그 크기가 소형이고 날아 다니는 곤충의 특성상 1∼1.5m 이상의 높이에 매달거나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산이나 대형농장용으로 설치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종래 유도 살충기를 도시한 아래의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형광등을 이용한 흡입 포충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흡입 포충기(1)는 케이싱(2)의 전면에 형광램프(3)를 부설하고 그 내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임펠러(4)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4)는 그 둘레를 감싸며 유입통로(5a)를 갖는 원형 하우징(5)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며, 케이싱(2)의 저부에는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포충박스(6)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종래의 포충기(1)는 전원스위치(SW)를 'ON' 위치로 작동하게 되면 케이싱(2) 전면부의 형광램프(3)가 켜지고 모터의 동력으로 임펠러(4)가 회전하여 흡입작용을 하게 되며, 형광램프(3)의 불빛에 유인된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류가 임펠러(4)의 흡입력에 의해서 빨려 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빨려들어간 해충은 회전하는 임펠러(4)의 날개(4a)등에 충돌하여 죽게 되며 원형 하우징(5)의 유입통로(5a)를 통해 포충박스(6)내에 모아진 해충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포충박스(6)를 케이스(2)의 측방으로 꺼내어 버리면 된다.
한편, 종래 흡입 포충기(1)는 케이싱(2)의 전면부로 돌출되어 형광램프(3)가 부설되고 형광램프(3)의 중앙부 내측으로 모터가 설치된 구조에 기인하여 형광램프(3) 불빛의 산란에 의해서 형광램프(3) 중심부보다 오히려 형광램프(3) 주변측이 밝게 비치게 되므로써 불빛을 보고 날아든 곤충이 모터 회전축인 형광램프(3) 중심부까지 날아오지 않고 형광램프(3) 주변에서만 우회하게 되어 해충의 포집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펠러(4)의 배면 외부 케이싱(2)상에 망(7)이 결합되어 있어 임펠러(4)에 의해서 발생된 바람이 포충기(1)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임펠러(4)의 흡입력에 의해 포충기(1)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하우징의 유입통로(5a)를 통해 포충박스(6)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임펠러(4)의 날개(4a)를 따라 임펠러 후방의 망(7) 위에 달라붙는 경우가 있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임펠러(4)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빛을 이용한 흡입식 포충기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인등의 상부에 유인등갓을 설치하여 빛의 산란을 최대한 억제하고 상기 유인등의 하부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유인등 주위로 날아든 해충이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그 직하부에 장착되는 해충수집통에 포획되도록 하므로써 농약이나 살충제등으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효과적인 해충의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한 흡입식 포충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흡입식 포충기의 사시도.
도2은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는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컨트롤 박스와 수집통 보관구의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 해충 수집통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입식 포충기 11. 유인등갓
12. 유인등 13. 원형도관
13a. 상부개구부 14. 모터
15. 흡입팬 16. 컨트롤부
17. 컨트롤 박스 18. 유입통로
19. 통풍망 20. 해충수집통
21. 수집통 보관구 22. 다리
23. 지지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원추형의 유인등갓의 중앙하부에 고정된 유인등과, 유인등 하부의 원형도관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는 흡입팬과, 상기 원형도관의 하부에 포충기내로 유입된 해충이 지나가는 유입통로와, 그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통풍망과, 상기 유입통로의 하부에 해충수집통이 삽입되는 수집통 보관구가 수직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일체의 농약이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인등의 불빛에 의해서 유도된 해충이 흡입팬의 흡입력으로만 포획되도록 하기 때문에 주변의 자연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날벌레의 포획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원형도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타이머 및 안정기가 구비되어 주로 야행성인 해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포충기가 주로 야간에 작동되도록 타이머의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효과적인 해충의 포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안정기는 산이나 농장에서 누전 또는 기기의 과열시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 곤충 흡입 포충기에 대한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2은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는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컨트롤 박스와 수집통 보관구의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 해충 수집통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흡입 포충기(10)는 원추형 유인등갓(11)의 중앙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유인등(12)과, 유인등(12)의 하부에 상단부가 역원추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3a)가 구비된 원형도관(13)과, 원형도관(13)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4)에 의해서 회전되는 흡입팬(15)과, 상기 원형도관(13)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컨트롤부(16)가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17)와, 상기 원형도관(13)의 하부에 원형도관(13)보다 작은 지름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유입통로(18)와, 유입통로(18)의 외주면을 망의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통풍망(19)과, 상기 유입통로(18)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해충수집통(20)이 삽입되는 수집통 보관부(21) 및 상기의 구성부재들을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도록 수집통 보관부(2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다리(2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유인등갓(11)은 그 하부의 원형도관(13) 상단 개구주연부상(13a')에 수직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대(23)에 의해서 지지되며, 원추형의 삿갓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배면에 반사된 유인등(12)의 불빛이 원형도관(13)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하므로써 유인등(12) 불빛의 산란을 최대한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형도관(13)은 그 내부에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흡입팬(15)을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하여 강력한 흡입력으로 유인등(12) 주위로 날아든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원형도관(13)의 상부개구부(13a)는 역원추형의 벌어진 형태로 구성되는 데, 그 이유는 흡입팬(15)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상부개구부(13a)를 타고 나아가 더 넓은 범위에 그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원형도관(13)의 외주면상에는 컨트롤부(16)가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17)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부(16)는 포충기(10)를 작동시키는 ON-OFF스위치(16a), 작동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타이머(16b) 및 누전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정기(16c)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팬(15)을 통해 유입된 해충이 해충수집통(20)에 포집되도록 그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는 유입통로(18)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부는 원형도관(13)의 하단부에 하부는 수집통 보관구(21)의 내부에 삽입되는 해충수집통(20)에 직접 연결되며, 그 외측에는 포충기(10) 내부로 들어온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밀집배열된 통풍망(19)으로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통 보관부(21)는 그 내부에 해충수집통(20)이 장설되며, 그 전면부에 해충수집통(20)을 수시로 꺼낼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로 형성된 사각통공(21a)이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개폐문(21b)이 힌지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도4는 상기 수집통 보관부의 내부에 유입통로의 하단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해충 수집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해충수집통(20)은 상단부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결합구(20a)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촘촘하게 얽혀 형성된 포집망(20b)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흡입식 포충기에 의한 해충의 포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흡입 포충기(10)의 전원을 연결하고 컨트롤 박스(17)의 전원 스위치(16a)를 'ON'시키면 유인등(12)이 켜지고 원형도관(13) 내부에 설치된 모터(14)의 동력으로 흡입팬(15)이 회전하여 유인등(12) 주위의 공기가 원형도관(13)의 아랫쪽으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인등(12)의 불빛에 유도되어 원형도관(14)의 상부로 날아든 나방등의 해충들이 흡입팬(15)의 흡입력에 의해서 포충기(1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원형도관(13) 내로 해충이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흡입팬(15)에 충돌하여 살상되고 살상된 해충들이 흡입된 공기과 함께 유입통로(18)를 거쳐 수집통 보관구(21) 내의 해충수집통(20)에 포획되게 된다.
이렇게 포획된 해충이 해충수집통(20)의 포집망(20b)내에 일정량이 차게 되면 수집통 보관구(21) 전면부의 개폐문(21b)을 열고 해충수집통(20)을 꺼내어 죽은 해충을 버리고 그 내부를 청소한 뒤 다시 수집통 보관구(21) 내에 원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흡입 포충기(10)의 흡입팬(15)에 의하여 해충과 외부공기가 동시에 유입되는 데, 이때 이들 해충과 공기는 그 흡입력에 의하여 유입통로(18)를 거쳐 해충수집통(20)에 도달하게 되며 해충은 해충수집통(20)의 포집망(20b)에 쌓이게 되고, 공기는 해충수집통(20)의 포집망(20b)을 통과하여 도5의 점선으로 표시된 공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수집통 보관부(21)의 상부에 결합된 통풍망(19)을 통해 포충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는 유인등의 상부에 유인등갓을 설치하여 그 배면의 반사면에 의해 빛을 중심부로 모아주고 불빛의 산란을 최대한 방지하므로써 해충이 유인등의 주변부에서만 맴돌지 않고 원형도관 내의 모터축 중심부로 날아들도록 하여 해충의 포획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는 유인등의 불빛에 의해서 유도된 해충이 모터에 연결된 흡입팬의 회전으로 인한 흡입력만으로 포획되기 때문에 농약이나 살충제의 살포로 인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인체에 끼치는 부작용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는 과수원이나 조림지등에 설치되는 때에 야행성의 밤나무 나방을 비롯한 각종 유해 곤충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여 박멸함으로서 해충에 의한 수목이나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laims (2)

  1. 원추형 유인등갓(11)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유인등(12)과, 유인등(1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단부에 개구부(13a)가 구비된 원형도관(13)과, 원형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4)에 의해서 회전되는 흡입팬(15)과, 상기 원형도관(13)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컨트롤부(16)가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17)와, 상기 원형도관(13)의 하부에 원형도관(13)보다 작은 지름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유입통로(18)와, 유입통로(18)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통풍망(19)과, 상기 유입통로(18)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해충수집통(20)이 삽입되는 수집통 보관부(21) 및 상기의 구성부재들이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도록 수집통 보관부(21)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다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도관(13)의 원주면상에 ON-OFF스위치(16a), 타이머(16b), 안정기(16c)등의 컨트롤부(16)가 내장된 컨트롤 박스(17)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흡입 포충기.
KR2019990013884U 1999-07-14 1999-07-14 흡입식 포충기 KR200166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884U KR200166065Y1 (ko) 1999-07-14 1999-07-14 흡입식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884U KR200166065Y1 (ko) 1999-07-14 1999-07-14 흡입식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065Y1 true KR200166065Y1 (ko) 2000-02-15

Family

ID=1958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84U KR200166065Y1 (ko) 1999-07-14 1999-07-14 흡입식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0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94B1 (ko) 2006-12-20 2009-11-24 김승수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945366B1 (ko)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CN108419778A (zh) * 2018-05-03 2018-08-21 新乡市天意新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WO2019035683A1 (ko) * 2017-08-18 2019-02-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94B1 (ko) 2006-12-20 2009-11-24 김승수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945366B1 (ko)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WO2019035683A1 (ko) * 2017-08-18 2019-02-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N108419778A (zh) * 2018-05-03 2018-08-21 新乡市天意新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CN108419778B (zh) * 2018-05-03 2024-04-12 新乡市天意新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976B2 (en) Insect trap
JP7315593B2 (ja) 飛翔害虫捕獲装置及び捕獲昆虫の計数方法
KR100632277B1 (ko) 포충기
US102715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flying insect pests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20170106121A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30115963A (ko) 날벌레 차단 포획구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CA2511015C (en) Insect trap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1005376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CN201813738U (zh) 可集中虫只的捕虫器
KR200339661Y1 (ko) 곤충 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