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635B1 - 해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635B1
KR100537635B1 KR10-2004-0015618A KR20040015618A KR100537635B1 KR 100537635 B1 KR100537635 B1 KR 100537635B1 KR 20040015618 A KR20040015618 A KR 20040015618A KR 100537635 B1 KR100537635 B1 KR 10053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filter
suction
pes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276A (ko
Inventor
최미옥
Original Assignee
최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옥 filed Critical 최미옥
Priority to KR10-2004-001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6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을 살충하기 위한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 포집장치의 유인등으로 유인된 해충을 해충 포집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흡입휀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입기류에 의하여 상기 해충을 필터의 내측으로 흡입시킨 후 필터 상측의 록킹부재에 의하여 상기 필터를 밀폐시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고 해충이 필터 안에서 자연사 되도록 발명해 낸 것이며, 상기 유인등의 상측에는 CO₂발생기를 설치하여 주간에도 작동이 가능하여 기타 많은 양의 해충을 유인하여 살충가능하고자 발명해 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해충 포집장치는 해충들을 흡입휀의 날개부와 직접적으로 마찰되지 않고 포집함으로서 흡입휀의 날개부가 지저분해지고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휀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독가루를 갖는 독나방등을 살충시에도 독가루가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아 환경저해 요소를 예방하며 알레르기에 민감한 일반인들 역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상기 필터에 포집된 해충들이 록킹부재에 의하여 탈출이 불가능하여 완벽한 포집 및 살충효과를 제공하고 간단한 필터 교체방식에 의하여 교체작업의 편리성을 추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해충 포집장치{APPARATUS TO CATCH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들을 유인등의 불빛이나 CO₂발생기로 유인한 상태에서 상기 해충 포집장치에 설치된 흡입휀의 흡입기류에 의하여 상기 해충들을 필터의 내부로 포집한 후, 록킹부재가 밀폐되어 포집된 해충들의 탈출을 방지함은 물론 필터에 포집된 해충들이 시간이 경과하며 자연사 가능한 살충효과를 제공하는 해충 포집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은 병균을 옮기는 전염체로서 사람이나 가축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살충제들이 안출되었으나 상기와 같이 안출된 살충제는 대부분 스프레이식의 살충제나 모기향등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살충제들은 한정된 공간안에서 사용시에만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고,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운 축사등과 같이 개방된 곳에서는 살충제의 살포로 해충을 만족스럽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실용신안 등록 제 0166065호(이하 선출원)가 출원되어 해충 퇴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오던 바 상기 선출원의 경우 유인등의 불빛에 유도되어 원형도관의 상부로 날아든 해충들이 흡입휀의 흡입력에 의해서 포충기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되며, 원형도관내로 해충이 빨려들어가는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흡입휀에 충돌하여 살상되고 상기 살상된 해충들은 흡입된 공기와 함께 유입통로를 거쳐 수집통 보관부 내의 해충 수집통에 포획하게 되는 것이 주된 기술내용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흡입휀의 날개부가 해충들과 직접 충돌하여 살상하게 되는 경우 날개부에 해충의 찌꺼기가 묻어나게 되는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시는 날개부가 해충 찌꺼기에 완전히 덮혀 회전이 불가하게 됨은 물론 찌꺼기로부터 심한 악취를 유발하여 주변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과, 상기와 같이 수집통 보관부로 안내되는 해충 중 독나방과 같은 곤충의 경우 살상시 독가루가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독가루는 통풍망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의 환경오염은 물론 사람이나 가축에게 치명적인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과 상기 독가루와 같은 가루가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는 경우 가루 알레르기 반응을 갖는 일반인들이 체질상 쉽게 접근하기 난해한 문제점등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 포집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흡입휀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입기류에 의하여 유인등으로 유인된 해충을 필터 내측으로 흡입시킨 후 상기 필터 상측의 록킹부재에 의하여 상기 필터가 밀폐되어 해충을 자연사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인등의 상측에 CO₂발생기를 설치하여 보다 많은 양의 해충을 유인등으로 유인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인등(10)에 의하여 유인등갓(B)으로 유인되는 해충(80)을 포집하고자 몸체부(C) 내측에 설치된 흡입휀(70)과, 상기 흡입휀(70)에 의하여 해충(80)이 포집되는 필터(50)로 이루어진 해충 포집장치(A)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C) 상측의 테두리(20)에는 다수개의 흡입공(41)이 형성된 원추형 유도구(40)의 재치환턱(42)이 재치되고 상기 원추형 유도구(4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43)에는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록킹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43)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환홈(44)에는 필터(50) 상측의 걸림환턱(51)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부(C)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M)의 회전축(74)에는 복수개의 날개부(72)를 갖는 흡입휀(70)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몸체부(C)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크(22)가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21)를 설치하여 유인등갓(B)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12)과 결합하여 연결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휀(70)의 상측으로 몸체부(C) 내주연을 따라 거치환홈(23)을 형성하되 상기 거치환홈(23)의 상측에는 중앙에 다수개의 통공(61)이 형성된 망사(60)의 거치환턱(62)과 끼움결합되며 유인등(10)의 상측으로 CO₂발생기(13)가 설치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유인등갓(B)이 구성되고 하측으로 몸체부(C)가 구성되는 해충 포집장치(A)의 유인등갓(B) 내부가 도시될 수 있도록 유인등갓(B)은 편의상 저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투시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인등갓(B)과 몸체부(C) 내측의 투시부분을 은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유인등갓(B)의 내부 상측에는 유인등(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소켓(11)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유인등갓(B)의 하부 내주연 사방향에는 클립(12)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몸체부(C)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크(22)가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21)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21)가 유인등갓(B)에 제공되는 클립(12)과 치합가능하도록 동일한 수량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C)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M)는 상측으로 회전축(7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4)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M)의 상측에는 허브(71)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날개부(72)가 흡입휀(70)을 구성하되 상기 흡입휀(70)의 중앙에는 체결홈(73)이 형성되어 모터(M)의 회전축(74)과 치합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흡입휀(70)의 상측에 도시된 다수개의 통공(61)이 형성된 망사(60)는 외주연에 거치환턱(62)을 형성하여 몸체부(C) 내측의 거치환홈(23)에 끼움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몸체부(C)의 테두리(20) 상측에는 경사면에 다수개의 흡입공(41)이 형성된 원추형 유도구(40)의 재치환턱(42)이 재치되는 것이며 상기 원추형 유도구(4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43)의 외측방향에 형성된 걸림환턱(51)에는 필터(50)의 상측 포집공(52)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걸림환홈(44)이 형성된 필터(50)의 걸림환홈(44)을 원추형 유도구(40)의 걸림환턱(51)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안내공(43)의 상측에는 록킹부재(3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부재(30)는 상광하협의 단면으로 구성된 록킹공(34) 내측으로 중앙에 힌지(3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록킹도어(31)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구성되는 록킹부재(30)가 안내공(43)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해충 포집장치(A)의 전체적인 내부 결합과정을 도시하고자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시킨 절개사시도로서 유인등(10)이 설치된 유인등갓(B)과 몸체부(C)가 클립(12)과 지지대(21)에 의하여 연결된 것이며 상기 원추형 유도구(40) 하부의 안내공(43)에 설치되는 록킹부재(30)는 힌지(32)를 중심으로 저면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에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것과 같이 힌지(3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록킹도어(31)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도어(31)가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록킹도어(31)의 중앙에는 힌지공(33)을 형성한 것이며 우측에 발췌하여 도시된 확대도는 상기 힌지(32)가 록킹공(34)에 체결설치되고 상기 록킹공(34)은 원추형 유도구(40)의 안내공(43)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원추형 유도구(40)의 안내공(43) 외측방향에 형성된 재치환턱(42)은 필터(50) 상측의 걸림환턱(51)과 체결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4a는 유인등(10)에 의하여 해충(80)이 유인등갓(B)으로 유인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흡입휀(70)의 회전에 따라 해충(80)이 필터(50)로 포집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c는 포집된 해충(80)이 록킹부재(30)에 의하여 필터(50)에 포집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 4a,4b,4c는 해충(80)이 포집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보다 면밀하게는 도 4a와 같이 상기 유인등(10)을 점등함으로서 외부에서 유영하던 해충(80)들이 상기 점등된 유인등(10)의 불빛을 따라 유인등갓(B)의 내부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와 같이 유인등갓(B)의 내측으로 유인된 해충(80)을 필터(50)에 포집하기 위하여 몸체부(C)의 하측에 구성된 모터(M)의 회전축(74)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74)과 체결된 흡입휀(70)이 동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흡입휀(70)의 회전에 따라 흡입휀(70)의 상측으로 흡입기류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기류는 원추형 유도구(40)에 형성된 흡입공(41)을 통과하여 유인등갓(B) 내측에 유영하는 해충(80)들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인등갓(B)의 내측에 유영하던 해충(80)들은 흡입휀(70)으로 부터 발생하는 흡입기류에 의하여 급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원추형 유도구(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중앙의 안내공(43)으로 향하게 되며 이때 상기 모터(M)의 회전과 연동되어 안내공(43)에 설치된 록킹부재(30)의 록킹도어(31)가 힌지(32)를 중심으로 저면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록킹부재(30)가 개방된 상태로서 급하강하는 해충(80)들을 필터(50)의 내측으로 포집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포집작업 중 개방된 록킹부재(30)의 상측으로 해충(80)이 탈출시에도 흡입휀(70)의 흡입기류가 지속적으로 흡입공(41) 상측에 형성되어 탈출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포집작업을 마친 후 도 4c와 같이 록킹부재(30)의 록킹도어(31)가 힌지(32)를 중심으로 원상태로 복원되어 안내공(43)이 밀폐됨으로서 해충(80)의 탈출을 완전차단하게 되며 몸체부(C)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M)의 회전축(74) 또한 정지하게 되어 흡입휀(70)의 회전작업 역시 정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동작업에 의하여 필터(50)의 내측에 포집된 해충(80)들은 일정시간이 경과시 자연사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흡입휀(70)의 회전작업과 록킹부재(30)의 개폐작업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고 일정기간이 경과시는 상기 필터(50)의 걸림환턱(51)을 원추형 유도구(40)의 걸림환홈(44)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필터(50)를 교체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해충 포집장치(A)의 결합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자 도 4c의 좌측에 확대도시한 부분은 몸체부(C)의 외주연으로 지지대(21)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C)의 상측 테두리(20)에는 원추형 유도구(40)의 재치환턱(42)이 재치된 상태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고자 확대도시한 것이며, 우측 상부에 도시된 확대도는 유인등갓(B)의 내주연에 설치된 클립(12)과 상기 몸체부(C)로에 설치된 지지대(21) 상측의 후크(22)가 상호 끼움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 하부에 도시된 확대도는 몸체부(C)의 내주연을 따라 거치환홈(23)을 설치하여 상기 거치환홈(23)의 상측으로 망사(60)의 거치환턱(62)이 끼움결합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4a,4b,4c의 유인등(10)이 체결된 연결소켓(11)의 상측에 도시된 CO₂발생기(13)는 해충 포집장치(A)의 주위에 있는 또 다른 해충(80)을 유인하기에 적합하고자 설치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유인등(10)이 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는 주간에 작동함으로서 주,야간에 구분없이 해충(80) 포집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유인등갓의 내측으로 유인된 해충들을 흡입휀의 날개부와 직접적으로 마찰되지 않고 흡입기류에 의하여 필터로 안내함으로서 흡입휀의 날개부가 지저분해지고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휀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불필요한 해충과의 마찰에 따른 독가루등이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아 환경저해 요소를 예방하며 상기 가루에 대하여 민감한 알레르기 반응을 갖는 일반인들 역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상기 필터에 포집된 해충들이 록킹부재에 의하여 탈출이 불가능하여 완벽한 포집 및 살충효과를 제공하고 간단한 필터의 교체방식에 의하여 교체작업의 편리성을 추구하며 살충제의 사용을 억제함으로서 환경오염과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투시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개 사시도
도 4a는 유인등에 의하여 해충이 유인등갓으로 유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흡입휀의 회전에 따라 해충이 필터로 포집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포집된 해충이 록킹부재에 의하여 필터에 포집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해충 포집장치 B-유인등갓
C-몸체부 M-모터
10-유인등 12-클립
13-CO₂발생기 20-테두리
21-지지대 22-후크
23-거치환홈 30-록킹부재
31-록킹도어 32-힌지
40-원추형 유도구 41-흡입공
42-재치환턱 43-안내공
44-걸림환홈 50-필터
51-걸림환턱 60-망사
61-통공 62거치환턱
70-흡입휀 72-날개부
74-회전축 80-해충

Claims (3)

  1. 유인등(10)에 의하여 유인등갓(B)으로 유인되는 해충(80)을 포집하고자 몸체부(C) 내측에 설치된 흡입휀(70)과, 상기 흡입휀(70)에 의하여 해충(80)이 포집되는 필터(50)로 이루어진 해충 포집장치(A)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C) 상측의 테두리(20)에는 다수개의 흡입공(41)이 형성된 원추형 유도구(40)의 재치환턱(42)이 재치되고 상기 원추형 유도구(4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43)에는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록킹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43)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환홈(44)에는 필터(50) 상측의 걸림환턱(51)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부(C)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M)의 회전축(74)에는 복수개의 날개부(72)를 갖는 흡입휀(70)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몸체부(C)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크(22)가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21)를 설치하여 유인등갓(B)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12)과 결합하여 연결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휀(70)의 상측으로 몸체부(C) 내주연을 따라 거치환홈(23)을 형성하되 상기 거치환홈(23)의 상측에는 중앙에 다수개의 통공(61)이 형성된 망사(60)의 거치환턱(62)과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인등(10)의 상측으로 CO₂발생기(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KR10-2004-0015618A 2004-03-08 2004-03-08 해충 포집장치 KR10053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18A KR100537635B1 (ko) 2004-03-08 2004-03-08 해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18A KR100537635B1 (ko) 2004-03-08 2004-03-08 해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76A KR20050090276A (ko) 2005-09-13
KR100537635B1 true KR100537635B1 (ko) 2005-12-20

Family

ID=3727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18A KR100537635B1 (ko) 2004-03-08 2004-03-08 해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6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KR101012084B1 (ko) * 2008-08-08 2011-02-07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
CN108782503A (zh) * 2018-06-14 2018-11-13 佛山市三水区希望火炬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式虹吸蚊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1368A (zh) * 2016-07-07 2016-09-21 厦门唯科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捕虫盒以及具备该捕虫盒的捕虫机
US20220132824A1 (en) * 2020-10-30 2022-05-05 19 Thrasio Nineteen, Inc. Insect capture device
CN112674054B (zh) * 2021-01-13 2021-09-21 湖北绿满园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香米种植用害虫捕捉装置
CN113491261B (zh) * 2021-07-23 2022-07-22 海南盛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带有引诱剂的防烧毁灭虫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84B1 (ko) * 2008-08-08 2011-02-07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CN108782503A (zh) * 2018-06-14 2018-11-13 佛山市三水区希望火炬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式虹吸蚊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76A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20140011491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200393447Y1 (ko) 해충포획기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KR101232956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130115963A (ko) 날벌레 차단 포획구
KR1005376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JP3139542U (ja) 害虫捕獲器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N205180158U (zh) 卫生捕虫器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90014632A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200332379Y1 (ko) 날벌레 포획장치
KR200339661Y1 (ko) 곤충 포획기
RU2289243C1 (ru) Ловушка для насекомых
KR200401111Y1 (ko) 흡입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