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230B1 - 날벌레 포충기 - Google Patents

날벌레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230B1
KR100997230B1 KR1020090125532A KR20090125532A KR100997230B1 KR 100997230 B1 KR100997230 B1 KR 100997230B1 KR 1020090125532 A KR1020090125532 A KR 1020090125532A KR 20090125532 A KR20090125532 A KR 20090125532A KR 100997230 B1 KR100997230 B1 KR 10099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tle
guide
insect
guide cylind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Priority to KR102009012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벌레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11)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13)로 구성된 포충기본체(10)와; 가이드통체(13)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13)를 밀폐하는 안착부(21)와, 안착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13)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22)와, 가이드부(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23)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13)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20)와; 가이드부(22)에 설치되되 포집망(23)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가 가이드통체(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20)를 통해 가이드통체(13)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11)와 가이드통체(13)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A)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날벌레의 포집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날벌레 포충기{Apparatus for collecting a winged insect}
본 발명은 날벌레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날벌레는 편리하고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날벌레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날벌레의 발생밀도 확인 및 살아 있는 날벌레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충기를 매개로 날벌레를 수집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충기는 포집하고자 하는 날벌레 뿐만 아니라 다른 날벌레도 포집되어, 포집 정확성이 떨어졌으며, 관리자가 날벌레를 수거하여 날벌레 개체수를 계수할 시, 각각의 날벌레를 분리해야 했기 때문에, 효율성이 저하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날벌레 포집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편리하고 용이하게 날벌레를 포집할 수 있는 날벌레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로 구성된 포충기본체와; 가이드통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를 밀폐하는 안착부와,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와; 가이드부에 설치되되 포집망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가 가이드통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를 통해 가이드통체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와 가이드통체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팬기구을 매개로 날벌레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팬기구에 의한 흡입공기를 유인제 확산에 재이용함으로써, 날벌레의 포집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의 구성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는, 포충기본체(10)와, 포충기본체(10)에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20)와, 포충기본체(10)에 내설되는 팬기구(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충기본체(10)는, 상방으로 개구된 외부본체(11)와, 외부본체(11)에 내설되는 고정바(12)와, 고정바(12)를 매개로 외부본체(11)에 내설되는 가이드통체(1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본체(11)는, 하부가 폐쇄된 원형 통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본체(11)를 하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하였지만, 하부가 폐쇄된 관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12)는, 일단이 외부본체(11)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고정바(12)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통체(13)는, 상하로 관통된 원형 관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통체(13)는, 외부 둘레면이 고정바(12)의 타단에 고정되어, 외부본체(11)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통체(13)는, 고정바(12)에 의해 외부본체(11)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부본체(11)와 가이드통체(13) 사이에는 팬기 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배출로(A)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통체(13)를 원형 관 형상으로 하였지만, 상하로 관통된 관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통체(13)의 외부 둘레면에는 날벌레유인제(F)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유인제(F)는 통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물망에 담겨, 가이드통체(13)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재(13a)에 걸려진다. 한편, 상기 날벌레유인제(F)로는 젖산, 암모니아, 아세트산, 옥테놀 등이 사용되며, 날벌레를 유인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날벌레 포집기구(20)는, 가이드통체(13)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21)와, 안착부(21)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통체(13)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22)와, 가이드부(22)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집망(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1)는, 주위로 모여든 날벌레가 가이드부(22)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22)는, 상하로 관통되어 안착부(21) 및 포충기본체(10)의 가이드통체(13)와 연통되며, 안착부(21)로 흡입된 날벌레를 포집망(23)으로 안내한다.
상기 포집망(23)은, 그물망 형상으로, 가이드부(22)의 하부에 끼워져, 가이드부(22)로부터의 날벌레를 포집한다.
상기 팬기구(30)은, 포충기본체(10)의 가이드통체(13)에 내설되어, 외부 공기를 포충기본체(10)의 외부본체(11) 내부로 흡입한다. 이때, 팬기구(30)은 흡입된 날벌레가 포집망(23)에 포집되도록 포집망(23)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팬기구(30)은 공기를 흡입하는 통상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날벌레 포집위치에 설치한 후, 별도의 입력유닛(미도시)을 매개로 팬기구(30)을 구동하면, 팬기구(30)은 외부공기를 포충기본체(10)의 가이드통체(13) 내부로 흡입한다.
이때, 상기 포충기본체(10)의 외부본체(11)에 설치된 날벌레유인제는 포충기본체(10)의 주변으로 퍼져나가면, 포충기본체(10)의 주변에서 서식하는 날벌레가, 날벌레유인제에 의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변으로 유인된다.
상기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변으로 날벌레가 유인되면, 날벌레는 외부본체(1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안착부(21) 내부로 흡입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의 가이드부(2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포집망(23)을 통과하고, 날벌레는 포집망(23)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날벌레포집기구(20)의 포집망(23)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배출로(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배출로(A)를 통과하는 공기는 날벌레유인제(F)와 혼합되면서, 날벌레유인제(F)를 포충기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날벌레유인제(F)가 포충기본체(10) 외부로 더욱더 확산되어, 날벌레가 날 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위로 많은 수의 날벌레가 모인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로(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안착부(21)의 주변에 모인 날벌레에 공압을 가한다. 이때, 팬기구(30)에는 포집하고자 하는 날벌레의 하중에 따른 팬기구의 구동력이 설정되어 있어, 기준값 이하의 하중이 나가는 날벌레는 공기배출로(A)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에 의해 안착부(21)로부터 멀리 날려진다. 따라서, 포집하고자 하는 날벌레만 안착부(21)로 유도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날벌레가 포집되면, 작업자는 날벌레의 개체수 확인 등과 같은 날벌레 데이터 수집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는, 상기 날벌레포집기구(20)의 가이드부(22)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22a)와, 하부에 위치하여 제1가이드부(22a)로부터 이격되는 제2가이드부(2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날벌레 포충기는, 날벌레포집기구(20)의 가이드부(22)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40)와, 감지장치(40)의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날벌 레를 계수하는 제어유닛(50)과, 제어유닛(5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및, 제어유닛(5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유닛(70)이 보강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40)는, 날벌레포집기구(20)의 제1가이드부(22a)와 제2가이드부(22b)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장치본체(41)와, 감지장치본체(41)에 내설되는 감지센서(42)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본체(41)는, 제1가이드부(22a)의 하단이 삽입고정되고, 제2가이드부(22b)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41a)와, 고정부재(41a)에 내설되는 발광부설치부재(41b) 및, 수광부설치부재(41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1a)는, 상하로 관통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제1가이드부(22a) 및 제2가이드부(22b)와 각각 연통되는 관통부(41a1)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부(41a1)과 연통되는 발광부설치부(41a2)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부(41a1)와 연통되며 관통부(41a1)를 중심으로 발광부설치부(41a2)와 대향되는 수광부설치부(41a3)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설치부재(41b)는, 사각패널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41a)의 발광부설치부(41a2)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광부설치부재(41c)는, 사각패널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41a)의 수광부설치부(41a3)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발광부설치부재(41b)와 대향된다.
상기 감지센서(42)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로서, 적외선을 송출하는 발광부(42a) 및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42b)가 한 쌍을 이뤄 감지장치본체(41)에 내설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42a)는, 감지장치본체(41)의 발광부설치부재(41b)에 내설되어, 관통부(41a1)를 향해 적외선을 방출하며, 수광부(42b)는 감지장치본체(41)의 수광부설치부재(41c)에 내설되어 발광부(42a)로부터의 적외선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42)는, 최적의 정밀도를 위해 다수개가 구비되어, 감지장치본체(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42)로 적외선 센서를 적용하였지만, 가시광선을 이용한 가시 광 송수신 센서가 이용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50)은, 포충기본체(10)에 설치되며, 각각의 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센서(42)의 발광부(42a)와 수광부(42b)를 작동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닛(50)은 발광부(42a)가 적외선을 송출하도록 하며, 적외선을 수신한 수광부(32a)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이때, 제어유닛(50)은 각각의 수광부(42a)로부터의 신호를 매개로 적외선의 변화량을 판독하여, 포집망(23)으로의 날벌레 유입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장치본체(41)를 통과하여 포집망(23)으로 유입된 날벌레의 개수를 연산한다. 한편, 제어유닛(50)이 감지센서(42)를 매개로 날벌레를 연산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주지관용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유닛(60)은, 포충기본체(1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출력유닛(70)은, 포충기본체(10)에 설치되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유닛(70)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날벌레 포집위치에 설치한 후, 입력유닛(60)을 매개로 팬기구(30)을 구동하면, 팬기구(30)은 외부공기를 포충기본체(10)의 가이드통체(13) 내부로 흡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입력유닛(60)을 매개로 감지센서(42)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포충기본체(10)의 외부본체(11)에 설치된 날벌레유인제는 포충기본체(10)의 주변으로 퍼져나가면, 포충기본체(10)의 주변에서 서식하는 날벌레는, 날벌레유인제에 의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변으로 유인된다.
상기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변으로 날벌레가 유인되면, 날벌레는 외부본체(1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안착부(21) 내부로 흡입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제1가이드부(22a)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날벌레는 제1가이드부(22a)로부터 배출되며, 고정부재(41a)의 관통부(41a1)를 통과하여, 포집망(23)으로 이동한다.
상기 날벌레가 고정부재(41a)의 관통부(41a1)를 통과하면, 감지센서(42)의 발광부(42a)로부터 송출되어 수광부(42b)로 이동하는 적외선이 도 5와 같이 날벌레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50)은,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수광부(42b)로부터 적 외선이 차단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여 날벌레가 포집망(23)으로 유입되었는 가를 판별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유닛(50)은 판별된 정보를 바탕으로 포집망(23)으로 유입된 날벌레의 개수를 연산한다.
이때, 상기 출력유닛(70)에는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 및 날벌레의 계수상태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날벌레포집기구(20)의 포집망(23)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배출로(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배출로(A)를 통과하는 공기는 날벌레유인제(F)와 혼합되면서, 날벌레유인제(F)를 포충기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날벌레유인제(F)가 포충기본체(10) 외부로 더욱더 확산되어, 날벌레가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주위로 많은 수의 날벌레가 모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요소간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는 보호부재(80)가 보강구비되며, 제어유닛(50), 입력유닛(60), 출력유닛(70)이 보호부재(80)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보호부재(80)는, 포충기본체(10)의 외부본체(11) 둘레면에 설치되는 지지바(81)와, 지지바(8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림막(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81)는, 외부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충기본체지지대(S1) 와, 외부본체(11)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림막지지대(S2)로 구성된다.
상기 포충기본체지지대(S1)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S1a)와, 베이스(S1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본체(1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체(S1b)로 구성된다.
상기 가림막지지대(S2)는, 가림막(8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외부본체(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안착부(21) 보다 위에 위치한다.
상기 가림막(82)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서, 가림막지지대(S2)의 상부에 고정되어, 포충기본체(10)을 가린다. 이때, 가림막(82)은 포충기본체(10)를 가릴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50)은 가림막(82)의 저면에 설치되고, 가림막(82)을 관통하는 입력유닛(60) 및 출력유닛(70)이 가림막(82)의 상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림막(82)이 설치되면, 비, 바람, 하늘에서 낙하하는 조류의 배변 등과 같은 외부요인으로부터 포충기를 보호할 수 있어, 각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비 및 조류의 배변이 포충기에 묻으면 포충기의 부식을 초래하여, 포충기가 본래의 기능을 장기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경우 가림막(82)이 이를 방지하여, 포충기가 본래의 기능을 장기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가림막(82)은, 그늘을 형성한다. 따라서, 음지를 좋아하는 날벌레의 특성상 가림막(82) 주변으로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해 날벌레 포집을 더욱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GPS센서(90)가 보호부재(80)의 지지바(81)에 설치되어 가림막(82)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GPS센서(90)는 포충기의 현재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어유닛(50)은 GPS센서(9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포충기의 현재위치를 출력유닛(70)에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포충기의 현재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날벌레 포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요소간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포충기본체 11; 외부본체
12; 고정바 13; 가이드통체
20; 날벌레포집기구 21; 안착부
22; 가이드부 22a; 제1가이드부
22b; 제2가이드부 23; 포집망
30; 팬기구 40; 감지장치
50; 제어유닛 60; 입력유닛
70; 출력유닛 80; 보호부재
81; 지지바 82; 가림막
90; GPS센서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11)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13)를 갖추며, 내부에 날벌레유인제(F)가 구비되는 포충기본체(10)와;
    가이드통체(13)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13)를 밀폐하는 안착부(21)와, 안착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13)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22)와, 가이드부(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23)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13)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20)와;
    가이드부(22)에 설치되되 포집망(23)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가 가이드통체(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20)를 통해 가이드통체(13)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11)와 가이드통체(13)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A)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30)와;
    포충기본체(10)와 날벌레포집기구(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림막지지대(S2)를 매개로 포충기본체(10)에 설치되어, 포충기본체(10)의 상부 개구면과 날벌레포집기구(20)의 상부 개구면을 가리는 가림막(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본체(10) 저면에 포충기본체지지대(S1)가 구비되어, 포충기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3. 삭제
  4.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11)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13)를 갖추며, 내부에 날벌레유인제(F)가 구비되는 포충기본체(10)와; 가이드통체(13)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13)를 밀폐하는 안착부(21)와, 안착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13)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22)와, 가이드부(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23)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13)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20)와; 가이드부(22)에 설치되되 포집망(23)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가 가이드통체(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20)를 통해 가이드통체(13)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11)와 가이드통체(13)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A)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30)와; 날벌레포집기구(20)의 가이드부(22)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2)를 따라 포집망(23)으로 이동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40)와; 감지장치(4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포집되는 날벌레의 개체수를 연산하는 제어유닛(50)과; 제어유닛(50)을 작동제어하는 입력유닛(60)과; 제어유닛(5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는, 상호 연통되는 제1가이드부(22a) 및 제2가이드부(22b)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장치(40)는,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설치부(41a2) 및 수광부설치부(41a3)를 갖추고서, 제1가이드부(22a)와 제2가이드부(22b)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가이드부(22a)와 제2가이드부(22b)를 밀폐연결하는 감지장치본체(41)와, 감지장치본체(41)의 발광부설치부(41a2)에 설치되는 발광부(42a)와 감지장치본체(41)의 수광부설치부(41a3)에 설치되는 수광부(42b)를 갖추고서, 감지장치본체(41)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50)은, 가림막(82)의 저면에 설치되고, 입력유닛(60) 및 출력유닛(70)이 가림막(82)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포충기의 현재위치를 감지하는 GPS센서(90)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충기.
KR1020090125532A 2009-12-16 2009-12-16 날벌레 포충기 KR10099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532A KR100997230B1 (ko) 2009-12-16 2009-12-16 날벌레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532A KR100997230B1 (ko) 2009-12-16 2009-12-16 날벌레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230B1 true KR100997230B1 (ko) 2010-11-29

Family

ID=4341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532A KR100997230B1 (ko) 2009-12-16 2009-12-16 날벌레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2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55B1 (ko) 2012-04-05 2013-05-13 대한민국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KR101953746B1 (ko) * 2017-09-13 2019-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CN111771837A (zh) * 2020-07-31 2020-10-16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气吸式草原蝗虫捕集机
US20200404897A1 (en) * 2018-03-06 2020-12-31 Techno Bam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2021002352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635B1 (ko) * 2004-03-08 2005-12-20 최미옥 해충 포집장치
US20090000183A1 (en) * 2002-12-18 2009-01-01 Martin Geier Insect tr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0183A1 (en) * 2002-12-18 2009-01-01 Martin Geier Insect trap
KR100537635B1 (ko) * 2004-03-08 2005-12-20 최미옥 해충 포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55B1 (ko) 2012-04-05 2013-05-13 대한민국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KR101953746B1 (ko) * 2017-09-13 2019-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US20200404897A1 (en) * 2018-03-06 2020-12-31 Techno Bam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2021002352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KR102288186B1 (ko) * 2019-08-23 2021-08-11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CN111771837A (zh) * 2020-07-31 2020-10-16 内蒙古自治区农牧业科学院 一种气吸式草原蝗虫捕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30B1 (ko) 날벌레 포충기
KR101049197B1 (ko)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099946B1 (ko)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KR101001317B1 (ko)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JP2010099013A (ja) 捕虫器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8768769U (zh) 一种自动诱捕监测装置
JP3710111B2 (ja) 飛翔昆虫検知装置
JP4319130B2 (ja) 捕虫装置
KR101004754B1 (ko)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CN111084165A (zh) 一种陷阱式性信息素自动害虫测报仪
JP2010115172A (ja) 捕虫器
KR20150041247A (ko) 카운팅유닛을 구비하는 포충장치
JP3212987U (ja) 吸引式捕虫器
JP6375333B2 (ja) 捕虫器
CN215648899U (zh) 一种病虫害监测及管控系统
KR20110080634A (ko) 곤충채집트랩
CN109275641B (zh) 横流风吸式杀虫灯
KR102481436B1 (ko) 곤충 샘플 포집 장치
JP5268378B2 (ja) エレベータかご
KR102288186B1 (ko)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JP2000135043A (ja) 飛翔性害虫の発生状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