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186B1 -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 Google Patents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186B1
KR102288186B1 KR1020190103822A KR20190103822A KR102288186B1 KR 102288186 B1 KR102288186 B1 KR 102288186B1 KR 1020190103822 A KR1020190103822 A KR 1020190103822A KR 20190103822 A KR20190103822 A KR 20190103822A KR 102288186 B1 KR102288186 B1 KR 10228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frame
accommodat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524A (ko
Inventor
유재승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to KR102019010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1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1/00Counting of objects distributed at random, e.g. on a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상방이 개구된 제1수용기구(20)와; 상하방이 개구되고, 공기이동로(r)가 형성되도록 제1수용기구(20)의 내면과 이격되게 제1수용기구(20)에 삽입배치되는 제2수용기구(40)와; 상하로 개구되어, 제2수용기구(40)에 삽입배치되며, 날벌레가 유입되는 날벌레유입기구(50)와; 날벌레유입기구(50)에 설치되어, 포충기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날벌레유입기구(5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90)와; 날벌레유입기구(50)의 하측에 설치되는 포집망(110) 및; 포집망(110)의 하방에 배치되는 흡기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Apparatus For Collecting A Winged Insect}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벌레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면서 계수하고, 정확한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날벌레 유인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날벌레(예를 들어 모기)의 발생밀도를 감시하고, 살아 있는 날벌레에서 병원균의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날벌레를 포집한다.
상기와 같이 날벌레를 포집하기 위해서는 포충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포충기는 흡기팬으로 외부의 날벌레를 흡입하여, 포충망에 포집하고, 포집되는 날벌레를 계수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갑자기 포충기 전원이 오프되거나, 흡기팬의 구동 등 포충기의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시, 포집된 날벌레가 포충기의 입구를 통해 날아가, 안정적인 날벌레 포집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날벌레를 계수하면서 상기와 같이 포집된 날벌레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포충기 이상 발생 시 계수된 날벌레 데이터와 포집된 날벌레 데이터 간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포충기는 조립 및 분해가 어려워 휴대하여 이동하기 어렵고, 날벌레를 유인하는 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으로 포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49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날벌레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면서 계수하고, 정확한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날벌레 유인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서 상부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링 형상의 안착프레임을 갖춘 프레임과;
상방으로 개구되어 하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이 수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이 연결프레임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체결부와, 체결부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 및, 상기 체결부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를 갖추고서, 상기 체결부가 상부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용기구와;
상부프레임과 안착프레임 사이를 덮는 그물망 형상의 커버와;
상하로 개구된 소프트한 재질의 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이 연결프레임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를 갖추고서, 상기 체결부가 안착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용기구 내면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수용기구에 수용되는 제2수용기구와;
상하로 개구되어, 날벌레가 유입되며, 하단의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날벌레유입부; 상하로 개구되고, 날벌레유입부와 연통되어, 날벌레유입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제2수용기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계수유닛설치부; 상하로 개구되고, 계수유닛설치부와 연통되어, 계수유닛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제2수용기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개폐유닛설치부;를 갖추고서, 제2수용기구에 삽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날벌레유입기구와;
계수유닛설치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진기와, 계수유닛설치부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발진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춘 날벌레계수유닛과;
날벌레유입기구의 개폐유닛설치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유닛설치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사각 패널 형상의 개폐판과, 개폐유닛설치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일단이 개폐유닛설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개폐판에 설치되어 개폐판을 일방을 탄발지지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해제될 시 개폐판이 개폐유닛설치부 내부를 폐쇄하게 하는 토션스프링을 갖춘 개폐유닛과;
개폐유닛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포집망과;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포획그물망의 하방에 위치하는 흡기유닛과;
제1수용기구에 유인제를 공급하는 유인제공급유닛과;
흡기유닛과, 유인제공급유닛과, 날벌레계수유닛 및, 개폐유닛의 구동모터를 작동제어하되, 유인제공급유닛과, 흡기유닛과, 날벌레계수유닛을 구동할 시 개폐유닛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개폐유닛의 개폐판이 개폐유닛설치부의 내부를 개방하게 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밴드를 매개로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기구의 수용부 및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포충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포집된 날벌레가 포충기에서 이탈(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수용기구(20,40)의 체결부(22,42)에 절개홈(22a,42a)을 형성하고, 제1,2수용기구(20,40)의 체결부(22,42)에 제1,2벨크로(23,43,24,44)를 구비함으로써, 제1,2수용기구(20,40)를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30)와 날벌레유입기구(50)를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충기를 휴대하여 포집 위치에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포집 위치에서 포충기의 조립 및 분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용기구(20)의 수용부(21) 및 제2수용기구(40)의 수용부(41)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흡기유닛(60)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이 포충기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대기 흐름의 정체로 유인제의 확산이 부족할 경우 원거리의 날벌레를 상기와 같은 적외선 노출을 통해 포충기 주변으로 쉽게 유인하고, 이와 같이 유인된 날벌레가 흡기유닛(60)의 구동에 따라 포충기 내외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날벌레유입기구(50)에 쉽게 포집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야간의 경우 날벌레의 유인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유인제을 통한 날벌레 유인과 적외선을 통한 날벌레 유인을 혼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날벌레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용기구(20)의 수용부(21) 및 제2수용기구(40)의 수용부(41)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포충기로의 날벌레 유입 상황을 살필 수 있어, 관리자가 날벌레 포집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날벌레를 계수하면서 날벌레를 포집할 수 있고, 포충기 이상 발생시, 포집된 날벌레가 포충기로부터 이탈(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벌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포집된 날벌레와 계수된 날벌레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실제 포집된 정확한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수유닛설치부(52)의 내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어, 날벌레계수유닛(80)의 발진기(81) 및 수신기(82)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기 용이하고, 계수유닛설치부(52)에 대응되게 날벌레유입부(51), 개폐유닛설치부(53)의 내부를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날벌레유입부(51), 계수유닛설치부(52), 개폐유닛설치부(53)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포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제1수용기구의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맞닿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Y-Y'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를 생략하고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Z-Z'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포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날벌레유입기구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도 11의 W-W'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전기 구성 간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포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제1수용기구의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맞닿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Y-Y'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를 생략하고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Z-Z'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제1수용기구(20)와, 제2수용기구(40)와, 날벌레유입기구(50)와, 개폐유닛(90)과, 포집망(110) 및, 흡기유닛(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용기구(20)는 상방이 개구된 형상을 이루고, 제2수용기구(40)는 상하방이 개구되고, 공기이동로(r)가 형성되도록 제1수용기구(20)의 내면과 이격되게 제1수용기구(20)에 삽입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수용기구(20) 및 제2수용기구(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수용기구(20) 및 제2수용기구(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과, 연결프레임(14) 및, 안착프레임(15)을 갖춘다.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원형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다수 개가 구비되고, 하부프레임(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2)은 하부프레임(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3)은 링 형상을 이루어, 지지프레임(12)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프레임(13)은 하부프레임(11)보다 직경이 크다.
상기 연결프레임(14)은,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13)에서 상부프레임(13)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4)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4)은 지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이 연결된 부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안착프레임(15)은 링 형상을 이루고, 연결프레임(14)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프레임(15)은 원형 링 형상을 이루고, 상부프레임(13)보다 직경이 작다.
상기 제1수용기구(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와, 체결부(22)와, 제1벨크로(23) 및, 제2벨크로(24)를 갖추고서,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용기구(20)는, 체결부(22)가 상부프레임(13)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23)와 제2벨크로(24)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수용부(21)는 하부프레임(11) 및 지지프레임(12)이 수용되는 수용홈(21a)이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2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하측에 다수의 개구홀(21b)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개구홀(21b)은 흡기유닛(60)에 연결되는 전력공급라인 인입기능을 하거나,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물이 유입될 경우 배출되는 배수홀 기능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21)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와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22)는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22a)이 연결프레임(14)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22)는 4개의 절개홈(22a)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22)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와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벨크로(23)는 체결부(22)의 하측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벨크로(23)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체결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벨크로(24)는 상기 체결부(22)의 상측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벨크로(24)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체결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30)가 구비되어,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30)는 그물망 형상을 이루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3)과 안착프레임(15) 사이를 덮는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30)는 제1삽입홀(31)과, 제2삽입홀(32)를 갖추고서, 제1수용기구(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삽입홀(31)은 커버(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수용기구(20)의 상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는, 제1삽입홀(31)이 지지프레임(12)에 삽입되고, 별도의 밴드(b)를 통해 지지프레임(12)에 삽입된 커버(30)의 하측을 감싸, 커버(30)가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2삽입홀(32)은 커버(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안착프레임(15)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삽입홀(31)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별도의 밴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삽입홀(32)에 날벌레유입기구(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를 통해 커버(30)의 상측을 감싸 커버(30)를 날벌레유입기구(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기구(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와, 체결부(42)와, 제1벨크로(43) 및, 제2벨크로(44)를 갖추고서,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수용기구(40)는, 상기 체결부(42)가 안착프레임(15)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43)와 제2벨크로(44)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수용기구(40)는 공기이동로(r)가 형성되도록 제1수용기구(20)의 내면과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41)는 수용홀(41a)이 상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4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 또는 섬유와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42)는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42a)이 연결프레임(14)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1)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42)는 4개의 절개홈(4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42)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와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벨크로(43)는 상기 체결부(42)의 하측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벨크로(43)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체결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벨크로(44)는 상기 체결부(42)의 상측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벨크로(44)는 박음질을 통해 상기 체결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날벌레유입기구(50)는 상하로 개구되어, 제2수용기구(40)에 삽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날벌레가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벌레유입기구(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15)에 안착된다. 여기서 날벌레유입기구(50)는 하측이 제2수용기구(40)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개폐유닛(90)은 날벌레유입기구(50)에 설치되어, 포충기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날벌레유입기구(50)의 내부를 개폐한다. 여기서 포충기 이상 발생이란 포충기에 공급되던 전원이 오프되거나, 포충기를 이루는 전기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상 작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유닛(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91)과, 날벌레유입기구(50)의 외측에 설치되고 개폐판(9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2)와, 일단이 날벌레유입기구(50)에 설치되고 타단이 개폐판(91)에 설치되어 개폐판(91)를 일방을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9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92)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판(91)이 날벌레유입기구(50)를 개방하고, 구동모터(92)의 구동력이 해제되면 토션스프링(93)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91)이 날벌레유입기구(50)를 폐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개폐유닛(90)은 날벌레유입기구(50)를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방식 구조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개폐유닛(90)는 날벌레유입기구(50)의 맨 하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집망(1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상으로 날벌레유입기구(50)의 하측에 구비되어, 날벌레유입기구(50)를 통과한 날벌레가 포집된다.
상기 흡기유닛(6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기구(40)의 수용홀(41a)의 하측에 설치되고, 포집망(11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유닛(60)은 밴드(b')를 통해 제2수용기구(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흡기유닛(60)의 전력공급라인은 제1수용기구(20)의 개구홀(21b)을 통과하여 흡기유닛(60)에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흡기유닛(60)은 흡입팬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제발생기(70)가 구비된다. 유인제발생기(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기구(20)의 외부에 구비되어, 제1수용기구(20) 내부로 유인제를 공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제발생기(70) 대신 유인제가 흡기유닛(6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제1수용기구(20)의 수용홈(2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유인제는 모기 등 포획하고자 해충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각각의 구성을 날벌레 포충 지점으로 옮긴 후, 각각의 구성을 도 2와 같이 조립한다.
즉, 작업자는 하부프레임(11) 및 지지프레임(12)에 제1수용기구(20)를 씌운 후, 상부프레임(13)에 제1수용기구(20)의 체결부(22)를 감싸고, 제1수용기구(20)의 제1벨크로(23)와 제2벨크로(24)를 부착한다. 이때 제1수용기구(20)의 절개홈(22a)은 연결프레임(14)의 하측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부(22)가 상부프레임(13)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23)와 제2벨크로(24)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2수용기구(40)에 흡기유닛(60)을 설치하고, 흡기유닛(60)이 설치된 제2수용기구(40)를 안착프레임(15)에 삽입하여, 흡기유닛(60)이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안착프레임(15)에 제2수용기구(40)의 체결부(42)를 감싸고, 제2수용기구(40)의 제1벨크로(43)와 제2벨크로(44)를 부착한다. 이때 제2수용기구(40)의 절개홈(42a)은 연결프레임(14)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부(42)가 안착프레임(15)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43)와 제2벨크로(44)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30)를 설치하여 상부프레임(13)과 안착프레임(15) 사이를 덮는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포집망(110)이 설치된 날벌레유입기구(50)를 제2수용기구(40)에 삽입하여, 제2수용기구(40)의 수용홀(41a)에 포집망(110)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가 조립되면, 작업자는 흡기유닛(60)을 구동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화살표 방향 참조), 공기가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이동로(r)을 통과하여, 커버(30)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유인제공급기(70)를 통해 제1수용기구(20) 내부로 유인제가 공급되고, 공기이동로(r)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따라 유인성분이 커버(30)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벌레는 커버(30) 및 날벌레유입기구(50) 상측 주변에 머물다가 날벌레유입기구(50)로 빨려드는 공기를 따라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로 유입되고, 개방된 날벌레유입기구(50)를 통과하여 포집망(110)에 포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닛(60)을 구동하면, 흡기유닛(60)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적외선이 방출된다.
이와 같이 흡기유닛(60)에서 발생한 적외선은 투명재질의 제1,2수용기구(20,40)을 통과하여 방출된다.
그러면, 날벌레(예를 들어 모기)는, 상기 적외선에 의해 유인되어, 제1수용기구(20) 주변으로 몰리고, 계속해서 공기이동로(r)에서 배출되는 유인성분에 의해 유인되어 커버(30) 및 날벌레유입기구(50)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때, 커버(30)의 상방에 위치한 날벌레는, 커버(30) 및 날벌레유입기구(50) 상측 주변에 머물다가 날벌레유입기구(50)로 빨려드는 공기를 따라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망(110)에 포획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용기구(20)의 수용부(21) 및 제2수용기구(40)의 수용부(41)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와 같이 포집되는 날벌레는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포충기가 작동 시 포충기 전원이 오프되는 등 포충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닛(90)이 날벌레유입기구(50) 내부를 폐쇄한다.
이때, 흡기유닛(60)의 흡기력이 해제되면, 날벌레는 포집망(100)으로부터 이탈이 자유로워, 날벌레가 포집망(110)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개폐판(91)에 의해 날벌레유입기구(50)의 내부가 폐쇄되어, 포집망(100)에서 날벌레가 벗어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포충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포집된 날벌레가 포충기에서 이탈(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2수용기구(20,40)의 체결부(22,42)에 절개홈(22a,42a)을 형성하고, 제1,2수용기구(20,40)의 체결부(22,42)에 제1,2벨크로(23,43,24,44)를 구비함으로써, 제1,2수용기구(20,40)를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30)와 날벌레유입기구(50)를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충기를 휴대하여 포집 위치에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포집 위치에서 포충기의 조립 및 분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수용기구(20)의 수용부(21) 및 제2수용기구(40)의 수용부(41)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흡기유닛(60)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이 포충기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대기 흐름의 정체로 유인제의 확산이 부족할 경우 원거리의 날벌레를 상기와 같은 적외선 노출을 통해 포충기 주변으로 쉽게 유인하고, 이와 같이 유인된 날벌레가 흡기유닛(60)의 구동에 따라 포충기 내외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날벌레유입기구(50)에 쉽게 포집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야간의 경우 날벌레의 유인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유인제을 통한 날벌레 유인과 적외선을 통한 날벌레 유인을 혼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날벌레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수용기구(20)의 수용부(21) 및 제2수용기구(40)의 수용부(41)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포충기로의 날벌레 유입 상황을 살필 수 있어, 관리자가 날벌레 포집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포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날벌레유입기구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도 11의 W-W'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전기 구성 간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 내지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는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실시되고, 날벌레계수유닛(80)과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날벌레유입기구(50)는 도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벌레유입부(51)와, 계수유닛설치부(52) 및, 개폐유닛설치부(53)를 갖춘다.
상기 날벌레유입부(51)는 상하로 개구되어, 날벌레유입기구(5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날벌레가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유입부(51)는 하단의 내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계수유닛설치부(52)는 상하로 개구되어 날벌레유입부(51)와 연통되고, 날벌레유입부(51)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계수유닛설치부(52)는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계수유닛설치부(52)의 양측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안착브라켓(52a)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유닛설치부(53)는 상하로 개구되어 계수유닛설치부(52)와 연통되고, 계수유닛설치부(52)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유닛설치부(53)는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유입부(51), 계수유닛설치부(52), 개폐유닛설치부(53)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접합 또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연결되지만,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날벌레계수유닛(80)은 날벌레유입기구(50)로 유입되는 날벌레 계수를 위해 날벌레유입기구(5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계수유닛(80)은 도 1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유닛설치부(5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진기(82a)와, 계수유닛설치부(52)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발진기(82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82b)를 갖추며, 제어유닛(10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계수유닛(80)은 적외선 기술이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날벌레계수유닛(80)에서 날벌레 감지신호만 제어유닛(100)에 송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날벌레계수유닛(80)에서 날벌레를 계수한 후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제어유닛(100)에 송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90)은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도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닛설치부(53)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100)은 포충기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유닛(90)을 작동제어하며, 날벌레계수유닛(80)을 작동제어하고 날벌레계수유닛(80)을 통해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공급유닛(70)과, 흡기유닛(60)과, 날벌레계수유닛(80) 및, 개폐유닛(90)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충기의 전기 구성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0) 및,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유닛(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100)은 유인제공급유닛(70)에 구비되는 밸브(미도시)를 제어하여 유인제 공급을 제어하고, 흡기유닛(60)에 구비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제어하여 흡기를 제어하고, 구동모터(92)에 구비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제어하여 개폐유닛(9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전기 구성이 별도의 전원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구성이 공급되는 전원이 적은 전력일 경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어유닛(100)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전기 구성이 제어유닛(100)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날벌레가 날벌레유입부(51)로 유입되어 계수유닛설치부(52)를 통과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81)와 수신기(82)를 통해 날벌레가 감지되고,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100)이 계수유닛설치부(52)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계수한다.
이때, 포충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등의 포충기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유닛(100)은 개폐유닛(90)의 구동모터(92)의 구동력을 해제하고(또는 전원 오프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 이에 따라 개폐판(91)이 계수유닛설치부(52)를 폐쇄하여(도 9,11 참조), 포집망(110)에 포집된 날벌레가 포집망(110)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20) 및 저장유닛(13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유닛(120)의 통해 날벌레 계수 상태 등의 포충기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저장유닛(130)에 저장된 날벌레 데이터를 별도의 이동식 데이터 저장기에 저장하거나 관리센터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충기 이상 상태가 해결되면, 제어유닛(100)이 각 전기 구성을 다시 구동하여, 포충기에서 날벌레 포집 작업 및 계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날벌레를 계수하면서 날벌레를 포집할 수 있고, 포충기 이상 발생시, 포집된 날벌레가 포충기로부터 이탈(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날벌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포집된 날벌레와 계수된 날벌레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실제 포집된 정확한 날벌레 계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계수유닛설치부(52)의 내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어, 날벌레계수유닛(80)의 발진기(81) 및 수신기(82)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기 용이하고, 계수유닛설치부(52)에 대응되게 날벌레유입부(51), 개폐유닛설치부(53)의 내부를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날벌레유입부(51), 계수유닛설치부(52), 개폐유닛설치부(53)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프레임 20; 제1수용기구
30; 커버 40; 제2수용기구
50; 날벌레유입기구 60; 흡기유닛
70; 유인제공급유닛 80; 날벌레계수유닛
90; 개폐유닛 100; 제어유닛
110; 포집망 120; 디스플레이
130; 저장유닛

Claims (4)

  1.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서 상부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링 형상의 안착프레임을 갖춘 프레임과;
    상방으로 개구되어 하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이 수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이 연결프레임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체결부와, 체결부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 및, 상기 체결부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를 갖추고서, 상기 체결부가 상부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용기구와;
    상부프레임과 안착프레임 사이를 덮는 그물망 형상의 커버와;
    상하로 개구된 소프트한 재질의 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홈이 연결프레임을 각각 통과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를 갖추고서, 상기 체결부가 안착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용기구 내면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수용기구에 수용되는 제2수용기구와;
    상하로 개구되어, 날벌레가 유입되며, 하단의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날벌레유입부; 상하로 개구되고, 날벌레유입부와 연통되어, 날벌레유입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제2수용기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계수유닛설치부; 상하로 개구되고, 계수유닛설치부와 연통되어, 계수유닛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및 외부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제2수용기구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개폐유닛설치부;를 갖추고서, 제2수용기구에 삽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날벌레유입기구와;
    계수유닛설치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진기와, 계수유닛설치부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발진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춘 날벌레계수유닛과;
    날벌레유입기구의 개폐유닛설치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유닛설치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사각 패널 형상의 개폐판과, 개폐유닛설치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일단이 개폐유닛설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개폐판에 설치되어 개폐판을 일방을 탄발지지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해제될 시 개폐판이 개폐유닛설치부 내부를 폐쇄하게 하는 토션스프링을 갖춘 개폐유닛과;
    개폐유닛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포집망과;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포획그물망의 하방에 위치하는 흡기유닛과;
    제1수용기구에 유인제를 공급하는 유인제공급유닛과;
    흡기유닛과, 유인제공급유닛과, 날벌레계수유닛 및, 개폐유닛의 구동모터를 작동제어하되, 유인제공급유닛과, 흡기유닛과, 날벌레계수유닛을 구동할 시 개폐유닛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개폐유닛의 개폐판이 개폐유닛설치부의 내부를 개방하게 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밴드를 매개로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기구의 수용부 및 제2수용기구의 수용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4. 삭제
KR1020190103822A 2019-08-23 2019-08-23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KR10228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2A KR102288186B1 (ko) 2019-08-23 2019-08-23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2A KR102288186B1 (ko) 2019-08-23 2019-08-23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24A KR20210023524A (ko) 2021-03-04
KR102288186B1 true KR102288186B1 (ko) 2021-08-11

Family

ID=7517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22A KR102288186B1 (ko) 2019-08-23 2019-08-23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1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511Y1 (ko) * 2003-02-17 2003-05-16 노청환 세탁물 보관용 바스켓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KR101258655B1 (ko) * 2012-04-05 2013-05-13 대한민국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97B1 (ko) 2008-12-12 2011-07-14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20130115963A (ko) * 2012-04-13 2013-10-22 한승주 날벌레 차단 포획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511Y1 (ko) * 2003-02-17 2003-05-16 노청환 세탁물 보관용 바스켓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KR101258655B1 (ko) * 2012-04-05 2013-05-13 대한민국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24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815300B1 (ko)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101815301B1 (ko) 세척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1099946B1 (ko)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KR20170106121A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40059643A (ko) 포충기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KR100900046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189809B1 (ko) 진공감전 포충기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N210382337U (zh) 一种智能昆虫诱捕器
KR102288186B1 (ko)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KR100997230B1 (ko) 날벌레 포충기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CN110122445A (zh) 一种智能昆虫诱捕器
KR101479066B1 (ko)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KR20120139482A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102288187B1 (ko)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
KR101001317B1 (ko)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