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55B1 -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 Google Patents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55B1
KR101258655B1 KR1020120035237A KR20120035237A KR101258655B1 KR 101258655 B1 KR101258655 B1 KR 101258655B1 KR 1020120035237 A KR1020120035237 A KR 1020120035237A KR 20120035237 A KR20120035237 A KR 20120035237A KR 101258655 B1 KR101258655 B1 KR 10125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wick
combustion mechanism
container
liqui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현
이욱교
장규식
노종열
이희일
유재승
이훈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3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브라켓(113)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외체(110)와;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체(120)와;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30)로 구성된 포충기케이스(100): 내체(12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를 통해 유입된 날벌레를 포집하는 망구조를 갖는 포집기구(200): 포집기구(20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날벌레를 포집기구(200)로 안내하는 상광하협형태의 관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300): 내체(120)에 설치되되, 포집기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외부공기를 가이드부(300)를 통해 포집기구(200)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에 설치된 커버(130)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400): 휘발성 액체연료(F)가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510)와; 용기(5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휘발성 액체연료(F)를 저온연소하는 연소기구(520)로 구성되며, 포충기케이스(100)의 브라켓(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소시 발생하는 유인제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화되는 휘발성 액체연료를 백금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를 매개로 저온연소시켜,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고, 유인된 날벌레를 팬기구를 통해 포집기구로 강제 흡입하여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날벌레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모기의 피해로부터 사람 및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인감지 모기채집기{Atttraction and Sensing Mosquito Tarp}
본 발명은 기화되는 휘발성 액체연료를 백금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를 매개로 저온연소시켜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및 발생하는 열을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고 유인된 날벌레를 팬기구를 통해 포집기구로 강제 흡입하여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모기의 피해로부터 사람 및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모기)은 병균을 사람이나 가축에게 옮겨 많은 피해를 주는 전염체로서, 숙주동물의 체취와 열기 및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모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향과 같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거나 미꾸라지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 및 유문등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해충(모기)를 유인한 다음 이를 고전압의 충격기를 이용해 퇴치하는 방법이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충(모기)이 살아가는 서식지를 매립시켜 이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역시 크게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특히, 종래의 모기유인기구는 드라이아이스, LNG, LPG 등의 연료를 태워 이때 발생하는 CO2를 매개로 모기를 유인하는데,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LNG, LPG가 저장된 용기를 별도로 보관해야 했기 때문에 대형화될 수밖에 없었으며,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해 운반이 용이치 못하고 그 설치가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며, LNG, LPG 등의 연료가 고온에서 연소되므로 연료소비가 심해 자주 LNG, LPG가 저장된 용기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와 폭발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해 제작 및 설치가 상당히 용이한 유인감지 모기채집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외체와;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체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체와; 외체와 내체 사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 포충기케이스:
내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를 통해 유입된 날벌레를 포집하는 망구조를 갖는 포집기구:
포집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날벌레를 포집기구로 안내하는 상광하협형태의 관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
내체에 설치되되, 포집기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외부공기를 가이드부를 통해 포집기구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체와 내체 사이에 설치된 커버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
휘발성 액체연료가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와;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휘발성 액체연료를 저온연소하는 연소기구로 구성되며, 포충기케이스의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소시 발생하는 유인제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화되는 휘발성 액체연료를 백금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를 매개로 저온연소시켜,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고, 유인된 날벌레를 팬기구를 통해 포집기구로 강제 흡입하여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날벌레(모기)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날벌레(모기)의 피해로부터 사람 및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런 전원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팬기구가 작동을 멈추면서 흡입력이 상실되더라도, 포집기구에 설치되며, 둘레면이 망체에 의해 감싸진 원추형태의 프레임을 통해 유입된 날벌레가 쉽게 외부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금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를 매개로 하는 저온연소방식을 통해 낮은 온도에서도 휘발성 액체연료를 완전연소할 수 있어 휘발성 액체연료의 사용량을 줄여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단순한데다가 소형화가 가능함으로 제조시 제작이 상당히 용이하고 제조단가는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에서 유인제 발생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의 유인제 발생장치에서 연소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의 유인제 발생장치에서 연소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인감지 모기채집기는, 포충기케이스(100), 포집기구(200), 가이드부(300), 팬기구(400), 유인제 발생장치(500)로 구성되어,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유인제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해 포집하는 것이다.
상기 포충기케이스(100)는 외체(110)와 내체(120) 및 커버(130)로 구성된다.
상기 외체(110)는 외관(뼈대)을 이루는 외관프레임(111)과, 외관프레임(111)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막(112) 및, 외관프레임(111)에 설치되는 브라켓(11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외관프레임(111)은, 한 쌍의 링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링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배치되어 고정수단(예컨대, 용접)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공지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막(112)은 공지의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관프레임(111)의 외면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부(둘레면과 저면)에 일체형으로 부착고정되어 외면을 이룬다.
상기 브라켓(113)은 외관프레임(111)의 지지바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공지의 고정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되, 일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이후에 설명될 유인제발생장치(500)를 탄발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체(120)는 내관(뼈대)을 이루는 내관프레임(121)과, 내관프레임(121)의 외면에 설치되는 내막(122)으로 구성되며, 지지부재를 매개로 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내관프레임(121)은 외관프레임(111)과 마찬가지로,한 쌍의 링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링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배치되어 고정수단(예컨대, 용접)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공지의 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내막(122)은 공지의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관프레임(121)의 둘레면에 일체형으로 부착고정되어 외면을 이룬다.
상기 커버(130)는 공지의 망체 또는 큰 메쉬를 갖는 섬유로서,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덮어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커버(130)는 중앙이 관통된 도넛형태를 이루되, 외주면과 관통된 중앙의 내주면에는 각각 고무밴드(미도시)가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특히, 커버(130)는 외주면에 설치된 고무밴드를 매개로 외체(110)의 상부 둘레면에 밀착고정되고, 내주면에 설치된 고무밴드를 매개로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부(300)의 둘레면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포집기구(200)는 내체(12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공지의 통발 타입의 망 구조물로서, 상부를 통해 유입된 날벌레를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포집기구(200)는 외관(뼈대)를 이루는 포집기구프레임(210)과, 포집기구프레임(210)의 상부를 제외한 외부에 설치되는 망체(22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포집기구프레임(210)은, 한 쌍의 링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링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배치되어 고정수단(예컨대, 용접)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공지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집기구프레임(210)의 내부 중앙에는 상광하협형태를 이루며,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둘레면이 망체에 의해 감싸진 원추형태의 프레임이 보강 구비된다. 이는 마치 물고기를 잡는데 사용되는 통발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어 날벌레의 유입은 용이토록 하면서도 유입된 날벌레가 쉽게 외부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광하협형태를 공지의 관으로서, 포집기구(20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날벌레를 포집기구(200)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팬기구(400)는 내체(120)에 설치되되, 포집기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외부공기를 가이드부(300)를 통해 포집기구(200)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에 설치된 커버(130)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인제 발생장치(500)는 입구(511)를 구비하며 휘발성 액체연료(F)가 내부에 저장된 용기(510)와; 용기(5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휘발성 액체연료(F)를 저온연소하는 연소기구(520)로 구성되며, 포충기케이스(100)의 브라켓(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온연소시 발생하는 유인제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유인제는 공지의 이산화탄소(CO2)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팬기구(400)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에 설치된 커버(130)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될 때에 함께 배출되어 날벌레를 포충기(捕蟲器) 주변으로 유인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기구(520)는, 연소기구본체(521)와, 심지(522), 산화촉매제(523) 및 고정부재(524)로 구성되며, 여기에 심지고정부재(525), 망체(526), 실링재(527)가 더 보강 구비된다.
상기 연소기구본체(521)는 용기(510)의 입구(511) 상에 안착되는 제1본체부(521a)와, 용기(510)의 입구(5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본체부(521a)보다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본체부(521b)로 구분되고, 내열성·내화성·내충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그 중에서도 세라믹(Ceramics)을 적용실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세라믹(Ceramics)을 선택적용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적용 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내부에는 내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로 개구되는 안착홈(521a-1)과, 하부로 개구되며 안착홈(521a-1)과 연통되는 삽입공(521b-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턱은 산화촉매제(523) 및 이후에 설명될 망체(526)를 떠받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2본체부(521a,521b)의 형상을 원기둥형태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용기(510)의 입구(511)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는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공기유입홀(521a-2)이 더 보강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홀(521a-2)은 외부의 공기가 심지(522)와 산화촉매제(523) 사이로 유입되도록 하여 산화반응이 더욱 촉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홀(521a-2)은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공기유입홀(521a-2)은 선택적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홀(521a-2)은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수평하게 관통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조절홈(521b-2)이 더 보강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홈(521b-2)은 용기(510)의 내부압력과 대기압력이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510)에 저장된 휘발성 액상연료(F)가 연소하면서 용기(510) 내의 압력은 자연히 차츰차츰 낮아지게 되고(음압이 발생함), 이로 인하여 심지(522)를 통해 이동되어야 할 휘발성 액상연료(F)가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해 지속적인 연소작업을 어렵게 하는 바, 이와 같은 문제를 압력조절홈(521b-2)을 통해 용기(510)의 내부압력과 대기압력이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심지(522)를 따라 휘발성 액상연료(F)가 지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소작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심지(522)는 여러 가닥의 실을 꼬아서 엮은 공지의 줄로서,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심지(522)는 용기(510)에 저장된 휘발성 액상연료(F)를 연소기구본체(521)의 내부로 기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삽입되는 심지(522)의 말단부분은 여러 가닥의 실이 서로 겹치지 않게 벌려주어 휘발성 액상연료(F)가 자연스럽게 기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심지(522)는 휘발성 액상연료(F)를 최대한 흡수 및 저장할 수 있는 섬유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심지(522)를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설치한 상태에서 휘발성 액상연료(F)를 흡수하게 되면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으로부터 이탈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소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심지(522)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심지고정부재(525)가 더 보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심지고정부재(525)는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심지고정부재(525)는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삽입되어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525a)와, 연소기구본체(521)의 저면에 걸려 고정부(525a)의 진입을 제한하는 단턱부(525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심지고정부재(525)의 설치위치를 조절해 줌으로서, 심지(522)와 산화촉매제(523) 간의 적정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산화촉매제(523)는 설치의 편의를 위해 패드 형태로 제작되며, 백금(Pt)이 코팅된 공지의 유리섬유(Glass Fiber)로서, 연소기구본체(521)의 안착홈(521a-1)으로 삽입되어 단턱에 안착되며 일면은 노출된다.
상기 산화촉매제(523)는 심지(522)로부터 기화되어 산화촉매제(523)에 도달한 기체가 저온(낮은 온도)에서 연소반응이 일어날 수 있게 산화를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산화촉매제(523)로서 백금(Pt)이 코팅(증착)된 공지의 유리섬유(Glass Fiber)를 예시로 들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백금(Pt)이 코팅(증착)된 메탈섬유(Metal Fiber), 백금(Pt)이 코팅(증착)된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백금(Pt)이 증착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백금(Pt)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모두 선택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설치의 편의를 위해 패드 형태로 제작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형상과 모형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공지의 스냅링(Snap Ring)으로서, 연소기구본체(521)의 안착홈(521a-1)으로 삽입되어 산화촉매제(523)가 정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공지의 스냅링(Snap Ring)을 예시로 들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볼트나사를 연소기구본체(521)에 설치하여 산화촉매제(523)를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공지의 다양한 것들이 적용 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망체(526)는 금속재질의 망 구조물로서, 심지(522)와 산화촉매제(523) 사이에 개입되어 산화촉매제(5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링재(527)는 탄성 재질을 갖는 공지의 링(Ring)으로서,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 설치되어 용기(510)의 입구(511) 내면과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실링재(527)가 연소기구본체(521)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연소기구본체(521)의 제2본체부(521b) 외면에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장착홈(521b-3)을 형성하고, 장착홈(521b-3)에 실링재(527)를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 하나의 실링재(527)가 설치된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실리콘, 합성고무, 코르크와 같은 관 형상의 실링재(527)를 접착수단을 매개로 연소기구본체(521)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본체부(521b)가 용기(510)의 입구(511)에 압입고정되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나사체결방식, 클램프에 의한 고정방식과 같이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적용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구성하는 용기(510)와 연소기구(520)를 상호 결합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휘발성 액체연료(F)가 저장된 용기(510)의 입구(511)에 심지(522)가 설치된 연소기구본체(521)를 배치한 상태에서 심지(522)를 먼저 용기(510)의 내부로 삽입하여 휘발성 액체연료(F)에 잠기도록 한 다음, 실링재(527)를 매개로 연소기구본체(521)를 용기(510)의 입구(511)에 압착고정한다.
특히,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과 입구(511)의 내면 사이는 실링재(527)에 의해 기밀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실링재(527)에 의해 용기(510)의 입구(511)로부터 연소기구본체(521)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을 통해 삽입되는 심지(522)의 끝단 부분은 기화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고르게 잘 편 상태로 삽입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액체연료(F)는 심지(522)에 흡수되어 심지(5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하며 심지(522)의 상단을 통해 기화된다.
이때, 연소기구본체(521)의 안착홈(521a-1)에 설치된 산화촉매제(523)를 점화시키게 되면 심지(522)의 상단을 통해 기화되는 휘발성 액체연료(F)가 산화촉매제(523)로 흡수되면서 저온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를 매개로 모기를 유인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포충기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외체(110)의 브라켓(113)에 고정시켜 주고, 포집기구(200)는 내체(120)에 삽입하며, 팬기구(400)가 작동되도록 전원(외부전원 또는 배터리)을 인가한 상태에서, 커버(130)를 이용하여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의 상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부(300)의 일단부를 커버(13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관통시켜 포집기구(200)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삽입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외부전원 또는 배터리)을 팬기구(400)로 인가하여 팬기구(400)를 작동시켜 주면, 외부공기를 가이드부(300)를 통해 포집기구(200)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에 설치된 커버(130)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하게 되며, 외부공기가 외부로 강제배출될 때에 유인제발생장치(500)를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CO2) 역시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으로 널리 퍼지게 된다.
상기 유인제 즉, 이산화탄소(CO2)에 의해 포충기케이스(100)의 주변으로 몰려든 날벌레는 포충기케이스(100)의 주변을 맴돌다가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부(300)의 상공을 지날 때에 팬기구(400)에 의해 강제흡입되면서 가이드부(300)를 지나 포집기구(200)로 순식간에 빨려들어가 포집된다.
참고로, 상기 포집기구(200)로 빨려들어간 날벌레는 외부로 빠져나오고 싶어도 팬기구(400)에 의한 강한 흡입력에 의해 제대로 날수 없어 포집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갑작스런 전원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팬기구(400)가 작동을 멈추면서 흡입력이 상실되더라도, 포집기구(200)에 설치되며, 둘레면이 망체에 의해 감싸진 원추형태의 프레임을 통해 유입된 날벌레가 쉽게 외부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날벌레를 쉽고 간편하게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용기(510)에 저장된 휘발성 액체연료(F)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인가하고 있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가이드부(300)와 커버(130)를 포충기케이스(100)의 내체(120)와 외체(110)로부터 이탈시켜 주고, 브라켓(113)에 고정되어 있는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외부로 이탈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용기(510)의 입구(511)에 압입고정된 연소기구본체(5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510)의 내부로 휘발성 액체연료(F)를 충진하고, 용기(510)의 입구(511)에 연소기구본체(521)를 재차 결합한 상태에서 외체(110)의 브라켓(113)에 고정하며, 커버(130)와 가이드부(300)를 해체의 역순으로 외체(110)와 내체(120)에 결합한 다음에 팬기구(400)가 다시 작동되도록 전원을 인가해 주면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알코올램프의 뚜껑과 같이 연소기구본체(521)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뚜껑을 마련하여 이를 매개로 사용시에는 뚜껑을 개방하였다가 사용이 완료되면 뚜껑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여 휘발성 액체연료(F)가 사용목적 이외에 전부 기화되어 불필요하게 소진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화되는 휘발성 액체연료(F)를 백금(Pt)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523)를 매개로 저온연소시켜, 저온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고, 유인된 날벌레를 팬기구(400)를 통해 포집기구(200)로 강제 흡입하여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날벌레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모기의 피해로부터 사람 및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런 전원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팬기구(400)가 작동을 멈추면서 흡입력이 상실되더라도, 포집기구(200)에 설치되며, 둘레면이 망체에 의해 감싸진 원추형태의 프레임을 통해 유입된 날벌레가 쉽게 외부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금(Pt)이 코팅(증착)된 산화촉매제(523)를 매개로 하는 저온연소방식을 통해 낮은 온도에서도 휘발성 액체연료(F)를 완전연소할 수 있어 휘발성 액체연료(F)의 사용량을 줄여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단순한데다가 소형화가 가능함으로 제조시 제작이 상당히 용이하고 제조단가는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포충기케이스 110: 외체 120: 내체
130: 커버 200: 포집기구 300: 가이드부
400: 팬기구 500: 유인제 발생장치 510: 용기
520: 연소기구

Claims (8)

  1. 내부에 브라켓(113)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외체(110)와;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체(120)와;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30)로 구성된 포충기케이스(100)와; 내체(12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를 통해 유입된 날벌레를 포집하는 망구조를 갖는 포집기구(200)와; 포집기구(20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날벌레를 포집기구(200)로 안내하는 상광하협형태의 관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300)와; 내체(120)에 설치되되, 포집기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외부공기를 가이드부(300)를 통해 포집기구(200)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체(110)와 내체(120) 사이에 설치된 커버(130)를 통해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400)와; 휘발성 액체연료(F)가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510)와; 용기(5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휘발성 액체연료(F)를 연소하는 연소기구(520)로 구성되며, 포충기케이스(100)의 브라켓(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소시 발생하는 유인제를 매개로 날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발생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구(520)는,
    상부로 개구되는 안착홈(521a-1)과, 하부로 개구되며 안착홈(521a-1)과 연통되는 삽입공(521b-1)을 갖추고서, 용기(510)의 입구(5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기구본체(521)와;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510)에 저장된 휘발성 액상연료(F)를 연소기구본체(521)의 내부로 기화되도록 하는 심지(522)와;
    연소기구본체(521)의 안착홈(521a-1)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심지(522)로부터 기화되는 휘발성 액상연료(F)와 접촉하는 산화촉매제(523)와;
    연소기구본체(521)에 설치되어 산화촉매제(52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심지(522)와 산화촉매제(523)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521a-2)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심지(522)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조절홈(521b-2)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522)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심지고정부재(525)가 더 보강 구비되어 심지고정부재(525)를 매개로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고정부재(525)는,
    연소기구본체(521)의 삽입공(521b-1)에 삽입되어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525a)와;
    연소기구본체(521)의 저면에 걸려 고정부(525a)의 진입을 제한하는 단턱부(52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522)와 산화촉매제(523) 사이에는 망체(526)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에는 장착홈(521b-3)과, 장착홈(521b-3)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실링재(527)가 더 보강 구비되어 실링재(527)를 매개로 용기(510)의 입구(511) 내면과 연소기구본체(521)의 외면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8. 삭제
KR1020120035237A 2012-04-05 2012-04-05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KR10125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37A KR101258655B1 (ko) 2012-04-05 2012-04-05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37A KR101258655B1 (ko) 2012-04-05 2012-04-05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655B1 true KR101258655B1 (ko) 2013-05-13

Family

ID=4866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237A KR101258655B1 (ko) 2012-04-05 2012-04-05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140A (ko) * 2016-11-15 2018-05-24 이국환 모기 포획 장치
CN110024764A (zh) * 2019-05-27 2019-07-19 邯郸百世创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在垃圾存档点的捕蝇器
CN111713456A (zh) * 2020-07-16 2020-09-29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昆虫选择性试验装置和方法
KR20210007362A (ko) *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이티엔디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
KR2021002352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US11758895B2 (en) * 2017-09-01 2023-09-19 Biogents Ag Insect trap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or capturing flying ins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230B1 (ko)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230B1 (ko)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140A (ko) * 2016-11-15 2018-05-24 이국환 모기 포획 장치
KR101884528B1 (ko) * 2016-11-15 2018-08-02 이국환 모기 포획 장치
US11758895B2 (en) * 2017-09-01 2023-09-19 Biogents Ag Insect trap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or capturing flying insects
CN110024764A (zh) * 2019-05-27 2019-07-19 邯郸百世创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在垃圾存档点的捕蝇器
CN110024764B (zh) * 2019-05-27 2021-12-03 浦江县颐硕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安装在垃圾存档点的捕蝇器
KR20210007362A (ko) *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이티엔디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
KR102288187B1 (ko) * 2019-07-11 2021-08-11 주식회사 이티엔디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
KR2021002352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KR102288186B1 (ko) * 2019-08-23 2021-08-11 주식회사 이티엔디 날벌레 포집이 용이한 포충기
CN111713456A (zh) * 2020-07-16 2020-09-29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昆虫选择性试验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55B1 (ko) 유인감지 모기채집기
US7234268B2 (en) Bug killing device
JP5941932B2 (ja) 昆虫誘引捕獲器
CN200994351Y (zh) 仿生型电子捕蚊器
AU2017203171B2 (en) Improvements in Animal Traps
JP5807736B2 (ja) 蚊の習性と重力を利用した蚊捕獲装置
KR20140059643A (ko) 포충기
JP2019162051A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JPH08154553A (ja) 昆虫類捕獲装置
KR20140013826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810102B1 (ko) 친환경 모기 퇴치기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101140373B1 (ko) 흡혈곤충 유인제 발생용 연소기구
WO2011120578A1 (en) Insect trap with upstream attractant
KR101523059B1 (ko) 곤충트랩
CN105900960A (zh) 卫生捕虫器
CN208676174U (zh) 一种仿生灭蚊器
KR200484173Y1 (ko) 모기 퇴치기
WO2011123004A1 (en) Height-adjustable insect trap and method for determining flight altitude of insects
CN103766310A (zh) 一种气流式灭蚊器
AU2011254361B2 (en) A contact trap
CN208300802U (zh) 一种加湿型灭蚊器
KR101648125B1 (ko) 해충 포집기용 유인제 증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포집기
CN107432277B (zh) 一种分体式驱虫器
CN204742293U (zh) 一种果蝇诱杀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