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300B1 -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 Google Patents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300B1
KR101815300B1 KR1020150146771A KR20150146771A KR101815300B1 KR 101815300 B1 KR101815300 B1 KR 101815300B1 KR 1020150146771 A KR1020150146771 A KR 1020150146771A KR 20150146771 A KR20150146771 A KR 20150146771A KR 101815300 B1 KR101815300 B1 KR 10181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collecting
view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430A (ko
Inventor
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to KR102015014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횡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싱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포집관과, 포집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수거망이 설치된 경사관으로 구성된 포충관부; 상기 수거망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충을 포함한 외부공기가 포충관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기팬;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포집관을 따라 이동되는 해충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해충을 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일시적으로 걸러내는 캡쳐부; 상기 경사관에 형성되어 수거망을 가리면서 캡쳐부의 뒷 배경을 만드는 배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회전망과 수거망 사이에 경사진 배경판이 배치됨에 따라 흡기팬의 흡입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거망과 흡기팬을 가려 회전망의 배경역할을 해주므로 영상 촬영시, 회전망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만 촬영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래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Insect capture device capable of obtaining clear image}
본 발명은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모기의 발생밀도 확인 및 모기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충기를 이용하여 모기를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충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178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충기는 유문등 또는 유인제를 포충기 주변으로 확산시켜 포충기 주변으로 모기를 유인하여 모기를 포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모기가 포충기 주변으로는 유인되지만 흡기구 주변으로는 유인되지 않아 실제 포충기 주변으로 유인되는 모기의 포집률은 매우 낮았다.
즉, 종래의 포충기는 대다수의 모기가 포충기 주변을 맴돌 뿐, 흡기팬의 흡입력이 실제 모기가 흡입되는 흡기구의 모기 유효흡입거리까지 유인되지 않아 모기의 실제 포집률이 낮았다.
이것은 실제 모기 발생 밀도의 정확한 측정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모기의 전염병 감염률 등 정확한 정보의 확인을 어렵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모기를 흡기구의 모기흡입유효거리 범위 안으로 유인하여, 모기 포집률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이러한 포충기를 통해 흡입 포집되는 모기들의 영상을 촬영하여 모기의 개체수나 종류를 분석하고자 하여도 흡입 이동되는 순간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이를 촬영하려면 고가의 고속카메라를 장착하고 적용하는데에 따른 비용상의 문제와 실제 적용에 따른 기술적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256호(영상촬영 기능을 갖춘 포충기)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 및 영상촬영부를 이용해 캡쳐부를 촬영한 도면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포충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10); 케이싱(10)을 관통해 수직하게 내설되는 흡입관(21)과, 흡입관(21)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말단에 수거망(22a)이 형성된 포집관(22) 및 수평하게 내설되어 흡입관(21)과 포집관(22)을 상호 연결하는 연통관(23)으로 구성된 포충관부(20); 수거망(22a)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충들이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30); 포집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충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41)와 카메라(41) 주변 조도를 높이를 조명등(42)으로 구성된 영상촬영부(40); 포집관(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충을 일시적으로 걸러내는 회전망(51)과 회전망(5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2)로 구성된 캡쳐부(50); 연통관(23)에 설치되어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해충을 감지해 계수하는 계수감지부(70); 타이머(81)를 갖추고서, 흡기팬(30), 영상촬영부(40), 캡쳐부(50), 계수감지부(7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10)에 마련된 탄산가스공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관(21)의 주변으로 탄산가스를 살포토록 하고, 이에 의해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흡입력을 매개로 포충관부(20)로 유입하며, 유입된 해충은 계수감지부(70)에 의해 계수되면서 캡쳐부(50)의 회전망(51)에 일시적으로 걸려 영상촬영부(40)에 의해 영상 촬영되며,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캡쳐부(51)의 회전망(51)을 회전시켜 수거망(22a)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의 카메라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해충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40)가 회전망(51)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 일시적으로 회전망(51)에 걸러진 해충과 더불어서 수거망(22a)과 수거망(22a)에 걸러진 해충들, 그리고 흡기팬(30)이 함께 촬영됨에 따라 영상의 식별의 명확한 식별이 어렵고, 이로 인해 해충의 식별력이 크게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256호(영상촬영 기능을 갖춘 포충기/2014.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의 배경을 제공하는 배경판을 설치하여 영상의 선명도를 보다 더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횡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싱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포집관과, 포집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수거망이 설치된 경사관으로 구성된 포충관부;
상기 수거망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충을 포함한 외부공기가 포충관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기팬;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포집관을 따라 이동되는 해충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해충을 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일시적으로 걸러내는 캡쳐부;
상기 경사관에 형성되어 수거망을 가리면서 캡쳐부의 뒷 배경을 만드는 배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관에 설치되어 세척매질을 배경판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분사노즐에 세척매질을 공급하는 매질공급기구로 구성된 세척매질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포충관부에는,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 이동되는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의 개체수를 카운팅하는 계수감지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매질공급장치, 흡기팬, 영상촬영부, 캡쳐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통해 세척매질공급장치, 캡쳐부가 일정 시간 주기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회전망과 수거망 사이에 경사진 배경판이 배치됨에 따라 흡기팬의 흡입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거망과 흡기팬을 가려 회전망의 배경역할을 해주므로 영상 촬영시, 회전망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만 촬영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래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매질(에어, 맑은 물 등)에 의해 배경판의 표면이 일정 시간 주기별로 세척되기 때문에 배경판에 점도가 있는 오염원이 부착되더라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항상 배경판의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전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지는(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회전망을 세척매질을 이용해 세척해 줌으로서 회전망에 걸려 미처 떨어지지 않은 해충들 및 오염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촬영부에 의한 영상 촬영시,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영상촬영부를 이용하여 캡쳐부를 촬영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 및 영상촬영부를 이용해 캡쳐부를 촬영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영상촬영부를 이용하여 캡쳐부를 촬영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포충기는, 케이싱(10)과 포충관부(20), 흡기팬(30), 영상촬영부(40), 캡쳐부(50) 및 배경판(60)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계수감지부(70)와 제어부(80) 및 탄산가스공급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은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재로서, 합성수지, 금속, 목재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고, 본 실시 예에서는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채택하였으며, 합성수지는 아크릴수지와 같이 채광 및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에는 내부 구성물의 수리, 교체 등의 편의를 위한 개폐가능한 문을 형성해 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포집케이싱(11)이 설치되는데, 이 포집케이싱(11)에는 흡기팬(30)이 설치되고, 포집케이싱(11)의 내부에는 포집관(22)의 타단부와 경사관(23) 및 수거망(23a)이 배치(수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충관부(20)는 케이싱(10)에 내설되어 해충 및 외부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포충관부(20)는 흡입관(21)과 포집관(22) 및 경사관(23)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흡입관(21)은 케이싱(10) 내에 횡으로 (수평)설치되되, 일단이 케이싱(10)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둘레면에는 탄산가스분사구(91)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흡입관(21)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대신, 흡입관(21)의 일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연통관(24)을 케이싱(10)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노출된 둘레면에는 탄산가스분사구(91)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흡입관(21)에는 포집관(22)으로 이동되어야 할 해충들이 흡입관(2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경우를 대비하여 역류방지망(H)을 설치해 줄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포집관(22)은 흡입관(21)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수직)연장된다.
일 예로서, 상기 경사관(23)은 포집관(22)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착탈가능한 수거망(23a)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포충관부(20) 역시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며, 경사관(23)의 일부 면은 배경판(60)을 구성해야하기 때문에 불투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팬(30)은 수거망(23a)의 하부에 배치되게 포집케이싱(11)에 설치되어 해충을 포함한 외부공기가 포충관부(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촬영부(40)는 카메라(41)와 조명등(4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집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포집관(22)을 따라 이동되는 해충을 촬영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카메라(41)는 포집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캡쳐부(50)의 회전망(51)이 회전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해충을 영상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명등(42)은 카메라(41)의 둘레에 구비되어 카메라(41) 주변의 조도를 높이는 기능을 하며, 조명등(42)으로 LED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포충관부(20)를 통해 이동되어 캡쳐부(50)의 회전망(51)에서 일시적으로 걸러지는 해충들의 영상을 촬영하여 해충들이 수거망(23a)에 걸러지기 전에 포충관부(20)를 통해 유동되는 해충들의 영상을 선명하고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캡쳐부(50)는 회전망(51)과 회전구동부(5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영상촬영부(40)와 수거망(23a) 사이에 배치되어 해충을 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일시적으로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망(51)은 포집관(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동부(52)는 포집관(22)에 설치되어 제어부(80)에 의해 일정 시간 주기별로 회전망(5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부(50)에 의해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들이 영상촬영부(40)에서 촬영 후, 캡쳐부(50)에 의해 다시 배출되므로 고비용의 고속카메라 없이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충들의 발생빈도와 종류별 분류 및 분석작업이 간편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경판(60)은 경사관(23)에 설치되어 수거망(23a)을 가리면서 회전망(51)의 뒷 배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배경판(60)은 극장의 스크린과 같은 시트를 경사관(23)의 일면에 부착한 것이거나, 경사관(23)의 일면을 거칠게 형성한 다음 흰색의 페인트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망(51)과 수거망(23a) 사이에 경사진 배경판(60)이 배치됨에 따라 흡기팬(30)의 흡입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거망(23a)과 흡기팬(30)을 가려 회전망(51)의 배경역할을 해주므로 영상 촬영시, 회전망(51)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만 촬영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래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계수감지부(70)는 흡입관(21)에 설치되어 흡입관(21)을 따라 이동하는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의 개체수를 카운팅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흡입관(21)을 통해 이동되는 모기와 같은 해충의 개체수를 계수감지부(70)가 감지하여 카운팅함에 따라 일정 지역에서 포집되는 해충의 개체수에 대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계수감지부(70)는 적외선 LED광을 이용한 발광 및 수광구조로 마련되어 발광 및 수광영역을 가로막는 통과시간과 통과크기로 모기와 기타 해충을 구분하며, 1열 7구 또는 2열 7구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될 제어부(80)는 계수감지부(7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를 카운팅해 해충들의 발생빈도와 종류별 분류 및 분석작업에 필요한 포집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포집유인량을 조절하도록 탄산가스공급기구(92)나 흡기팬(30)을 제어하거나 또는 더욱 정밀한 해충의 포집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41)나 조명등(42) 또는 회전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케이싱(10)에 내설되어 흡기팬(30), 영상촬영부(40), 캡쳐부(50)를 개별적으로 동작제어하며, 후술될 세척매질공급장치(100) 또한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흡기팬(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충들의 흡입 이동 및 포집을 제어하며, 영상촬영부(40)의 카메라(41) 및 조명등(42)을 제어하여 회전망(51)이 회전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영상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고, 회전구동부(52)의 회전구동을 제어하여 회전망(51)이 일정시간 주기별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세척매질공급장치(100)의 매질공급기구(103)를 제어하여 제1분사노즐(101) 및 제2분사노즐(102)을 통해 세척매질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타이머(81)를 통해 회전구동부(52)가 일정시간 주기별로 회전망(51)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이머(81)는 제어부(80)로부터 별도의 제어신호가 없더라도 영상촬영부(40)와 캡쳐부(50)를 일정시간 주기별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탄산가스공급기(90)는 흡입관(21) 또는 연통관(24)의 단부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기체 상의 이산화탄소인 탄산가스를 분사하는 탄산가스분사기구(91)와,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산가스분사기구(91)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공급기구(92)로 구성된다.
상기 탄산가스공급기(90)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데, 제어부(80)는 탄산가스공급기(90)를 제어하여 탄산가스공급기구(92)의 밸브가 열리면서 탄산가스가 탄산가스분사기구(91)를 통해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제어부(80)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입력부와, 제어부를 통해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제어부(8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지역별로 각각 하나씩 다수 개가 설치되어 통합서버에 의해 다수의 관리자단말기로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계측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각 포충기에 구비된 제어부(80)에는 통합서버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각각 연결 구비되고, 통합서버에는 다수의 관리자단말기들이 통합서버에 접근을 시도하려 할 때에 이를 인증처리하는 보안모듈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 지역별로 포집되는 해충들의 포집영상, 포집 해충들의 분류정보, 포집 해충들의 개체수 정보 등이 통합서버에서 일괄 취합되도록 함으로서 중앙통제소에서 해충들의 각 지역별 분포 정보 등을 용이하게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계측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합서버에서 각 지역별로 산재한 다수의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되, 다수의 관리자단말기들 중 통합서버에서의 인증처리를 통해 인증된 관리자단말기만이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전국적으로 분산된 다수의 관리자단말기에서도 각 지역별로 포집 해충의 분포상황 등을 용이하게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계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포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탄산가스공급기(90)가 제어되면서 탄산가스공급기구(92)로부터 탄산가스가 공급되어 흡입관(21)의 단부 또는 연통관(24)의 단부에 형성된 탄산가스분사기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흡입관(21) 또는 연통관(24)의 주변으로 탄산가스가 확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흡기팬(30)을 동작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충관부(20)의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면서 탄산가스에 의해 유인된 해충들이 외부 공기와 함께 흡입관(21) 또는 연통관(24)의 내부로 흡입되며, 흡입된 해충들은 계수감지부(70)를 지나가게 됨에 따라 계수감지부(70)는 통과되는 해충들을 감지하여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8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타이머(81)를 통해 캡쳐부(50)의 회전구동부(52)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회전망(51)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며, 회전망(51)의 회전은 일정시간을 두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영상촬영부(40)의 카메라(41)와 조명등(42)이 회전망(51)이 캡쳐 위치에 있을 때마다 회전망(51)에 임시로 포집된 해충들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41) 및 조명등(42)의 작동을 타이머(81)를 통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모기와 같은 해충을 포집함에 있어 포집되는 해충들의 영상을 고비용의 고속카메라 없이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획득하여 해충들의 발생빈도와 종류별 분류 및 분석 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전망(51)과 수거망(23a) 사이에 경사진 배경판(60)이 배치됨에 따라 흡기팬(30)의 흡입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거망(23a)과 흡기팬(30)을 가려 회전망(51)의 배경역할을 해주므로 영상 촬영시, 회전망(51)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만 촬영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래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져 시인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경판(60)의 표면에 점도가 있는 오염원이 부착될 경우 잘 떨어지지 않고 표면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게 되며, 이러한 오염원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 촬영을 하게 되면 영상이 선명하지 않아 식별에 혼돈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배경판(60)을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매질공급장치(100)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해주기 바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척매질공급장치(100)는 제1분사노즐(101)과 매질공급기구(1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노즐(101)은 일단이 경사관(23)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세척매질공급장치(100)의 매질공급기구(103)로부터 세척매질을 공급받아 배경판(60)으로 세척매질을 분사하여 배경판(60)의 표면을 세척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매질공급기구(103)는 케이싱(10)에 수용되어 내부에 저장된 세척매질을 제1분사노즐(101)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참고로, 상기 세척매질로는 에어, 맑은 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매질로 에어 또는 맑은 물이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경우 매질공급기구(103)의 수는 하나가 적용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이 세척매질이 적용되면 매질공급기구(103)의 수도 이에 상응하게 늘어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분사노즐(10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매질(에어, 맑은 물 등)에 의해 배경판(60)의 표면이 일정 시간 주기별로 세척되기 때문에 배경판(60)에 점도가 있는 오염원이 부착되더라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항상 배경판(60)의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영상을 통한 해충의 식별이 종전보다도 훨씬 더 명확해지는(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세척매질공급장치(100)의 세척매질로 에어를 이용하여 배경판(60)을 세척하는 경우에는 흡기팬(30)에 전혀 영향을 주기 않지만, 세척매질로 맑은 물을 이용하여 배경판(60)을 세척할 경우 경사관(23)의 하부에 배치되게 포집케이싱(11)에 설치된 흡기팬(30)은 자칫 큰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높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경사관(23)과 동축상에 배치된 흡기팬(30)을 일측으로 편심되게 포집케이싱(11)에 설치하고, 하부로 낙하는 비눗물 또는 맑은 물은 외부로 배출되도록 드레인(110)을 설치해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해 주었다는 점에 주목해주기 바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23)과 동축선에 위치되는 포집케이싱(11)의 하면에는 세척매질의 낙수를 유도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배수유도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배수유도부(11a)에는 일단이 배수유도부(11a)와 연통되고 타단이 케이싱(10)을 관통해 외부로 돌출된 드레인(110)이 설치되며, 배수유도부(11a)의 일측에는 흡기팬(30)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포집케이싱(11)에 배수유도부(11a)와 드레인(110) 및 흡기팬(30)을 형성해 줌으로서 경사관(23)을 통해 낙하되는 세척매질(맑은 물)을 드레인(11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해 줄 수 있고, 특히 흡기팬(30)과 경사관(23)이 서로 동축상에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팬(30)이 낙하하는 세척매질(맑은 물)과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흡기팬(3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척매질은 맑은 물과 에어가 순차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촬영부(40)는 회전망(51)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을 촬영하게 되는데, 회전망(51)에 해충이 끼거나 오염원이 부착되기 쉽고, 이와 같이 해충과 오염원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 촬영을 하게 되면 종전에 찍은 해충과 더불어 오염원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해충의 식별이 상당히 떨어지데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회전망(51)을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제2분사노즐(102)을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해주기 바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분사노즐(102)은 일단이 포집관(22)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세척매질공급장치(100)의 매질공급기구(103)로부터 세척매질을 공급받아 회전망(51)으로 세척매질을 분사하여 회전망(51)을 세척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세척매질로는 에어, 맑은 물, 비눗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매질로 에어 또는 맑은 물 또는 비눗물이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경우 매질공급기구(103)의 수는 하나가 적용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이 세척매질이 적용되면 매질공급기구(103)의 수도 이에 상응하게 늘어난다.
일 예로서, 촬영이 완료된 캡쳐부(50)의 회전망(51)은 회전구동부(52)에 의해 회전되어 걸러진 해충들을 수거망(23a)으로 배출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80)는 에어가 충진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제어시켜 줌에 따라 에어가 제2분사노즐(102)로 공급되면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회전망(51)에 분사되며, 이에 의해 회전망(51)에 걸려 있는 해충들 및 오염원들이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회전망(51)을 세척매질을 이용해 세척해 줌으로서 회전망(51)에 걸려 미처 떨어지지 않은 해충들 및 오염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촬영부(40)에 의한 영상 촬영시,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한편, 상기 세척매질이 2종류인 경우, 우선 맑은 물이 저장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시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맑은 물을 회전망(51)에 분사한 후에 에어가 충진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시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에어를 회전망(51)에 분사시켜 줌으로서 건조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매질이 3종류인 경우, 우선 비눗물이 저장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시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비눗물을 회전망(51)에 분사 후, 맑은 물이 저장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시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맑은 물을 회전망(51)에 분사해 비눗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에어가 충진된 매질공급기구(103)를 동작시켜 제2분사노즐(102)를 통해 에어를 회전망(51)에 분사시켜 줌으로서 건조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싱 11: 포집케이싱 20: 포충관부
21: 흡입관 22: 포집관 23: 경사관
23a: 수거망 24: 연통관 30: 흡기팬
40: 영상촬영부 41: 카메라 42: 조명등
50: 캡쳐부 51: 회전망 52: 회전구동부
60: 배경판 70: 계수감지부 80: 제어부
81: 타이머 90: 탄산가스공급기구 91: 탄산가스공급기
92: 탄산가스분사기구 100: 세척매질공급장치 101: 제1분사노즐
102: 제2분사노즐 103: 매질공급기구 110: 드레인

Claims (4)

  1.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횡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싱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포집관과, 포집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수거망이 설치된 경사관으로 구성된 포충관부;
    상기 수거망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충을 포함한 외부공기가 포충관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기팬;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포집관을 따라 이동되는 해충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포집관에 설치되어 해충을 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일시적으로 걸러내는 캡쳐부;
    상기 경사관에 형성되어 수거망을 가리면서 캡쳐부의 뒷 배경을 만드는 배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관에 설치되어 세척매질을 배경판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분사노즐에 세척매질을 공급하는 매질공급기구로 구성된 세척매질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관부에는,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 이동되는 해충을 감지하여 해충의 개체수를 카운팅하는 계수감지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매질공급장치, 흡기팬, 영상촬영부, 캡쳐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통해 세척매질공급장치, 캡쳐부가 일정 시간 주기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KR1020150146771A 2015-10-21 2015-10-21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KR10181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71A KR101815300B1 (ko) 2015-10-21 2015-10-21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71A KR101815300B1 (ko) 2015-10-21 2015-10-21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30A KR20170046430A (ko) 2017-05-02
KR101815300B1 true KR101815300B1 (ko) 2018-01-04

Family

ID=5874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771A KR101815300B1 (ko) 2015-10-21 2015-10-21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52A (ko) * 2021-12-13 2023-06-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모기 종 선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239B (en) * 2017-10-09 2020-05-06 Plaut Rudolf Insect trapping device
CN107821187B (zh) * 2017-11-30 2021-01-15 嵩县金佛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驱蚊装置的黑猪生态养殖场
CN108353869A (zh) * 2018-05-17 2018-08-03 张国山 一种吸虫器
EP3975710A1 (en) * 2019-05-24 2022-04-06 Romanova, Anastasiia Romanivn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CN111700044B (zh) * 2020-07-31 2021-11-30 益阳市超发新能源有限公司 一种风速自适应吸虫机的吸虫方法
CN112602689B (zh) * 2020-12-25 2022-07-19 江苏海洋大学 一种气吸式豆丹捕捉装置
KR102347919B1 (ko) * 2021-06-03 2022-01-0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302A (ja) * 2000-07-07 2002-01-25 Toyobo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方法
KR101476256B1 (ko)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302A (ja) * 2000-07-07 2002-01-25 Toyobo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方法
KR101476256B1 (ko)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52A (ko) * 2021-12-13 2023-06-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모기 종 선별 시스템
KR102549428B1 (ko) 2021-12-13 2023-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모기 종 선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30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300B1 (ko)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KR101815301B1 (ko) 세척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KR101642715B1 (ko)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및 모기 영상으로부터 모기를 종류별로 인식하는 방법
CN103168762B (zh) 田间灯诱昆虫图像采集装置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CN107333731A (zh) 一种基于虫体过滤与虫数及种类识别的测报系统及其方法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101642712B1 (ko) 모기의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
KR20140059643A (ko) 포충기
CN209403360U (zh) 虫情测报监控装置和虫情报设备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N104902228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害虫实时监控装置及方法
JP2009022236A (ja) 害虫捕獲器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DE102015215824B4 (de) Insektenfalle und Verfahren zum Fangen von Insekten
WO2023114442A1 (en) System for image based remote surveillance in an insect trap
KR102519805B1 (ko)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CN214482924U (zh) 一种智能蚊媒监测装置
CN211832517U (zh) 一种用于智能监测的蚊媒捕杀装置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