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919B1 -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919B1
KR102347919B1 KR1020210072227A KR20210072227A KR102347919B1 KR 102347919 B1 KR102347919 B1 KR 102347919B1 KR 1020210072227 A KR1020210072227 A KR 1020210072227A KR 20210072227 A KR20210072227 A KR 20210072227A KR 102347919 B1 KR102347919 B1 KR 10234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dden
unit
pests
pest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는,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어 돌발해충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고,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수거부와, 상기 몸체와 수거부의 연결부에 위치하되, 선택적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류부에 의해 그룹별로 분류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에서 각 그룹별로 수거되도록 상기 수거부에서 지정된 공간으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분기되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COLLECTING DEVICE FOR FORECASTING SPORADIC INSECT}
본 발명은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되,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개체수를 측정하여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돌발해충을 예찰할 수 있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로부터 최근까지도 인류는 모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위생해충에 의한 피해를 입고 있으며, 위생해충은 그 개체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방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최근들어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동양하루살이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지역이 많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주민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공공기관 등의 기관에서는 이러한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위생해충이 급증하여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지역 및 위생해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해충을 포획하거나 약제 살포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일시적인 효과를 보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약제 살포 시 주민들의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가 심하며, 이에 대한 비용이 큰 부담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 설치 가능한 위생해충 방제기가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위생해충 방제기가 설치되어 있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정확한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고객 또는 방제를 담당하는 방제 직원이 해충 방제기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해충 방제기를 순찰, 점검, 수리 및 교체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와 같은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방제기가 방치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생해충의 발생 예상 지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설치한 해충 방제기의 효과를 제대로 끌어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여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02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4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포집하고 종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개체수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발생하는 목표 대상 돌발해충의 예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돌발해충 방제 시스템이 적용될 방제 적기가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는,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어 돌발해충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고,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수거부와, 상기 몸체와 수거부의 연결부에 위치하되, 선택적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류부에 의해 그룹별로 분류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에서 각 그룹별로 수거되도록 상기 수거부에서 지정된 공간으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분기되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유도부가 연결되는 상부 일측에 상기 유도부를 통해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분류부 및 측정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 가능한 제1개폐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부는 내부가 중공되되, 일측이 개방되어 돌발해충이 들어오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과 연결되는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과 이어지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부의 돌발해충이 상기 유도부의 입구를 통해 들어오도록 상기 유도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부의 내부로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유인부재에 붙지 않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시키며,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돌발해충이 분류된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며, 통과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보조 공기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는 분류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는 가로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망의 폭 간격이 상이한 필터부재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가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A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 통과되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보다 좁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에 의해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2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측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가 상기 제어관리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과 1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이 연산되어 동양하루살이에 해당하는 B그룹의 개체수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와 대응되도록 내부공간이 분할 가능하도록 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분류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재와, 상기 수거부재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거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의 각 그룹이 섞이지 않고 지정된 수거부재에 유입되도록 일정한 방향의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유도부, 분류부, 측정부, 수거부 및 가이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포집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집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별 개체수의 측정이 가능하여 목표 대상 돌발해충의 개체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사 지역에 발생되는 돌발해충의 종류에 따라 분류의 수를 조절 가능하여 돌발해충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그로 인해 해당 조사 지역에 대한 돌발해충의 발생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목표 대상 돌발해충의 발생량 및 서식 밀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방제의 적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측정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 받음으로써, 관리자가 수시로 조사 지역에 갈 필요 없이 관리가 필요한 순간에만 직접 가도록 하여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있어서 유도부와 분류부에 의해 외부의 돌발해충이 유입되어 분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재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유입된 돌발해충이 가이드부 및 수거부에 의해 각 그룹별로 수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있어서, 포집되는 돌발해충의 종류에 따라 분류부의 구성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되,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개체수를 측정하여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돌발해충을 예찰할 수 있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외부의 돌발해충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중공된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유도부(20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각 그룹별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분류부(300)와, 상기 분류부(3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고, 상기 분류부(300)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4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600)와, 상기 몸체(100)와 상기 수거부(600)아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분할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류부(300)에 의해 그룹별로 분류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600)에서 각 그룹별로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수거부(600)에서 지정된 공간으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분기되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500)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S)로 전송함으로써, 돌발해충의 예찰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관리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부(200)에 의해 외부의 돌발해충이 유입되어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100)는 상기 유도부(200)가 연결되는 상부 일측에 상기 유도부(200)를 통해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기발생부재(110)는 회전하는 송풍팬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하는 팬이 없이도 모터나 브로와에 의해 바람이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유도부(200)를 통해 들어온 돌발해충이 공기의 대류 현상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흡입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류부(300) 및 측정부(400)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개폐도어(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관리자가 상기 분류부(300)나 측정부(400)의 교체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하기 앞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유도부(200)는 내부가 중공되되, 일측이 개방되어 외부의 돌발해충이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의 상단과 연결되는 타측 역시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이어져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200)의 내부 일측에는 유인부재(21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 서식하는 돌발해충이 상기 유인부재(210)에 의해 유인되어 상기 유도부(200)의 입구를 통해 상기 유도부(20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인부재(210)는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특정한 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재의 소모 값이 없으며, 불빛으로 모여드는 돌발해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돌발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발광체, 즉, LED 등과 같은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원을 갖는 상기 유인부재(210)는 상기 제어관리부(700)에 의해 구동 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에 on/off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의 유인 효율을 극대화 시킴은 물론, 소모 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200)는 돌발해충이 그 습성 상 상기 유인부재(210)를 향해 몰려들어 달라 붙음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유도부(200)의 내측에서 상기 유인부재(2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부(200)로 유입된 돌발해충이 상기 유인부재(210)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부(200)의 입구와 상기 몸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유도부(200)의 개방부가 이어지는 하나의 통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유인부재(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이 상기 커버부재(220)의 표면에 달라 붙지 못하고 상기 공기발생부재(11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분류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 및 이송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이 분할된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각각에 분류된 그룹별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20)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통과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류부(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부재(32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공간 및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거부(600) 측으로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돌발해충이 상기 필터부재를 역행하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보조 공기발생부재(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공기발생부재(330)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유도부(200)의 연결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발생부재(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송풍팬과 같은 회전하는 팬에 의해 바람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팬이 없이 모터나 브로와 등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바람이 분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돌발해충이 역행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그물망 또는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분류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는 가로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격자 형태의 망 사이에 돌발해충이 끼어 상기 필터부재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몸체(100)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망의 폭 간격이 상이한 필터부재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의 분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류부(300)는 상기 유도부(200)에 의해 유인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몸길이 10~20mm, 편 날개의 길이 50mm)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11mm)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가 1차 필터부재(310) 및 2차 필터부재(310')로 이루어져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310)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310)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 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이게 되어 A그룹(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부재(310)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이송부재(32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310)보다 좁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310')에 의해 분류가 이루어져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필터부재(310')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이송부재(32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C)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유도부(200)에 의해 유인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됨으로써 각각의 그룹으로 나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필터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상기 제어관리부(700)의 제어에 의해 구동 제어가 가능하며, 힌지 타입 또는 슬라이딩 레일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그룹별로 분류되어 측정까지 완료된 돌발해충을 이후 수거부(600)에 수거되도록 할 때,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분류된 것이 섞이지 않고 각 그룹별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돌발해충을 수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관리부(7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1차 필터부재(310) 및 2차 필터부재(310')가 순차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분류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600)에서 각 그룹별로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이송부재(32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이송부재(320)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측정센서는 개체수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을 이용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1차 필터부재(310) 및 상기 2차 필터부재(31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이송부재(32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돌발해충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송부재(320)의 출구측에 상기 측정부(4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측정부(400)에서 상기 1차 필터부재(310) 및 상기 2차 필터부재(310')를 통과하여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는 상기 제어관리부(7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예찰 하고자 하는 목표 대상이 동양하루살이 종으로 가정했을 시, 상기 제어관리부(700)에 의해 상기 2차 필터부재(31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재(320)에 구비되는 상기 측정부(400)의 측정값과 상기 1차 필터부재(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부재(320)에 구비되는 상기 측정부(400)의 측정값이 연산되도록 함으로써, 동양하루살이에 해당하는 B그룹(B)의 개체수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목표 대상 돌발해충이 동양하루살이가 아닌 다른 종일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에 대응되는 필터부재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른 측정부(400)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어관리부(700)에서 연산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부(700)에서는 수집된 정보 및 연산된 정보를 관리자 서버(S)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해당 지역에 대한 돌발해충에 대한 예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부(6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부(300)에 의해 분류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모이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거부(600)의 내부공간을 분할시킬 수 있는 격벽(640)과, 상기 격벽(640)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분류가 완료된 돌발해충이 상기 제어관리부(700)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에 따라 일정 주기를 기준으로 분류된 그룹별로 수거 가능하도록 하는 수거부재(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재(610)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61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640) 및 상기 수거부(600)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610)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개폐도어(6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거부(600)에는 상기 격벽(640)의 상단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제어관리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5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300)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의 각 그룹이 섞이지 않고 지정된 수거부재(6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거부(600)의 내부에 일정한 방향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가드부재(6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도부(20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분류부(300)에 의해 분류되어 각각의 그룹을 형성하여 모이게 되며, 상기 측정부(400)의 측정 및 상기 제어관리부(700)의 연산을 통해 각 그룹별 개체수의 정보가 정확하게 측정되고, 이를 관리자 서버(S)에서 전송 받아 확인함으로써,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와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에 대한 개체수 정보에 따라 돌발해충의 예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부(7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가이드부(500) 및 가드부재(630)에 의해 분류 및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이 섞이지 않고 각 그룹별로 따로 상기 수거부(600)에 구비되는 수거부재(610)에 수거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수거부재(610)는 이후 회수되어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 뿐만 아니라, 포집된 돌발해충의 종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관리부(700)는 상기 유도부(200), 분류부(300), 측정부(400), 수거부(600) 및 가이드부(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710)과, 상기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S)로 전송하는 통신모듈(720)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모듈(7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 하고자 하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해충의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상기 분류부(300)의 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의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몸체 110 : 공기발생부재
120 : 제1개폐도어 200 : 유도부
210 : 유인부재 220 : 커버부재
300 : 분류부 310 : 1차 필터부재
310' : 2차 필터부재 320 : 이송부재
330 : 보조 공기발생부재 400 : 측정부
500 : 가이드부 600 : 수거부
610 : 수거부재 620 : 제2개폐도어
630 : 가드부재 640 : 격벽
650 : 결합부재 700 : 제어관리부
710 : 제어모듈 720 : 통신모듈
730 : 전력모듈
A : A그룹 B : B그룹
C : C그룹 S : 관리자 서버

Claims (14)

  1.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어 돌발해충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빛을 발광시켜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고,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수거부;
    상기 몸체와 수거부의 연결부에 위치하되, 선택적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류부에 의해 그룹별로 분류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에서 각 그룹별로 수거되도록 상기 수거부에서 지정된 공간으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분기되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시키며,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돌발해충이 분류된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며, 통과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유도부가 연결되는 상부 일측에 상기 유도부를 통해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분류부 및 측정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 가능한 제1개폐도어;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내부가 중공되되, 일측이 개방되어 돌발해충이 들어오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과 연결되는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과 이어지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부의 돌발해충이 상기 유도부의 입구를 통해 들어오도록 상기 유도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시켜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발광체로 이루어진 유인부재;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부의 내부로 들어온 돌발해충이 상기 유인부재에 붙지 않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보조 공기발생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가로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망은 복수개의 직선 형태의 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 형태의 부재 사이의 간격은 분류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로망을 구성하는 직선 형태의 부재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각기 다른 필터부재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한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가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간격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A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 통과되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보다 좁은 간격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에 의해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2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몸체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측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가 상기 제어관리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과 1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이 연산되어 동양하루살이에 해당하는 B그룹의 개체수가 측정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와 대응되도록 내부공간이 분할 가능하도록 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분류된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재;
    상기 수거부재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거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개폐도어;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의 각 그룹이 섞이지 않고 지정된 수거부재에 유입되도록 일정한 방향의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드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유도부, 분류부, 측정부, 수거부 및 가이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포집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모듈;
    을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KR1020210072227A 2021-06-03 2021-06-03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KR10234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27A KR102347919B1 (ko) 2021-06-03 2021-06-03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27A KR102347919B1 (ko) 2021-06-03 2021-06-03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919B1 true KR102347919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227A KR102347919B1 (ko) 2021-06-03 2021-06-03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357B2 (en) * 2018-03-17 2023-02-14 Ovipos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sect farm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JP2015198614A (ja) * 2014-04-08 2015-11-12 徳島県 益虫分別採集装置及び益虫分別採集方法
KR20160122476A (ko) 2015-04-14 2016-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리필 가능한 예찰용 해충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모니터링 방법
KR20170046430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이티엔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KR101960250B1 (ko) 2017-06-20 2019-03-20 박강철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2238955B1 (ko) * 2019-10-22 2021-04-09 송순철 휴대용 곤충 선별 채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JP2015198614A (ja) * 2014-04-08 2015-11-12 徳島県 益虫分別採集装置及び益虫分別採集方法
KR20160122476A (ko) 2015-04-14 2016-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리필 가능한 예찰용 해충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모니터링 방법
KR20170046430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이티엔디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KR101960250B1 (ko) 2017-06-20 2019-03-20 박강철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2238955B1 (ko) * 2019-10-22 2021-04-09 송순철 휴대용 곤충 선별 채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357B2 (en) * 2018-03-17 2023-02-14 Ovipos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sect farm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1573B2 (en) Photonic fence
CN103179993B (zh) 昆虫实时监测装置
BR112021002854A2 (pt) detecção de artrópodes
Reiter et al.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insecticidal space sprays for control of the dengue vector Aedes aegypti
CN109068614A (zh) 昆虫分离器系统
AU2015247666B2 (en) Photonic fence
CN207531735U (zh) 智能虫情识别预警装置
KR102347919B1 (ko)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JP3796526B2 (ja) 害虫計数装置
US10925274B2 (en) Smart trap for mosquito classification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WO2019036463A1 (en) TRAP FOR MOSTIC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METHOD OF USE
CN108925526B (zh) 一种昆虫电击有效性的测试装置及方法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US11490609B2 (en)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KR101001317B1 (ko)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efficacy testing of insecticides for indoor and outdoor ground-applied space spray applications
KR102313078B1 (ko)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Hoffmann et al. Quantifying the movement of multiple insects using an optical insect counter
EP4039089A1 (en) Flying ins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8594814A (zh) 一种农林病虫害监控机器人
CN208446429U (zh) 一种蚊媒监测仪
KR102328364B1 (ko)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