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078B1 -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 Google Patents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078B1
KR102313078B1 KR1020210078584A KR20210078584A KR102313078B1 KR 102313078 B1 KR102313078 B1 KR 102313078B1 KR 1020210078584 A KR1020210078584 A KR 1020210078584A KR 20210078584 A KR20210078584 A KR 20210078584A KR 102313078 B1 KR102313078 B1 KR 10231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unit
sudden
street lamp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은, 내부가 중공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가로등 몸체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며, 빛을 조사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 주변을 밝힘과 동시에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입구로 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 내부로 흡수되도록 상기 포집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흡수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포집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수거부가 연결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방향성을 이루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STREET LAMP WITH COLLECTING DEVICE FOR FORECASTING SPORADIC INSECT}
본 발명은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되,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개체수를 측정하여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돌발해충을 예찰할 수 있음은 물론, 가로등의 기능도 수행하여 사람들이 야간활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야간에 주위를 밝히는 조명시설로써, 통상 가로등 지주가 지면에 고정되고 지주의 상부에는 조명이 형성되어 주위를 밝히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때, 가로등의 조명부는 야간에 주위에 비해 밝기가 밝아 모기, 나방 등의 각종 해충들이 조명 주위로 모여들게 되는데, 이 경우 보행자에게 혐오감을 줄 뿐만 아니라 해충들이 조명에 달라붙어 죽는 경우 가로등의 미관과 함께 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등의 조명은 대부분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청소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조명기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몰려드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033946호에서는 가로등의 불빛에 모인 해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강한 바람을 발사함으로써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은 유해한 해충들을 제거할 수 있는 근본적인 수단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강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고, 반대로 바람의 세기가 충분치 못한 경우 해충을 완전히 퇴치하기 어려워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 기술들에 제안되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가로등의 불빛을 보고 모여든 해충을 포집하여 죽이는 포집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해충을 제거하기만 할 뿐, 이후, 그 지역에 발생되는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의 획득은 전무하여 방제의 적기를 예상하거나, 돌발해충이 발생되는 시기 등에 대한 예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해충 대비 효율적인 장치의 배치가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기가 힘들며, 이를 위해서는 각 지역에 별도의 해충 예찰 장치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에 따른 인적, 물리적 부담이 배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9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06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포집하고 종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개체수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로등의 기능까지 효율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돌발해충 방제 시스템이 적용될 방제 적기가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람들이 야간활동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은, 내부가 중공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가로등 몸체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며, 빛을 조사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 주변을 밝힘과 동시에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입구로 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 내부로 흡수되도록 상기 포집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흡수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가로등 몸체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포집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부와, 상기 포집부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수거부가 연결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방향성을 이루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로등 몸체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에 눈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집중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대향되는 면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이루어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빛이 집중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가로등 몸체의 주변으로도 빛이 확산되도록 하여 상기 광원부의 돌발해충 유인 및 가로등 기능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등 몸체는 상기 분류부 및 측정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포집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제1개폐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등 몸체는 중공된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포집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에 포집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시키며, 상기 포집부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돌발해충이 분류된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류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통과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는 포집되는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가로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망의 폭 간격이 상이한 필터부재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가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포집부의 내부공간을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A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 통과되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보다 좁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에 의해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2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각각 구비 가능하고, 각각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를 상기 제어관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상기 1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이 연산되도록 함으로써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개체수가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가능하여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 내부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상기 수거부에 수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제2개폐도어와,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에 돌발해충이 수거되는 수거망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거부재와,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재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거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개폐도어는 상기 수거부의 하단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수거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일측이 상기 수거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거부재가 승하강 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차단가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가드는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망에 수거되도록 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수거부재가 승하강 하는 동안에는 상기 수거부재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수거망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수거망 내부에 수거된 돌발해충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개폐도어 및 상기 승하강부재 및 상기 차단가드는 상기 제어관리부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가로등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가 상기 가로등 몸체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2개폐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포집부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에 수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집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별 개체수의 측정이 가능하여 목표 대상 돌발해충의 개체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사 지역에 발생되는 돌발해충의 종류에 따라 분류 수를 조절 가능하여 돌발해충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그로 인해 해당 지역에 대한 돌발해충의 발생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목표 대상 돌발해충의 발생량 및 서식 밀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돌발해충에 대한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을 보고 몰려드는 돌발해충을 포집함으로써 실시간 방제가 이루어져 사람들이 야간활동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측정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 받음으로써, 관리자가 수시로 조사 지역에 갈 필요 없이 관리가 필요한 순간에만 직접 가도록 하여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광원의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돌발해충의 유인은 물론 가로등 기능의 효율까지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있어서, 반사부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의 내부 구조 및 돌발해충이 분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있어서, 필터부재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있어서, 수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있어서, 수거부의 세부 구조 및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있어서, 내부에 유입된 돌발해충이 가이드부 및 수거부에 의해 각 그룹별로 수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되,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개체수를 측정하여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돌발해충을 예찰할 수 있음은 물론, 가로등의 기능도 수행하여 사람들이 야간활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중공된 내부공간이 외부와 이어질 수 있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세워질 수 있는 가로등 몸체(100)와,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상단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주위로 빛을 조사하여 주변을 밝힘과 동시에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광원부(200)와,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입구로 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광원부(200)에 의해 유인되어 날아온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포집부(300)와,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상단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광원부(200)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30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흡수부(400)와,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500), 상기 분류부(500)와 연계 가능하여 돌발해충이 분류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류부(500)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600)와,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포집부(3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수거부(700), 그리고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하부에 구비 가능하고, 상기 분류부(500)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이 수거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이지 않고 각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700)에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00)와 상기 수거부(700)가 연결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방향성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800)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부(600)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S)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은 전체적인 구조로 봤을 때, 가로등의 지주대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가 있으며, 이러한 가로등 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가로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광원부(200), 그리고 상기 광원부(200)와 연계됨으로써, 상기 광원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에 유인되어 날아오는 돌발해충을 포집하여 분류하고 측정하는 포집장치가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200)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300)로 강제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흡수부(400)는 회전하는 송풍팬에 의해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하는 팬이 없이도 모터나 브로와에 의해 바람이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광원부(200)에 의해 유인되어 날아온 돌발해충이 공기의 대류 현상에 의해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 방향으로 흡입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최상단에는 반사부재(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광원부(20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반사부재(110)는 상기 포집부(300)에 눈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광원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포집부(300)의 입구에 빛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이 유인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부재(110)는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넓은 판 형상을 기본으로 하되,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눈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광원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00)를 기준으로 오목한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판이나 원판 또는 삼각판 등 다양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110)는 상기 광원부(200)와 대향하는 면에 울퉁불퉁 하거나 일정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광원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이루어 상기 포집부(300)의 입구에 빛이 집중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주변으로도 빛이 확산되도록 하여 상기 광원부(200)에 의한 돌발해충 유인 및 가로등 기능의 효율이 모두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제어관리부(900)에 의해 구동 시간이 제어되도록 하여 기 설정된 시간에 on/off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돌발해충의 유인 효율이 높은 시간대에 자동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가로등 자체의 전력 시스템과 연계되어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개폐도어(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포집부(300)에 구비 가능한 상기 분류부(500) 및 측정부(600)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개폐도어(1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개폐도어(120)는 상기 포집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에 해당 지역에서 발생되는 돌발해충의 종류 및 분류하고자 하는 그룹의 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 상기 분류부(500) 및 측정부(600)의 수와 대응되도록 개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가로등의 기능을 위해 지면으로부터 높게 세워지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포집부(300)에 포집된 돌발해충이 불필요하게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하부까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중공된 내부공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부(3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300)에 포집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서 상기 차단부재(130)를 기준으로 하부에 상기 제어관리부(9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관리부(900)의 유지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분류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이 분할된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공간 각각에 분류된 그룹별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필터부재(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500)는 상기 필터부재(510)의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필터부재(510)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300)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필터부재(510)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5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류부(500)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30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수거부(700) 측으로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돌발해충이 상기 필터부재(510)를 역행하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기발생부재(530)는 상기 포집부(300)에 구비되는 상기 흡수부(4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발생부재(530)는 송풍팬과 같은 회전하는 팬에 의해 바람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팬이 없이 모터나 브로와 등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바람이 분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돌발해충이 역행하여 상기 필터부재(510)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510)는 돌발해충이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그물망 또는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발해충이 격자 형태의 망 사이에 끼어 상기 필터부재(510)가 막힘으로 인해 상기 필터부재(510)가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분류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는 가로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510)는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망의 폭 간격이 상이한 필터부재(510)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돌발해충의 분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부재(510)는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몸길이 10~20mm, 편 날개의 길이 50mm)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11mm)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510)가 1차 필터부재(511) 및 2차 필터부재(512)로 이루어져 상기 포집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511)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511)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포집부(300)의 분할된 내부 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이게 되어 A그룹(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부재(511)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300)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511)보다 좁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512)에 의해 분류가 이러어져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필터부재(512)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300)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C)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은 폭의 간격이 상이한 상기 1차 필터부재(511)와 상기 2차 필터부재(512)로 각각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필터부재(510)에 의해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됨으로써 각각의 그룹으로 나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정부(600)는 상기 필터부재(510)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1차 필터부재(511) 및 상기 2차 필터부재(512)의 하부에 각각 구비 가능하고, 각각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를 상기 제어관리부(900)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관리부(900)에 의해 상기 1차 필터부재(5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600)의 측정값과 상기 2차 필터부재(5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600)의 측정값이 연산되도록 함으로써,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개체수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측정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이송부재(5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1차 필터부재(511) 및 상기 2차 필터부재(5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포집부(300)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520)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포집부(300)에 포집된 돌발해충의 개체수가 각 그룹별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필터부재(5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300)의 내부에 개폐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회전이 가능한 힌지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관리부(9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포집부(300)에 포집되어 그룹별로 분류되고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까지 완료된 돌발해충을 이후 상기 수거부(700)에 수거되도록 할 때, 그룹별로 분류된 돌발해충이 서로 섞이지 않고 각 그룹별로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돌발해충을 수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관리부(9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1차 필터부재(511) 및 상기 2차 필터부재(512)가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됨으로써, 상기 포집부(300) 내부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상기 수거부(700)에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부(900)에서는 수집된 정보 및 연산된 정보를 관리자 서버(S)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매번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확인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 대한 돌발해충에 대한 예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부(700)는 상기 분류부(500)에 의해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가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수거부(7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300)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 가능하고, 상기 제어관리부(90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개폐도어(710)와, 상기 수거부(7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돌발해충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망(75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거부재(740), 그리고 상기 수거부(7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재(740)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74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730) 및 상기 수거부(700)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740)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개폐도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개폐도어(760)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서 높은 위치에 결합되는 상기 수거부(700)의 특성 상 상기 수거부(700)의 하단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관리자가 상기 수거부재(740)의 회수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거부(700)에는 상기 수거부재(740)의 일측에 연결 가능한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부재(W) 및 일측이 상기 수거부(70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W)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W)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거부재(740)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서 높은 위치에 결합되는 상기 수거부(700)에서 관리자가 돌발해충의 수거가 완료된 상기 수거부재(740)를 확인하여 상기 수거망(750)을 회수하고 새로운 수거망(750)으로 교체하여 다시 설치를 하는 작업을 수행 할 시,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직접 높은 곳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관리자의 디바이스 또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는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승하강부재(720)가 구동되어 상기 수거부재(740)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거망(750)의 교체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승하강부재(720)를 구동시켜 상기 수거부재(740)를 상승 시킬 수 있으며, 상승된 상기 수거부재(740)가 상기 수거부(700)의 내측으로 다시 되돌아가 상기 수거부재(740)의 입구와 상기 결합부재(730)의 입구가 맞물려 밀착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높은 곳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포집된 돌발해충의 수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거부재(740)는 상기 결합부재(730)와 결합되는 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가드(7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차단가드(741)는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부재(74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수거망(750)에 수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부재(720)에 의해 상기 수거부재(740)가 승하강 하는 동안에는 상기 수거부재(740)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거망(75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수거망(750) 내부에 수거된 돌발해충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개폐도어(760) 및 상기 승하강부재(720), 그리고 상기 차단가드(741)는 각기 다른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보다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상기 제어관리부(9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연속 동작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지역에서 발생되는 돌발해충이 종에 따른 분류가 이루어진 그룹별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외측면에 상기 포집부(3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수거부(700)는 상기 수거부(7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개폐도어(710)가 선택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300)와 수거를 하고자 하는 돌발해충의 그룹이 수거될 상기 수거부(700)가 연결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집부(300)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700)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부(7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가로등 몸체(100)에는 상기 수거부(700)의 입구, 즉, 상기 제2개폐도어(710)가 형성된 지점에 상기 제2개폐도어(71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수거부(700)와 연통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거부(700)가 설치되거나 돌발해충 종의 분류에 따라 상기 수거부(700)를 제거했을 경우, 상기 개방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에서 상기 포집부(300)에 포집되어 분류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된 각 그룹별로 상기 수거부(700)에 수거되도록 하는 과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가로등 몸체 110 : 반사부재
120 : 제1개폐도어 130 : 차단부재
200 : 광원부 300 : 포집부
400 : 흡수부 500 : 분류부
510 : 필터부재 511 : 1차 필터부재
512 : 2차 필터부재 520 : 이송부재
530 : 공기발생부재 600 : 측정부
700 : 수거부 710 : 제2개폐도어
720 : 승하강부재 730 : 결합부재
740 : 수거부재 741 : 차단가드
750 : 수거망 760 : 제3개폐도어
800 : 가이드부 900 : 제어관리부
A : A그룹 B : B그룹
C : C그룹 S : 관리자 서버
W : 연결부재

Claims (18)

  1. 내부가 중공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가로등 몸체;
    상기 가로등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며, 빛을 조사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 주변을 밝힘과 동시에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하는 돌발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입구로 하여 상기 가로등 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에 의해 유인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 내부로 흡수되도록 상기 포집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발생시키는 흡수부;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분류되어 각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분류부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가로등 몸체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포집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측정이 완료된 돌발해충을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부;
    상기 포집부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수거부가 연결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방향성을 이루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및
    포집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돌발해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관리부;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몸체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에 눈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집중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대향되는 면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를 이루어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빛이 집중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가로등 몸체의 주변으로도 빛이 확산되도록 하여 상기 광원부의 돌발해충 유인 및 가로등 기능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몸체는,
    상기 분류부 및 측정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포집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제1개폐도어;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몸체는,
    중공된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포집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에 포집된 돌발해충이 상기 가로등 몸체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된 돌발해충을 종에 따른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시키며, 상기 포집부의 내부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돌발해충이 분류된 그룹별로 모이도록 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돌발해충이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통과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돌발해충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발해충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포집되는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돌발해충의 종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가로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역 환경에 따라 포집되는 돌발해충 종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망의 폭 간격이 상이한 필터부재가 선택적으로 복수개 구비 가능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와,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가 섞여 있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가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포집부의 내부공간을 삼분할 시킬 수 있으며,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그에 대응되는 넓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하되, 나방과 같은 크기가 큰 개체는 상기 1차 필터부재에 의해 더 이상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상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A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1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 및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중층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상기 중층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만 통과되도록 상기 1차 필터부재보다 좁은 폭의 가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필터부재에 의해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중간 크기의 개체만이 상기 중층 공간에 모여 B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2차 필터부재를 통과한 깔따구와 같은 작은 크기의 개체는 상기 포집부의 분할된 내부공간 중 하층에 해당하는 공간에 모여 C그룹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돌발해충이 종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각각 구비 가능하고, 각각 측정된 돌발해충의 개체수 정보를 상기 제어관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상기 1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2차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측정값이 연산되도록 함으로써 목표 대상이 되는 돌발해충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개체수가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가능하여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1차 필터부재 및 2차 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 내부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각 그룹별로 상기 수거부에 수거 가능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제2개폐도어;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측에 돌발해충이 수거되는 수거망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거부재;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재로 돌발해충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수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거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개폐도어;
    를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도어는,
    상기 수거부의 하단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재의 회수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수거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일측이 상기 수거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거부재가 승하강 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차단가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가드는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해충이 상기 수거망에 수거되도록 하며, 상기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수거부재가 승하강 하는 동안에는 상기 수거부재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수거망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수거망 내부에 수거된 돌발해충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도어 및 상기 승하강부재 및 상기 차단가드는 상기 제어관리부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가로등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구동이 가능한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돌발해충의 그룹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가 상기 가로등 몸체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2개폐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포집부에서 분류되어 있는 돌발해충이 그룹별로 각기 다른 수거부에 수거 가능하도록 하는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KR1020210078584A 2021-06-17 2021-06-17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KR102313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84A KR102313078B1 (ko) 2021-06-17 2021-06-17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84A KR102313078B1 (ko) 2021-06-17 2021-06-17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078B1 true KR102313078B1 (ko) 2021-10-18

Family

ID=7827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84A KR102313078B1 (ko) 2021-06-17 2021-06-17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0493A (zh) * 2024-03-11 2024-04-12 安徽农业大学 一种谷类农作物在线病虫害检测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4A (ko) * 2000-08-31 2002-03-07 이상익 해충포집장치
KR20100019123A (ko) * 2008-08-08 2010-02-18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
KR101004754B1 (ko) * 2010-04-05 2011-01-07 대한민국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KR101033946B1 (ko) 2010-11-11 2011-05-11 (주) 이미지라이트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
KR20110075760A (ko) * 2009-12-29 2011-07-06 방효기 해충 방지용 가로등
KR101423262B1 (ko) * 2013-06-27 2014-08-04 대한민국 해충 포집 장치
KR101649123B1 (ko) * 2014-10-10 2016-08-18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101884528B1 (ko) * 2016-11-15 2018-08-02 이국환 모기 포획 장치
CN208597594U (zh) * 2018-05-22 2019-03-15 大连市动物疫病预防控制中心 一种蜱虫捕捉器
CN210203024U (zh) * 2019-07-01 2020-03-31 成都齐沃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用智能驱虫装置
KR20210060687A (ko)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이강이엔지 해충 포집 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4A (ko) * 2000-08-31 2002-03-07 이상익 해충포집장치
KR20100019123A (ko) * 2008-08-08 2010-02-18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
KR20110075760A (ko) * 2009-12-29 2011-07-06 방효기 해충 방지용 가로등
KR101004754B1 (ko) * 2010-04-05 2011-01-07 대한민국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KR101033946B1 (ko) 2010-11-11 2011-05-11 (주) 이미지라이트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
KR101423262B1 (ko) * 2013-06-27 2014-08-04 대한민국 해충 포집 장치
KR101649123B1 (ko) * 2014-10-10 2016-08-18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101884528B1 (ko) * 2016-11-15 2018-08-02 이국환 모기 포획 장치
CN208597594U (zh) * 2018-05-22 2019-03-15 大连市动物疫病预防控制中心 一种蜱虫捕捉器
CN210203024U (zh) * 2019-07-01 2020-03-31 成都齐沃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用智能驱虫装置
KR20210060687A (ko)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이강이엔지 해충 포집 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0493A (zh) * 2024-03-11 2024-04-12 安徽农业大学 一种谷类农作物在线病虫害检测装置
CN117870493B (zh) * 2024-03-11 2024-05-28 安徽农业大学 一种谷类农作物在线病虫害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078B1 (ko)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CN214546728U (zh) 一种自清洁植保虫情测报灯
CN208318026U (zh)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CN108935373A (zh) 一种蝗虫种群监测和防治的方法及诱捕装置
CN115299420A (zh) 一种虫情测报灯
CN206238153U (zh) 农林atcsp物联网虫情信息自动采集系统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CN114568407A (zh) 一种利用灯光诱杀形成光波屏障的白蚁防治方法
KR102347919B1 (ko)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US11490609B2 (en)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CN111838098A (zh) 一种测报灯
KR102328364B1 (ko)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CN208191742U (zh) 一种畜牧业饲养棚
CN216775876U (zh) 一种蚊虫监测设备
KR102386230B1 (ko) 침수 대비 구조를 갖는 포집장치
CN209171250U (zh) 一种虫诱捕装置
CN111328781A (zh) 一种虫情测报设备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CN208446429U (zh) 一种蚊媒监测仪
CN206686974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夹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