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230A -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Google Patents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7230A KR20210007230A KR1020190083304A KR20190083304A KR20210007230A KR 20210007230 A KR20210007230 A KR 20210007230A KR 1020190083304 A KR1020190083304 A KR 1020190083304A KR 20190083304 A KR20190083304 A KR 20190083304A KR 20210007230 A KR20210007230 A KR 202100072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sts
- air
- body case
- suction means
- ins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케이스와, 흡입수단 및 적층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흡입수단은 팬날개 없이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여 상기 적층통으로 배출하여 상기 해충들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충을 유도하여 포집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이 좋아하는 색상의 빛이 발산되어 자동으로 해충이 유도됨과 더불어 흡입될 때 팬날개를 사용하지 않아 걸림없이 원활하게 적층통에 포집되면서 외부로 탈출 못하고 적층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단말기로 확인이 가능하며, 주위 환경에 맞춰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 파리, 하루살이, 소나무 해충, 나방, 하루살이, 멸구, 이화명충 등과 같이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주는 곤충을 해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수많은 해충들은 번식력이 높고, 사람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도심 주변의 가로수, 녹음이 우거진 유원지, 과수원, 동물 사육장, 농원, 산림욕장 등에서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충들을 박멸하기 위해서는 살충제와 같은 화학 약품을 분사하거나, 모기향과 같은 특정 물질을 연소하는 연기 등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해충 박멸 방법은 실내 공간과 같이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사용된 한정된 공간에서의 해충을 잡을 수 있지만 개방된 공간이기에 움직이는 해충을 모두 박멸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도등의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면서 해충을 포충망에 포집하는 포충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충장치에 대하여는 등록특허 제10-1270820호, 등록특허 제10-069136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0828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02319호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포충장치는 유도등으로 케이스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고, 팬날개의 회전에 의해 유인된 해충은 포충망에 유입되면서 포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 따른 포충장치는 상기 포충망에 유입되는 해충이 흡입되는 통로에 상기 팬날개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팬날개가 포충망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포집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상기 팬날개에 해충과 이물질 등이 붙어서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들에 따른 포충장치는 팬날개가 구동되지 않을 때 포충망에 포집된 살아있는 해충은 역류하여 다시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에 따른 포충장치는 사용자가 청소를 위한 구성들의 오염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왕래하면서 확인해야 하며, 사용자가 작동 수시로 조작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작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해충이 유도됨과 더불어 흡입될 때 팬날개를 사용하지 않아 걸림없이 원활하게 적층통에 포집되면서 외부로 탈출 못하고 적층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단말기로 확인이 가능하며, 주위 환경에 맞춰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와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창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해충의 유도를 위한 유도등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 및 해충을 흡입함과 더불어 하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수단으로부터 유입된 해충이 쌓이는 적층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수단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체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해충이 하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링(ring) 형상의 송풍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체는, 외면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는 주변 상황을 감시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정보는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체의 외부에는, 상기 구동체의 외부에 접근하는 해충 또는 붙은 해충을 제거하는 제거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본체케이스 내에 유인된 해충이 팬날개가 사용되지 않는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해충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적층통에 포집됨으로써 높은 효율을 가지는 흡입 작용을 이룰 수 있으며, 팬날개에 해충이 붙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번거로운 청소가 필요 없어 관리가 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태양열 에너지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태양광이 제공되는 환경이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주변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로 감시할 수 있으며,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본체케이스 내부로 유인된 해충이 적층통에 유입될 때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통발 구조의 안내망을 거치게 됨에 따라, 적층통에 유입된 해충은 다시 거슬러 나오지 못하고 상기 적층통에 쌓여 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엔진부의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수단으로 유입될 때, 구동체에 설치된 제거팬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체 표면에 다가오는 해충들을 제거할 수 있어 상기 구동체의 흡입구가 해충들로 인해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수단으로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적층통 내부에 포집되어 쌓인 해충의 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흡입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서 흡입수단의 송풍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A" 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흡입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서 흡입수단의 송풍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A" 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흡입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서 흡입수단의 송풍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A" 부 확대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크게 본체케이스(100)와, 흡입수단(200)과, 적층통(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흡입수단(200)은 팬날개 없이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에 유인된 해충들을 흡입하여 상기 적층통(300)으로 배출하여 상기 해충들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의 외관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해충과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창(10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창(101)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창(101)이 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외부로 해충 및 공기가 드나들 수 있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판넬(10)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광판넬(1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20)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20)에 축전된 전기 에너지는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서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되며, 후술될 촬영수단(30), 유도등(40), 흡입수단(200) 등의 구동을 위한 전력원이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부에는 주변 상황을 감시하는 촬영수단(30)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촬영수단(3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촬영된 영상은 별도의 메모리(도시는 생략됨)와 통신장비(도시는 생략됨)로 연결되어 처리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 또는 저장된 영상을 확인하여 이상징후 및 포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장비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장비는 상기 촬영수단(30)으로부터 촬영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 또는 별도의 서버(도시는 생략됨)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장비는 촬영 정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서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30)은 주변의 환경을 촬영하면서 사람 또는 동물 등을 인식하여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근접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30)에는 조도센서 등과 같은 감지장치(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될 수 있어, 주변 상황을 촬영과 더불어 환경을 감지함으로써 작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해충들을 유도하는 유도등(40)이 설치된다. 이러한 유도등(40)은 빛이 발산되는 등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로 해충이 들어올 수 있게 유인하며, 상기한 배터리(20)의 전원을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등(40)은 해충이 선호하는 보라색 파장의 빛이 발산되는 자외선 LED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유도등(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라색 이외의 파란색 등 해충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등(4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주변의 해충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며, LED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2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사용하면서도 밝은 빛을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페로몬부(50)가 구비된다. 상기 페로몬부(50)는 해충의 성적 유인물인 페로몬이 방출되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 주변의 해충을 유인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를 지지하고, 후술될 적층통(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의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수단(200)은 해충의 포집을 위한 흡입력이 발생하는 구성이며,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에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여 후술될 적층통(300)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흡입수단(20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체(210)와, 상기 구동체(210)로부터의 공급된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해충이 하측으로 유입되도록하는 송풍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체(21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외면에는 다수의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압축펌프로 구성된 엔진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부(212)는 구동체(210) 내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면 상기 압축펌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체(210)의 외면에는 상기 구동체(210)의 외면에 근접하는 해충 또는 붙은 해충을 제거하는 제거팬(2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거팬(213)의 회전축은 별도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구동체(210)의 외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엔진부(212)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구동체(210)의 내부로 흡입될 때 상기 제거팬(213)은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거팬(21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체(210)의 외면에 붙거나 근접하는 해충을 떨어뜨릴 수 있어서 상기 흡입구(211)에 해충들로 인해 막히지 않고 공기만 상기 구동체(2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체(220)는 중앙에는 흡입통로(202)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체(2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송풍체(220)의 링을 이루는 단면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송풍통로(221)가 형성되고, 비행기 날개와 동일한 유선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체(22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풍체(220)의 외면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체(220)의 내면에는 상기 송풍통로(221)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송풍체(220)의 내면을 이루는 경사면의 상단부와 상면이 서로 이격된 틈새로 토출공(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체(220)의 내면을 이루는 경사면의 상단부는 상기 송풍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통로(221) 내에 위치한 공기가 상기 토출공(22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때 상기 흡입통로(202)의 중앙측이 아닌 상기 송풍체(220)의 내면측으로 빠른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장부(225)가 송풍통로(2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송풍통로(221)는 구동체(2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이루어져, 상기 구동체(21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체(220)의 송풍통로(221)에 유입되고, 상기 송풍통로(221)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공(222)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수단(200)은 베르누이 법칙을 이용한 통상의 날개없는 선풍기의 원리로, 팬날개 없이 상기 송풍체(2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로 인해 상부의 공기를 흡입과 동시에 하부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송풍체(220)의 구조는 상기 토출공(222)으로 공기가 토출되면서 상기 흡입통로(202)의 하측 방향으로 빠른 송풍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흡입통로(202)의 압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송풍체(220)의 상부측에 있던 공기가 하부측으로 빠르게 유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통(300)은 해충이 포집되는 부위이며, 상부가 상기 송풍체(20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흡입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적층통(300)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개의 배출구(도시는 생략됨)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수단(20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그물망의 구멍 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해충은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집된다.
또한, 상기 적층통(300)은 상기 흡입수단(2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적층통(300)에 포집된 해충이 일정량이 되면 사용자가 상기 적층통(300)의 내부를 비우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적층통(300)의 내부에는 포집된 해충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통신장비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감지센서(301)로부터 감지된 상기 적층통(300) 내에 포집된 해충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통(300) 상측 내부에는 상기 흡입수단(200)으로부터 배출되는 해충을 상기 적층통(300)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망(310)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망(310)은 하부는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통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내망(310)의 하부로 빠져나와 상기 적층통(300) 내부로 들어온 해충은 다시 상부로 거슬러 나오지 못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에 의한 해충이 포집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배터리(20)의 전원 공급으로 유도등(40)이 켜지고, 구동체(210)의 엔진부(212)가 구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주위의 해충은 상기 유도등(40) 근처에 모이게 되면서 본체케이스(100) 내부에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부(212)의 구동으로 상기 구동체(210)의 외부 공기가 송풍체(220)의 송풍통로(221)로 유입되고 토출공(222)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체(220)의 토출공(22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흡입수단(200)을 기준으로 상부의 공기가 하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에 유인된 해충은 주위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수단(200)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흡입수단(200) 하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상기한 해충은 본체케이스(100) 내부에서 송풍체(200)의 흡입통로(202)를 거쳐 상기 흡입수단(200)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체(220)에서의 계속된 송풍 작동으로 상기 흡입수단(200)으로부터 공기의 흐름에 휩쓸려 배출된 해충은 안내망(310)을 거쳐 적층통(300)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적층통(300)에 들어가게 된 해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계속된 송풍 작동으로 흡입수단(200)의 상부 공기가 안내망(310)과 적층통(300) 측으로 불어오고, 상기 안내망(310)이 통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시 상부로 올라갈 수 없게 된다.
결국, 상기 적층통(300)에 갇혀진 해충은 시간이 지나면서 수명을 다하게 되면서 상기 적층통(300)에 쌓이게 되면서 해충의 포충이 이루어진다.
이렇듯,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본체케이스(100) 내에 유인된 해충이 팬날개가 사용되지 않는 흡입수단(200)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해충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적층통(300)에 포집됨으로써 높은 효율을 가지는 흡입 작용을 이룰 수 있으며, 팬날개에 해충이 붙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번거로운 청소가 필요 없어 관리가 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태양열 에너지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태양광이 제공되는 환경이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주변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감시할 수 있으며,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엔진부(212)의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수단(200)으로 유입될 때, 구동체(210)에 설치된 제거팬(213)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체(210) 표면에 다가오는 해충들을 제거할 수 있어 상기 구동체(210)의 흡입구(211)가 해충들로 인해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수단(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는 적층통(300) 내부에 포집되어 쌓인 해충의 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단말기
10. 태양광판넬
20. 배터리 30. 촬영수단
40. 유도등 50. 페로몬부
100. 본체케이스 101. 유입창
110. 지지다리 200. 흡입수단
202. 흡입통로 210. 구동체
211. 흡입구 212. 엔진부
213. 제거팬 220. 송풍체
221. 송풍통로 222. 토출공
225. 연장부 300. 적층통
301. 감지센서 310. 안내망
20. 배터리 30. 촬영수단
40. 유도등 50. 페로몬부
100. 본체케이스 101. 유입창
110. 지지다리 200. 흡입수단
202. 흡입통로 210. 구동체
211. 흡입구 212. 엔진부
213. 제거팬 220. 송풍체
221. 송풍통로 222. 토출공
225. 연장부 300. 적층통
301. 감지센서 310. 안내망
Claims (5)
-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와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창(10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빛이 발산되면서 상기 해충의 유도를 위한 유도등(40)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 및 해충을 흡입함과 더불어 하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수단(200)과;
상기 흡입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수단(200)으로부터 유입된 해충이 쌓이는 적층통(300);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수단(200)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구동체(210)와;
상기 구동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체(21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해충이 하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링(ring) 형상의 송풍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체(220)는,
외면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면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2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부에는 주변 상황을 감시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수단(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30)으로부터 촬영된 정보는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210)의 외부에는,
상기 구동체(210)의 외부에 접근하는 해충 또는 붙은 해충을 제거하는 제거팬(2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04A KR20210007230A (ko) | 2019-07-10 | 2019-07-10 |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04A KR20210007230A (ko) | 2019-07-10 | 2019-07-10 |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230A true KR20210007230A (ko) | 2021-01-20 |
Family
ID=7430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3304A KR20210007230A (ko) | 2019-07-10 | 2019-07-10 |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723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00331A (zh) * | 2022-09-15 | 2022-12-23 | 河北省农林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点蜂缘蝽的害虫诱集装置及控制方法 |
KR102679186B1 (ko) * | 2023-09-14 | 2024-06-27 | 주식회사 영풍위생방역 | 해충 포집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2319Y1 (ko) | 2005-07-08 | 2005-11-29 | 김욱 | 흡입식 포충기 |
KR200408283Y1 (ko) | 2005-09-28 | 2006-02-08 | 임낙모 | 포충장치 |
KR100691360B1 (ko) | 2005-03-18 | 2007-03-12 | (주) 파루 | 흡입식 포충기 |
KR101270820B1 (ko) | 2011-06-17 | 2013-06-05 | 박성근 |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
-
2019
- 2019-07-10 KR KR1020190083304A patent/KR202100072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1360B1 (ko) | 2005-03-18 | 2007-03-12 | (주) 파루 | 흡입식 포충기 |
KR200402319Y1 (ko) | 2005-07-08 | 2005-11-29 | 김욱 | 흡입식 포충기 |
KR200408283Y1 (ko) | 2005-09-28 | 2006-02-08 | 임낙모 | 포충장치 |
KR101270820B1 (ko) | 2011-06-17 | 2013-06-05 | 박성근 |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00331A (zh) * | 2022-09-15 | 2022-12-23 | 河北省农林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点蜂缘蝽的害虫诱集装置及控制方法 |
CN115500331B (zh) * | 2022-09-15 | 2023-12-05 | 河北省农林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 一种点蜂缘蝽的害虫诱集装置及控制方法 |
KR102679186B1 (ko) * | 2023-09-14 | 2024-06-27 | 주식회사 영풍위생방역 | 해충 포집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3178B1 (ko) | 흡입식 포충기 | |
KR200396720Y1 (ko) |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 |
US20110030266A1 (en) | Flying insect capture apparatus | |
KR100753435B1 (ko) | 해충 포집장치 | |
KR200425859Y1 (ko) | 해충포획장치 | |
KR101349733B1 (ko) | 해충 포획장치 | |
KR101825680B1 (ko) |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 |
JP3136423U (ja) | 害虫捕獲器 | |
KR100928094B1 (ko) |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 |
US2015017333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Flying Insects | |
JP3141997U (ja) | 害虫捕獲器 | |
CN209898056U (zh) | 一种杀虫灯风扇 | |
KR20180137876A (ko) |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 |
KR20210007230A (ko) |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 |
KR102603570B1 (ko) |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 |
CN102669069A (zh) | 一种光气飞虫诱捕器 | |
KR101270820B1 (ko) |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 |
CN105766850A (zh) | 一种用于养鱼池捕蚊虫的工具 | |
KR102263751B1 (ko) | 포충장치 | |
KR101393105B1 (ko) |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 |
KR20190092546A (ko) | 와류형 곤충 트랩 | |
JPH076778Y2 (ja) |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 |
KR20090009595A (ko) | 해충 포획장치 | |
KR102402878B1 (ko) | 해충 유인포집장치 | |
KR101253467B1 (ko) | 벽면 설치형 포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