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878B1 - 해충 유인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유인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878B1
KR102402878B1 KR1020210071821A KR20210071821A KR102402878B1 KR 102402878 B1 KR102402878 B1 KR 102402878B1 KR 1020210071821 A KR1020210071821 A KR 1020210071821A KR 20210071821 A KR20210071821 A KR 20210071821A KR 102402878 B1 KR102402878 B1 KR 10240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using
shutter
blowing
cap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길
최도영
Original Assignee
(주)다목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목에코텍 filed Critical (주)다목에코텍
Priority to KR102021007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2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automatically res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대한 것으로,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부에 원반형의 테두리가 결합된 갓;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걸이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갓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지지막대; 상광하협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갓의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지지막대에 고정된 통 형상의 송풍하우징; 상기 송풍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모터에 결합된 송풍팬; 상기 송풍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송풍하우징과 포집하우징 사이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유인등; 상기 유인등의 하측에 상기 지지막대에 고정된 통 형상의 포집하우징; 상기 포집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바람이 내려오면 열리고, 바람이 정지되면 닫히도로 구성된 자동셔터; 상기 포집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포집수단; 및 상기 송풍하우징, 포집하우징 또는 지지막대의 측면에 결합되어 제1 모터, 유인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충 유인포집장치{A noxious insect luring and 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붕, 송풍기가 내장된 송풍하우징, 송풍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유인등, 유인등의 하부에 자동셔터가 내장된 포집하우징과 포집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포집수단으로 구성되어 유인등에 유인된 날아다니는 해충이 상부에서 내려온 바람에 의해 송풍팬의 타격을 받지 않고 자동셔터의 하부에 포획되어 해충 사체의 누적으로 인한 동작불능이 방지되고, 포집수단의 외측에 차단막이 구비되어 해충이 들러붙지 않아 원활한 송풍으로 해충을 구제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농, 축, 산림업 등에 해를 주는 여러 가지 작은 동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해충과 야간에 활동하는 야행성 해충이 있고, 주행성 해충은 농작물 갉아먹고 접촉하면 악취를 내는 노린재, 파리, 하루살이 등이 있고, 야행성 해충은 전체 해충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모기, 다양한 벌레의 나방, 풍뎅이 벼멸구 등이 야행성 해충에 포함된다.
이러한 해충들은 농작물이나 동식물에 해를 주고, 배설물 등으로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하는데, 근래에는 기후의 온난화와 환경오염으로 외래종 해충이 출현되고, 해충들의 숫자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해충구제가 사회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살충제를 분사하여 죽이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기타 향을 피워 쫓아내는 방법, 물 웅덩이등의 서식지를 제거하는 방법, 천적을 번식시키는 방법, 포획기를 사용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방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방제법들 중 살충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은 가장 쉬운 방법이나 살충제의 독성으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장기적으로 후유증을 남기는 단점이 있고, 기타의 방법들은 사용범위가 제한적이고 방제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포획기를 사용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방법은 밤에는 해충을 불빛으로, 낮에는 향으로 유인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환경오염이나 비용부담이 적고, 친환경적인 구제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해충포획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25680호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는 원통형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측에 해충을 유인하는 해충유인램프와, 하우징의 하부측에 결합된 원추형상의 2중 채집망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유닛이 구비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포획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유인등의 아래에 송풍팬이 결합되어 송풍팬의 타격으로 죽은 해충의 사체가 송풍팬을 포함한 장치들에 들러붙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포획된 해충의 탈출을 막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인된 해충을 보고 모여든 거미가 포획기에 거미줄을 쳐 해충의 유입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 거미줄을 걷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1424238호의 해충 유인포집장치는 걸이구가 형성되고 저부에 해충유인등이 결합되는 전등갓, 전등갓의 하단에 결합된 원통형의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흡입팬과 모터, 모터의 하부에 결합된 자동개폐수단, 하우징의 하단에 포집수단이 구비된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대한 것이나, 해충유인등의 하부에 흡입팬이 결합되어 해충 유체의 비산이 발생하여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였고, 바람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개폐수단의 회전판 축이 2개로 구성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해 위에서 내려오는 바람을 막아 송풍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568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242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풍팬과 유인등의 위치를 바꾸어 해충 사체의 비산으로 인한 작동불능을 방지하고, 송풍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와류발생을 줄여 미세한 해충까지 유인하여 채집수단까지 바람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하며, 거미줄이 해충포획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해충 포획장치 주변에 해충이 들러붙어 포획장치의 작동을 방해되고, 해충 포획장치 주변의 환경훼손이 방지되도록 하며, 주간에 활동하는 해충들까지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120)가 형성된 수직연장부(115)와 상기 수직연장부(115)의 하부에 원반형의 테두리가 결합된 갓(110); 상기 수직연장부(115)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걸이구(170)가 형성된 뚜껑(150); 상기 갓(110)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지지막대(200); 상광하협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갓(110)의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지지막대(200)에 고정된 통 형상의 송풍하우징(250); 상기 송풍하우징(250)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모터(260)에 결합된 송풍팬(270); 상기 송풍하우징(2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송풍하우징(250)과 포집하우징(400) 사이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유인등(370); 상기 유인등(370)의 하측에 상기 지지막대(200)에 고정된 통 형상의 포집하우징(400);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바람이 내려오면 열리고, 바람이 정지되면 닫히도로 구성된 자동셔터(410);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하부에 결합된 포집수단(530); 및 상기 송풍하우징(250), 포집하우징(400) 또는 지지막대(2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제1 모터(260), 유인등(37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송풍팬이 유인등의 상부에 위치하여 해충이 산채로 유인포집장치로 들어가므로 해충 사체로 인한 작동불능이 방지되고, 송풍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와류발생이 줄어 바람손실과 놀라 도망가는 해충의 수가 줄며, 거미줄에 의한 해충포획 방해가 발생하지 않고, 송풍을 해충 포획장치의 상부 측으로 페로몬 등이 방출되어 넓은 지역의 해충을 유인하며, 해충 포획장치 주변에 해충이 들러붙지 않아 포획장치의 작동이 잘 유지되고, 해충 포획장치 주변의 환경훼손이 방지되며, 주간에 활동하는 해충도 포획할 수 있어 해충구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상부 부분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하우징과 바람가이드 및 유인등의 결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하우징의 결합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셔터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하우징, 포집수단, 차단막의 결합 설명도
도 8은 차단막이 없는 기존 포획기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상부 부분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하우징과 바람가이드 및 유인등의 결합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하우징의 결합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셔터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하우징, 포집수단, 차단막의 결합 설명도이고, 도 8은 차단막이 없는 기존 포획기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야간에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아래에 해충을 포획망으로 흡입하는 흡입팬이 설치되어 해충들이 흡입팬에 충돌한 결과 해충의 사체가 흡입팬과 개폐장치에 누적되고 낮 동안에 사체가 굳어져 밤이 되면 해충포집장치의 작동이 안되는 점을 개선하여 유인등의 상부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해충이 타격없이 포집장치에 바로 유입되도록 하고, 송풍팬에서 생성된 와류를 바람가이드로 바로잡아 바람이 개폐장치로 바로 들어가도록 하였고, 송풍팬과 개폐장치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어져 약한 바람에도 개폐장치가 잘 열리도록 개선하였으며, 해충의 군집을 보고 모여든 거미들이 만든 거미줄을 자동으로 걷도록 하였고, 도 8의 사진과 같이 유인제에 의해 모여든 해충이 해충포획장치 주변과 포집망에 들러붙지 않도록 차단막을 설치하여 유인제와 해충의 냄새가 포획기 상부로 발산하도록 하여 해충 유인효과를 높이고, 해충이 포집망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여 포집망을 통해 바람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인포집장치(100)는 크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갓(110), 송풍하우징(250), 포집하우징(400)과 포집수단(5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상부에는 원반형 삿갓 형태의 테두리 상부에 원통형상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15)가 형성되고 수직연장부(115)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풍구(120)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흡입이 원활해지도록 하며, 수직연장부(115)의 상부에 뚜껑(150)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비가 올때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갓(110)의 하부 양측에는 한쌍의 지지막대(200)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송풍하우징(250)과 포집하우징(400)을 지지한다. 지지막대(200)는 판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강도를 높인 막대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프로파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갓(11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광하협의 통 형상으로 구성된 송풍하우징(250)이 양측 지지막대(200)에 고정된다. 송풍하우징(250)은 볼트나 피스에 의해 지지막대(200)에 고정되며, 갓(110)과 송풍하우징(250)이 이격된 간격은 송풍팬(270)으로 공기의 유입을 위한 것이다.
송풍하우징(250)의 상부에는 납작한 막대 형상의 모터지지대(265)가 볼트나 피스에 의해 결합되고, 모터지지대에 의지해 송풍하우징(250)의 중심부에 제1 모터(260)가 결합되며, 제1 모터(260)의 축에 송풍팬(270)이 결합되어 송풍하우징(250)의 내부에서 바람을 생성한다.
송풍팬(27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와류 형태가 되어 밖으로 퍼져 나가며 해충의 진입을 방해하면서 직진력이 약해지는데, 이런 와류 형태의 바람을 직진형태로 바꾸기 위해 송풍하우징(250)의 하부에 바람가이드(300)가 설치된다.
바람가이드(300)는 4cm 이상의 폭으로 형성된 원통형 바람가이드 테두리와 테두리의 중앙부에 내부통체(330)가 놓이고, 바람가이드 테두리와 내부통체(330) 사이에 복수의 방사상 칸막이(350)가 결합되며, 바람가이드 테두리와 내부통체(330) 사이에 도 4와 같이 중간 테두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바람가이드(300)의 외측 테두리 상부에는 원형 삽입홈이 형성되거나 걸림턱이 형성되어 송풍하우징(250)의 하단이 삽입되고, 볼트나 피스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유인등(370)은 여러가지 전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전력절감을 위해 LED 전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인등(370)은 유인등 커버(390)와 함께 소켓(380)에 결합되고, 소켓이 상기 바람가이드(300)의 내부통체(33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유인등(370)의 하측에는 통형상의 포집하우징(400)이 지지막대(200)에 고정되고, 포집하우징(400)의 내부에는 바람이 상부에서 내려오면 자동으로 열리고, 바람이 정지하면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셔터(410)가 결합된다. 자동셔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셔터테두리(4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셔터축(430)이 결합되고, 반원 형상의 내측 일측에는 연장부(460)가 형성되어 연장부의 안쪽에 형성된 두툼한 곳에 셔터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절삭부(45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쌍의 회전판(440)이 연장부(460)와 절삭부(450)가 서로 맞물리게 셔터축(430)에 삽입되어 양측 회전판(440)이 셔터축(4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판 연장부(460)의 단부에는 무게중심이 연장부측에 미세하게 더 실리도록 회전추(470)가 각각 결합되어 상부에서 바람이 내려오면 셔터판의 넓은 부분이 바람을 받아 아래로 열리고, 바람이 정지하면 연장부(460)측 회전추(470)의 하중으로 연장부(460) 측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셔터테두리(420)의 내측 상부에 환형태로 회전판 걸림턱이 결합되어 바람이 그쳤을 때 셔터판이 90도에서 정지하게 하고 셔터판과 셔터테두리(420) 사이에 빈틈이 없어지도록 한다.
상부에서 내려오는 바람이 연장부(460)측에도 맞아 셔터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셔터축(430)을 가리는 축커버(490)가 셔터테두리(420)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본 발명자가 앞서서 제10-0894397호로 특허등록한 자동개폐장치에서는 축이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로, 한쌍으로 구성되는 형태이고, 두개의 축을 가리는 축커버(490)가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본 발명은 셔터축(430)이 하나로 구성되고, 그에 따라 축커버(490)의 폭이 줄어 바람을 가리는 부분이 그만큼 줄어 더욱 미세한 바람에도 작동되도록 개선되었다.
한편, 셔터축(430)이 한쪽 연장부(460)측에만 삽입되어 균일한 회전동작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절삭부(450)의 외(테두리)측에 둥근막대(480)를 돌출형성시키고 셔터축 삽입공을 형성하여 셔터축(430)이 삽입되도록 하면 셔터판의 회전이 더 원활해질 수 있다.
해충포획기에는 유인제가 설치되어 각종 벌레들이 모여들므로 벌레를 노리는 거미가 올라와 거미줄을 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축커버(490)의 상부에 제2 모터(500)가 결합되고, 제2 모터(500)의 축에 활형태를 가진 거미줄겆이(510)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광센서(850)와 컨트롤러(900)에 의해 어둠이 오기 전에 작동되어 거미줄겆이가 유인등 주변을 몇번씩 회전하여 거미줄을 걷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충 유인포집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러(900)에 연결된 광센서(850)가 더 포함되어 광센서(850)의 조도에 따라 제2 모터(500)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포집하우징(400)의 하부에는 망으로 구성된 포집수단(530)이 고무줄 노끈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포집수단(530)은 깔대기망(540)과 포집망(550)으로 구성되고, 깔대기망(540)은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태로 구성되어 해충이 송풍에 의해 하부에 있는 포집망(550)으로 진입하면 출구가 좁아 탈출이 어렵게 하는 망이고, 포집망(550)은 깔대기망(540)을 에워싸는 깔대기망보다 더 큰 망으로, 포집된 해충을 보관하는 망이다. 포집망(550)에 들어온 해충은 포집망(550)의 내부에 날아다니거나 포집망(550)의 상부에 붙어 있다가 수분공급 부족 등으로 죽으면 포집망(550)의 하부에 쌓이게 된다.
포집망(550)의 하단은 고무줄 등의 끈으로 묶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550)의 하단에 결합된 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개폐판이 축결합되어 축에 결합된 손잡이를 돌리거나, 모터를 결합하여 컨트롤러(900)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회전되게 하여 죽은 해충을 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8의 사진과 같이 해충 포획장치 주변에 해충이 들러붙어 포획장치의 작동이 저지되고, 해충 포획장치 주변의 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집하우징(400)의 외측에 환형태의 판으로 외측에 고리형태의 지지판링(610)이 결합된 차단막지지판(600)이 지지막대(200)나 포집하우징(4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차단막지지판(600)의 내측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지지막대(200)나 포집하우징(400)의 측면에 볼트, 피스 등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차단막지지판의 일정 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불투명하고 방수천 재질로 바닥이 막힌 통형상의 차단막(650)이 설치된다. 차단막(650)을 차단막지지판(600)의 하부에 매달기 위해 차단막(650)의 상단에도 고리형 차단막링(670)을 결합하여, 노끈이나 고리, 성긴 그물망 등의 연결수단으로 지지판링(610)과 차단막링(67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송풍기의 바람이 유출될 수 있는 형태로 연결한다.
차단막(650)이 부착되면, 송풍팬(27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바람가이드(300)에 의해 와류가 직류로 바뀌어 유인등(370) 주변의 해충과 함께 자동셔터(410)를 통해 망으로 구성된 깔대기망(540)과 포집망(550)으로 들어가고, 깔대기망과 포집망 외측에 설치된 차단막(650)에 의해 측면과 하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부로 진행하다가 차단막지지판과 차단막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로써 외부의 해충이 해충 유인포집장치에 들러붙지 않게 되어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해지고, 유출된 공기는 널리 확산되어 더 널리 많은 해충을 불러 모으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비바람이 불때에는 차단막의 하부가 폭이 넓은 천으로 이루어져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내부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차단막의 하단 주변에 복수의 줄이나 고리형태로 된 고정수단이 더 결합되어 삼발이의 다리나 지면에 박은 막대 등에 고정될 수 있고, 차단막 내부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닥의 중심부에 호스를 연결하여 삼발이 다리에 묶거나 지면에 박은 막대에 묶어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간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차단막지지판(600)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삽입공이 형성되고, 지지판삽입공의 상부에는 바닥에 바닥판삽입공(720)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태의 유인제상자(700)가 설치된다. 유인제상자(700)의 내부에는 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내측콘(750)이 바닥판삽입공(7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차단막지지판(600)의 지지판삽입공에도 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출입공이 형성된 하부콘(77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며, 유인제상자(700)의 전면에는 착탈방식이나 힌지 방식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800)가 결합되고, 유인제상자(700)의 내부에는 페로몬 등의 유인제가 접시 등의 용기에 담겨 보관되면서 유인제 향을 차단막지지판(600)과 차단막(6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여 주간에 활동하는 해충을 모으게 된다.
주간에 활동하는 해충의 주된 대상은 노린재이고, 주간 해충은 유인향을 따라 차단막지지판(600)과 차단막(6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진입하여 하부콘(770)에 앉아 출입공으로 들어가 내부콘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유인제상자(700)의 내부로 들어가 갖히게 되며, 유인제상자(700)에 들어간 해충은 내부콘의 출입구가 작아 탈출하지 못하고, 유인제상자(700)의 내부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얼마 못가 죽게 된다.
본발명의 해충 유인포집장치는 뚜껑에 형성된 걸이구를 이용해 나무, 기둥 등에 걸어두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발이를 이용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해충을 산채로 포획하여 해충 사체로 인한 작동불능이 방지되고, 송풍팬(27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와류발생이 줄어 바람손실이 없이 해충을 안정적으로 포획하며, 송풍을 해충 포획장치의 상부 측으로 방출하여 넓은 지역의 해충을 유인하면서, 해충 포획장치 주변에 해충이 들러붙지 않아 포획장치의 효율성이 유지되면서도 포획장치 주변의 환경훼손이 방지되며, 주간 해충도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해충 유인포집장치 110 : 갓
115 : 수직연장부 120 : 통풍구
150 : 뚜껑 170 : 걸이구
200 : 지지막대 250 : 송풍하우징
260 : 제1 모터 270 : 송풍팬
300 : 바람가이드 320 : 바람가이드 테두리
330 : 내부통체 350 : 칸막이
370 : 유인등 380 : 소켓
400 : 포집하우징 410 : 자동셔터
420 : 셔터테두리 430 : 셔터축
440 : 회전판 450 : 절삭부
460 : 연장부 470 : 회전추
480 : 둥근막대 490 : 축커버
500 : 제2 모터 510 : 거미줄겆이
530 : 포집수단 540 : 깔대기망
550 : 포집망 600 : 차단막지지판
610 : 지지판링 650 : 차단막
670 : 차단막링 700 : 유인제상자
720 : 바닥판삽입공 750 : 내측콘
770 : 하부콘 850 : 광센서
900 : 컨트롤러

Claims (8)

  1.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120)가 형성된 수직연장부(115)와 상기 수직연장부(115)의 하부에 원반형의 테두리가 결합된 갓(110);
    상기 수직연장부(115)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걸이구(170)가 형성된 원반형 뚜껑(150);
    상기 갓(110)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지지막대(200);
    상광하협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갓(110)의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지지막대(200)에 고정된 통 형상의 송풍하우징(250);
    상기 송풍하우징(250)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모터(260)의 축에 결합된 송풍팬(270);
    상기 송풍하우징(2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송풍하우징(250)과 포집하우징(400) 사이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유인등(370);
    상기 유인등(370)의 하측에 상기 지지막대(200)에 고정된 통 형상의 포집하우징(400);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바람이 내려오면 열리고, 바람이 정지되면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셔터(410);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하부에 결합된 포집수단(530); 및
    상기 송풍하우징(250), 포집하우징(400) 또는 지지막대(2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제1 모터(260), 유인등(37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자동셔터(410)의 축커버(490) 상부에 결합된 제2 모터(500);
    상기 제2 모터(500)의 축에 결합된 활형태를 가진 거미줄겆이(510); 및
    상기 컨트롤러(900)에 연결된 광센서(850);가 더 포함되어 광센서(850)의 조도에 따라 제2 모터(500)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하우징(25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통형 바람가이드 테두리(320);
    상기 바람가이드 테두리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부통체(330);
    상기 바람가이드 테두리와 내부통체(330) 사이에 결합되어 와류를 차단하는 복수의 칸막이(350);가 포함된 바람가이드(3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유인등(370)의 소켓이 상기 내부통체(33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셔터(4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셔터테두리(420);
    상기 셔터테두리(4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셔터축(430);
    반원 형상의 내측 일측에는 연장부(460)가 형성되어 안쪽에 셔터축(430) 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삭부(450)가 형성되어 연장부(460)와 절삭부(450)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 한 쌍의 회전판(440);
    상기 회전판(440)의 연장부(460)의 단부측에 각각 결합된 회전추(470);
    상기 셔터테두리(420)의 상부에 셔터축(430)을 가리도록 설치된 축커버(490); 및
    상기 셔터테두리(420)의 내측 상부에 환형태로 결합된 회전판 걸림턱;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440)의 절삭부(450)의 외측에 셔터축 삽입공이 구비된 둥근막대(480)가 돌출형성되어 셔터축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수단(530)은,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하부에 결합된 깔대기망(540);
    상기 깔대기망(540)의 외측을 가리도록 설치된 포집망(550);
    상기 포집망(550) 하단 개구부에 결합된 개폐수단(570)이 더 포함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하우징(400)의 외측에 환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진 차단막지지판(600);
    상기 차단막지지판(600)의 외측에 결합된 지지판링(610);
    상기 차단막(650)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된 바닥이 막힌 통 형태의 차단막(650);
    상기 차단막(650)의 상단에 결합된 차단막링(670); 및
    상기 지지판링(610)과 차단막링(670)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지지판(600)의 상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고, 바닥판에 바닥판삽입공(720)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태의 유인제상자(700);
    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삽입공(720)에 삽입되는 내측콘(750);
    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출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지지판(600)의 바닥판삽입공(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지지판삽입공에 삽입되고, 측면에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된 하부콘(770); 및
    상기 유인제상자(7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20210071821A 2021-06-02 2021-06-02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240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21A KR102402878B1 (ko) 2021-06-02 2021-06-02 해충 유인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21A KR102402878B1 (ko) 2021-06-02 2021-06-02 해충 유인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878B1 true KR102402878B1 (ko) 2022-05-31

Family

ID=8178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821A KR102402878B1 (ko) 2021-06-02 2021-06-02 해충 유인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3638A (zh) * 2022-10-20 2022-12-02 遵义市林业科学研究所 一种林业害虫防治装置及其防治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42Y1 (ko) * 2005-03-18 2005-06-16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100894397B1 (ko) * 2008-07-15 2009-04-20 이준길 풍력과 무게중심을 이용한 자동개폐장치
KR100945366B1 (ko) *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140011491A (ko) * 2012-06-04 2014-01-29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825680B1 (ko)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80042654A (ko) * 2016-10-18 2018-04-26 히트러너 주식회사 해충 퇴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42Y1 (ko) * 2005-03-18 2005-06-16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100894397B1 (ko) * 2008-07-15 2009-04-20 이준길 풍력과 무게중심을 이용한 자동개폐장치
KR100945366B1 (ko) *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140011491A (ko) * 2012-06-04 2014-01-29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424238B1 (ko)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825680B1 (ko)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80042654A (ko) * 2016-10-18 2018-04-26 히트러너 주식회사 해충 퇴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3638A (zh) * 2022-10-20 2022-12-02 遵义市林业科学研究所 一种林业害虫防治装置及其防治方法
CN115413638B (zh) * 2022-10-20 2023-09-15 遵义市林业科学研究所 一种林业害虫防治装置及其防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US20060218851A1 (en) Insect trap device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KR101232956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CN210382337U (zh) 一种智能昆虫诱捕器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101388088B1 (ko) 해충 포획장치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KR100632278B1 (ko) 포충기
CN114532309B (zh) 一种用于林果防虫害的灭虫装置
WO2000059300A1 (en) Insect trap
CA2073163A1 (en) Original winnipeg or canadian backyard mosquito trap
KR10215363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해충포획장치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50017606A (ko) 곤충트랩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