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54A - 해충 퇴치기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54A
KR20180042654A KR1020160135119A KR20160135119A KR20180042654A KR 20180042654 A KR20180042654 A KR 20180042654A KR 1020160135119 A KR1020160135119 A KR 1020160135119A KR 20160135119 A KR20160135119 A KR 20160135119A KR 20180042654 A KR20180042654 A KR 20180042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upper housing
opening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309B1 (ko
Inventor
박경식
김진환
Original Assignee
히트러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트러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트러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3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개구와,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하측개구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충 퇴치기{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본 발명은 빛 또는 유인 물질로 유인된 해충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하여 퇴치하는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은 숙주동물의 체취, 열기,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빛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을 인가하여 퇴치하는 물리적 방제법, 연기 또는 향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물 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빛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유인된 해충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하여 커터날 등으로 퇴치하는 방제법 등이 있다.
다만, 야외에서는 물리적 방제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퇴치하기 위해서는 빛 주변으로 모여든 해충이 포집통 내측으로 포집되어야 한다. 이 때, 해충은 포집통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강제적으로 빨려 들어간다. 그러나, 종래 방식은 공기의 흐름 즉, 기류가 약하고,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되는 등의 이유로 유인된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6496호 (2004.03.2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85009호 (2007.02.1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0302호 (2016.02.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961호 (2015.08.1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격 배치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갖는 해충 퇴치기 구조에서, 상부하우징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하부하우징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충 포집에 최대한 유리할 수 있는 해충 퇴치기의 형상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개구와,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하측개구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한다.
상기 간격은 상기 하측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상측연통개구로 모두 유입되는 이격 거리이다.
상기 상측연통개구는 상기 하측개구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상측연통개구의 중심은 상기 하측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한다.
상기 커터블레이드는 상기 송풍팬의 각 블레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휘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부재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유인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는 상부하우징에서 발생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하부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해충을 포집함에 효과적이다. 송풍팬과 커터블레이드를 동일 구동축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여 요구되는 전기모터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송풍팬과 커터블레이드의 각 날개 면의 형상을 일치시켜 공기의 흐름 방향을 더 강화시키고 그에 따라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이격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 내부에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와류 방향과 일치하는 공기가이드부재를 배치하여 상부하우징의 하측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 내부에 보강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하부하우징의 상측연통개구가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투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공기가이드부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하부하우징 내부를 내려다 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충 퇴치기는 상부하우징(10), 송풍팬(20), 하부하우징(30), 커터블레이드(40), 공기가이드부재(50), 유인발광부(60), 루프캡(70), 보강플레이트(80), 포집통(90) 등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0)은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때, 공기는 상측개구(14)로 유입되어 하측개구(16)로 토출된다. 상부하우징(1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공기유입홀(12)은 상부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모양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상부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더 증가할 수 있다.
공기유입홀(12)은 1) 하측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2) 상부하우징(10)에 바로 인접하는 외부 공간에 형성되는 기압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부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총량이 적으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작아 하측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홀(12)은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하측개구(16)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쭉 뻗어 나갈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부하우징(10)의 하단 내측면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50)가 배치된다. 공기가이드부재(50)는 송풍팬(20)에 의해 상부하우징(10)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유동하는 공기에 대해 그 회전력을 증가시키면서 하측개구(16) 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그 결과, 하측개구(1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마치 회오리 바람과 같이 강한 회전력을 갖고 토출될 수 있다. 즉, 공기가이드부재(50) 역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공기가이드부재(50)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이드부재(50)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가이드부재(50)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공기가이드부재(50)의 반경은 상부하우징(10)의 반경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공기가이드부재(50)는 상부하우징(10)의 하단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공기가이드부재(5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일단이 상부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팬(20)은 상부하우징(10)의 상측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개구(16)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송풍팬(20)은 그 구동축이 상부하우징(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송풍팬(20)은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25)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송풍팬(20)의 각 블레이드는 복수 개가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송풍팬(2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휘어진다. 송풍팬(20)이 작동되면 상측개구(14)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하측개구(16)로 토출된다. 한편, 전기모터(25)는 브라켓 등에 의해 상부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하부하우징(30) 내부를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하우징(30)은 상부하우징(10)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하부하우징(30)에는 상부하우징(10)의 하측개구(16)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34)가 형성된다. 하부하우징(30) 역시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하측에도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하우징(10)의 하측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하부하우징(30)으로 전부 유입된다. 이렇게 일정 속도를 갖는 기류에 의해 하측개구(16)와 상측연통개구(34) 사이 빈 공간으로 접근하는 해충은 기류에 휩쓸려 하부하우징(30) 내부에 포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연통개구(34)의 단면적은 하측개구(16)의 단면적보다 큰데 이는 하측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 속도에 따라 방사 방향으로 분산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전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측연통개구(34)의 중심은 하측개구(16)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하우징(30)의 상단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80)가 배치된다. 이는, 상측연통개구(34)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플레이트(80)는 예를 들어, 십자 모양, 격자 모양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30) 내부에는 커터블레이드(40)가 배치된다.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송풍팬(20)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20)의 구동축은 하부하우징(30) 내부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 결과,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별개의 구동축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팬(20)과 커터블레이드(40)가 동일 구동축에 형성되어 함께 회동하게 되면, 커터블레이드(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모터가 불필요하여 요청되는 전기모터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각 블레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휘어진다. 구체적으로, 커터블레이드(40)는 복수 개가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송풍팬(20)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진다. 이는 상측연통개구(34)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 유동 방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그 결과, 하부하우징(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하는 커터블레이드(40)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휩쓸려 하부하우징(30) 내부로 포집되는 해충을 분쇄하여 퇴치한다. 다만, 하부하우징(30)의 하단이 전술한 것처럼 개구된 경우 퇴치된 해충은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해충 퇴치기가 설치된 장소 주변이 퇴치된 해충의 사체로 인해 더렵혀져 주변 미관을 훼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하우징(30)의 하단에는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일부 덮을 수 있는 포집통(9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여전히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포집통(90)은 해충의 사체를 수거할 수 있어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따라 동반되는 주변 청소의 실시 주기를 늘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하부하우징(30)의 하단에는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덮을 수 있는 포집망이 설치될 수 있다. 포집망 역시 해충의 사체를 수거할 수 있어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따라 동반되는 주변 청소의 실시 주기를 늘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30) 사이에는 유인발광부(60)가 배치된다. 유인발광부(60)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특정 파장을 갖는 빛을 방사한다. 유인발광부(60)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LED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인발광부(60)를 설치하기 위해 해충퇴치기에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30)의 각 외주면에 체결되어 양 측을 연결시키는 봉, 막대, 플레이트 등의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유인발광부(6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결부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10)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루프캡(70)은 상부하우징(10) 상단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설치된다.
루프캡(70)은 예를 들어, 우천시 상부하우징(1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루프캡(70)은 상부하우징(10) 내부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모터(25)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상부하우징 20: 송풍팬
30: 하부하우징 40: 커터블레이드
50: 공기가이드부재 60: 유인발광부
12: 공기유입홀 70: 루프캡
80: 보강플레이트 25: 전기모터
14: 상측개구 16: 하측개구
34: 상측연통개구 90: 포집통

Claims (10)

  1.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개구와,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하측개구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상기 하측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상측연통개구로 모두 유입되는 이격 거리인 해충 퇴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통개구는 상기 하측개구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상측연통개구의 중심은 상기 하측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하는 해충 퇴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블레이드는 상기 송풍팬의 각 블레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휘어지는 해충 퇴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가 배치되는 해충 퇴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이드부재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해충 퇴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유인발광부;가 배치되는 해충 퇴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는 해충 퇴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이 더 형성되는 해충 퇴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배치되는 해충 퇴치기.
KR1020160135119A 2016-10-18 2016-10-18 해충 퇴치기 KR10189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19A KR101890309B1 (ko) 2016-10-18 2016-10-18 해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19A KR101890309B1 (ko) 2016-10-18 2016-10-18 해충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54A true KR20180042654A (ko) 2018-04-26
KR101890309B1 KR101890309B1 (ko) 2018-08-24

Family

ID=620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19A KR101890309B1 (ko) 2016-10-18 2016-10-18 해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168A (zh) * 2019-11-22 2020-03-06 深圳市壹闻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高效型灭蚊灯
KR102402878B1 (ko) * 2021-06-02 2022-05-31 (주)다목에코텍 해충 유인포집장치
CN115024292A (zh) * 2022-07-19 2022-09-09 临沂市森林湿地保护中心 一种林业虫害监测以及害虫自动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76U (ko) 2022-03-18 2023-09-26 안흥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 해충 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542B2 (ja) * 1998-01-28 2001-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参照電圧発生回路
KR200394218Y1 (ko) * 2005-06-07 2005-09-01 박상영 해충 박멸기
KR101339882B1 (ko) * 2011-11-28 2013-12-10 주식회사 이레그린 포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168A (zh) * 2019-11-22 2020-03-06 深圳市壹闻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高效型灭蚊灯
KR102402878B1 (ko) * 2021-06-02 2022-05-31 (주)다목에코텍 해충 유인포집장치
CN115024292A (zh) * 2022-07-19 2022-09-09 临沂市森林湿地保护中心 一种林业虫害监测以及害虫自动收集装置
CN115024292B (zh) * 2022-07-19 2023-12-29 临沂市森林湿地保护中心 一种林业虫害监测以及害虫自动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309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309B1 (ko) 해충 퇴치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CN108488090B (zh) 送风机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JP2020051657A (ja) 換気装置
KR20090052618A (ko) 해충 포집장치
KR100685009B1 (ko) 해충 퇴치기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JP2021016386A (ja) 捕虫装置
KR100753758B1 (ko) 해충 퇴치기
CN105941368A (zh) 一种捕虫盒以及具备该捕虫盒的捕虫机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N212035589U (zh) 一种飞虫诱捕装置
KR101253467B1 (ko) 벽면 설치형 포충기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10019061A (ko) 곤충퇴치기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CN108244074B (zh) 旋风式捕虫器
KR20050090276A (ko) 해충 포집장치
WO20161261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кровососущих насекомых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