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882B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882B1
KR101339882B1 KR1020110125043A KR20110125043A KR101339882B1 KR 101339882 B1 KR101339882 B1 KR 101339882B1 KR 1020110125043 A KR1020110125043 A KR 1020110125043A KR 20110125043 A KR20110125043 A KR 20110125043A KR 101339882 B1 KR101339882 B1 KR 10133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ght source
suction
sourc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992A (ko
Inventor
강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그린
Priority to KR102011012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8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팬을 이용하여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제1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하우징과; 해충이 흡입되게 제2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광원부와; 상기 투명창으로 광이 조사되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로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1 흡입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흡입구로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과 상기 제1 흡입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방으로 이동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2 흡입유닛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유인 및 흡입하고, 흡입된 해충을 컷터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2개의 램프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한 후 팬을 이용하여 흡입하고, 컷터를 이용하여 흡인된 해충을 분쇄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으로 환경이 변화하면서 계절적 영향 및 환경적 영향에 의해 발생 된 해충으로 인하여 농작물, 가축의 피해 및 해충으로부터 발생되거나 전염되는 병원균에 의한 질병(말라리아, 뎅기열, 일본뇌염 등) 등 해충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감소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국민이 인식함에 따라, 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 다양한 방제법이 현재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살충제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적인 오염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방제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으로 등록특허 제10-1012084호(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인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2)은 가로등 몸체(3), 필터(4), 모터팬(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로등 몸체(3)는 통공부(6)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등록특허인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2)은 가로등에 의하여 통공부(6)로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여 상기 필터에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2)은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만을 조사하기 때문에 상기 광에 의해서 유인된 해충만을 유인할 수 있으며, 가로등(2)의 비가동시 살아있는 해충이 통공부(6)를 통하여 탈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램프 간의 광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램프가 배치되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램프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흡입되도록 각각의 램프에 대응하여 각각 흡입구가 형성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팬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팬이 배치되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팬에 의하여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는 컷터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 제1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하우징과; 해충이 흡입되게 제2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광원부와; 상기 투명창으로 광이 조사되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로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1 흡입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흡입구로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과 상기 제1 흡입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방으로 이동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2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포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원통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단에 설치되며, 직경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호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제1 흡입유닛과 상기 제2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는 컷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컷터 사이의 틈새로 해충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컷터의 상부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유출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안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제1 광원부, 상기 제2 광원부, 상기 제1 흡입 유닛, 상기 제2 흡입 유닛 및 상기 커터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제1 흡입 유닛과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수직단면이 상광하협의 형상인 공기 흐름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투명한 다공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서로 다른 파장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술된 제1 흡입유닛과 제2 흡입유닛에 의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제1 흡입유닛과 제2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해충을 컷터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은 호퍼부를 구비하여 제1 흡입유닛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제2 흡입구로 해충을 흡입하는 공기의 흐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필터 또는 포집부 없이 유입되는 해충을 분쇄하기 때문에 필터 등의 교환의 번거로움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에만 구동할 수 있으며, 또한 지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기둥에 설치 및 설치해제가 가능하고, 컴팩트하게 소형화할 수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필터가 구비된 포충용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투명창(300), 제1 광원부(400), 제2 광원부(500), 제1 흡입 유닛(600), 제2 흡입 유닛(700) 및 컷터(9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반사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800)은 제1 이격부재(17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1 하우징(100)과 반사판(800) 사이에는 제1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흡입구(110)로는 제1 광원부(4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제1 흡입 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다.
여기서, 반사판(800)은 제1 광원부(40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조사되는 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흡입구(110)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게 하여 해충의 유인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200)은 해충이 흡입되게 제2 흡입구(210)가 형성되도록 제1 하우징(100)의 하부에 제2 이격부재(270)에 의하여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구동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광원부(400)의 광은 제1 흡입구(110)를 향하여 조사되고, 제2 광원부(500)의 광은 제2 흡입구(210)를 향하여 조사되어 각각의 제1 광원부(400)와 제2 광원부(500)에 의하여 해충은 유인된다.
종래의 포충기의 경우 하나의 광원이 설치되어 하나의 광원에 의해 유인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광원에 의하여 유인되는 해충과는 다른 종류의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원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문제로 발생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의 제1 광원부(400) 및 제2 광원부(500)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다양한 해충을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의 제1 광원부(400) 및 제2 광원부(500)는 LED램프, 자외선 램프 등 다양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광원부(400) 및 제2 광원부(5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충이 좋아하는 300~400㎚ 영역의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해충마다 좋아하는 광의 파장 영역을 달리하는바, 설치되는 위치, 각 지역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적외선 영역, 자외선 영역 또는 가시광선의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다양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흡입유닛(60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의 제1 하우징(110) 내부에 하방의 공기 흐름이 형성되게 하고,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제1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해충은 제1 하우징(110) 내부에서 하방으로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2 흡입유닛(700)을 포함하며, 제2 흡입유닛(700)은 제1 흡입 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하방으로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제2 흡입구(210)를 통하여 해충이 흡입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2 흡입유닛(700)에 설치되는 컷터(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컷터(900)는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제2 흡입구(210)으로 흡입된 해충과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제1 흡입구(110)로 흡입되어 제2 흡입유닛(700) 방향으로 유도된 해충을 분쇄한다.
여기서,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 내부의 공기의 흐름은 하향식으로 유도되게 된다.
또한,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의 하방으로 형성된 흡입력 외에도 해충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하여, 흡입된 해충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흡입된 해충이 중력과 하방으로 형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컷터(900)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원통형의 제1 하우징(100)은 상부와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즉,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2 하우징(200)은 해충이 흡입되게 제2 흡입구(210)가 형성되도록 제1 하우징(100)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하우징(200)은 상부와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즉,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각각은 원통인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로 연통 된 삼각기둥, 사각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창(300)은 제1 하우징(100)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 된 제2 흡입구(21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투명창(300)이 제1 하우징(100)의 하부 끝단에 설치됨으로써, 제2 하우징(200)과 투명창(300) 사이에 제2 흡입구(210)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2 하우징(200)은 베이스부(220)와 호퍼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20)는 상하로 연통 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호퍼부(230)는 베이스부(220)의 상단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230)는 깔때기 모양으로 수직단면이 상광하협 형상이나 상하부 단면의 단면폭에 차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퍼부(230)의 상부 끝단의 직경은 제1 하우징(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입구(210)로 제2 광원부(5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의 간섭없이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흡입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0)과 투명창(300) 내부로는 하방의 공기 흐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 흐름은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촉진되어 컷터(900)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형성된 하방의 공기 흐름은 제2 광원부(500)에 의하여 유인되어 제2 흡입구(210)로 흡입되는 해충이 흡입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제2 하우징(200)은 상부 끝단의 직경이 제1 하우징(100)의 직경보다 큰 호퍼부(230)를 포함하여,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형성된 하방의 공기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흡입구(210)로 해충을 흡입되게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230)에 의하여 투명창(3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해충을 흡입되게 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형성된 하방의 공기 흐름에 유입되게 되며, 상기 호퍼부(230)의 깔때기 모양의 형상에 의해 제2 흡입구(210)의 외부로 해충이 튕겨나감 없이 제2 흡입구(210)로 해충이 흡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1 광원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의 상부의 개구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게, 제1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1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광원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300)으로 광이 조사되게 제1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브라켓(130)에 설치된다.
제1 흡입유닛(600)은 제1 광원부(400)와 제2 광원부(5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흡입구(110)로 제1 광원부(4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흡입유닛(600)은 제1 모터(610)과 제1 모터(610)에 축결합을 하는 제1 팬(6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흡입유닛(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의 제1 광원부(4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제1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이 생성되게 제1 광원부(4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광원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1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3 브라켓(140)에 설치된다.
제2 흡입유닛(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흡입구(210)로 제2 광원부(5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과 제1 흡입 유닛(60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0)의 내측 하방으로 이동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2 흡입유닛(700)은 제2 모터(710)과 제2 모터(710)에 축결합을 하는 제2 팬(7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흡입유닛(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의 제1 광원부(4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제2 하우징(200)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되게 제2 광원부(500)의 하부 즉, 제2 광원부(5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 하우징(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4 브라켓(24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20, 130, 140, 240)은 제1 하우징(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1 광원부(400), 제2 광원부(500), 제1 흡입유닛(600) 및 제2 흡입유닛(700)을 지지하며, 또한, 상기 브라켓(120, 130, 140, 24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컷터(9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입유닛(7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2 흡입유닛(700)의 제2 모터(710)와 축결합을 한다. 따라서, 컷터(900)는 제2 모터(71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고,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제2 흡입구(210)으로 흡입된 해충과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제1 흡입구(110)로 흡입되어 제2 흡입유닛(700)으로 유도된 해충은 컷터(900)로 유도되어 즉각적으로 분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2 하우징(200)의 베이스부(2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안전망(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망(250)은 컷터(9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2 하우징(200)의 하부측으로 손이나 기타의 물건이 유입되어 컷터(900)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1 하우징(100)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다공보호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보호판(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원판의 형상으로 내부에는 제1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해충이 유입될 수 있게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 특히,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즉, 제1 하우징(100) 내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광원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바람의 영향에 가장 민감하며, 또한 바람에 휩쓸려 날아드는 이물질에 의해 손상 받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공보호판(160)은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제1 광원부(400)를 보호하고, 제1 광원부(400)의 광이 반사판(800)으로 조사되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해충이 제1 하우징(100) 내부로 흡인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1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흡입유닛(600)과 제2 광원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흐름 유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유도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모양으로 수직단면이 상광하협 형상이나 상하부 단면의 단면폭에 차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은 공기 흐름 유도부(150)의 공기 흐름 유도로(151)로 유도되고, 그에 따라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은 제1 하우징(100)의 중심으로 유도되게 된다.
즉, 제1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형성된 제1 하우징(100)의 중심으로 유도된 공기의 흐름은 제2 흡입구(210)로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에 간섭을 하지 않음으로써, 제2 광원부(500)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제2 흡입구(210)로 용이하게 흡입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컷터(900)의 상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링형상의 유출방지 프레임(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방지 프레임(260)은 제2 하우징(200)의 내주면과 컷터(900) 사이의 틈새로 작은 해충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900)의 상부측에 인접하여 제2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유출방지 프레임(260)은 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흡입유닛(700)에 의하여 제2 하우징(2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컷터(900)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제1 광원부(400), 제2 광원부(500), 제1 흡입유닛(600), 제2 흡입유닛(700) 및 커터(900)가 구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제1 광원부(400), 제2 광원부(500), 제1 흡입유닛(600), 제2 흡입유닛(700) 및 커터(900)가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타이머(미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기설정된 시간에만 구동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흡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지주 등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7)에 스틸밴드(8)를 이용하여 결합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 등의 구조물의 기둥 등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지주(7)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사용시 지주(7)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포충기 2 : 포충용 가로등
3 : 가로등 몸체 4 : 필터
5 : 모터팬 6 : 통공부
100 : 제1 하우징 200 : 제2 하우징
300 : 투명창 400 : 제1 광원부
500 : 제2 광원부 600 : 제1 흡입유닛
700 : 제2 흡입유닛 800 : 반사판
900 : 컷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에 제1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하우징과;
    원통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단에 설치되며, 직경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호퍼부를 가지며, 해충이 흡입되게 제2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광원부와;
    상기 투명창으로 광이 조사되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로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1 흡입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흡입구로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하여 유인된 해충과 상기 제1 흡입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 하방으로 이동된 해충이 흡입되게 흡입력을 형성하는 제2 흡입유닛과,
    상기 제1 흡입유닛과 상기 제2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는 컷터와,
    상기 컷터의 상부 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유출방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유닛과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수직단면이 상광하협의 형상인 공기 흐름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는 투명한 다공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KR1020110125043A 2011-11-28 2011-11-28 포충기 KR10133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43A KR101339882B1 (ko) 2011-11-28 2011-11-28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43A KR101339882B1 (ko) 2011-11-28 2011-11-28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992A KR20130058992A (ko) 2013-06-05
KR101339882B1 true KR101339882B1 (ko) 2013-12-10

Family

ID=4885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43A KR101339882B1 (ko) 2011-11-28 2011-11-28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8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0262A (zh) * 2017-01-19 2017-05-24 安徽达尔智能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多功能信号灯
KR101890309B1 (ko) * 2016-10-18 2018-08-24 히트러너 주식회사 해충 퇴치기
KR102328364B1 (ko) 2021-07-21 2021-11-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05B1 (ko) * 2012-09-17 2014-05-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WO2015056824A1 (ko) * 2013-10-18 2015-04-2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170131148A (ko) 2016-05-18 2017-11-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WO2017200314A1 (ko) * 2016-05-18 2017-11-23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KR102386230B1 (ko) * 2021-11-01 2022-04-1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침수 대비 구조를 갖는 포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77B1 (ko) 2005-11-02 2006-10-11 강경종 포충기
KR100685009B1 (ko) * 2006-04-05 2007-02-22 김종헌 해충 퇴치기
KR20090052618A (ko) * 2007-11-21 2009-05-26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KR200453375Y1 (ko) * 2010-09-20 2011-04-29 (주)링크옵틱스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77B1 (ko) 2005-11-02 2006-10-11 강경종 포충기
KR100685009B1 (ko) * 2006-04-05 2007-02-22 김종헌 해충 퇴치기
KR20090052618A (ko) * 2007-11-21 2009-05-26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KR200453375Y1 (ko) * 2010-09-20 2011-04-29 (주)링크옵틱스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309B1 (ko) * 2016-10-18 2018-08-24 히트러너 주식회사 해충 퇴치기
CN106710262A (zh) * 2017-01-19 2017-05-24 安徽达尔智能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多功能信号灯
KR102328364B1 (ko) 2021-07-21 2021-11-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992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82B1 (ko) 포충기
CA2957356C (fr) Appareil et procede pour prendre au piege des insectes volants nuisibles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ES2741436T3 (es) Trampa para insectos que tiene un amortiguador accionado por aire
CN107182967B (zh) 捕虫器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ES2168824T3 (es) Un dispositivo para atrapar insectos voladores.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20180009193A (ko)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20170131250A (ko) 포충기
KR20130041411A (ko) 해충퇴치기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100088948A1 (en) Device for catching phototaxis flying insects
WO2022078507A1 (zh) 灭蚊装置
AU2008243253B2 (en) Insect trap
KR100685009B1 (ko) 해충 퇴치기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CA2773657C (en) Flying insect trap
KR20100122272A (ko) 점착시트가 구비된 빛 유인식 포충기
KR100753758B1 (ko) 해충 퇴치기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WO2008123689A1 (en) Illumination lamp device having insect extermin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