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93A -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 Google Patents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193A
KR20180009193A KR1020160090797A KR20160090797A KR20180009193A KR 20180009193 A KR20180009193 A KR 20180009193A KR 1020160090797 A KR1020160090797 A KR 1020160090797A KR 20160090797 A KR20160090797 A KR 20160090797A KR 20180009193 A KR20180009193 A KR 20180009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rash
insect
collecting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819B1 (ko
Inventor
김평우
Original Assignee
김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우 filed Critical 김평우
Priority to KR102016009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8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물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되 가로등의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향기를 확산시키는 유인수단 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벌레가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벌레를 모아 집진하여 가두는 제1트렙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1트렙수단 하부에 위치되어 죽어 낙하하는 벌레를 내부에 수집하는 수집통과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집통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케이스 외측면에 상기 수집통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문과 상기 유인수단과 제1트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가로등에 설치되어 유인수단으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향기를 통해 벌레(해충)를 케이스 내부로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는 제1트렙수단 및 제2트렙수단을 통해 갇혀 집진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살충되게 함으로 벌레가 살충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악취 및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에 제품이 각각 설치되면 도로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역라인이 형성되어 방역라인을 경계로 벌레의 이동을 저지하여 벌레를 통해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벌레의 살충을 통한 박멸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역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트렙수단을 통해 일정 이상의 벌레가 집진 살충되면 트렙수단의 작동을 중지한 후에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트렙수단에 집진된 벌레를 신속하게 제거(청소)하게 함으로 트렙수단이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인 벌레 방역 및 박멸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Insect trap device is installed street lights}
본 발명은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에 설치되어 유인수단으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향기를 통해 벌레(해충)를 케이스 내부로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는 제1트렙수단 및 제2트렙수단을 통해 갇혀 집진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살충되게 함으로 벌레가 살충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악취 및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에 제품이 각각 설치되면 도로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역라인이 형성되어 방역라인을 경계로 벌레의 이동을 저지하여 벌레를 통해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벌레의 살충을 통한 박멸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역을 수행할 수 있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인류와 함께 공존해오면서 여러 가지 질병과 전염병으로 수많은 사람과 가축의 목숨을 빼앗아 가는 해충이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공해와 지구 온난화로 더욱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받게 되었으며 환경공해에 적응하면서 내성이 생겨 현재까지 해충을 완전히 방제할 뚜렷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가축들에게 유해한 모기 및 파리 등과 같은 해충(날벌레)을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살충용 연기로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과 자외선 불빛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전기로 감전사시키는 방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충 퇴치방법 중 살충제나 살충용 연기 등의 사용은 유독성 화학약품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유해하여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적인 방법은 해충을 고전압으로 감전시킬 때 소각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여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서는 소음공해로 가축을 기르기가 어렵고 연기의 발생으로 악취가 발생하며 해충의 잔해가 외부로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은 개인 가정이나 농장 등의 소규모에 설치되는 방법으로 도시나 국가 단위로 전체의 해충을 박멸하기는 곤란하여 여전히 해충에 사람이나 가축이 각종 질병에 전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로등에 설치되어 유인수단으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향기를 통해 벌레(해충)를 케이스 내부로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는 제1트렙수단 및 제2트렙수단을 통해 갇혀 집진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살충되게 함으로 벌레가 살충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악취 및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에 제품이 각각 설치되면 도로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역라인이 형성되어 방역라인을 경계로 벌레의 이동을 저지하여 벌레를 통해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벌레의 살충을 통한 박멸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역을 수행할 수 있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트렙수단을 통해 일정 이상의 벌레가 집진 살충되면 트렙수단의 작동을 중지한 후에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트렙수단에 집진된 벌레를 신속하게 제거(청소)하게 함으로 트렙수단이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인 벌레 방역 및 박멸을 기대할 수 있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은 사물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가로등의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향기를 확산시키는 유인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벌레가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벌레를 모아 집진하여 가두는 제1트렙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1트렙수단 하부에 위치되어 죽어 낙하하는 벌레를 내부에 수집하는 수집통과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집통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케이스 외측면에 상기 수집통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문 과 상기 유인수단과 제1트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인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멍은 폐쇄망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는 유인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측면에 상기 유인케이스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구멍과 상기 유인케이스 내부 바닥에 위치되며 내부에 벌레 유인제가 수용되는 향기 유발통과 상기 유인케이스 내부에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상기 향기 유발통의 향기가 외부로 멀리 확산되게 유도하는 유인팬과 상기 케이스 외측면에 상기 향기 유발통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인케이스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인팬은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트렙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측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벌레를 하부로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이 형성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 중심에 위치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인램프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유인램프를 감싸 보호하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유리와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호유리를 감싸되 외측에는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트렙통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트렙통을 감싸되 외측에는 상기 제1트렙통에 형성되는 유도구멍과 엇갈리게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2트렙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트렙통은 상기 제1개폐문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가 개방되면 간편히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트렙수단의 트렙통에 진입하지 못한 벌레를 집진하기 위해 상기 수집통에 설치되는 제2트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트렙수단은 상기 수집통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벌레의 원활한 비행을 방해하는 충돌돌기와 상기 충돌돌기 외측면에 도포되어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행하는 벌레가 상기 충돌돌기에 충돌되면 상기 충돌돌기 표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접착되어 벌레가 집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트렙통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트렙통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유도램프의 광원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박스로 전송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살충제를 살포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살충기와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와 상기 무선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측정정보를 수신받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무선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조도 값이 설정된 값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살충기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살충제를 도포시켜 벌레를 강제로 살충하는 동시에 상기 유인수단과 제1트렙수단의 작동을 중시시켜 상기 케이스 내부로 더 이상의 벌레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정보를 상기 무선수신부로 전송하여 외부로 측정정보를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에 의하면 가로등에 설치되어 유인수단으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향기를 통해 벌레(해충)를 케이스 내부로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는 제1트렙수단 및 제2트렙수단을 통해 갇혀 집진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살충되게 함으로 벌레가 살충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악취 및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에 제품이 각각 설치되면 도로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역라인이 형성되어 방역라인을 경계로 벌레의 이동을 저지하여 벌레를 통해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벌레의 살충을 통한 박멸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역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트렙수단을 통해 일정 이상의 벌레가 집진 살충되면 트렙수단의 작동을 중지한 후에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트렙수단에 집진된 벌레를 신속하게 제거(청소)하게 함으로 트렙수단이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인 벌레 방역 및 박멸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100)은 케이스(10)와 유인수단(20)과 유입구(30)와 제1트렙수단(40)과 수집통(50)과 지지대(60)와 제1개폐문(70)과 컨트롤박스(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사물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가로등(1)의 상단에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설치되는 지역의 특산물 형상으로 제작되어 지역의 특산물을 홍보하는 동시에 특정 모양으로 인해 미관상 친근하게 보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삼으로 유명한 금산 지역에 상기 케이스 형상을 인삼으로 형성하여 금산 지역의 특산물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통상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1) 상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별도의 설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로등(1)의 상단에 설치되는 위치로 인해 도난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유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인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향기를 확산시키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구멍(21a)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멍(21a)은 폐쇄망(21b)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는 유인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유인케이스(2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구멍(22)과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 바닥에 위치되며 내부에 벌레 유인제가 수용되는 향기 유발통(23)과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에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멍(21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멍(22)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상기 향기 유발통(23)의 향기가 외부로 멀리 확산되게 유도하는 유인팬(24)과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향기 유발통(23)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문(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인팬(24)이 작동하면 상기 흡입구멍(21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멍(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공기와 함께 상기 향기 유발통(23)에 수용된 향기 유발제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에 존재하는 벌레들을 유인하게 된다 따라서 향기에 유인된 벌레들은 후설될 상기 유입구(30)로 유입되어 후설될 상기 제1트렙수단(40)으로 안내되어 집진된다 여기서 상기 향기 유발통(23)에 수용되는 향기 유발제로는 젖산 암모니아 아세트산 옥테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향기 유발통(23)의 교체가 요구되면 상기 제2개폐문(25)을 통해 상기 유인케이스(24) 내부를 개방하여 상기 향기 유발통(23)을 간편히 교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인팬(24)은 후설될 상기 컨트롤박스(8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3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벌레가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인수단(20)이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30)를 통해 상기 유입케이스(21)로 공급되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인수단(20)의 향기로 상기 케이스(10) 근처로 유인된 벌레는 상기 유입구(3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와 함께 상기 유입구(30)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렙수단(4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벌레를 모아 집진하여 가두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벌레를 하부로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41a)이 형성되는 고정패널(41)과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 중심에 위치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인램프(42)와 상기 고정패널(41)에 고정되어 상기 유인램프(42)를 감싸 보호하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유리(43)와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호유리(43)를 감싸되 외측에는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44a)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트렙통(44)과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트렙통(44)을 감싸되 외측에는 상기 제1트렙통(44)에 형성되는 유도구멍(44a)과 엇갈리게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45a)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2트렙통(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3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벌레는 벌레의 특성상 상기 유인램프(4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에 유인되어 상기 유인램프(42)로 근처로 이송된 후 상기 제2트랩통(45)과 제1트렙통(44)의 유도구멍(45a 44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인램프(42)로 더욱 근접하게 유인된다 이때 상기 제1트렙통(44)으로 유인된 벌레들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상기 유인구멍(44a 45a)의 구조 및 상기 제1트렙통(44)과 제2트렙통(45)의 유도구멍(44a 45a)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바깥쪽으로 탈출(이송)이 곤란하여 상기 트렙통(44 45)에 포집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적으로 죽어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벌레가 상기 유인수단(20)에 유인된 후에 상기 제1트렙수단(40)에 포집되어 죽게 되므로 가로등(1) 주변의 벌레들을 효과적으로 박멸하게 된다 한편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렙통(44,45)은 후설될 상기 제1개폐문(7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가 개방되면 간편히 회수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트렙통(44 45)의 청소가 요구되면 상기 제1개폐문(7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간편히 개방하여 상기 트렙통(44 45)을 회수 청소한 후에 간편히 다시 설치 부착하여 재사용하면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통(5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상기 제1트렙수단(40) 하부에 위치되어 죽어 낙하하는 벌레를 내부에 수집하도록 한다 즉 상기 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으로 유입하지 못하고 죽은 벌레들은 낙하하여 상기 수집통(50)에 수집되며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통(50)은 상기 제1개폐문(7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가 개방되면 간편히 회수 청소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에 진입하지 못한 벌레를 집진하기 위해 상기 수집통(50)에 설치되는 제2트렙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트렙수단(90)은 상기 수집통(5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벌레의 원활한 비행을 방해하는 충돌돌기(91)와 상기 충돌돌기(91) 외측면에 도포되어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제(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으로 유입하지 못하고 비행하는 벌레가 상기 충돌돌기(91)에 충돌되면 상기 충돌돌기(91) 표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92)의 접착력에 의해 접착 집진되게 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벌레를 상기 제2트렙수단(90)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살충하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케이스(1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5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집통(5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문(70)은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수집통(50)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개폐를 결정한다 즉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문(7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개방하여 상기 수집통(50)과 함께 제2트렙수단(90)을 교체하거나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을 간편히 회수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80)는 상기 유인수단(30)과 제1트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트렙통(45)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트렙통(44 45)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유도램프(42) 광원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박스(80)로 전송하는 조도센서(111)와 상기 케이스(10)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살충제를 살포하되 상기 컨트롤박스(8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살충기(112)와 상기 컨트롤박스(80)에 설치되어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13)와 상기 무선송신부(113)에서 송신하는 측정정보를 수신받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무선수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충기(112)는 통상의 분무식 살충장치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시간이 지나 상기 제1트렙수단(40)에 많은 벌레가 포집되고 죽으면 상기 트렙통(44 45)의 하부에 죽은 벌레가 서서히 쌓이게 되므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인램프(42)에서 발산되는 광원 중에서 상기 트렙통(44 45)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조도센서(111)로 조사되는 광원의 조도는 죽은 벌레에 가려져 점차 낮아지는데 이때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컨트롤박스(80)는 설정된 조도 이하로 광원의 조도가 낮아지면 상기 트렙통(44 45)의 청소가 필요한 상태이므로 상기 살충기(1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살충제를 분사시켜 벌레를 강제 살충하는 동시에 상기 유인수단(20)과 제1트렙수단(40)의 작동을 중시시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더 이상의 벌레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무선송신부(113)를 통해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상기 무선수신부(114)로 전송하여 외부로 측정정보를 알리도록 상기 트렙통(44 45) 및 상기 수집통(50)과 함께 제2트렙수단(90)의 청소 및 교체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박스(80)에 설정되는 조도의 수치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무선수신부(114)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액정(모니터)를 갖는 장치로 구체화되어 관리자가 상기 무선송신부(113)에서 수신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컨트롤박스(80)의 제어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살충제가 도포되지 않으면 상기 트렙통(44 45)과 수집통(50) 및 제2트렙수단(90)을 청소 및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제1개폐문(70)을 개방하는 순간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포집된 벌레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탈출을 방지하고 신속한 청소 및 교체를 수행하기 위해 살충제를 도포하여 강제로 벌레를 미리 살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100)은 가로등(1)에 설치되어 상기 유인수단(20)으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향기를 통해 벌레(해충)를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는 상기 제1트렙수단(40) 및 제2트렙수단(90)을 통해 갇혀 집진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살충되게 함으로 벌레가 살충되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악취 및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1)에 제품이 각각 설치되면 도로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방역라인이 형성되어 방역라인을 경계로 벌레의 이동을 저지하여 벌레를 통해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벌레의 살충을 통한 박멸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역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트렙수단(40 90)을 통해 일정 이상의 벌레가 집진 살충되면 상기 트렙수단(40 90)의 작동을 중지한 후에 상기 무선 송 수신부(113 114)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트렙수단(40 90)에 집진된 벌레를 신속하게 제거(청소)하게 함으로 상기 트렙수단(40 90)이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인 벌레 방역 및 박멸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100)은 다음과 같이 벌레를 집진 살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수단(20)을 통해 가로등(1)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향기를 멀리 확산시켜 벌레를 가로등으로 유인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에 유인되어 케이스(10) 근처로 접근한 벌레는 상기 케이스(10) 상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입구(30)로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렙수단(40)의 유인램프(4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에 벌레가 유인되어 상기 유인램프(42)를 감싸는 제2트렙통(45)과 제1트렙통(44)의 유도구멍(45a 44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인램프(42)에 근접되면서 벌레가 상기 트렙통(44 45)에 자연스럽게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트렙통(44 45)에 포집된 벌레는 외부로 탈출이 곤란함으로 장시간 후에 자연적으로 죽어 낙하하게 된다 동시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비행하는 벌레는 제2트렙수단(90)의 충돌돌기(91)에 충돌되면서 상기 충돌돌기(91)에 도포된 접착제(92)의 접착력에 의해 포집 살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100)을 통해 가로등 주변의 벌레를 매우 효과적으로 살충 박멸할 수 있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통해 상기 컨트롤박스(80)에서 상기 트렙통(44,45)에 많은 벌레의 포집으로 인해 청소가 요구됨을 인지하면 상기 컨트롤박스(8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살충제를 도포하여 벌레를 강제적으로 살충하고 동시에 무선송신부(113)를 통해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무선수신부(114)로 송신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유인수단(20)과 제1트렙수단(40)은 작동을 중지시켜 더 이상의 벌레 유입을 차단한다 그런 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문(70)을 열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은 회수하여 간편히 죽은 벌레를 청소한 후에 다시 설치하여 재사용하며 상기 수집통(50)과 제2트렙수단(90)은 새로운 수집통(50)과 제2트렙수단(90)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인수단(20)의 제2개폐문(25)을 열어 상기 향기 유발통(23) 역시 교체하여 장치의 원활한 사용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가로등
10. 케이스 20. 유인수단
21. 유인케이스 21a. 흡입구멍
21b. 폐쇄망 22. 배출구멍
23. 향기 유발통 24. 유인팬
25. 제2개폐문 30. 유입구
40. 제1트렙수단 41. 고정패널
41a. 안내구멍 42. 유인램프
43. 보호유리 44. 제1트렙통
44a, 45a. 유도구멍 45. 제2트렙통
50. 수집통 60. 지지대
70. 제1개폐문 80. 컨트롤박스
90. 제2트렙수단 91. 충돌돌기
92. 접착제 111. 조도센서
112. 살충기 113. 무선송신부
114. 무선수신부
100.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Claims (5)

  1. 도로변에 설치되어 주변으로 광원을 제공하는 가로등(1)에 있어서 사물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가로등(1)의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향기를 확산시키는 유인수단(2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벌레가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3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벌레를 모아 집진하여 가두는 제1트렙수단(4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상기 제1트렙수단(40) 하부에 위치되어 죽어 낙하하는 벌레를 내부에 수집하는 수집통(50) 상기 케이스(1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5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집통(5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대(60)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수집통(50)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문(70) 및 상기 유인수단(30)과 제1트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구멍(21a)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멍(21a)은 폐쇄망(21b)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는 유인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유인케이스(2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구멍(22)과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 바닥에 위치되며, 내부에 벌레 유인제가 수용되는 향기 유발통(23)과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에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멍(21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멍(22)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상기 향기 유발통(23)의 향기가 외부로 멀리 확산되게 유도하는 유인팬(24)과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상기 향기 유발통(23)의 회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인케이스(21)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문(25)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인팬(24)은 상기 컨트롤박스(8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렙수단(40)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벌레를 하부로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41a)이 형성되는 고정패널(41)과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 중심에 위치되어 주변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인램프(42)와 상기 고정패널(41)에 고정되어 상기 유인램프(42)를 감싸 보호하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유리(43)와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호유리(43)를 감싸되 외측에는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44a)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트렙통(44)과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트렙통(44)을 감싸되 외측에는 상기 제1트렙통(44)에 형성되는 유도구멍(44a)과 엇갈리게 테이퍼 형상의 유도구멍(45a)이 다수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2트렙통(4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트렙통(44 45)은 상기 제1개폐문(7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가 개방되면 간편히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렙수단(40)의 트렙통(44 45)에 진입하지 못한 벌레를 집진하기 위해 상기 수집통(50)에 설치되는 제2트렙수단(90)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트렙수단(90)은 상기 수집통(5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벌레의 원활한 비행을 방해하는 충돌돌기(91)와 상기 충돌돌기(91) 외측면에 도포되어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제(9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행하는 벌레가 상기 충돌돌기(91)에 충돌되면 상기 충돌돌기(91) 표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92)의 접착력에 의해 접착되어 벌레가 집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렙통(45)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트렙통(44 45)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유도램프(42) 광원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박스(80)로 전송하는 조도센서(111)와 상기 케이스(10)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살충제를 살포하되 상기 컨트롤박스(8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살충기(112)와 상기 컨트롤박스(80)에 설치되어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13)와 상기 무선송신부(113)에서 송신하는 측정정보를 수신받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무선수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박스(80)는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되는 조도 값이 설정된 값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살충기(112)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살충제를 도포시켜 벌레를 강제로 살충하는 동시에 상기 유인수단(20)과 제1트렙수단(40)의 작동을 중시시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더 이상의 벌레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무선송신부(113)를 통해 상기 조도센서(111)의 측정정보를 상기 무선수신부(114)로 전송하여 외부로 측정정보를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트렙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1020160090797A 2016-07-18 2016-07-18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10182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97A KR101825819B1 (ko) 2016-07-18 2016-07-18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97A KR101825819B1 (ko) 2016-07-18 2016-07-18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93A true KR20180009193A (ko) 2018-01-26
KR101825819B1 KR101825819B1 (ko) 2018-03-22

Family

ID=6102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97A KR101825819B1 (ko) 2016-07-18 2016-07-18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8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5371A (zh) * 2020-10-16 2021-01-12 浙江圣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型的节能诱虫灯
CN112413517A (zh) * 2020-12-04 2021-02-26 福鼎未来景观设计有限公司 具有灭虫功能的园林用太阳能路灯
KR102328364B1 (ko) * 2021-07-21 2021-11-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23B1 (ko) 2018-06-29 2019-04-26 김문성 가로등용 보조시설물
KR200491408Y1 (ko) * 2018-12-24 2020-04-02 김형인 말벌 포획장치
KR102117119B1 (ko) * 2019-08-23 2020-05-29 길혜림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518Y1 (ko) * 2000-11-27 2001-04-16 주식회사대정크린 해충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5371A (zh) * 2020-10-16 2021-01-12 浙江圣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型的节能诱虫灯
CN112205371B (zh) * 2020-10-16 2022-07-08 浙江圣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型的节能诱虫灯
CN112413517A (zh) * 2020-12-04 2021-02-26 福鼎未来景观设计有限公司 具有灭虫功能的园林用太阳能路灯
CN112413517B (zh) * 2020-12-04 2022-05-10 东莞市伟光照明电器工程有限公司 具有灭虫功能的园林用太阳能路灯
KR102328364B1 (ko) * 2021-07-21 2021-11-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분쇄가 가능한 가로등용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819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193A (ko)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US20080163541A1 (en) Flying Insect Trap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1123248B1 (ko) 해충 박멸장치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30115963A (ko) 날벌레 차단 포획구
KR101885904B1 (ko) 살균 포충기
KR200468972Y1 (ko)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100886244B1 (ko)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KR101105832B1 (ko) 점착시트가 구비된 빛 유인식 포충기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150134602A (ko) 해충 유인 포획 장치
KR101573714B1 (ko)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20030095513A (ko) 모기 퇴치기
KR102287433B1 (ko) 해충 퇴치장치
JP3968717B2 (ja) 照明器具
WO2008123689A1 (en) Illumination lamp device having insect extermin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