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33B1 - 해충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433B1
KR102287433B1 KR1020190096492A KR20190096492A KR102287433B1 KR 102287433 B1 KR102287433 B1 KR 102287433B1 KR 1020190096492 A KR1020190096492 A KR 1020190096492A KR 20190096492 A KR20190096492 A KR 20190096492A KR 102287433 B1 KR102287433 B1 KR 10228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net
support bar
pes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362A (ko
Inventor
이세목
박재하
박주열
Original Assignee
이세목
박재하
박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목, 박재하, 박주열 filed Critical 이세목
Priority to KR102019009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4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충을 유인한 후 감전시켜 해충포집망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나 동물에게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화학약품인 살충액을 대기중에 분사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충 퇴치장치{Pes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해충을 유인한 후 감전시켜 해충포집망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나 동물에게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화학약품인 살충액을 대기중에 분사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해충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각종 질병을 옮기거나, 전염병을 유발시키는 등 유해하기 때문에 다양한 퇴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 퇴치 방법으로, 해충퇴치용 약제을 살포하거나 끈끈이를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설치공간에 분사되는 혼합액의 정량조절 및 분사시간, 분사회수 등의 시간 조절을 통해,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해충퇴치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9698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96989호의 경우, 설치공간으로 분사되는 화학약품인 살충액이 혼합된 혼합액을 통해 잠시동안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살충액이 혼합된 혼합액을 자주 살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 살충액이 혼합된 혼합액이 살포됨으로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 흡입하여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969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충을 유인한 후 감전시켜 해충포집망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나 동물에게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화학약품인 살충액을 대기중에 분사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해충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해충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로 광을 방출시키는 유인램프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고압전류로 감전시키는 고압 네트와; 상기 고압 네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네트에 감전되어 낙하하는 해충이 포집되는 해충포집망과; 상기 해충포집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로 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해충 유입구의 상부방향에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해충유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압 네트는 하부네트부와; 상기 하부네트부의 테두리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 네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압 네트의 일측과 타측을 안착지지하는 고압 네트지지바와, 상기 고압 네트지지바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해충포집망의 일측과 타측을 안착지지하는 해충포집망지지바로 구성되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에 외기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하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플랩과;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의 관통구를 개방한 상태인 상기 플랩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플랩이 상기 관통구를 개방한 경우 상기 해충포집망을 교체하여야함을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전측에 상기 몸체의 전측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배기구의 상부주변의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배기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화학약품인 살충액을 대기중에 분사할 필요없이 해충을 유인램프를 이용하여 해충 유입구로 유인한 후 고압 네트로 감전시켜 해충포집망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충 퇴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는 고압 네트에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3은 해충포집망에 해충이 포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4는 해충포집망지지바의 관통구를 플랩이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몸체의 전측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몸체의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충 퇴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충 퇴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유인램프(20), 고압 네트(30), 해충포집망(40) 및 송풍팬(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파리, 모기 등 다양한 종류의 해충이 유입되는 해충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 또는 하부 타측에 배기구(120)가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 모두에 상기 배기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인램프(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110)로 광을 방출시켜 파리, 모기 등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 네트(30)는 상기 유인램프(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유인램프(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류로 감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충포집망(40)은 상기 유인램프(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유인램프(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에는 상기 고압 네트(30)에 감전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측으로 낙하하는 해충이 포집된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해충포집망(4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측에 수평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130)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구(13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해충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주변 외기를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이 흡입하는 외기는 상기 고압 네트(30)와 상기 해충포집망(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몸체(10)의 배기구(120)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측으로 배기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50)이 흡입하는 외기로 인해 상기 고압 네트(30)에 감전된 해충이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낙하하여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으로 포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해충 유입구(110)의 상부방향에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해충유인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충유인부(60)는 일예로, 상부판(610), 지지다리(620) 및 해충유인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610)은 상기 몸체(10)의 해충 유입구(1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620)는 상기 상부판(6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부판(610)을 상기 해충 유입구(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해충유인부재(6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발사믹식초 등을 포함한 액상의 유인물질이 흡수한 스펀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판(610)의 하부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되어 해충을 상기 해충 유입구(110)로 유인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유입구(110)로 유인된 해충은 상기 송풍팬(50)이 흡입하는 외기와 함께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 네트(30)에 의해 감전된 후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에 포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외기와 함께 이동된 해충이 감전되지 않고 상기 고압 네트(30)의 일측방향, 타측방향,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압 네트(30)는 일예로, 프레임(310), 하부네트부(320) 및 측부네트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은 내측에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사각프레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네트부(320)는 상기 프레임(310)의 하부방향에 수평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부네트부(320)는 상기 하부네트부(320)의 테두리부, 즉, 상기 하부네트부(320)의 일측테두리부, 타측테두리부, 전측테두리부 및 후측테두리부에서 상기 하부네트부(320)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10)의 하부일측테두리부, 하부타측테두리부, 하부전측테두리부 및 하부후측테두리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고압 네트에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 네트(30)의 프레임(31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압 네트(3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발생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해충포집망에 해충이 포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상기 진동발생부(70)가 상기 고압 네트(30)에 발생시키는 진동으로 인해 상기 고압 네트(30)에 감전된 해충(3)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낙하하여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에 포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으로 포집된 해충(3)이 상기 해충포집망(40)의 일측방향, 타측방향,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해충포집망(4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410), 하부포집망(420) 및 측부포집망(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0)은 내측에 해충(3)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사각프레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포집망(420)은 상기 프레임(410)의 하부방향에 수평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포집망(430)은 상기 하부포집망(420)의 테두리부, 즉, 상기 하부포집망(420)의 일측테두리부, 타측테두리부, 전측테두리부 및 후측테두리부에서 상기 하부포집망(420)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410)의 하부일측테두리부, 하부타측테두리부, 하부전측테두리부 및 하부후측테두리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기 고압 네트(30)와 상기 해충포집망(40)이 상기 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상기 고압 네트(30)와 상기 해충포집망(40)을 각각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바(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8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 네트지지바(810)와 해충포집망지지바(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압 네트지지바(81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 내주면 일측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 내주면 타측에 각각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 네트지지바(810)는 상기 고압 네트(30)의 프레임(3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을 각각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는 상기 고압 네트지지바(8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 일측 및 중간부 내주면 타측에 각각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는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프레임(4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을 각각 안착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해충포집망지지바의 관통구를 플랩이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 일측에 구비된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중간부 또는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 타측에 구비된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중간부에 외기가 통과하는 관통구(821)가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 일측과 중간부 내주면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 모두의 중간부에 외기가 통과하는 상기 관통구(8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821)의 하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관통구(821)를 개폐하는 플랩(9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플랩(90)의 상부가 상기 관통구(821)의 하부 주변의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하부 일측 또는 하부 타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90)의 하부가 상기 관통구(821)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82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플랩(90)의 상부의 축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틀림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 상기 플랩(90)의 하부는 상기 관통구(821) 주변의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하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82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충포집망(40)의 내측에 너무 많은 양의 해충(3)이 포집된 경우, 상기 송풍팬(50)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흡입한 외기가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하부포집망(420)을 원활히 통과할 수 없어 상기 해충포집망(40)내의 배기압력은 저하됨과 더불어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프레임(410) 주변의 배기압력은 상대적으로 점차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프레임(410) 주변의 배기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410) 주변의 외기는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관통구(821)로 유입되어 상기 플랩(90)을 하부방향으로 강제하강시킨 상태로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관통구(821)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비틀림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세기는 평상시 상기 플랩(90)이 상기 관통구(82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해충포집망(40)의 프레임(410)주변의 배기압력이 높아진 외기에 의해 상기 플랩(90)의 하부가 하강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면 족하다.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이 관통구(821)를 개방한 상태인 상기 플랩(90)을 감지하는 감지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8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면 일측 또는 내면 타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몸체(10)의 내면 일측과 내면 타측 모두에 구비되는 근접센서, 근접스위치, 접점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랩(90)이 상기 관통구(821)를 개방한 경우, 상기 해충포집망(40)을 교체하여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200)와; 상기 감지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200)와 상기 송풍팬(50)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0)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0)는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이 경보음출력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0)가 상기 플랩(90)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랩(90)이 상기 관통구(821)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200)의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및 상기 경보음출력부재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송풍팬(5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너무 많은 양의 해충(3)이 포집된 상기 해충포집망(40)을 교체 및 상기 해충포집망(40)에 포집된 해충(3)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0)가 상기 플랩(90)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랩(90)이 상기 관통구(821)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2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몸체의 전측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전측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측을 개폐하는 개폐도어(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폐도어(500)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500)의 타측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폐도어(500)의 타측이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500)의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몸체의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배기구(120)를 통해 해충(3)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배기구(120)를 개폐하는 개폐판(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폐판(600)의 상부가 상기 몸체(10)의 배기구(120)의 상부 주변의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하부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배기구(1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배기구(12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배기구(120)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기되고자 하는 외기의 배기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하부는 상기 배기구(1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배기구(120)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화학약품인 살충액을 대기중에 분사할 필요없이 해충(3)을 상기 유인램프(20)를 이용하여 상기 해충 유입구(110)로 유인한 후 상기 고압 네트(30)로 감전시켜 상기 해충포집망(40)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유해 해충(3)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몸체, 20; 유인램프,
30; 고압 네트, 40; 해충포집망,
50; 송풍팬.

Claims (8)

  1. 상부에 해충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로 광을 방출시키는 유인램프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고압전류로 감전시키는 고압 네트와;
    상기 고압 네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네트에 감전되어 낙하하는 해충이 포집되는 해충포집망과;
    상기 해충포집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로 배기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압 네트의 일측과 타측을 안착지지하는 고압 네트지지바와, 상기 고압 네트지지바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해충포집망의 일측과 타측을 안착지지하는 해충포집망지지바로 구성되고,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에 외기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관통구의 하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플랩과;
    상기 해충포집망지지바의 관통구를 개방한 상태인 상기 플랩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플랩이 상기 관통구를 개방한 경우 상기 해충포집망을 교체하여야함을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해충 유입구의 상부방향에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해충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네트는 하부네트부와;
    상기 하부네트부의 테두리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네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측에 상기 몸체의 전측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기구의 상부주변의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배기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6492A 2019-08-08 2019-08-08 해충 퇴치장치 KR10228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92A KR102287433B1 (ko) 2019-08-08 2019-08-08 해충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92A KR102287433B1 (ko) 2019-08-08 2019-08-08 해충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62A KR20210017362A (ko) 2021-02-17
KR102287433B1 true KR102287433B1 (ko) 2021-08-09

Family

ID=7473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92A KR102287433B1 (ko) 2019-08-08 2019-08-08 해충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47B1 (ko) * 2021-03-04 2021-09-07 문창현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공기 정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51B1 (ko) 2007-07-31 2008-03-05 안유경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200440653Y1 (ko) * 2007-05-25 2008-06-24 민준기 다기능 해충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66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원, 김윤환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100696989B1 (ko) 2005-06-21 2007-03-22 구건모 해충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53Y1 (ko) * 2007-05-25 2008-06-24 민준기 다기능 해충퇴치기
KR100810051B1 (ko) 2007-07-31 2008-03-05 안유경 휴대용 해충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62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270A (en) Apparatus for killing insects
US20180077918A1 (en) Multi Function Photo Electro Acoustic Ions Drone
KR101227451B1 (ko) 파리 퇴치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030192229A1 (en) Attracting mosquitoes for electrocution and/or trapping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10368536B2 (en) Insect trap
WO2018182944A1 (en) Multi-function photo electro acoustic ions drone
US20050274061A1 (en) Mosquito trapping device
KR101825819B1 (ko)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EP0531343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INSECTS.
KR102287433B1 (ko) 해충 퇴치장치
JP2007020509A (ja) 虫類捕獲装置
KR20130115963A (ko) 날벌레 차단 포획구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CA2773657C (en) Flying insect trap
KR100673029B1 (ko) 해충사멸장치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WO2001001768A1 (en) Lamp with insect catcher
CN114532309A (zh) 一种用于林果防虫害的灭虫装置
CN209542218U (zh) 一种用于粮仓的气体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