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244B1 -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244B1
KR100886244B1 KR1020070027747A KR20070027747A KR100886244B1 KR 100886244 B1 KR100886244 B1 KR 100886244B1 KR 1020070027747 A KR1020070027747 A KR 1020070027747A KR 20070027747 A KR20070027747 A KR 20070027747A KR 100886244 B1 KR100886244 B1 KR 10088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pest
case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083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2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24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살충된 해충을 살균할 수 있는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유닛과, 살충유닛에 의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하고, 살균유닛은 케이스 내측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가지는 발광부 및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여 장치 내부를 청결하고, 위생적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원을 절약함과 동시에 실장공간을 축소할 있어 장치의 콤팩트화에 기여할 수 있다.
살균, 살충, 해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VERMIN'S STERILIZATION UNIT AND APPARATUS FOR KILLING VERMIN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발광부의 다양한 장착위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끈끈이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전기 감전기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독먹이제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해충 살충장치 110:케이스
112:수납공간 114:출입구
120:살충유닛 130:살균유닛
132:발광부 134:발광다이오드
136:베이스 보드 138:전원부
140:제어유닛 200:해충 살충장치
220:끈끈이 222:포획접착면
232:공급롤 234:회수롤
240:발광다이오드 300:해충 살충장치
320:전기 감전기 330:유인등
340:발광다이오드 400:해충 살충장치
420:독먹이제 430:먹이용기
440:발광다이오드
본 발명은 해충 살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여 살충 장치 내부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가리킨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들이 환 경이 점점 오염돼 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종래에 쥐를 포함한 해충을 제거하는 기구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많이 통용되고 있는 기구들은 다음과 같다.
일반 가정에서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람들은 약에 음식물을 섞은 먹이를 접시 혹은 밀봉된 박스에 넣어 해충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한다. 또는 쥐 등의 이동 경로상에 쥐덫을 배치하되, 쥐를 유인하기 위한 먹이를 쥐덫 상에 설치하기도 한다. 또는 스프레이 등을 쥐나 바퀴벌레 등의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충의 몸에 도포되도록 하여 죽이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야외에서는 전신주나 벽면 등에 장착하는 포충기 또는 포충등을 사용하여 유인된 모기, 파리, 기타 비행곤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접착되도록 하여 해충을 살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살충을 하였다 하더라도, 살충된 해충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방치시킨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된 해충은 부패하게 된다. 이로서, 살충된 해충의 부패로 인해 악취와 해충이 발생되며, 다른 해충들의 접근도 줄게 하여 결국, 포획율 및 살충률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해충 포획장치에는 수천에서 많게는 수만 마리의 해충의 시체가 보관되기 때문에 해충의 시체를 치우지 않고 방치한다면, 이로 인해 2차 오염이 발생할 확률 이 크다. 특히, 식품이나 의약품 제조공장등과 같이 청결과 위생에 민감한 장소에는 활동중인 해충을 최대한 포획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포획 후에 이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과정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방치되는 기존의 포충등과 같은 포획장치에는 이와 같은 2차 오염 문제에 대한 대비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또한, 향후 위생관리에 대한 의식과 법적 규제도 더욱 엄격해 질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의 포충등과 같은 포획장비에 필수적인 요구사항으로 규정될 개연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포획장치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치의 발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포획장치의 내부에 포획되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여 청결함과 함께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충을 유인, 포획, 살균하기 위해 투입되는 전력을 펄스 구동방식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과 전기적 안전성이 높은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램프에 비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장착공간을 최소하여 제품의 콤팩트화에 기여하고, 제품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파손과 환경오염이 적은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충 살균유닛은 발광부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살충된 해충이 수용된 수용부 측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빛은 200 nm 내지 300 nm 파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충 살균유닛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패턴이라 함은 발광시점, 발광시간, 발광주파수 및 발광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는 케이스, 살충유닛 및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살충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해충을 살충할 수 있다. 상기 살충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케이스 측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해충을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살균유닛은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여러 개가 일렬로 정렬되거나,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격자 형태로 정렬될 수 있고, 포획장치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서 그 배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모듈형태의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램프와 같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해충 살충장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 살충장치는 상기 살충유닛에 의해 살충된 해충을 촬상하는 촬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유닛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살충유닛에 의해 해충이 살충되면 상기 살균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살충된 해충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충장치는 상기 살충유닛 측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인유닛은 발광다이오드 등의 유인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살균유닛이 장착될 수 있는 여러 개의 착탈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살충유닛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에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는 전기 감전기, 독먹이제 또는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끈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포획장치라 함은 해충을 일시 또는 장기간 일정 공간 안에 머물게 하여 치명상을 주는 장치로서, 끈끈이, 독먹이제, 전기 감전기, 훈증기, 덫, 포충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접근하는 해충이나, 유인된 해충을 박멸하는 장치 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100)는 케이스(110), 살충유닛(120), 살균유닛(130) 및 제어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상기 살충유닛(120)이 저장될 수 있는 수납공간(11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해충이 유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상기 수납공간(112)을 외부에서도 볼 수 있도록 투명창(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충유닛(120)은 상기 케이스(110)에 수납되며, 상기 수납공간으로 들어온 해충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충유닛(120)은 접착물질이 도포된 끈끈이, 전류를 흘려서 접촉하는 해충을 즉사시킬 수 있는 전기 감전기, 먹이로 착각하도록 하여 섭취한 해충을 즉사시키거나 또는 일정시간 지난 후 죽일 수 있는 독먹이제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해충을 박멸할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유닛(130)은 발광부(132) 및 전원부(138)를 포함하고, 상기 살충유닛(120)에 의해 살충된 해충들을 살균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32)는 발광다 이오드(134) 및 베이스 보드(1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보드(136)는 전기가 흐르는 회로기판이며, 일면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34)가 장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상기 전원부(13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보드(136)에는 상기 전원부(13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소켓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켓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기 위한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200nm 내지 300 nm 파장 범위를 가지며, 살균효과가 가장 좋은 파장은 280nm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면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투명창(116)을 대체하여, 또는 추가하여 반사면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14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 조사되는 빛의 발광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패턴이라 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시점, 발광시간, 발광주파수 또는 발광세기 등을 의미한다.
상기 발광시점은 상기 살충유닛(120)에 의해 해충이 포획된 시점을 의미하며, 이외에도 포획된 이후 일정시간이 지난 시점 또는 해충이 죽은 시점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포획된 이후 일정시간은 해충 및 살충유닛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일정시간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포획된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140)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를 통해 해충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출입한 시점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살충유닛(120)이 덫 또는 끈끈이일 경우에는 포획된 시점을, 독먹이제일 경우에는 먹이를 섭취한 시점을, 전기 감전기일 경우에는 전류가 흐른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빛 센서, 소리센서, 습도센서, 솔라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충이 상기 살충유닛(120)에 포획된 시점을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100)는 카메라 등의 촬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유닛을 통해 상기 살충유닛(120)에 의해 치명상을 입은 해충들을 촬상할 수 있고, 촬상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유닛(140)은 상기 살균유닛(1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100)는 해충을 상기 살충유닛(120) 쪽으로 유인하기 위해 유인등이 구비된 유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인등은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인등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살균유닛(130)에 포함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34)와는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광시간은 상기 살충유닛(120)에 의해 치명상을 입은 해충을 향하여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러한 빛은 한번만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빛을 조사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134)의 온-오프는 랜덤(random)한 간격으로 이루어지거나,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134)의 온-오프 패턴이나 주기는 설치 환경, 살충된 해충의 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및 습도가 높으며, 살충된 해충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온-오프 주기를 작게 하는 것이 살균효과를 높이는데 좋을 것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134)의 온-오프 간격은 사용자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의 깜박거림을 감지하지 못할 정도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킴으로서, 살충된 해충의 살균효과가 증대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다이오드(134)의 수명이 연장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34)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발광주파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주파수를 의미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살균 효과를 가져오는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해충을 유인하거나 또는 장치가 설치된 주변에 사람이 거취 하더라도 시각적으로 불쾌함을 주지 않는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유닛(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에 장착될 시에는 상기 살충유닛(120) 방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다.
도 2 내지 도 4는 발광부의 다양한 장착위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100)는 케이스(110) 내부의 수납공간에 끈끈이, 전기 감전기 또는 독먹이제 등의 살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살충유 닛(120)은 상기 케이스(110) 내측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110) 내측면에는 발광부(132)가 장착될 수 있으나, 그 장착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케이스(110)의 좌우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수납공간 전체에 균일한 밝기로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상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상기 살충유닛(120)을 향하여 다량의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후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 방향으로 대부분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 전면이 개구된 상태이면, 상기 개구된 부위를 통해 상기 빛은 외부로 진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조사되는 빛이 살균효과를 가지는 파장뿐만 아니라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을 갖도록 하여 유인률 및 살충률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역의 빛을 발광하기 위해서는 살균을 위한 발광다이오드 외에도, 유인을 위한 별도의 발광다이오드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상기 설명한 장착 위치 이외에도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여러 측면에 다양한 배열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34)가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장착된 경우에도 살 충된 해충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34)는 베이스 보드(136)의 일면에 다양한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정렬되는 하나의 방법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가 상기 베이스 보드(136)의 일면에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34)가 인접한 다른 발광다이오드와 일정거리 이격된 채 하나의 행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34)가 일렬로 장착된 발광부(132)는 비교적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케이스에 장착시 공간의 제약성이 작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를 배열하는 다른 방법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34)가 상기 베이스 보드(136)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를 격자모양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살균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34)는 일렬 및 격자 형태의 배열 외에도 도넛 모양, 방사형, 원호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살균유닛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개의 연구기관에서 각각 살균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원사식물 시험연구원에서는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 살균실험을 실시하였고, 한국 생활용품 시험연구원에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에 대해서 살균실험을 진행하였다.
삭제
도 7은 끈끈이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200)는 끈끈이(220)를 살충유닛으로 이용한 포획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1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210)에 결합하는 상기 끈끈이(220)를 포함한다.
상기 끈끈이(220)는 해충이 접착될 수 있는 포획접착면(222)을 상면이 되도록 하고, 양 측부가 공급롤(232)과 회수롤(234)에 각각 권취된다. 상기 공급롤(232)은 상기 포획접착면(222)이 해충으로 인해 포화되었을 때 기존의 포획접착면을 대신하는 새로운 포획접착면을 공급해주는 롤러이며, 상기 회수롤(234)은 해충으로 포화된 기존의 포획접착면을 회수하는 롤러이다.
여기서, 상기 포획접착면(222)을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포획접착면(222)의 하부측에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수롤(234)에는 모터 등의 구동부가 장착되어 자동으로 상기 끈끈이(220)가 권취되거나 권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제어유닛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포획 접착면이 포획된 해충으로 인해 포화되는 시점에 상기 모터가 작동되도록 하여 기존의 포획 접착면에서 새로운 포획 접착면으로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획접착면(222)에 해충이 포화되었는지의 여부는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200)는 상기 포획접착면(222)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포획접착면(222)에 포획된 해충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살균유닛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240)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는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40)가 조사되는 시점 및 조사 시간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포획접착면(222)에 일정량의 해충이 포획되면 상기 제어유닛은 포획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포획접착면(222)이 해충으로 포화되어 교체해야 할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로부터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회수롤(234)에 회수된 상기 끈끈이(220)에는 포획된 해충이 그대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끈끈이(220)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전까지 상기 회수롤(234)에 권취된 상기 끈끈이(220)에도 지속적으로 빛을 조사해주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면에도 상기 발광다이오드(2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수롤(234)에 권취된 상기 포획접착면(222)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끈끈이(220)는 상기 회수롤(234)에 여러 겹으로 권취되기 때문에 내측에 권취된 상기 끈끈이(220)에도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끈끈이(220)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를 장착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210) 내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들을 모듈화할 수 있다.
도 8은 전기 감전기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300)는 전기 감전기(320)를 살충유닛으로 이용한 포충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는 상기 전기 감전기(320)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310)는 해충을 유입하기 위해 전면이 개구되어 유입구(312)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312)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유닛이 상기 케이스(3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유인유닛은 유인등(3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인등(330)은 상기 케이스(310)에 내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유인등(330)은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인등(330)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일반적인 램프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인등(33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상기 전기 감전기(320)에 접촉하게 되면, 해충의 몸 속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해충은 즉사하게 된다. 이렇게 살충된 해충은 상기 케이스(310) 내측 저면에 쌓이게 된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300)는 상기 전기 감전기(320)에 의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기 위해 발광다이오드(340)를 포함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40)는 상기 케이스(310) 내측 저면에 쌓인 해충을 향하여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310) 내측의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40)는 일정시간 동안 살충된 해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살충된 해충이 부패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차단하여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인유닛은 상기 유인등(33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340)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발광다이오드(340)를 장착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10) 내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들을 모듈화할 수 있다.
도 9는 독먹이제를 살충유닛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살충장치(400)는 독먹이제(420)를 살충유닛으로 이용한 먹이상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410)에는 상기 살충유닛으로 상기 독먹이제(420)를 포함한다. 상기 독먹이제(420)는 먹이용기(430)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41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먹이용기(430)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는 일면에 해충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12)가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커버(4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입구(412)를 통해 들어온 해충은 상기 독먹이제(420)를 섭취하고, 그 자리에서 즉사하거나, 또한 상기 출입구(412)를 통해 외부로 나와서 죽을 수도 있다.
상기 해충 살충장치(400)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살충된 해충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살균유닛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44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440)는 상기 케이스(410)의 내측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414)의 저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발광다이오드(440)을 장착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4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모듈화하여 상기 케이스(410) 내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충된 해충을 살균하여 해충을 포획하거나 살충하는 영역이 부패된 해충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살충장치로 접근하는 해충이 접근하기 용이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고 청결한 환경을 요하는 장소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살충된 해충에 자외선 영역을 빛을 조사하여 해충이 부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빛을 조사하는 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빛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번 설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파장만을 조사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시점, 발광시간, 발광주파수 및 발광세기 등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발광패턴을 구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발광다이오드를 계속적으로 점등시키지 않고 반복적으로 온-오프 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소모되는 전력을 저감하여 결과적으로 살균유닛 및 살충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모듈화된 살균유닛으로 인해 해충을 포획하거나 살충할 수 있는 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착탈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유닛;
    상기 살충유닛의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케이스 측으로 260 내지 300 nm 파장의 자외선을 20초 내지 30초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가지는 해충 살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충 살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유닛에 의해 살충된 해충을 촬상하는 촬상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촬상유닛의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살충유닛에 의해 해충이 살충되면 상기 살균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장치는 상기 살충유닛 측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은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은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유닛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에 전기충격을 가하는 전기 감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유닛은 독먹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유닛은 일면에 접착물질이 형성된 끈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를 공급하는 공급롤과 상기 공급롤에서 공급된 상기 끈끈이를 회 수하는 회수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롤과 회수롤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공급롤과 회수롤 사이에 포획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살충장치.
  23. 삭제
KR1020070027747A 2007-03-21 2007-03-21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KR10088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47A KR100886244B1 (ko) 2007-03-21 2007-03-21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47A KR100886244B1 (ko) 2007-03-21 2007-03-21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83A KR20080086083A (ko) 2008-09-25
KR100886244B1 true KR100886244B1 (ko) 2009-02-27

Family

ID=4002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47A KR100886244B1 (ko) 2007-03-21 2007-03-21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22B1 (ko) * 2010-09-17 2013-01-22 허완규 자동연막 살충 살균 정화기
US9648861B2 (en) * 2013-09-20 2017-05-16 Jack D. Schmitz Device for killing bed bugs
DE202016009084U1 (de) 2015-05-29 2022-03-02 Ecolab Usa Inc. Vorrichtung für das Anlocken und Fangen von Fluginsekten
CN105145517A (zh) * 2015-07-10 2015-12-16 贵州大学 不同占空比变频led诱虫方法及装置
WO2017155300A1 (ko) * 2016-03-11 2017-09-14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로 모기를 유인하는 살충제 훈증기
KR20170106197A (ko) 2016-03-11 2017-09-2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로 모기를 유인하는 살충제 훈증기
CN115152718A (zh) * 2022-07-05 2022-10-11 中国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中国烟草总公司青州烟草研究所) 一种应用于烤烟的病虫害防控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596U (ko) * 1990-03-23 1991-12-10
US6871443B2 (en) 2000-04-28 2005-03-29 Paraclipse, Inc. Flying insect trap
KR20060039127A (ko) * 2004-11-02 2006-05-08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실내용 유해충 포집 살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596U (ko) * 1990-03-23 1991-12-10
US6871443B2 (en) 2000-04-28 2005-03-29 Paraclipse, Inc. Flying insect trap
KR20060039127A (ko) * 2004-11-02 2006-05-08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실내용 유해충 포집 살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83A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244B1 (ko)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US10675374B2 (en) Insect trap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BR102013017279A2 (pt) Armadilha de observação mata insetos para a captura massiva e controle do bicudo do algodoeiro
KR101225222B1 (ko) 자동연막 살충 살균 정화기
US20050172542A1 (en) Apparatus for trapping flying insects
US20050274061A1 (en) Mosquito trapping device
WO2009099278A2 (ko) 해충 포집기
KR102447133B1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JP2002125563A (ja) 飛翔性害虫駆除用複合トラップ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20080087486A (ko) 해충 포획장치
JP2013165653A (ja) ゾウムシ類の捕獲方法
JP2011103787A (ja) ナガマドキノコバエの捕虫方法およびその捕虫器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NZ273112A (en) Livestock treatment; a walk-through fly trap has a steel frame with a roof and sides of timber, electric grates supported by the sides attract and kill insects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347665Y1 (ko) 모기 유인 퇴치기
KR20120017511A (ko) 친환경 해충 포집기
KR101168513B1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KR20100079275A (ko) 살충기
KR20090095083A (ko) 바퀴벌레 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퀴벌레 방제방법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KR20190063011A (ko) 큐브형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