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824A1 -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824A1
WO2015056824A1 PCT/KR2013/009312 KR2013009312W WO2015056824A1 WO 2015056824 A1 WO2015056824 A1 WO 2015056824A1 KR 2013009312 W KR2013009312 W KR 2013009312W WO 2015056824 A1 WO2015056824 A1 WO 20150568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n
air
washer
pe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3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헌기
박지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김헌기
박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김헌기, 박지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Priority to PCT/KR2013/0093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56824A1/ko
Publication of WO20150568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8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상류측 공기를 흡입하여 하류측으로 밀어내는 팬, 해충을 유인하는 광을 방출하며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포충등 및 상기 포충등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해충을 가두는 포획부를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오염이 방지되는 상태로 해충을 신뢰성 있게 포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본 발명은 환경 친화형적으로 설치 가능한 포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환경이 만족되면 모기, 파리, 하루살이, 소나무 해충, 나방, 하루살이, 멸구, 이화명충 등과 같은 수많은 해충들이 크게 번식한다. 이러한 해충은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도심 주변의 가로수, 녹음이 우거진 유원지, 과수원, 동물 사육장, 농원, 산림욕장 등에서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러한 해충을 포획하는 종래의 포충 장치의 경우, 장기간의 사용, 수거된 벌레의 처리, 유지 보수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형적으로 설치 가능한 포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상류측 공기를 흡입하여 하류측으로 밀어내는 팬, 해충을 유인하는 광을 방출하며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포충등 및 상기 포충등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해충을 가두는 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팬의 하류층에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등을 형성함으로써 포집된 해충이 팬에 엉겨붙거나 팬에 의해 분쇄되지 않으므로 팬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획부를 포충등 하류측에 형성함으로써 포집된 해충이 팬에 의해 밀려난(방사된) 공기의 압력으로 포획부를 신뢰성 있게 탈출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포충등의 하류측에 포획부가 배치됨으로써 포획부로 유입된 해충이 포충등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포충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포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포충 장치는 상류측 공기를 흡입하여 하류측으로 밀어내는 팬(110), 해충을 유인하는 광을 방출하며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포충등(120) 및 상기 포충등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해충을 가두는 포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110)은 모터 등의 회전 수단 및 상기 모터의 축에 체결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팬(110)은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일 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다른 측으로 방사한다. 이때, 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상류측이라 칭하고, 팬으로부터 공기가 방사 또는 밀려나는 방향을 하류측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팬의 윗 방향이 상류측이고, 팬의 아래 방향이 하류측이다.
포충등(120)은 광으로 해충을 유인한다. 포충등(120)은 다양한 조명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조명 수단은 LED, OLED, 백열등, 형광등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수단이 해충, 먼지 등이 붙어 조명 수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명 수단을 감싸는 포충등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포충등의 외형은 포충등 케이스의 형태와 동일하다.
포획부(130)는 해충을 가두는 요소로, 각종 그물 또는 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물과 통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팬(110), 포충등(120), 포획부(130) 순서로 배치된다. 이때 팬(110)의 하류측에 포충등(120)과 포획부(130)가 배치되므로 포충등(120)을 목표로 몰려드는 해충은 팬에서 밀려난 공기에 의해 포충등(120)에 붙지 못하고 포획부(130)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포획부로 밀려난 해충은 팬으로부터 밀려나고 있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포획부를 탈출하지 못한다. 또한, 해충의 이동 경로에 팬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팬이 해충에 의해 오염될 염려가 없다. 즉, 팬에 의해 해충이 분쇄되지 않으므로 팬과 팬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포충등의 오염이 감소된다.
따라서, 팬(110)의 하류측에 포충등(120)을 배치하고, 포충등의 하류측에 포획부(130)를 배치하면 팬과 포충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고 미려한 외관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획부로 유입된 해충이 포획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에 의해 해충을 포획하는 방식을 에어 드랍(air drop) 방식이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효과를 보다 부각시키기 위해 추가 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일예로 포충 장치는 해충이 유입되는 포획부(13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포획부(130)에 마련되는 셔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140)는 포획부(130)의 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되어, 포충 장치, 구체적으로 팬(110)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포획부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르면 평소 폐쇄부의 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포획부(130) 내로 포획된 해충이 포획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포획부(130)의 입구는 셔터부에 포함된 고정판(141)과 고정판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이동판(142)의 틈일 수 있다. 즉, 셔터부(140)는 포획부(130) 또는 포충 장치의 케이스(190) 등에 고정되는 고정판(141)과 고정판의 하류측에서 상기 고정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이동판(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판(142)은 팬(110)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고정판(141)으로부터 떨어지고,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고정판(141)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판은 팬에 의한 풍압이 없을 경우 탄성 바이어스되어 고정판에 밀착되고 팬에 의한 풍압이 있으면 탄성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고정판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동판이 고정판으로 떨어져 생기는 고정판과 이동판의 틈이 포획부의 입구가 된다.
이때 셔터부(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과 같이 셔터부(140)는 포획부(130)가 장착되며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141) 및 고정판(141)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고정판(141)과의 밀착에 의해 통공을 막고, 팬(110)의 대향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이동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41)은 일예로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일 수 있으며, 하류측으로 밀려난 공기가 포획부로 유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장 자리부터 점차적으로 하류측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를 중앙에 형성된 통공 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고정판은 팬의 대향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판(142)은 팬의 대향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팬에서 밀려난 공기는 고정판과 이동판의 틈으로 집중적으로 유도된다. 이동판의 볼록한 부분 일부가 고정판의 통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판의 통공을 폐쇄할 수 있다.
고정판은 구체적으로 고정판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143), 보스에 끼워지는 제1 와셔(washer)(144), 보스에서 제1 와셔의 하류측에 끼워지는 제2 와셔(147), 제1 와셔와 제2 와셔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셔, 탄성 부재, 제2 와셔가 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스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 수단(146)을 포함한다. 체결 수단(146)은 보스의 직경보다 큰 나사 등일 수 있다. 제1 와셔(144)에서 팬의 대향면에 이동판의 가장자리가 얹혀진다.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고정판(141)에 이동판(142)를 대면시킨다.
다음, 고정판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143)에 제1 와셔(washer) (144)를 끼운다. 이때 제1 와셔(144)는 이동판(142)의 가장자리에 대면된다. 구체적으로 제1 와셔의 상류측 면에 이동판의 가장자리가 얹혀질 수 있다.
보스(143)에 제2 와셔(147)를 끼우고, 보스를 동축으로 한 탄성 부재(145)를 제1 와셔(144) 및 상기 제2 와셔 사이(147)에 개재시킨다. 실제로는 탄성 부재를 보스에 먼저 끼우고 나서 제2 와셔를 끼우는 순서가 될 것이다.
제2 와셔(147)가 상기 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 수단(146)으로 나사 체결시킨다.
조립의 편의와 신뢰성 있는 이동판의 이동을 위해 제1 와셔(144)와 이동판(14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과 제2 와셔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 수단이 스프링인 경우를 예로 들면 스프링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캡부분을 갖는 나사가 이러한 예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제1 와셔와 이동판을 일체로 하고, 제2 와셔와 체결 수단을 일체로 한 예를 도 1의 좌측 상단 도면에 나타내었다.
한편, 고정판(141)에서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스(143)는 이동판을 신뢰성 있게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로 형성되는 보스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고정판이 원형인 경우 동일 각도 간격으로 보스가 설치되면 대칭되는 위치를 만족한다. 즉, 보스가 3개인 경우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보스가 4개인 경우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고정판이 다각형이면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위치가 대칭되는 위치가 된다.
셔터부(240)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포충 장치의 셔터부(240)는 고정판(241)과 이동판(242)를 포함한다.
고정판(241)은 포획부가 장착되며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41)은 가장자리가 포획부(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110)에 대향하는 면을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가 통공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242)은 힌지(244), 무게추(245), 개폐부(246)를 포함한다.
힌지(244)는 고정판(241)에 조립되어 힌지(244)를 회전축으로 하여 무게추(245) 및 개폐부(246)가 회전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판의 힌지에 대응하여 고정판에도 힌지(243)가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245)는 고정판에 조립된 이동판의 힌지(244)를 중심으로 이동판의 한편에 형성된다.
개폐부(246)는 힌지(244)를 중심으로 무게추의 다른 편에 형성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으로 상기 통공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고정판에서 힌지를 기준으로 우측 영역 ⓐ와 좌측 영역 ⓑ가 있을 때 ⓑ 영역에 무게추(245)가 형성되면 ⓐ 영역에는 개폐부(246)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판에서 우측 영역 ⓐ 부위에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폐부(246)는 팬(110)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무게추(245)의 무게를 극복하여 통공을 개방시키고, 팬(110)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무게추(245)의 무게에 의해 통공을 폐쇄시킨다. 이때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가 ⓑ 영역에 형성되는 무게추에 압력을 가해 개폐부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 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막는 바람막(247)을 팬과 무게추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막(247)은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의 포충 장치는 팬(110)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며 팬(110)으로부터 밀려난 공기를 포획부(130) 측으로 가이드하는 보호통(17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의 보호통(170)은 포충등(120)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해충이 포충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충등의 오염이 방지된다. 다만,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를 하류측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훼손하지 않도록 보호통(270)의 하류측은 개방되는 것이 좋다. 보호통의 길이를 도 1과 같이 포획부(130)에 근접하도록 길게 할 경우 포충등의 보호 기능이 증가하고 가이드된 공기의 풍압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든다. 보호통의 길이를 도 2와 같이 짧게 할 경우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나, 포충등의 보호 기능과 풍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보호통(170)의 길이는 팬으로부터 유발된 풍압, 포충등의 보호 기능, 포집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팬(110)과 포충등(120)의 구동에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실내, 실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력 공급 수단을 자체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포충 장치는 전원부(150) 및 충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팬(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아울러 포충등(120)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60)는 전원부(150)를 충전시키는 요소로, 바람직하게 친환경 발전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충전부는 풍력 발전 수단 및 태양열 발전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는 풍력 발전 수단 및 태양열 발전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풍력 발전의 소스인 바람의 방향 또는 태양열 발전의 소스인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태양열 발전 수단으로 태양열 전지를 나타내었다. 케이스(190)는 팬(110), 포충등(120), 포획부가 수납 또는 설치되는 몸체부(193)와 충전부(160)가 수납 또는 설치되고 회전하는 회전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91)는 예를 들어 충전부(160)가 태양열 전지인 경우 태양광을 추종하도록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에 설치 또는 수납된 태양열 전지는 태양으로부터 많은 빛을 받게 되어 발전 효율이 개선된다. 이를 위해 회전부에는 태양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센서의 출력을 통해 태양의 움직임을 분석한 후 태양의 움직임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팬(110)에서 밀려난 공기에 의해 포획부(130)로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위에서는 셔터부를 이용하고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해충이 유입되는 포획부(130)의 입구에 마련되는 보조 팬(340)을 포함하고 있다. 보조 팬(340)은 포획부(130)로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팬(340)의 회전으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은 팬(110)과 마찬가지로 상류로부터 하류측이다. 보조 팬(340)은 상류측의 해충을 빨아들이는 용도가 아니라 이미 포획부(130)로 유입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그 회전 속도는 팬(110)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팬(110) 대비 저속인 보조 팬(340)을 포획부의 입구에 설치함으로써 해충이 포획부(130)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팬(110)에 의해 밀려난 해충이 보조 팬(340)에 의해 분쇄되지 않으며 팬(110)에 의해 밀려난 해충이 보조 팬(340)의 날개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므로 해충을 신뢰성 있게 포획부(1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포충 장치는 이상에서 살펴본 팬(110), 포충등(120), 포획부가 수납 또는 설치되는 케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90)에는 전원부(150) 및 충전부(160)도 수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포충 장치는 케이스(190)를 지지하도록 케이스(190)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는 지지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80)는 복수의 다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다리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 수단(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는 케이스(190)에 설치된 팬(110)과 포충등(120)을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가 개시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획부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환기한다.
포충등(120)에 의하면 주로 야간에 해충을 신뢰성 있게 유인할 수 있다. 그러나 낮에는 포충등(120)의 광이 태양광 등 다른 광에 의해 희석되기 때문에 해충의 유인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포충 장치는 팬(110)에 의해 흡입되고 밀려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를 공기에 혼합시키는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경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10)에 의해 밀려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화살표로 표시)일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 경로는 팬(11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혼합부가 작용제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에 저장된 작용제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경우,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는 토출부가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해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는 해충을 유인하는 성분을 갖는 페로몬 루어 또는 성교란제일 수 있다. 페로몬 루어 또는 성교란제는 포충등(120)의 작동 유무와 관계없이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작용제의 잦은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포충등의 기능이 미약한 환경, 예를 들어 태양광이 강한 낮에만 혼합부가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밤에는 포충등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낮에는 작용제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작용제를 적용할 경우 소망하는 해충을 선택적으로 유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망하는 해충을 유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범용적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등을 오프시킨 상태로 혼합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작용제는 소망하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해충을 보다 신뢰성 있게 유인하기 위해 작용제와 포충등을 함께 구동시킬 수도 있다.
작용제는 해충을 퇴거시키는 해충 기피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낮 또는 형광등 등의 외부 발광체가 동작하는 환경에서 해충을 쫓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충 기피제를 작용제로 활용할 수 있다.
혼합부의 설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팬(110)의 상류측에서 팬(110)을 덮고, 팬(11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통되는 홀(193)이 형성된 케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혼합부는 홀(193)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혼합부로부터 토출되는 작용제는 홀(193)의 상류측의 공기와 혼합된다. 홀(193)의 상류측 공기는 팬(110)에 의해 흡입되어 팬(110)의 하류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밀려나는 힘과 속도에 의해 멀리 퍼지게 된다.
케이스(190)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홀이 형성된 케이스(190)는 도 1에서 팬에 인접하여 형성된 내층 케이스일 수 있다. 내층 케이스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홀의 형성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 팬에 의해 흡입되는 작용제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혼합부로부터 토출된 작용제가 최대한 많이 팬으로 흡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적어도 홀(193)의 일부는 공기가 흐르는 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팬(110)의 날개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해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오염이 예상되는 다양한 환경에 친환경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 포충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Claims (18)

  1. 상류측 공기를 흡입하여 하류측으로 밀어내는 팬;
    해충을 유인하는 광을 방출하며 상기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포충등; 및
    상기 포충등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해충을 가두는 포획부;
    를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이 유입되는 상기 포획부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포획부에 마련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포획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의 입구는 상기 셔터부에 포함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이동판의 틈이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포획부가 장착되며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판과의 밀착에 의해 상기 통공을 막고, 상기 팬의 대향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이동판을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팬의 대향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제1 와셔(washer);
    상기 보스에서 상기 제1 와셔의 하류측에 끼워지는 제2 와셔;
    상기 제1 와셔와 상기 제2 와셔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셔에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가 얹혀지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상기 이동판을 대면시키고,
    상기 고정판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에 제1 와셔(washer)가 끼워지며, 상기 제1 와셔가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에 대면되고,
    상기 보스에 제2 와셔가 끼워지며, 상기 보스를 동축으로 한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와셔 및 상기 제2 와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와셔가 상기 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 체결된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적어도 3개가 형성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포획부가 장착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 조립된 힌지를 중심으로 한편에 형성되는 무게추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다른 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시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통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 상기 통공을 폐쇄시키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로 유입된 상기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해충이 유입되는 상기 포획부의 입구에 마련되는 보조 팬;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팬의 회전 속도는 상기 팬보다 낮은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으로부터 상기 하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팬으로부터 밀려난 공기를 상기 포획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보호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통은 상기 포충등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해충이 상기 포충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은 하류측이 개방된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풍력 발전 수단 및 태양열 발전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의 소스인 바람의 방향 또는 상기 태양열 발전의 소스인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고 밀려나는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해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를 상기 공기에 혼합시키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성분을 갖는 페로몬 루어 또는 성교란제, 상기 해충을 퇴거시키는 해충 기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상류측에서 상기 팬을 덮고,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상기 공기가 유통되는 홀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홀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상기 공기에 상기 해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를 혼합시키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의 일부는 상기 공기가 흐르는 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팬의 날개와 겹치게 형성되는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PCT/KR2013/009312 2013-10-18 2013-10-18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WO20150568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312 WO2015056824A1 (ko) 2013-10-18 2013-10-18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312 WO2015056824A1 (ko) 2013-10-18 2013-10-18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824A1 true WO2015056824A1 (ko) 2015-04-23

Family

ID=5282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312 WO2015056824A1 (ko) 2013-10-18 2013-10-18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568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6091A (zh) * 2015-08-25 2015-11-25 德清科中杰生物科技有限公司 多用途双风机式飞虫诱捕器
CN108419777A (zh) * 2018-03-02 2018-08-2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自清洁集虫盘的灭虫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468A (en) * 1991-07-26 1993-10-26 Bugvac U.S.A., Inc. Insect attracting and capturing apparatus
KR100945366B1 (ko) *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100127349A (ko) * 2009-05-26 2010-12-06 박지웅 살충 장치
KR101098866B1 (ko) * 2010-05-04 2011-12-26 주식회사 에코솔라텍 포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8992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이레그린 포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468A (en) * 1991-07-26 1993-10-26 Bugvac U.S.A., Inc. Insect attracting and capturing apparatus
KR100945366B1 (ko) * 2009-01-08 2010-03-08 이준길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100127349A (ko) * 2009-05-26 2010-12-06 박지웅 살충 장치
KR101098866B1 (ko) * 2010-05-04 2011-12-26 주식회사 에코솔라텍 포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8992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이레그린 포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6091A (zh) * 2015-08-25 2015-11-25 德清科中杰生物科技有限公司 多用途双风机式飞虫诱捕器
CN105076091B (zh) * 2015-08-25 2018-08-24 德清科中杰生物科技有限公司 多用途双风机式飞虫诱捕器
CN108419777A (zh) * 2018-03-02 2018-08-2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自清洁集虫盘的灭虫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23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0457870Y1 (ko)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
US20110030266A1 (en) Flying insect capture apparatus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US20100229459A1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90092970A (ko)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WO2014204162A1 (ko)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20170106121A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US201501733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Flying Insects
WO2020158986A1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조명등과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WO2015056824A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160027835A (ko) 해충 포획 장치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101049293B1 (ko) 살충 장치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CN205005773U (zh) 路灯式有害飞虫监测控制系统
KR20120139482A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CN208273940U (zh) 一种诱杀蚊蝇装置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55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55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