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349A - 살충 장치 - Google Patents

살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349A
KR20100127349A KR1020090045751A KR20090045751A KR20100127349A KR 20100127349 A KR20100127349 A KR 20100127349A KR 1020090045751 A KR1020090045751 A KR 1020090045751A KR 20090045751 A KR20090045751 A KR 20090045751A KR 20100127349 A KR20100127349 A KR 2010012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unit
unit
insect repellent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293B1 (ko
Inventor
박지웅
정기백
정웅섭
Original Assignee
박지웅
정기백
정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웅, 정기백, 정웅섭 filed Critical 박지웅
Priority to KR102009004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293B1/ko
Priority to PCT/KR2009/004297 priority patent/WO2010137767A1/ko
Publication of KR2010012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광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등; 상기 포충등에 접근한 해충을 흡입하고 이를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살충부; 를 포함하며,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이용하고 포집망이 필요없는 환경 친화형 살충 장치는 살충 장치를 기재한다.

Description

살충 장치{BUG 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살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이용하고 포집망이 필요없는 환경 친화형 살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절기에는 모기, 파리, 하루살이, 소나무 해충 등과 같은 수많은 해충들이 크게 번식한다. 이러한 해충은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도심 주변의 가로수, 녹음이 우거진 유원지, 과수원, 동물 사육장, 농원 등에서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러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빛의 주위로 몰려드는 해충의 주광성을 이용한 포충등(light trap) 장치가 있다.
그러나, 고열을 발생하는 포충등에 해충이 들러붙어 포충등에 고장을 유발하거나, 해충을 포집한 후 해충의 탈출을 저지하는 포집망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포집망 내부에서 해충이 부패하여 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포집망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포충등을 점등하므로 이를 직류로 변환하는 경우 복잡한 인버터 회로가 필요하여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나마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는 설치 불가능한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살충 성능을 향상시키고, 포충등의 고장을 방지하여 수명 시간을 보장하며, 포획된 해충의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일반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는 살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 장치는, 광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등; 상기 포충등에 접근한 해충을 흡입하고 이를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살충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입팬 및 상기 분쇄팬은 충전부에 연결된 직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분쇄팬의 직경보다 더 크며, 상기 덕트는 상기 분쇄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호퍼 형상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살충 장치는 상기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상기 해충의 밀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상기 해충의 밀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포충등 또는 상기 살충부가 구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포충등은, 직류 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것으로, DC 3파장등, BLB(Black Light Bulb),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의 상측에 덮개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살충 장치는,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하여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가 구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살충 장치는,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충전 전압이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충전부의 방전을 차단하는 보호 회로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 회로부는, 제1 충전부 연결 단자 또는 제2 충전부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감시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이 상기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검출 소자와, 상기 전압 검출 소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의 충전 동작을 차단하는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외부 연결 단자 및 제2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하여 상기 충전부의 전원이 방전되고,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1 충전부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외부 연결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제2 충전부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연 결 단자 사이에 설치된 MOSFET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 상측에 마련된 덮개 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살충 장치에 따르면, 흡입팬의 공기 유동에 의하여 포충등 주변에 모여든 해충이 즉시 덕트로 흡입되므로 고열을 발생하는 포충등에 해충이 들러붙어 포충등에 고장을 발생할 염려가 없고, 해충을 포집한 후 해충의 탈출을 저지하는 포집망이 필요없으므로 해충의 부패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포집망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며, 일반 가정용 교류 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인버터가 불필요하여 구동 회로가 단순화되고,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되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도 얼마든지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의 살충부(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형으로 제작한 살충 장치의 상단부를 촬영한 실제 사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살충 장치는 포충등(110)과 살충부(200)를 구비한다.
포충등(110)은 광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한다. 포충등(110)은 DC 3파장등, BLB(Black Light Bulb),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에 백열등 및 형광등도 가능하지만 소비 전력이 적으면서 해충의 유인에 적합한 파장의 광을 방사할 수 있는 광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충 장치는 전원 공급이 되지 않는 오지에도 설치 가능한 것이 특징이므로 충전부(300)에 직결되며 직류 전원을 그대로 공급하였을 때 광을 발생하는 포충등(110)이 설치된다.
살충부(200)는 포충등(11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포충등(110) 주변에 해충을 흡입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한다. 따라서, 포충등(110)으로 유인된 해충이 포충등(110)에 직접 충돌됨으로써 포충등(110)의 발광 성능이 저하되거나, 포충등(110)에 들러붙은 해충의 잔해로 인하여 포충등(110)이 과열되어 고장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살충부(200)는 포충들에 접근한 해충을 흡입하는 한편,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여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망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포획망 설치시 예상되는 해충 잔해물의 부패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획망의 장시간 사용시 포획망이 파손되어 해충의 포획 성능이 떨 어질 염려가 없다.
이를 위하여 살충부(200)는 포충등(110)에 접근한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팬(210)과, 흡입팬(210)으로부터 분쇄팬(220)에 이르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230)와,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여 덕트(230)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팬(220)을 구비한다. 분쇄팬(220)은 덕트(230)의 단부에 설치되어 해충을 분쇄하면서 덕트(230) 외부로 배출한다. 분쇄팬(220)에 의하여 미세한 조각으로 분쇄된 해충은 미풍이 불어도 주변으로 분산됨은 물론 자연 분해성이 향상되므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입팬(210)의 직경은 250mm이며, 분쇄팬(220)의 직경은 60~80mm로서, 흡입팬(210)의 직경(D1)은 분쇄팬(220)의 직경(D2)보다 더 큰 것이 해충의 흡입에 유리하며, 분쇄팬(220)의 직경이 흡입팬(210)보다 작을수록 흡입된 해충을 좁은 면적에 집중시킬 수 있어 향상된 분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공기의 배출 성능도 고려하여 흡입팬(210) 및 분쇄팬(220)의 적절한 직경비를 최적화시킨다.
이에 따라 덕트(230)는 분쇄팬(22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호퍼(hoppe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된 해충은 덕트(230)의 벽면은 물론 단면적이 감소되는 덕트(230)의 경사면(232)에 충돌됨으로써 살충된다. 경사면(232)의 경사각(θ)은 공기의 흐름 및 경사면(232)에 충돌되는 해충의 빈도수에 따라 최적화된다.
포충등(110)과 마찬가지로 외부 전원이 불가능한 지역에도 살충 장치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흡입팬(210) 및 분쇄팬(220)은 충전부(300)에서 직접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입팬(210)을 구동하는 흡입팬 모터(212)와 분쇄팬(220)을 구동하는 분쇄팬 모터(222)가 마련된다. 흡입팬 모터(212) 및 분쇄팬 모터(222)는 직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직류 모터로서, 예를 들어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BLDC 모터는 팬과 모터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팬의 중앙에 모터가 직결되어 있으므로 모터 및 팬에 이르는 동력 전달부가 생략되어 고효율 및 슬림화를 이룰 수 있으며, 팬 중앙부의 모터에 볼 베어링이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축계의 내마모성이 강한 것이 장점이다.
한편, 충전부(300)에 의하여 동작되는 살충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포충등(110) 또는 살충부(200)는 해충의 밀도가 설정값 이상일 때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해충의 밀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00)가 마련된다.
센서부(7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덕트(230)의 내부에 광센서(710)가 설치되며 광센서(710)는 덕트(230)의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에 광을 입출하며 회수되는 광량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해충의 존재 여부 및 해충의 밀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포충등(11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여 해충의 존재 여부 및 해충의 밀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00)도 가능하다.
살충 장치는 야외에 설치되므로 포충등(110) 및 살충부(200)를 우천으로부터 보호하고 포충등(110)에서 방사되는 광이 산란되지 않고 주위에 집중될 수 있도록 덮개(1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전부(400)는 태양광 또는 바람이 차단되지 않도록 덮개(120)의 상측에 마련된다.
한편, 살충 장치는 가정용 교류 전원 또는 공장용 교류 전원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지만, 설치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도록 발전부(400) 및 충전부(3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부(400)는 태양광에 의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410)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410)을 구비한다. 충전부(300)는 발전부(400)에서 생성한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것으로 발전부(400) 또는 충전부(3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하여 포충등(110) 및 살충부(200)가 구동된다.
이때, 충전부(300)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충전부(300)의 전압이 과다하게 낮아졌을 때 방전을 중단함으로써 충전부(300)를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보호 회로부(600)가 마련되는 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 회로부(600)를 이해할 수 있다.
보호 회로부(600)는 충전부(300)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며, 충전 전압이 상한값 이상이면 충전부(300)의 충전을 차단하여 충전부(300)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고, 충전 전압이 하한값 이하이면 충전부(300)의 방전을 차단하여 충전부(30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보호 회로부(600)는, 전압 검출 소자와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다. 전압 검출 소자는 제1 충전부(300) 연결 단자 또는 제2 충전부(300) 연결 단자를 통해 충전 부(300)의 충전 전압을 감시하고 충전부(300)의 충전 전압이 상한값 이상인 경우 스위칭 회로를 동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를 전압 검출 소자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부(300)의 충전 동작을 차단한다.
제1 외부 연결 단자 및 제2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하여 충전부(300)의 전원이 흡입팬(210), 분쇄팬(220), 포충등(110)으로 방전된다.
스위칭 회로는, 제1 충전부(300) 연결 단자 및 제1 외부 연결 단자 사이 또는 제2 충전부(300) 연결 단자 및 제2 외부 연결 단자 사이에 설치된 MOSFET을 구비함으로써 스위칭 작용을 한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충전부(300)에 연결되는 제1 충전부(300) 연결 단자(10) 및 제2 충전부(300) 연결 단자(10')와, 발전부(400)에 연결되는 제1 외부 연결 단자(20) 및 제2 외부 연결 단자(20') 사이에 전압 검출 소자(610) 및 스위칭 회로(620)가 마련된다. 역류 방지 다이오드(690)는 충전부(300)의 전원이 발전부(4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전압 검출 소자(610)는 제1 충전부(300) 연결 단자(10) 및 제2 충전부(300) 연결 단자(10')를 통해 충전부(300)의 충전 전압을 감시하고, 충전부(300)의 충전 전압이 상한값 이상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전압 검출 소자(610)로서 Voltage Detector IC 또는 Reset IC 등을 사용한다.
상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스위칭 회로(620)에 구성된 스위칭 소자의 종류에 따라 High 또는 Low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스위칭 회로(620)는 전압 검 출 소자(6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부(300)의 충전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서는 제2 충전부(300) 연결 단자(10')와 제2 외부 연결 단자(20') 사이에 N Channel MOSFET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압 검출 소자(6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High일 경우, N Channel MOSFET이 온(on) 상태가 되어 충전부(300)를 충전하게 되고, 전압 검출 소자(6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Low일 경우, N Channel MOSFET이 오프(off) 상태가 되어 충전부(300)의 충전을 중단하게 된다. 즉, 전압 검출 소자(610)는 충전부(300)의 양단 전압이 과충전되어 상한값 이상일 경우, Low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 회로(620)의 N Channel MOSFET을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유사한 원리로 보호 회로부(600)는 과방전 방지부(6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충전부(300)의 충전 전압이 하한값 이하이면 흡입팬(210), 분쇄팬(220), 포충등(110)을 향한 충전부(300)의 방전을 차단함으로써 과방전에 의한 충전부(300)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의 살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살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형으로 제작한 살충 장치의 상단부를 촬영한 실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호의 설명>
110...포충등 120...덮개
200...살충부 210...흡입팬
212...흡입팬 모터 220...분쇄팬
222...분쇄팬 모터 230...덕트(duct)
232...경사면 300...충전부
400...발전부 410...태양광 발전 모듈
420...풍력 발전 모듈 600...보호 회로부
610...전압 검출 소자 620...스위칭 회로
670...과방전 방지부 690...역류 방지 다이오드
700...센서부 710...광센서

Claims (12)

  1. 광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등;
    상기 포충등에 접근한 해충을 흡입하고 이를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살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부는,
    상기 해충을 흡입하는 공기 유동을 상기 포충등 주위에 생성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된 해충을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 및 상기 분쇄팬은 충전부에 연결된 직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분쇄팬의 직경보다 더 크며,
    상기 덕트는 상기 분쇄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호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상기 해충의 밀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상기 해충의 밀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포충등 또는 상기 살충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등은, 직류 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것으로, DC 3파장등, BLB(Black Light Bulb),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의 상측에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성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하여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충전 전압이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하한값 이하이면 상기 충전부의 방전을 차단하는 보호 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부는,
    제1 충전부 연결 단자 또는 제2 충전부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부의 충 전 전압을 감시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이 상기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검출 소자와,
    상기 전압 검출 소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의 충전 동작을 차단하는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1 충전부 연결 단자 및 제1 외부 연결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제2 충전부 연결 단자 및 제2 외부 연결 단자 사이에 설치된 MOSFE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포충등 및 상기 살충부의 상측에 마련된 덮개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KR1020090045751A 2009-05-26 2009-05-26 살충 장치 KR10104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751A KR101049293B1 (ko) 2009-05-26 2009-05-26 살충 장치
PCT/KR2009/004297 WO2010137767A1 (ko) 2009-05-26 2009-07-31 살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751A KR101049293B1 (ko) 2009-05-26 2009-05-26 살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49A true KR20100127349A (ko) 2010-12-06
KR101049293B1 KR101049293B1 (ko) 2011-07-14

Family

ID=4350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751A KR101049293B1 (ko) 2009-05-26 2009-05-26 살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24A1 (ko) * 2013-10-18 2015-04-2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56B1 (ko) 2012-09-07 2013-02-13 함정식 해충 포집장치
KR101479066B1 (ko) * 2014-01-27 2015-0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KR200478317Y1 (ko) 2014-03-21 2015-09-17 박순기 모기 퇴치 시스템
KR102342385B1 (ko) 2019-12-12 2021-12-23 대한민국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289A (ko) * 2003-07-18 2005-01-27 차정선 해충 포집장치
KR100673029B1 (ko) * 2004-05-28 2007-01-24 이용길 해충사멸장치
KR100691360B1 (ko) * 2005-03-18 2007-03-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100685009B1 (ko) 2006-04-05 2007-02-22 김종헌 해충 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24A1 (ko) * 2013-10-18 2015-04-2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293B1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670B1 (ko)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KR20110069608A (ko) Dc방식 해충 포획기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WO2010137767A1 (ko) 살충 장치
KR101053432B1 (ko)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KR101049293B1 (ko) 살충 장치
KR101098866B1 (ko) 포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US20070144056A1 (en) Insect Erradication Apparatus
CN104094910A (zh) 一种智能连续灭虫器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160027835A (ko) 해충 포획 장치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CN203378428U (zh) 一种引诱型吸入式双效农用灭虫装置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9548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전원제어 비래해충 포충장치
EP3461332A1 (en) Insect monitoring trap
KR101249542B1 (ko) 강우 센서를 포함한 dc방식 해충 포획기
KR101068608B1 (ko)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