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85B1 -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 Google Patents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85B1
KR102342385B1 KR1020190165739A KR20190165739A KR102342385B1 KR 102342385 B1 KR102342385 B1 KR 102342385B1 KR 1020190165739 A KR1020190165739 A KR 1020190165739A KR 20190165739 A KR20190165739 A KR 20190165739A KR 102342385 B1 KR102342385 B1 KR 10234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odule
emitting body
mo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268A (ko
Inventor
이휘종
윤영남
장윤우
정태욱
배순도
박신찬
박성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유인 트랩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탱크(11)와, 상기 포집탱크(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12)를 포함한 포집모듈(10); 상기 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발광체(21)가 구비된 발광모듈(20); 상기 발광모듈(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전지셀(321)을 포함한 발전모듈(30); 및 상기 발전모듈(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돔형상의 보호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20)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서포트(22); 저면에 상기 발광체(21)가 배치되는 고정부(232)가 형성된 플레이트(23); 및 상기 서포트(22)의 상단을 잇는 상기 플레이트(23)에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발전모듈(30)이 안치되는 안치부(231)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22)와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21)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24)을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Pest attracting trap using light}
본 발명은 해충 유인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해충을 유인하는데 있어 다양한 파장을 제공할 수 있는 발광체를 포함하여 단일 해충 유인 트랩으로 다양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해충 유인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농가에서는 해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빈번히 일어나기 때문에 예찰 및 방제를 위해 해충 트랩의 사용이 필수적이었다.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충 트랩들은 페로몬을 포함하는 유인 용액을 이용해 해충을 유인하는 방법과 해충이 좋아하는 광을 이용해 유인하는 방법에 의한 해충 트랩이 대중적이었다.
예찰과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트랩은 총채벌레, 진딧물, 가루이 등 미소곤충을 대상으로 하는 평판 또는 롤형 끈끈이 트랩과 특정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를 활용한 트랩(펀넬형, 윙형, 기타 포획형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사 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농장, 즉, 스마트 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예찰과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트랩도 스마트팜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특허 공보를 살펴본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인 제20-0404550호는 빛 유인식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전후면이 각각 트여진 형상을 갖고 양측면 기둥 내측면에는 소켓들이 각각 설치된 본체와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정 파장의 빛을 통해 조명 및 날벌레를 유인하는 UV A램프를 포함하는 빛 유인식 포충기가 개시되나, 파장을 세분화하여 제어 가능한 램프를 포함하는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어서 해충의 유인 및 포집 효율이 낮을 것이다.
KR 10-0984847 B1 KR 20-2016-0001863 U KR 10-1322341 B1 KR 10-1393105 B1 KR 10-104929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파장의 조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서 단일 트랩으로 다양한 해충을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해충에 따라 발광체의 파장을 제어하여 다양한 해충에 대한 해충 트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은 스마트팜과 연결되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원거리에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탱크(11)와, 상기 포집탱크(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12)를 포함한 포집모듈(10); 상기 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발광체(21)가 구비된 발광모듈(20); 상기 발광모듈(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전지셀(321)을 포함한 발전모듈(30); 및 상기 발전모듈(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돔형상의 보호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20)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서포트(22); 저면에 상기 발광체(21)가 배치되는 고정부(232)가 형성된 플레이트(23); 및 상기 서포트(22)의 상단을 잇는 상기 플레이트(23)에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발전모듈(30)이 안치되는 안치부(231)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22)와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21)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24)을 포함하는 해충 트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21)는 LED이며, 각각 미리 설정된 파장범위를 가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조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랩은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상기 발광체(21)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어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320 이상 40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290 이상 32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100 이상 28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 모듈(10)은, 상기 바디(12)에 형성되며 공간(121)을 갖도록 중심부(126)로 연장되는 연장부(125); 및 상기 중심부(126)와 중심축을 공유하는 다수의 날개를 가진 회전체(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 모듈(10)은, 상기 바디(1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진 채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다리(122); 상기 고정다리(122)의 말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발(123); 및 상기 고정발(123) 상에 위치하며 나사체결 가능한 고정홈(1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태양광 전지셀(321)이 안착되는 안착부 베이스(311); 및 상기 플레이트(23)와 상기 안착부 베이스(311)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되 하측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안착부 베이스(311)의 저면 외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 서포트(312);를 구비하는 안착부(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플레이트(23) 상에 위치하는 체결부(34)와 나사(313)에 의해 상기 발광모듈(20)에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안치부(231)와 상기 안착부(31) 사이에 수납되는 배터리(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33)에 상기 태양광 전지셀(321)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저장되며, 상기 배터리(33)에 저장된 전기에 의해 상기 발광체(21)에 전원 및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에 의해, 주광성 특성을 가진 다종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주광원과 보조광원인 백라이트를 이용해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어서, 단일의 해충 트랩으로 다양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해충에 따라 유인용 조명의 파장을 교호 또는 동시에 점등되어 동시에 다양한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은 스마트팜과 연결되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원거리에서 제어되어, 다양한 모드로 발광체를 제어하여 발광시키고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범위 및 확산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광확산층이 구비되어 해충 유인율이 상승된다.
또한, 흡입팬 등에 제공하는 전기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주간에 발전된 전기를 저장한 후 야간에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때는 태양광의 입사가 풍부한 위치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사용 시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설치 환경의 제약이 없어 활용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의 포집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의 발광모듈의 사시도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a)의 A부분과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의 발전모듈 및 보호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은 포집모듈(10), 발광모듈(20), 발전모듈(30), 및 보호모듈(4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집모듈(10)을 설명한다.
포집모듈(10)은 포집탱크(11), 바디(12) 및 가이드부(13)를 포함한다.
포집탱크(11)는 유인된 해충을 포집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바디(12)를 통과하고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어 포집탱크(11)로 포집되는 것이다.
바디(12)는 포집탱크(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포집탱크(11)는 바디(12)의 하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12)를 통과한 해충이 포집탱크(11)로 포집된다.
바디(12)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바디(12)는 유인된 해충이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어 포집탱크(11)에 포집될 수 있는 공간(121)을 갖도록 중심부(126)로 연장되는 연장부(125)가 형성된다.
중심부(126)와 중심축을 공유하는 다수의 날개를 가진 회전체(14)를 포함하여, 해충 트랩으로 유인된 해충을 포집탱크(11) 및 가이드부(13)로 끌어 들이게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집 모듈(10)은 다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 모듈은 다수의 고정다리(122), 고정발(123) 및 고정발(123)에 형성되는 고정홈(124)을 포함한다.
고정다리(122)는 다수개로 바디(1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진 채 하방으로 연장된다.
고정발(123)은 고정다리(122)의 말단에 각각 위치한다.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정홈(124)은 고정발(123) 상에 각각 위치하며 나사체결 가능하다. 나사 또는 못에 의해 해충 트랩이 위치하는 바닥 또는 흙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모듈(20)을 설명한다.
발광모듈(20)는 발광체(21)와 발광체(21)를 저면에 결합시키는 플레이트(23)와 플레이트(23)의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서포트(22)를 포함한다.
발광체(21)는 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점등한다.
발광체(21)는 LED이며, 각각 미리 설정된 파장범위를 가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조사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발광체(21)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는 발광체(21)가 320 이상 40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제2 모드는 발광체(21)가 290 이상 32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제3 모드는 발광체(21)가 100 이상 28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한다. UVA(ultraviolet A), UVB(ultraviolet B) 또는 UVC(ultraviolet C)로 세분화된 파장을 조사함으로써 각각의 파장에 반응하는 다종의 해충을 하나의 트랩으로 유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체(21)를 보조광원으로 사용하고, 주광성 특성을 가진 주광원을 발광모듈(20)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동시에 외부로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서포트(22)는 플레이트(23)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플레이트(23)는 서포트(22)의 상단을 잇는 플레이트이며, 상부에 안치부(231)를 포함하고 저면에 고정부(232)가 형성된다.
저면 중심부에 발광체(21)가 배치되는 고정부(232)가 형성된다. 고정부(232)에 의해 발광체(21)가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안치부(231)는 상부에 발전모듈(30)이 안치된다.
광확산층(24)은 서포트(22)와 플레이트(23)에 형성되어 발광체(21)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킨다. 광확산층(24)에 의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범위 및 확산 길이가 증가되어 해충 유인율이 상승된다.
다음으로,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모듈(30) 및 보호모듈(40)을 설명한다.
발전모듈(30)은 안착부(31), 전지셀 수납부(32), 배터리(33), 체결부(34) 및 모듈 체결홈(35)을 포함한다.
안착부(31)는 안착부 베이스(311) 및 간격유지 서포트(312)를 포함한다.
안착부 베이스(311)에 태양광 전지셀(321)이 구비된 전지셀 수납부(32)가 안착된다.
간격유지 서포트(312)는 플레이트(23)와 안착부 베이스(311)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되 하측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안착부 베이스(311)의 저면 외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전지셀 수납부(32)는 발광모듈(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안착부(31)의 안착부 베이스(311)에 태양광 전지셀(321)을 구비한 채 수납된다.
태양광 전지셀(321)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를 생성하며 생성한 전기를 배터리(33)에 저장한다.
배터리(33)는 안치부(231)와 안착부(31) 사이에 수납되며, 태양광 전지셀(321)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저장된다.
배터리(33)는 안치부(231)에 안치된 채 안착부(31)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할 것이다.
배터리(33)에 저장된 전기에 의해 해충 트랩의 전력 장치들의 전원 및 신호가 인가될 것이다. 해충 트랩의 전력 장치들을 예를 들면 발광체(21), 회전체(14) 등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에 포함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들이라면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외부 전원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인 트랩이 사용 가능해져, 사용 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설치 환경의 제약이 없어 활용도가 높다.
체결부(34)는 플레이트(23) 상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치부(231)와 이격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단에 나사(313)를 구비시킨다.
체결부(34)의 나사(313)에 의해 발광모듈(20)에 발전모듈(30)이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보호모듈(40)은 발전모듈(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돔형상의 케이스로, 돔형상 내측으로 발전모듈(30)의 구성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포집모듈
11: 포집탱크
12: 바디
121: 공간
122: 고정다리
123: 고정발
124: 고정홈
125: 연장부
126: 중심부
13: 가이드부
14: 회전부
141: 회전모터
20: 발광모듈
21: 발광체
22: 서포트
221: 이격 공간
23: 플레이트
231: 안치부
232: 고정부
24: 광 확산층
30: 발전모듈
31: 안착부
311: 안착부 베이스
312: 간격유지 서포트
313: 나사
32: 전지셀 수납부
321: 태양광 전지셀
33: 배터리
34: 체결부
35: 체결홈
40: 보호모듈

Claims (7)

  1.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탱크(11)와, 상기 포집탱크(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12)를 포함한 포집모듈(10);
    상기 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발광체(21)가 구비된 발광모듈(20);
    상기 발광모듈(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전지셀(321)을 포함한 발전모듈(30); 및
    상기 발전모듈(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돔형상의 보호모듈(40)을 포함하는 트랩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20)은,
    상기 포집모듈(10)의 상부 면에서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되,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서포트(22);
    상기 서포트(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저면에 상기 발광체(21)가 배치되는 고정부(232)가 형성된 플레이트(23);
    상기 서포트(22)의 상단을 잇는 상기 플레이트(23)에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발전모듈(30)이 안치되는 안치부(231);
    상기 고정부(232)를 둘러싸는 원통형 하우징; 및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부에 연결되며, 외측면은 상기 플레이트(23)로부터 상기 포집모듈(10)을 향해 연장되되 다수개의 이격 공간(22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이격 공간(221)은 상기 서포트(22)가 없는 부분으로 이를 통해 해충이 유입되며, 그리고 상기 이격 공간(221)을 통해 상기 발광체(21)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어 해충을 유인함과 동시에, 상기 이격 공간(221)이 없는 부분으로서 상기 외측면에 의해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 막힌 부분에서도 상기 발광체(21)의 빛의 확산 범위 및 확산 길이가 증가되어 외부로 조사되도록 상기 서포트(22)와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되는 광확산층(24)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21)는 각각 미리 설정된 파장범위를 가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조사 가능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320 이상 40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290 이상 32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발광체(21)가 100 이상 280 미만의 나노미터(nm)의 파장을 조사하고,
    상기 발광체(21)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어되어 교호 점등되는,
    해충 유인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21)는 LED인,
    해충 유인 트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해충 유인 트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모듈(10)은,
    상기 바디(12)에 형성되며 공간(121)을 갖도록 중심부(126)로 연장되는 연장부(125); 및
    상기 중심부(126)와 중심축을 공유하는 다수의 날개를 가진 회전체(14)를 더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모듈(10)은,
    상기 바디(12)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진 채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다리(122);
    상기 고정다리(122)의 말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발(123); 및
    상기 고정발(123) 상에 위치하며 나사체결 가능한 고정홈(124);을 더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태양광 전지셀(321)이 안착되는 안착부 베이스(311); 및
    상기 플레이트(23)와 상기 안착부 베이스(311)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되 하측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안착부 베이스(311)의 저면 외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 서포트(312);를 구비하는 안착부(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플레이트(23) 상에 위치하는 체결부(34)와 나사(313)에 의해 상기 발광모듈(20)에 체결 고정되는,
    해충 유인 트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30)은,
    상기 안치부(231)와 상기 안착부(31) 사이에 수납되는 배터리(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33)에 상기 태양광 전지셀(321)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저장되며,
    상기 배터리(33)에 저장된 전기에 의해 상기 발광체(21)에 전원 및 신호가 인가되는,
    해충 유인 트랩.
KR1020190165739A 2019-12-12 2019-12-12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KR10234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39A KR102342385B1 (ko) 2019-12-12 2019-12-12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39A KR102342385B1 (ko) 2019-12-12 2019-12-12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68A KR20210075268A (ko) 2021-06-23
KR102342385B1 true KR102342385B1 (ko) 2021-12-23

Family

ID=765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739A KR102342385B1 (ko) 2019-12-12 2019-12-12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60B1 (ko) * 2005-03-18 2007-03-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
JP2010279254A (ja) 2009-06-02 2010-12-16 Minoru Industrial Co Ltd 捕虫器
KR102049286B1 (ko) * 2018-09-20 2019-11-27 (주)그린파즈 해충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47B1 (ko) 2008-04-25 2010-10-01 주식회사 지티 전기 충격 살충기
KR101049293B1 (ko) 2009-05-26 2011-07-14 박지웅 살충 장치
KR200456854Y1 (ko) * 2010-01-16 2011-11-23 (주)링크옵틱스 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322341B1 (ko) 2011-12-19 2013-10-28 대한민국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101393105B1 (ko) 2012-09-17 2014-05-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0473843Y1 (ko) * 2012-12-03 2014-08-07 전자부품연구원 Led 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포집 장치
KR20160001863U (ko) 2014-11-22 2016-06-01 안상준 Uv led 포충기 및 이를 이용한 uv led 광고용포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60B1 (ko) * 2005-03-18 2007-03-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
JP2010279254A (ja) 2009-06-02 2010-12-16 Minoru Industrial Co Ltd 捕虫器
KR102049286B1 (ko) * 2018-09-20 2019-11-27 (주)그린파즈 해충 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68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103B2 (ja) 飛翔昆虫を誘引し捕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482311B1 (ko) 점착형 포충기
EP2401912B1 (en) Destructive insect-controlling device
WO2009089828A1 (de) Bekämpfungsvorrichtung für fluginsekten
US20240090491A1 (en) Arthropod trapping device
KR101545083B1 (ko) 휴대용 전자 살충기
JP2019162051A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KR102342385B1 (ko) 발광체를 이용하는 해충 유인 트랩
KR20080087486A (ko) 해충 포획장치
JP2013165679A (ja) 捕虫器用シート保持体および同捕虫器用シート保持体を備えた捕虫器
KR102545507B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102211482B1 (ko) 포충기
JP5213255B2 (ja) 害虫防除装置
JP6381558B2 (ja) 防虫灯
JP3589114B2 (ja) 殺虫装置
KR101152776B1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KR20230088128A (ko) 자동 포집모듈을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
KR20080087485A (ko) 해충 포획장치
JP5129768B2 (ja) 害虫防除装置
JP2004081100A (ja) 植物育成貯蔵装置
KR102536909B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20230001876U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 해충 퇴치기
JP2002065136A (ja) 捕虫装置
CN110999882A (zh) 蔬菜种植物理杀虫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