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66B1 -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66B1
KR101479066B1 KR1020140009666A KR20140009666A KR101479066B1 KR 101479066 B1 KR101479066 B1 KR 101479066B1 KR 1020140009666 A KR1020140009666 A KR 1020140009666A KR 20140009666 A KR20140009666 A KR 20140009666A KR 101479066 B1 KR101479066 B1 KR 10147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nitoring
pest
attracting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재
조기종
김동건
백민정
유재승
유동식
정롱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1통신모듈과, 위생해충을 포집하여 개체 수를 계수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의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제2통신모듈이 수신한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되어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모듈을 포함하는 포획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Pes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장치의 위생해충 계수 결과에 따라 포획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로부터 최근까지도 인류는 모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위생해충에 의한 피해를 입고 있으며, 위생해충은 그 개체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방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종래의 경우, 공공기관 등의 기관에서 위생해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점, 또는 위생해충 다량 발생에 의해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지역에 직접 방문하여 해충을 포획하거나 약제 살포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법은 일시적인 효과를 보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약제 살포 시 주민들의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가 심하며, 이에 대한 비용이 크게 낭비되고 있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 설치 가능한 위생해충 방제기가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위생해충 방제기가 설치되어 있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정확한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고객 또는 방제를 담당하는 방제 직원이 상기 해충 방제기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상기 해충 방제기를 순찰, 점검, 수리 및 교체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방제기가 방치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 역시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여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247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위생해충의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지속성이 뛰어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력 및 비용의 소요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위생해충 발생량에 따라 방제를 수행할 수 있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1통신모듈과, 위생해충을 포집하여 개체 수를 계수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의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제2통신모듈이 수신한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되어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모듈을 포함하는 포획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를 수신하고,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획모듈에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모듈은, 위생해충 유인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유인물질을 확산시키는 유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유인물질에 접촉된 심지, 상기 심지의 타측을 점화시키는 점화수단 및 상기 심지의 타측에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커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장치는, 상기 유인부에 유인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모듈은, 내부에 상기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유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유인물질을 상기 유인부로 전달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유인물질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유인물질의 수위가 일정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경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모듈은, 일측에 위생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에 구비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팬은 상기 포획부로 유입되는 위생해충을 분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포획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상기 포획장치의 작동중지지시를 포함하는 제2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2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미만 제2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기 설정된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에 대응되는 구동값에 따른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는 제3제어명령을 상기 포획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상기 제3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구동값에 따라 작동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포획장치의 작동중지지시를 포함하는 제2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제2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미만 제2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에 대응되는 구동값에 따른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는 제3제어명령을 상기 포획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획장치가 상기 제3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구동값에 따라 작동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기준시간 내에 제2기준값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상기 관제서버에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넓은 영역에 걸쳐 위생해충의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지속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위생해충의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방제 또는 발생량 이상의 과도한 방제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작업자가 투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인력 및 비용의 소요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장비의 상태 역시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장치에 구비된 모니터링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에 구비된 포획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모듈에 구비된 유인부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에 구비된 공급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의 포획 범위에 따른 설치 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 있어 대상이 되는 위생해충은 모기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모기 외에 다양한 위생해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100), 포획장치(200) 및 관제서버(10)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100)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1통신모듈과, 위생해충을 포집하여 개체 수를 계수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한다. 즉 모니터링모듈은 위생해충을 포집하며 개체 수를 지속적으로 계수하고, 이를 제1통신모듈로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포획장치(200)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100)의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제2통신모듈이 수신한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되어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모듈을 포함한다. 즉 포획모듈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제2통신모듈이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포획모듈은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의 포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장치(200)는 상기 모니터링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직접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를 위한 관제서버(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관제서버(10)는 상기 모니터링장치(100)로부터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를 수신하고,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20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관제서버(10)는 모니터링장치(100)의 제1통신모듈과 통신을 통해 계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포획장치(200)의 제2통신모듈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관제서버(10)는 모니터링장치(100)에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포획장치(200)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생해충의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방제 또는 발생량 이상의 과도한 방제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장치(100), 포획장치(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관제서버(10) 역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 간의 보다 자세한 통신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먼저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장치에 구비된 모니터링모듈(105)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모듈(105)은 위생해충을 포집 및 계수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니터링모듈(105)은 유입부(110)와, 포집부(120)와, 계수부(130)와, 회전팬(1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110)는 위생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경로를 가지며, 유입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120)는 상기 유입부(110)와 연통되어 위생해충을 포집하는 구성요소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포집부(120)의 입구는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입구 후방에는 포집망이 설치된 형태를 가지므로 포집된 위생해충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계수부(130)는 유입부(110)의 유입경로 상에 설치되며, 적외선, 초음파 등 다양한 감지센서의 형태로 형성되어 통과하는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팬(140)은 유입부(110)로부터 포집부(120) 측으로 흡기류를 발생시켜 위생해충이 상기 포집부(120)에 유입되도록 하며, 모니터링모듈(105)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160)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한편 유입구(112) 부근에는 위생해충 유인물질을 발생시키는 분사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152)는 모니터링모듈(105) 내측에 구비된 유인물질 수용부(150)와 연결되어 유입구(112) 측에 유인물질을 발생시키고, 위생해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인물질은 대상이 되는 위생해충에 따라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상 위생해충이 모기인 경우, 이산화탄소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유인물질뿐 아니라 조명 등 주광성이 있는 위생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통신모듈(170)은 상기 모니터링모듈(105)의 일측에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는 상기 계수부(130)에 의해 계수된 위생해충의 정보를 관제서버 측에 송신하거나, 또는 포획장치 측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모듈(105)은 위생해충을 포집하여 개체 수를 계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이며, 모니터링모듈(105)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2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장치(200)는 위생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모듈(300)과, 이를 보조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포획장치(200)는 포획모듈(300) 외에 태양광발전모듈(500) 및 공급모듈(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장치(200)의 둘레에는 펜스(210)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위생해충의 유입은 지장받지 않으면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펜스(210)의 일측에는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2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펜스(210)는 포획장치(200)뿐 아니라 전술한 모니터링장치 측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태양광발전모듈(50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이를 포획모듈(300) 및 공급모듈(400) 측에 공급할 수 있다. 포획장치(200)는 이와 같이 태양광발전모듈(5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장기에 걸쳐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태양광발전모듈(500)은 축전부(510)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부(510)는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 상태로 포획모듈(300)이 가동될 경우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모기 등의 위생해충은 일반적으로 야행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축전부(510)는 낮에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밤에는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포획모듈(300)이 가동될 경우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500)은 펜스(210)의 상부에 구비된 형태를 가져 태양광을 용이하게 집광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발전모듈(500)이 구비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시전원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태양광발전모듈(500)의 발전량이 소비되는 전기량보다 적은 경우, 보조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에 구비된 포획모듈(3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모듈(300)은 포획부(310)와, 유인부(340)와, 흡입팬(320)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310)는 일측에 위생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312)가 형성되고,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포획부(310)는 내부에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공간을 가지며, 유입구(312)는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위생해충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흡입팬(312)은 상기 포획부(310)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위생해충을 포획부(310)에 유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팬(312)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후술할 배출구(332)로 송풍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유인부(340)에서 발생되는 유인물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320)은 상기 포획부(310)로 유입되는 위생해충을 분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포획된 위생해충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장기에 걸쳐 포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획모듈(300)에는 전술한 제2통신모듈(360)이 구비되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통신모듈(360)은 포획모듈(30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인부(340)는 위생해충 유인물질(ℓ)이 수용되며, 상기 유인물질을 확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유인물질(ℓ)은 수용공간(341) 내에 수용되며, 특히 유인부(340)는 공급모듈의 공급부(440)를 통해 유인물질(ℓ)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포획모듈(300)은 상기 유인부(340)와 상기 포획부(310)가 수용되고, 상부에 배출구(332)가 형성된 외부하우징(3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입구(312)를 통해 포획부(310)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팬(320)에 의해 외부하우징(330)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되고, 유인부(340)에서 발생되는 유인물질(ℓ)과 함께 배출구(33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332)는 유입구(312)와 인접하게 구비되므로, 위생해충이 유입구(312) 측으로 유인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모듈에 구비된 유인부(34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인부(340)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41)이 형성된 케이스(342)와,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341)의 유인물질에 접촉된 심지(344)와, 상기 심지(344)의 타측을 점화시키는 점화수단(345)과, 상기 심지의(344) 타측에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점화수단(345)은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되어 심지(344)에 불을 붙이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341)의 유인물질은 기체 형태로 확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 위생해충은 모기로서, 상기 유인물질은 탄화수소의 형태로 구비되며, 케이스(342)의 개방된 입구 측에 구비된 촉매(c)와 반응하여 모기에 대한 유인물질인 이산화탄소, 수증기 및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케이스(342)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342)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커버(343)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3) 역시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에 구비된 공급모듈(4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는 공급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모듈(400)은 전술한 유인부에 유인물질(ℓ)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모듈(400)은 내부에 상기 유인물질(ℓ)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410)과,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유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유인물질(ℓ)을 상기 유인부로 전달하는 공급부(440)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유인물질(ℓ)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인물질(ℓ)의 수위가 일정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전술한 제 제2통신모듈은 경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관제서버에 경보를 송신하게 되며, 관제서버를 통해 경보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공급모듈(400)에 유인물질(ℓ)을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모듈(400)의 하우징(410)의 상부에는 유인물질(ℓ)을 보충할 수 있는 개구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부(440)에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4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400)은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구획된 형태일 수도 있다. 즉 유인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 이를 분할하여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2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200)는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위생해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이며, 포획장치(200)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포획장치(200)의 포획 범위에 따른 설치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장치(200)의 유효 포획 반경(r)에 따라 포획장치(20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포획장치(200)의 포획 반경(r)과, 포획장치(200) 및 모니터링장치(100)의 이격 거리(d)가 일치되도록 하여 해당 지역 내에 최소의 포획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포획장치(200)의 포획 반경(r)보다 포획장치(200) 및 모니터링장치(100)의 이격 거리(d)를 짧게 하여 포획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이용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 포획장치 및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S10)가 수행되며, 이어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상기 제1기준값이라 함은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 시간 당 포집된 개체 수가 일정 이상인 경우로서, 포획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조건이 되는 값을 말한다. 또한 제1제어명령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며, 작동시작지시 외에도 추가적인 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S10) 및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관제서버에 계수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20)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계수 결과의 변화에 따라 이후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포획장치의 작동중지지시를 포함하는 제2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0-1)와, 상기 포획장치가 제2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S60-1)가 수행된다.
상기 제2기준값이라 함은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 시간 당 포집된 개체 수가 일정 이하인 경우로서, 포획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조건이 되는 값을 말한다. 즉 위생해충의 시간 당 포집된 개체 수가 일정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방제가 일정 수준 이상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포획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명령은 포획장치의 작동중지지시를 포함하며, 작동중지지시 외에도 추가적인 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미만 제2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에 대응되는 구동값에 따른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는 제3제어명령을 상기 포획장치에 송신하는 단계(S50-2)와, 상기 포획장치가 상기 제3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구동값에 따라 작동 변경하는 단계(S60-2)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 경우, 포획장치가 해당 계수 결과와 대응되는 구동값으로 작동하도록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는 제3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즉 포획장치는 현재 위생해충의 발생 정도에 대응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술한 포획모듈에서 흡입팬의 속도, 유인물질의 발생량 등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제어명령은 포획장치의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며, 작동변경지시 외에도 추가적인 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기준시간 내에 제2기준값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상기 관제서버에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S50-3)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포획장치를 지속적으로 가동하였으나 위생해충의 시간 당 개체 수가 줄어들지 않는 경우로서, 이와 같은 정보를 관제서버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관제서버는 해당 정보를 수신한 후, 모니터링장치 또는 포획장치를 시찰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의 방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제 작업으로는, 약제 살포, 생물학적 방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방제는 천적 생물을 이용한 방제 방법으로서, 천적 생물을 생태계에 방류하여 모기 유충의 개체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천적 생물로는 잔물땡땡이, 왜몰개, 미꾸라지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 포획장치를 포함한다. 즉 관제서버가 개입되지 않는 경우로서, 이와 같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S110)가 수행되며, 이어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포획장치의 작동시작지시를 포함하는 제1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상기 제1기준값 및 상기 제1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포획장치가 제1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시작하여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장치로 위생해충의 개체 수를 계수하는 단계(S110)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계수 결과의 변화에 따라 이후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단계(S130) 이후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상기 포획장치의 작동중지지시를 포함하는 제2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140-1)와, 상기 포획장치가 제2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S150-1)가 수행된다.
상기 제2기준값 및 상기 제2제어명령에 대해서도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위생해충 개체 수의 계수 결과가 제1기준값 미만 제2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장치가 기 설정된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에 대응되는 구동값에 따른 작동변경지시를 포함하는 제3제어명령을 상기 포획장치에 송신하는 단계(S140-2)와, 상기 포획장치가 상기 제3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구동값에 따라 작동 변경하는 단계(S150-2)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관제서버 100: 모니터링장치
105: 모니터링모듈 110: 유입부
120: 포집부 130: 계수부
140: 회전팬 170: 제1통신모듈
200: 포획장치 210: 펜스
300: 포획모듈 310: 포획부
320: 흡입팬 330: 외부하우징
340: 유인부 350: 제어부
360: 제2통신모듈 400: 공급모듈
410: 하우징 420: 수위센서
440: 공급부 500: 태양광발전모듈
510: 축전부

Claims (21)

  1. 위생해충을 포집하여 개체 수를 계수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상기 모니터링모듈의 계수 결과를 외부에 송신하는 제1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의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제2통신모듈이 수신한 외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작동되어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장치와 이격되어 별도의 포획범위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포획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모듈은 위생해충 유인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유인물질을 확산시키는 유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장치는 상기 유인부에 유인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모듈은,
    내부에 상기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유인물질을 보충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유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유인물질을 상기 유인부로 전달하고, 상기 유인물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유인물질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유인물질의 수위가 일정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경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위생해충의 계수 결과를 수신하고, 계수 결과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획모듈에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유인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유인물질에 접촉된 심지;
    상기 심지의 타측을 점화시키는 점화수단; 및
    상기 심지의 타측에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
    을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점화된 불을 소화시키는 커버 형태로 구비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의 상기 수용공간은 복수 개로 구획되어, 복수의 유인물질을 분할 수용하도록 형성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모듈은,
    일측에 위생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위생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에 구비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을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포획부로 유입되는 위생해충을 분쇄하도록 형성된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포획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009666A 2014-01-27 2014-01-27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KR10147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66A KR101479066B1 (ko) 2014-01-27 2014-01-27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66A KR101479066B1 (ko) 2014-01-27 2014-01-27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66B1 true KR101479066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666A KR101479066B1 (ko) 2014-01-27 2014-01-27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19B1 (ko) 2017-12-20 2018-03-13 인천광역시 효율성이 향상된 모기 방제 시스템
CN108629399A (zh) * 2018-05-03 2018-10-09 安徽黄晶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病虫害监测装置
CN109964896A (zh) * 2019-05-10 2019-07-05 福建师范大学福清分校 一种诱虫识别分拣装置及病虫害的物联网监测分析系统
KR20200037545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이티엔디 유인제를 분사하는 포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90003676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방제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001317B1 (ko) * 2009-12-17 2010-12-14 구로구청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049293B1 (ko) * 2009-05-26 2011-07-14 박지웅 살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90003676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방제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049293B1 (ko) * 2009-05-26 2011-07-14 박지웅 살충 장치
KR101001317B1 (ko) * 2009-12-17 2010-12-14 구로구청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19B1 (ko) 2017-12-20 2018-03-13 인천광역시 효율성이 향상된 모기 방제 시스템
CN108629399A (zh) * 2018-05-03 2018-10-09 安徽黄晶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病虫害监测装置
CN108629399B (zh) * 2018-05-03 2024-01-12 杭州陌上云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病虫害监测装置
KR20200037545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이티엔디 유인제를 분사하는 포충기
KR102113288B1 (ko) * 2018-10-01 2020-05-20 주식회사 이티엔디 유인제를 분사하는 포충기
CN109964896A (zh) * 2019-05-10 2019-07-05 福建师范大学福清分校 一种诱虫识别分拣装置及病虫害的物联网监测分析系统
CN109964896B (zh) * 2019-05-10 2024-03-12 福建技术师范学院 一种诱虫识别分拣装置及病虫害的物联网监测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604B2 (en) Pest trap with disposable container and wireless monitoring
KR101479066B1 (ko)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CN101657091B (zh) 飞行昆虫捕捉装置和飞行昆虫捕捉系统
US7441368B1 (en) Sensor triggered apparatus for capturing pests
KR100972670B1 (ko)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KR100863112B1 (ko) 쥐 포획 상자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20066958A1 (en) Insect trap
US20180206472A1 (en) Smart mosquito trap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203851678U (zh) 一种智能光控雨控杀虫器
US11716984B2 (en) Insect trapping device
JP2010099013A (ja) 捕虫器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80098275A (ko) 보행해충 트랩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03929954A (zh) 飞虫吸引台
JP2010124705A (ja) 捕虫器
KR102041866B1 (ko)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JP2001061396A (ja) 害虫検知装置
KR100863107B1 (ko)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CN113229242B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及诱捕方法
CN103070157A (zh) 一种诱杀飞行昆虫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