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866B1 -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866B1
KR102041866B1 KR1020190050745A KR20190050745A KR102041866B1 KR 102041866 B1 KR102041866 B1 KR 102041866B1 KR 1020190050745 A KR1020190050745 A KR 1020190050745A KR 20190050745 A KR20190050745 A KR 20190050745A KR 102041866 B1 KR102041866 B1 KR 10204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attractant
image
wasp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유광현
이진실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을 유인제로 유인하여 구분 없이 포획하되, 포획된 벌들 중 꿀벌만 탈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말벌의 포획이 가능하고, 유인된 벌의 종류를 동정하도록 형성되어 벌의 구분이 용이하면서 알람이 가능하고, 유인제의 확산과 말벌의 유인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유해성 말벌의 포획률을 높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Hazardous wasp capture device}
본 발명은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을 유인제로 유인하여 구분없이 포획하되, 포획된 벌들 중 꿀벌만 탈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말벌의 포획이 가능하고, 유인된 벌의 종류를 동정하도록 형성되어 벌의 구분이 용이하면서 알람이 가능하고, 유인제의 확산과 말벌의 유인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유해성 말벌의 포획률을 높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꿀벌은 하우스시설, 과수 등의 농업에 필요한 꽃가루 수정은 물론 화분과 꿀을 생산하는 등의 역할을 하여 인간 생태계에서 없으면 안될 필수적인 곤충이나, 말벌의 먹이로써 말벌에 의해 공격을 당하여 개체수가 많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흑등말벌이라고도 불리우는 등검은말벌의 경우, 외래종의 육식성 곤충으로서 먹이의 부족 시 봉군을 덮쳐 꿀벌을 교살하는데, 개체수가 많고 천적이 없어 꿀벌에 대한 피해가 막대화 되고 있으며, 사람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의 독을 가지고 있어 양봉가는 물론 일반인들에게 많은 피해를 입히는 유해곤충으로 분류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유해성 말벌류로부터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양봉인들이 직접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파리채 같은 것으로 쳐서 죽이거나 끈끈이와 같은 부착도구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말벌 접근 방지를 위한 그물망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꿀벌의 피해가 심화되어서 최근에는 말벌 전용 포획장치를 개발하여 말벌을 조직적이며 대량으로 포획하는 방안을 이용하고 있다.
그 예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1822029호(꿀벌통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에는 뚜껑이 개방된 꿀벌통, 상기 개방된 꿀벌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꿀벌의 출입을 차단하고 벌통의 냄새와 소리를 상부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벌통에 사용된 소비와 유인제가 담긴 유인제 케이스가 수용되며, 측면에 말벌출입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계상통, 상기 계상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포획통 결합홀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계상통 뚜껑, 하부에 상기 계상통 뚜껑과 결합되는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 밑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바닥이 막히고, 상기 바닥 주변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포획통, 상기 포획통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구, 상기 포획통 상부의 타측에 형성된 탈출구 및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리브에는 상기 연통구와 탈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 개폐관과 탈출구 개폐관이 연장 형성되어 커버를 돌려놓는 위치에 따라 연통구와 탈출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꿀벌통을 이용하는 포획장치는 꿀벌통의 표준적 사이즈 이상의 크기로 제작되어 소형화가 어려우며, 꿀벌통 하나를 반드시 희생시킴으로써 생기는 경제적 손실이 한계로 작용되고, 특히 포획된 말벌에 대한 알람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직접 포획기 통을 봐야만 말벌의 포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말벌의 유인 및 포획 성공률을 높여 말벌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말벌 포획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말벌 포획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말벌의 유인 및 포획 성공률을 높이도록 구성되도록 제안된 것으로, 벌을 유인제로 유인하여 구분 없이 포획하되, 포획된 벌들 중 꿀벌만 탈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말벌의 포획이 가능하고, 유인된 벌의 종류를 동정하도록 형성되어 벌의 구분이 용이하면서 알람이 가능하고, 유인제의 확산과 말벌의 유인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유해성 말벌의 포획률을 높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전면이 개방되며 구획판에 의해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로 분할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에 포획통 장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벌 유인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본체 덮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인제 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인제 수용통 및 상기 본체 후면에 형성된 포획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포획통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벌 유입구가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포획통과 마주하는 본체의 후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포획통과 연결되며, 상기 포획통은 양측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꿀벌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꿀벌탈출공을 마련하고, 상기 구획판은 분할된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를 연결하는 확산구를 형성하여, 상기 유인제 수용통에 유인제를 수용하고 확산구를 통해 유인제를 벌 유인부로 확산시켜 벌들을 포획통까지 유인 후, 꿀벌탈출공을 통해 꿀벌들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유해성 말벌만 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상기 포획통에 삽탈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포획통의 연결공을 개폐하는 포획통 개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상기 본체 상단에 마련되며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서버 및 기 설정된 단말과 통신하도록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벌 유인부로 유인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서버로 벌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벌 이미지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벌 이미지 또는 영상과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해성 말벌류에 해당하는지 판별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유해성 말벌류 데이터로 판별될 경우 기 설정된 단말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에는 일정 간격의 그리드가 형성되고,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 시에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함께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판단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유해성 말벌류로 판단될 시에, 판단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과 대조하여 유해성 말벌류의 길이를 측정하며, 유해성 말벌류가 여왕말벌인지 일반말벌인지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상기 벌 유인부로 유인되는 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부를 통해 벌의 움직임이 감지될 시에만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환경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벌 이미지 또는 영상과 기후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제 수용통은, 양측에 손잡이 홈을 형성하며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제 통 장착부는, 양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마찰볼을 구비하여 상기 유인제 수용통의 탈장착 시 구름마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통으로의 유해성 말벌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포획통에 장착되어 가상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말벌유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벌유도장치는, 유도장치몸체; 상기 유도장치몸체에 결합되어 연결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기 유도장치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에 편심부를 형성하여 회전 시에 몸체에 충격을 가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와 연결되어 캠부재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구는 관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관 결합편에는 윅(wick) 구조를 형성하는 유인제 확산관을 장착하여 유인제의 확산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말벌과 꿀벌이 혼입되되 꿀벌만 빠져나가기 쉬운 구조로 형성되어 말벌의 포획이 용이하며, 특히 벌의 분류/동정이 가능하되, 여왕말벌과 일반말벌의 구분이 가능하고, 이를 기후 환경 데이터 등과 함께 분석하도록 형성되어 말벌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에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말벌의 생태연구에 대한 정보를 취할 수 있어 연구 및 학술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말벌유도장치 또는 확산관 등의 말벌의 유인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어 말벌을 쉽게 유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바탕으로 조립과 분해, 탈착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하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에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을 후면사시측에서 바라본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일 구성인 마찰볼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를 통한 말벌의 포획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일 구성인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벌의 종류를 분류/동정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반말벌과 여왕말벌을 구분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센서부와 환경센서부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말벌유도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11의 말벌유도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관 결합편에 확산관을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윅(wick) 구조로 형성되는 확산관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면을 후면사시측에서 바라본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일 구성인 마찰볼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를 통한 말벌의 포획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본체(100), 본체 덮개(150), 유인제 수용통(200) 및 포획통(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전면이 개방되어 개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방공간은 구획판(105)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분할공간 중 하나는 벌 유인부(11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유인제 통 장착부(1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판(105)은 확산구(105a)를 형성하여 2개의 분할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데, 구획판(10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마련되어 구획판(105)의 상측은 벌 유인부(110)를 형성하고, 구획판(105)의 하측은 유인제 통 장착부(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인제 통 장착부(120)에는 유인제가 수용된 유인제 수용통(200)이 장착되게 되는데 유인제는 보편적으로 하측에서 상방으로 확산되기 때문으로, 상기와 같은 상/하 분리형 구조는 유인제로 인한 벌 유인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구획판(105)은 수직으로 마련되어 양측으로 벌 유인부(110)와 유인제 통 장착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전면이 개방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체(100)는 일측면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다만, 일면이 개방되어 내부가 개방공간을 형성하여 구획판(105)에 의해 구획되기만 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각 구성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설명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각 구성의 위치는 변형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전면에 벌 유인부(110)와 유인제 통 장착부(120)를 형성하는 본체(100)는, 벌 유인부(1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벌 유입구(130)를 형성하여 벌이 벌 유인부(1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벌 유입구(130)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으로 형성되어 벌의 유입은 용이하나 쉽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후면에 포획통 장착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포획통 장착부(140)는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통(250)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포획통(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 덮개(150)는 벌 유인부(110)를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 덮개(150)는 벌 유인부(110)와 상응하는 위치의 개방된 본체(100) 일면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벌 유인부(110)로 유인된 벌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인제가 벌 유인부(110)를 보다 오래 머무르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여기서, 본체 덮개(150)는 본체(100)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100)와 일체를 이루는 고정형 또는 본체(100)의 일측이 힌지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개방이 가능한 회동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탈장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덮개(150)가 탈장착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조립성과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 덮개(150)의 탈장착 방식의 경우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로써 탈장착이 간편하도록 후크결합식 또는 자석결합식으로 형성되어 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유인제 수용통(200)은 유인제 통 장착부(120)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인제 수용통(200)은 벌을 유인할 유인제가 수용될 수 있는데, 유인제를 수용한 유인제 수용통(200)이 유인제 통 장착부(120)에 장착될 경우, 유인제가 상방에 형성된 구획판(105)의 확산구(105a)를 통해 벌 유인부(110)로 확산되어 벌들을 쉽게 유인할 수가 있다.
또한, 유인제 수용통(200)은 탈장착이 간편하도록 양측에 손가락 걸침홈(210)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유인제 수용통(200)을 용이하게 집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에 더하여 손가락 걸침홈(210)은 단부가 내측으로 함몰(미도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손가락 걸침홈(210)을 통해 집는 것에 더하여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적은힘으로도 유인제 수용통(200)의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 통 장착부(120)의 양측 모서리에는 마찰볼(12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찰볼(125)은 구(球)형의 볼로서, 인입 및 인출되는 유인제 수용통(200)과 점 접촉하며 구름마찰을 형성하게 되는데, 마찰볼(125)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 면 접촉하여 면마찰을 형성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유인제 수용통(200)의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인제통덮개(220)를 더 포함하여 유인제 통 장착부(120)에 장착된 유인제 수용통(200)의 이탈이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인제통덮개(220)는 유인제 수용통(200)을 탈착하거나 장착하는 과정 시에는 유인제 통 장착부(120)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유인제 수용통(2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시에는 유인제 통 장착부(120)를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유인제 수용통(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인제통덮개(220)는 유인제의 확산 시에 유인제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인제통덮개(220)는 일측이 본체(100)에 힌지 등으로 결합되는 회동식으로 마련되거나 측방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조립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탈장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인제통덮개(220)가 탈장착식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후크결합식 또는 자석결합식으로 본체(100)와 결합하여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포획통(250)은 본체(100) 후면에 형성된 포획통 장착부(140)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통 장착부(140)에 장착된 포획통(250)은 말벌의 포획을 위해 본체(100)의 벌 유인부(11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벌 유인부(110)가 위치된 본체(100) 후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연결구(160)가 형성될 수 있고, 포획통(250)에는 연결구(160)와 상응하는 연결공(252)이 형성될 수가 있다.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연결구(160)로 벌 유인부(110)와 포획통(250)이 연결되는 구조 상 포획통(250)으로 한번 유입된 벌은 벌 유인부(110)로 빠져 나가기가 힘들 수 있다.
또한, 포획통(250)은 본체(100)와 마주하는 전면을 제외한 양측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꿀벌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꿀벌탈출공(254)을 마련할 수 있다. 꿀벌탈출공(254)은 포획통(250)으로 유입된 꿀벌만 쉽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고, 꿀벌에 비해 비교적 크기가 큰 말벌은 못 빠져 나가게 함으로써, 말벌만 포획통(250)에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꿀벌탈출공(254)은 하나만 마련되어도 무관하나, 꿀벌의 탈출이 수월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at)가 수용된 유인제 수용통(200)을 장착하면, 유인제가 확산구(105a)를 통해 벌 유인부(110)로 확산되어 벌들(B)이 벌 유인부(110)로 유인되되,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벌 유입구(130)와 연결구(160) 등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는 벌들(B)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통(250)으로 유인되고, 포획통(250)까지 유인된 벌들 중 꿀벌은 꿀벌탈출공(254)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들(B) 중에 꿀벌(Hb)은 꿀벌탈출공(254)으로 빠져나가고, 말벌(Vc)이 있다면 빠져나가지 못해 말벌(Vc)만 포획하도록 작용되어 유해성 말벌(Vc)을 쉽게 포획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포획통(250)에 삽탈되도록 형성되는 포획통 개폐막(270)을 더 포함하여 연결구(160)와 연결되는 포획통(250)의 연결공(252)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획통(250)에는 포획통 개폐막(270)이 삽탈될 수 있는 삽탈공(256)이 형성될 수 있다.
포획통 개폐막(270)은 말벌이 포획된 포획통(250)을 옮기고자 할 때에 연결공(252)으로 말벌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공(252)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파지가 용이하면서 포획통(2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부가 절곡된 '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단부(275)는 포획통 개폐막(270)이 포획통(250)에 삽입될 시에 본체(100)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일정 깊이만큼만 삽입되도록 작용되고, 탈착시에는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획통 개폐막(270)을 통해, 포획된 말벌이 빠져나갈 여지를 차단함으로써 포획통(250)의 이동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벌의 분류 및 동정과, 제어, 통신 등을 위해 인쇄회로기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30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상단에 구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하우징(320)과 하우징덮개(325)로 보호될 수 있으며, 하우징(320) 또는 하우징덮개(325)에는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열 배출구(327)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벌 유인부(110)로 유입되는 벌의 종류를 분류 및 동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의 일 구성인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8은 벌의 종류를 분류/동정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반말벌과 여왕말벌을 구분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센서부와 환경센서부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벌의 종류를 분류 및 동정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300) 및 벌 이미지 촬영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300)은 본체(100)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통신모듈(310)이 장착되어 서버(400) 및 기 설정된 단말(500)과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벌 이미지 촬영부(350)는 벌 유인부(110)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355, 도 5에 도시됨)를 통해 벌 유인부(110)로 유인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55)는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인쇄회로기판(300)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은 통신모듈(310)을 통해 서버(400)로 전송되어 벌의 종류를 분류/동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서버(400)는 벌의 종류를 동정하기 위해 분류동정 모델부(410)와 결과 출력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류동정 모델부(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의 이미지를 통해 벌의 종류를 분류/동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어, 전달된 벌의 이미지를 통해 유해성 말벌류인지 판별할 수 있고, 결과 출력부(420)는 분류동정 모델부(410)로부터 판별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은 합성곱 신경망을 마련하고 있어, 이미지가 입력되면 객체 분류(Classification) 할 수 있도록 합성곱 신경망 입력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고, 조절된 이미지는 인공지능 기반의 합성공 신경망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이미지가 학습되면서 최종적인 특징맵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추출된 특징맵을 통해 구분된 객체를 통하여 꿀벌인지 말벌인지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버(400)는 결과 출력부(420)로부터 출력되는 결과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30)와, 분류/동정을 통해 판별된 데이터가 유해성 말벌류에 관한 데이터로 판별될 경우에 기 설정된 단말(500)로 알림을 전송하기 위한 알림부(440)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단말(500)은 양봉업자의 단말일 수도 있으나, 벌과 관련된 연구기관 또는 벌에 대해 대처하는 소방청 등의 정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기관 등의 단말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벌들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말벌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은 물론, 벌들에 대한 축적 데이터로 생태연구에 대한 정보를 취할 수 있고, 연구 및 학술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의 종류를 분류/동정할 시에 유해성 말벌류를 보다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05)에는 일정 간격의 그리드(10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드는 가로 x 세로 각 1mm씩의 간격을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벌 이미지 촬영부(350)는 구획판(105)을 함께 촬영하도록 형성되어,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 시에 구획판(105)에 형성된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함께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이미지 분석부(450)를 더 포함하여 판단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유해성 말벌류로 판단될 시에, 벌 이미지와 함께 송신되는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과 대조하여 유해성 말벌류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분석부(450)는 유해성 말벌류가 여왕말벌(QVc)인지 일반말벌(NVc)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여왕말벌(QVc)일 경우 알림부(440)를 통해 관계기관 등으로 즉시 긴급 알림을 전송하여 여왕말벌(QVc)을 포획 및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 유인부(110)로 유인되는 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부(600)는 벌 유인부(110)에 대해 벌 움직임이 감지될 시에만 벌 이미지 촬영부(350)가 동작되도록 인쇄회로기판(300)에 센싱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0)은 벌 이미지 촬영부(350)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카메라(355)를 동작시킬 수가 있다.
이는, 카메라(355)를 항시 동작시킴으로써 인해 발생되는 전력 낭비와 불필요한 데이터 축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에 설치되는 환경센서부(650)를 더 포함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기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후 환경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주변의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한 데이터로써 환경센서부(650)에 의해 수집된 후에는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고, 서버(400)는 센싱정보 입력부(460)를 더 포함하여 센싱정보 입력부(460)에서 환경센서부(650)로부터 송신되는 기후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430)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400)는 벌 유인부(110)에 유입되는 벌들을 분류/동정할 시에 기후 환경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벌들의 습성이나 서식 환경 등을 보다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빅데이터로 이용하여 유해성 말벌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포획통(250)으로의 유해성 말벌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포획통(250)에 장착되어 가상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말벌유도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말벌유도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12의 (a) 및 (b)는 도 11의 말벌유도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말벌유도장치(700)는 등검은말벌 등과 같은 일부 말벌이 움직임에 민감한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가상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말벌유도장치(700)는 말벌로 하여금 꿀벌이 움직이는 것과 같이 착각하도록 하여 포획통(250)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말벌유도장치(700)는 유도장치몸체(710), 와이어(720), 캠부재(730) 및 동력발생부재(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장치몸체(710)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포획통(250)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720)는 유도장치몸체(710)에 결합되어 길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와이어(720)는 연결구(160)에서 연결구(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직선을 그었을 때에 그 가상의 직선에 대해 법선(normal)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는 벌 유인부(110)에서도 포획통(250)에 구비된 와이어(720)가 보다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캠부재(730)는 유도장치몸체(710)의 일측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캠부재(730)는 일측에 편심부(735)를 형성하여 회전 시에 편심부(735)가 유도장치몸체(710)에 충격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유도장치몸체(710)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진동은 유도장치몸체(710)와 결합된 와이어(720)로 전달되어 와이어(720)가 꿀벌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가상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동력발생부재(740)는 캠부재(730)와 연결되어 캠부재(7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력발생부재(740)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일 예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바람개비나 팬(Fan)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발생부재(740)는 다른 예로써 모터로 구비되어 전기적인 힘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말벌유도장치(700)는 꿀벌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어 유인제에 의해 벌 유인부(110)로 유인된 말벌이 포획통(250)으로 보다 쉽게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확산구(105a)에 관 결합편(800)을 구비하고, 관 결합편(800)에 유인제의 확산력을 높일 수 있는 유인제 확산관(85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관 결합편에 확산관을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윅(wick) 구조로 형성되는 확산관의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관 결합편(800)은 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 즉, '('형태의 곡선핀(810)이 대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면 된다.
또한, 관 결합편(800)에는 내부가 미세한 직경으로 관통되며, 벌 유인부(110)까지 길이를 형성하는 유인제 확산관(850)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인제 확산관(850)은 유인제가 액체류일 경우 미세 직경의 관통부를 통해 유인제의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벌 유인부(110)로의 유인제 확산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유인제 확산관(850)은 윅(wick) 구조를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벌 유인부(110)로의 유인제 확산력은 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윅(wick) 구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관형 윅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세관 현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윅 구조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인제 확산력을 높이기 위해 벌 유인부(110)의 내부를 감압할 수 있는 감압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감압장치는 벌 유인부(110)의 내압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압축기 또는 임펠러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말벌의 유입이 확인된 후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서버(400)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압장치의 작동은, 말벌이 유입되기 이전에는 벌 유인부(110)를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낮추어 유인제가 벌 유인부(110)로 확산되는 확산력을 촉진한 후에 서버(400)로부터 말벌이 유입된 것이 판단되면, 작동을 멈추어 포획통(250)과의 기압을 맞춤으로써 벌 유인부(110)로부터 포획통(250)으로의 벌의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본체 105 : 구획판
105a : 확산구 105b : 그리드
110 : 벌 유인부 120 : 유인제 통 장착부
125 : 마찰볼 130 : 벌 유입구
140 : 포획통 장착부 150 : 본체 덮개
160 : 연결구 200 : 유인제 수용통
210 : 손가락 걸침홈 220 : 유인제통덮개
250 : 포획통 252 : 연결공
254 : 꿀벌탈출공 256 : 삽탈공
270 : 포획통 개폐막 275 : 절곡단부
300 : 인쇄회로기판 310 : 통신모듈
320 : 하우징 325 : 하우징덮개
327 : 열 배출구 350 : 벌 이미지 촬영부
355 : 카메라 400 : 서버
410 : 분류동정 모델부 420 : 결과 출력부
430 : 데이터베이스 440 : 알림부
450 : 이미지 분석부 460 : 센싱정보 입력부
500 : 기 설정된 단말 600 : 움직임 감지센서부
650 : 환경센서부 700 : 말벌유도장치
710 : 유도장치몸체 720 : 와이어
730 : 캠부재 735 : 편심부
740 : 동력발생부재 800 : 관 결합편
810 : 곡선핀 850 : 확산관
At : 유인제 B : 벌들
Vc : 말벌 Hb : 꿀벌
QVc : 여왕말벌 NVc : 일반말벌

Claims (10)

  1. 전면이 개방되며 구획판에 의해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로 분할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에 포획통 장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벌 유인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본체 덮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인제 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인제 수용통 및
    상기 본체 후면에 형성된 포획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포획통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벌 유입구가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포획통과 마주하는 본체의 후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포획통과 연결되며,
    상기 포획통은 양측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꿀벌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꿀벌탈출공을 마련하고,
    상기 구획판은 분할된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를 연결하는 확산구를 형성하여,
    상기 유인제 수용통에 유인제를 수용하고 확산구를 통해 유인제를 벌 유인부로 확산시켜 벌들을 포획통까지 유인 후, 꿀벌탈출공을 통해 꿀벌들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유해성 말벌만 포획하고,
    상기 포획통으로의 유해성 말벌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포획통에 장착되어 가상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말벌유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벌유도장치는,
    유도장치몸체;
    상기 유도장치몸체에 결합되어 연결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기 유도장치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에 편심부를 형성하여 회전 시에 몸체에 충격을 가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와 연결되어 캠부재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에 삽탈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포획통의 연결공을 개폐하는 포획통 개폐막을 더 포함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에 마련되며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서버 및 기 설정된 단말과 통신하도록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벌 유인부로 유인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서버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전송하는 벌 이미지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벌 이미지 또는 영상과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해성 말벌류에 해당하는지 판별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유해성 말벌류 데이터로 판별될 경우 기 설정된 단말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일정 간격의 그리드가 형성되고,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 시에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함께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판단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유해성 말벌류로 판단될 시에, 판단한 벌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그리드 이미지 또는 영상과 대조하여 유해성 말벌류의 길이를 측정하며, 유해성 말벌류가 여왕말벌인지 일반말벌인지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벌 유인부로 유인되는 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부를 통해 벌의 움직임이 감지될 시에만 상기 벌 이미지 촬영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환경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벌 이미지 또는 영상과 기후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수용통은,
    양측에 손잡이 홈을 형성하며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통 장착부는,
    양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마찰볼을 구비하여 상기 유인제 수용통의 탈장착 시 구름마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9. 삭제
  10. 전면이 개방되며 구획판에 의해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로 분할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에 포획통 장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벌 유인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본체 덮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인제 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인제 수용통 및
    상기 본체 후면에 형성된 포획통 장착부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포획통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벌 유입구가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포획통과 마주하는 본체의 후면에는 전광후협의 깔대기형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포획통과 연결되며,
    상기 포획통은 양측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꿀벌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꿀벌탈출공을 마련하고,
    상기 구획판은 분할된 벌 유인부와 유인제 통 장착부를 연결하는 확산구를 형성하여,
    상기 유인제 수용통에 유인제를 수용하고 확산구를 통해 유인제를 벌 유인부로 확산시켜 벌들을 포획통까지 유인 후, 꿀벌탈출공을 통해 꿀벌들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유해성 말벌만 포획하고,
    상기 확산구는 관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관 결합편에는 윅(wick) 구조를 형성하는 유인제 확산관을 장착하여 유인제의 확산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KR1020190050745A 2019-04-30 2019-04-30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KR10204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45A KR102041866B1 (ko) 2019-04-30 2019-04-30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45A KR102041866B1 (ko) 2019-04-30 2019-04-30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866B1 true KR102041866B1 (ko) 2019-11-08

Family

ID=6854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745A KR102041866B1 (ko) 2019-04-30 2019-04-30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867A (ko) * 2020-05-19 2021-11-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말벌 탐지 시스템 및 말벌 탐지 방법
KR20230010020A (ko) 2021-07-10 2023-01-17 박진 이동형 벌 포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101635317B1 (ko) *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20170135154A (ko)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101635317B1 (ko) *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20170135154A (ko)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867A (ko) * 2020-05-19 2021-11-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말벌 탐지 시스템 및 말벌 탐지 방법
KR102456010B1 (ko) * 2020-05-19 2022-10-20 대한민국 말벌 탐지 시스템 및 말벌 탐지 방법
KR20230010020A (ko) 2021-07-10 2023-01-17 박진 이동형 벌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245B1 (ko)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RU2555438C2 (ru) Прибор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насекомых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KR102041866B1 (ko)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KR101642711B1 (ko)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BR112021002854A2 (pt) detecção de artrópodes
CN103168762B (zh) 田间灯诱昆虫图像采集装置
GB2570138A (en) System and methods
EP4161258A1 (en) Ins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3796526B2 (ja) 害虫計数装置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00127473A (ko)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642712B1 (ko) 모기의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
KR102519804B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1479066B1 (ko) 위생해충 예찰 및 방제시스템
McNELLY The CDC trap as a special monitoring tool.
JP2001017053A (ja)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Darras et al. Eyes on nature: Embedded vision cameras for multidisciplinary biodiversity monitoring
KR102347919B1 (ko) 돌발해충 예찰을 위한 포집장치
BR102018072956A2 (pt) Adaptador para automação de dispositivos de detecção, contagem remota, automática e ininterrupta de pragas-alvo e controlador perimetral de lepidópteros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CN210782623U (zh) 一种用于给蚊子拍照的翻转网装置
TWI653936B (zh) Tiger head beeing equipment applied to beehives
Caillouët et al. Nest Mosquito Trap quantifies contact rates between nesting birds and mosquitoes
CN208446429U (zh) 一种蚊媒监测仪
EP4223117A1 (en) Insect c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catching flying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