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04B1 -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04B1
KR102519804B1 KR1020220112530A KR20220112530A KR102519804B1 KR 102519804 B1 KR102519804 B1 KR 102519804B1 KR 1020220112530 A KR1020220112530 A KR 1020220112530A KR 20220112530 A KR20220112530 A KR 20220112530A KR 102519804 B1 KR102519804 B1 KR 10251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mosquitoes
main body
inle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조선란
김기훈
장창원
유동식
정롱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주식회사 이티엔디 filed Critical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Priority to KR102022011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외부의 모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흡입부 사이에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여 일시적으로 기절 시키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촬영이 끝난 모기의 수거 및 살처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MOSQUITO AUTOMATIC ANALYZER WITH MESH-TYPE ELECTRODE PLATE}
본 발명은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개모기로 인한 감염병의 확산 및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하여 모기를 포집하고 분석함에 있어서, 모기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정보의 획득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모기의 몸체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움직임에만 제약이 가해지도록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모기의 발생밀도 확인 및 모기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충기를 이용하여 모기를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충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178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충기는 유문등 또는 유인제를 포충기 주변으로 확산시켜 포충기 주변으로 모기를 유인하여 모기를 포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모기가 포충기 주변으로는 유인되지만 흡기구 주변으로는 유인되지 않아 실제 포충기 주변으로 유인되는 모기의 포집률은 매우 낮았다.
즉, 종래의 포충기는 대다수의 모기가 포충기 주변을 맴돌 뿐, 흡기팬의 흡입력이 실제 모기가 흡입되는 흡기구의 모기 유효흡입거리까지 유인되지 않아 모기의 실제 포집률이 낮았다.
이것은 실제 모기 발생 밀도의 정확한 측정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모기의 전염병 감염률 등 정확한 정보의 확인을 어렵게 하였다.
따라서, 모기를 흡기구의 모기흡입유효거리 범위 안으로 유인하여, 모기 포집률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이러한 포충기를 통해 흡입 포집되는 모기들의 영상을 촬영하여 모기의 개체수나 종류를 분석하고자 하여도 흡입 이동되는 순간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이를 촬영하려면 고가의 고속카메라를 장착하고 적용하는데에 따른 비용상의 문제와 실제 적용에 따른 기술적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256호에서는 케이싱에 마련된 탄산가스공급기를 이용하여 흡입관의 주변으로 탄산가스를 살포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흡입력을 매개로 포충관부로 유입하며, 유입된 해충은 계수감지부에 의해 계수되면서 캡쳐부의 회전망에 일시적으로 걸려 영상촬영부에 의해 영상 촬영되며,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캡쳐부의 회전망을 회전시켜 수거망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카메라 장치가 없이도 해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영상촬영부가 회전망에 일시적으로 걸러진 해충을 촬영하게 되는데, 그러한 영상에 종전에 찍은 모기는 물론, 오염원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려워 모기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모기가 회전망에 일시적으로 걸려질 뿐, 움직임이 완전히 멈추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간순간의 움직임으로 인해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집된 모기를 포함하는 해충을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가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모기를 고정하는 시간만 늘어나게 될뿐, 끈끈이에 붙은 모기를 포함하는 해충이 빠져나가기 위해 발버둥을 치게 되며, 그러한 과정에서 날개나 다리, 더듬이 등과 같은 약한 부분이 떨어지거나 손상을 입게 되어 온전한 상태의 몸체가 유지되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우며, 매번 끈끈이를 교체해주어야 하며, 끈끈이에 붙은 상태에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끈끈이시트 주변의 먼지나 빗물 등의 물질로 오염된 상태에서 촬영이 진행되어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데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1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2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35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모기만을 유인하여 포집하되, 모기의 몸체가 온전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움직임만이 억제되도록 하여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촬영부와 포집부를 분리하여 촬영을 함에 있어 오염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선명한 이미지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외부의 모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흡입부 사이에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여 일시적으로 기절 시키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촬영이 끝난 모기의 수거 및 살처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흡입부는 내부가 중공되되, 일측이 상기 포집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포집부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호 연통되는 상기 유입부 및 포집부와 함께 상기 본체 내부에서 공기가 일방향으로 순환되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포집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모기를 기절시키는 작업 간에는 일시적으로 구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집부는 일측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고, 상단면이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며, 하단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된 모기를 걸러내어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감전모듈과, 상기 감전모듈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모듈 및 상기 감전모듈에서 일시적으로 기절시켜 포집된 모기가 상기 촬영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전모듈은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포집부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흡입부 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와 흡입부가 연통되는 공간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며, 메쉬망 형상의 전도체를 갖는 제1전극판 및 상기 포집부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가이드 상단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며, 메쉬망 형상의 전도체를 갖는 제2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은 상기 공급모듈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포집된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전모듈은 상기 제1전극판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전극판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 스윙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포집부에 모기가 포집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극판이 상기 제1전극판에 밀착되도록 스윙 이동되며,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은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연계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은 서로 다른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이 밀착될 경우, 각각의 양극과 음극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모기가 감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극판은 모기를 감전시킨 이후,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기절한 모기가 상기 촬영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가이드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향 스윙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1전극판 또는 제2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 가능하여, 기절한 모기의 배출 작업 간에 상기 감전모듈에 잔여되는 모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고착된 모기를 떨어뜨림과 동시에 상기 감전모듈의 청결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와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는 클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유입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포집부 측으로 유입되는 모기를 감지하고 자동 계수하는 적외선 광센싱 구조를 갖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모기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전극판이 상기 제1전극판 측으로 스윙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급모듈에서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모기에 대한 감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포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로부터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는 촬영판과, 상기 촬영판의 상단에 안착된 모기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에서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촬영판을 상기 촬영모듈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에서 모기만이 선택적으로 유인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분사되도록 하는 이탄분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해충들 중 특정한 대상 개체만을 유인함으로써, 불필요한 분류 작업이 필요 없으며, 필요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메쉬형 전극판이 포집부에 유입된 모기를 걸러 포획하게 되며, 그 상태에서 전류를 인가하여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 시킴으로써, 모기의 몸체에 훼손이 없이 움직임만을 억제하여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포집부에서 포획한 모기를 포집부와 분리하여 촬영판에 안착시켜 촬영모듈 측으로 이송시켜 촬영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포집부의 오염 여부와 상관 없이 선명한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이를 통해 깔끔하고 온전한 촬영 영상 및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모기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 포집부 및 흡입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 감전모듈 및 클린모듈의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매개모기로 인한 감염병의 확산 및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하여 모기를 포집하고 분석함에 있어서, 모기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정보의 획득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모기의 몸체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움직임에만 제약이 가해지도록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모기를 포집하고 촬영하며, 촬영이 완료된 모기는 회수하여 살처분 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 수행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모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부(2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 가능하여 모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300)와, 상기 유입부(200)와 흡입부(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200) 및 흡입부(300)와 함께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여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집부(400)와, 상기 포집부(400)에서 포획되어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아 분석을 위한 모기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을 진행하는 촬영부(5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미지 촬영이 끝난 모기를 수거하고 살처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외부공기와 함께 모기가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흡입부(300)는 내부가 중공된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체의 일측이 상기 포집부(40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300)는 상기 포집부(400)와의 연결부분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입팬(310) 및 상기 본체(100)와의 연결부분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흡입팬(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출팬(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일측이 상기 포집부(40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상기 구조체의 내부에서 상기 포집부(400)와의 연결부분과 상기 본체(100)와의 연결부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흡입팬(310) 및 배출팬(32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입부(200) 및 포집부(400)와 함께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공기가 일방향,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통해 다시 외측으로 흐르게 되는 공기의 흐름을 갖는 일방향으로 순환되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있는 모기는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포집부에서 걸러져 포집될 수 있으며, 공기만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일방향으로 순환되어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부(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부(300)에 포함되는 상기 흡입팬(310) 및 배출팬(320)은 상기 포집부(400)와 연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집부(400)에서 포집된 모기를 기절시키는 작업 간에는 일시적으로 구동이 중지될 수 있도록 하여 모기에 대한 안정적인 기절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는 해충들 중에서 분석 대상이 되는 특정 개체들만이 유인되어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충의 분석 과정에서 여러 종들 중 대상 개체를 분류하는 작업 없이 필요한 정보만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상이 되는 해충을 모기로 한정하여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외부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탄분사모듈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충들 중 분석을 하기 위한 대상 개체가 모기가 아닐 경우, 해당되는 대상 개체만이 유인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유입부(200)와 흡입부(300) 사이에서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모기를 일시적으로 기절 시켜 포획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상기 포집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유입부(20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면이 상기 흡입부(30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하단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부(200)와 상기 흡입부(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된 모기를 걸러내어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감전모듈과, 상기 감전모듈이 걸러져 포획된 모기를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전모듈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모듈(430) 및 상기 감전모듈에서 일시적으로 기절시켜 포집된 모기가 상기 촬영부(50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가이드(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가이드(440)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단면과 일치하거나 보다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400)에 포집된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도록 하는 상기 감전모듈은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포집부(400)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포집부(40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상기 흡입부(300) 측으로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400)와 흡입부(300)가 연통되는 공간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전극판(410) 및 상기 포집부(400)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배출가이드(440)를 통해 상기 촬영부(500) 측으로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단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전극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410)은 외부공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모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러질 수 있도록 메쉬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모듈(430)에서 인가받은 전류가 잘 통하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제2전극판(4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은 상기 공급모듈(43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모듈(43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포집부(400)에서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 사이에 포집되는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에 공급되는 전력은 모기의 몸체는 훼손되지 않으면서 움직임만이 억제될 수 있도록 일시적인 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세한 수치 상의 범위는 본 발명의 노하우에 해당됨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430)을 통해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포집부(400)에 포집된 모기를 기절시키는 순간에만 선택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막고 혹여나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전모듈의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400)와 상기 흡입부(300)가 연통되는 공간 및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단 위치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집부(400)에 포집된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효율이 극대화되고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스윙 이동되어 상호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포집부(400)와 상기 흡입부(300)가 연통되는 공간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전극판(410)의 위치는 고정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2전극판(420)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4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 스윙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포집부(4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전극판(410)과 제2전극판(420)의 사이에 유입되어 들어온 모기가 포집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극판(420)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4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스윙 이동되며, 상기 제1전극판(410)과 상기 제2전극판(420)이 상호 밀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듈(43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의 연계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포획된 모기를 감전시켜 안정적으로 일시적인 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은 서로 다른 전극, 예컨대, 상기 제1전극판(410)이 양극일 경우 상기 제2전극판(420)은 음극을, 반대로 상기 제1전극판(410)이 음극일 경우에는 상기 제2전극판(420)은 양극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양극과 음극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의 사이에 위치되는 모기가 감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판(420) 만이 스윙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둘 모두 스윙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감전모듈에 의해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상기 촬영부(500)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단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2전극판(420)은 필연적으로 상하 스윙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을 인지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2전극판(420)은 포획된 모기를 안정적으로 감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전극판(410) 측으로 상향 스윙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배출가이드(440)를 통해 기절한 모기가 상기 촬영부(50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향 스윙 이동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부(400)는 상기 제1전극판(410) 또는 상기 제2전극판(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기절한 모기의 배출 작업 간에 상기 감전모듈, 즉, 상기 제1전극판(410) 및/또는 상기 제2전극판(420)에 잔여될 수 있는 모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고착된 모기를 떨어뜨림과 동시에 상기 감전모듈이 장시간에도 오염되지 않고 청결함을 유지하여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는 클린모듈(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클린모듈(450)은 상기 제1전극판(410) 또는 상기 제2전극판(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표면을 쓸어주는 바 형상의 와이퍼 구조체와 이러한 바 형상의 와이퍼 구조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포집부(400)의 구조 및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 그리고 상기 클린모듈(450)의 구조 및 작동 범위는 예시로 도시되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장치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모기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통로가 되는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집부(400) 측으로 유입되는 모기를 감지하고 자동적으로 계수할 수 있는 감지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감지부(600)는 적외선 광센싱 구조로 이루어져 모기에 대한 정확한 감지 및 계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감지부(6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감지되는 모기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예컨대, 상기 촬영부(500)에서 모기에 대한 이미지 촬영 시 포획된 모기가 겹쳐져 불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모기의 수를 3마리로 설정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감지부(600)에서 상기 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모기를 계수하여 카운팅 수가 3마리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더 이상의 모기의 유입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부(300)의 구동이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며, 상기 제2전극판(420)이 상기 제1전극판(410) 측으로 스윙 이동하여 기 설정된 개체수인 3마리의 모기가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이 밀착된 협소한 공간에 포집되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듈(430)에서 상기 제1전극판(410) 및 제2전극판(420)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모기에 대한 감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킨 이후, 상기 제2전극판(420)은 다시 하향 이동되어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하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하여 기절한 모기가 상기 촬영부(50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400)를 통해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공급받아 분석에 필요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는 상기 촬영부(500)는 상기 포집부(400)의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아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촬영판(510)과, 상기 촬영판(510)의 상단에 안착된 모기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모듈(520) 및 상기 촬영모듈(520)에서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촬영판(510)을 상기 촬영모듈(520) 하부로 이동시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모듈(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모기와 같은 해충 분석 장치의 경우,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이를 촬영하는 촬영부가 동일한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모기의 잔재나 오염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해 불명확하고 선명하지 못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져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많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500)와 포집부(400)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공간에 구비되며, 각각의 작업이 완벽히 구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촬영모듈(52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처리부는 중앙 서버와의 원활한 교신을 위해 무선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조에 대한 청결함의 유지 및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정한 대상 개체만을 유인하여 포집하고, 대상 개체의 몸체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기절시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의 작업 수행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본체 200 : 유입부
300 : 흡입부 310 : 흡입팬
320 : 배출팬 400 : 포집부
410 : 제1전극판 420 : 제2전극판
430 : 공급모듈 440 : 배출가이드
450 : 클린모듈 500 : 촬영부
510 : 촬영판 520 : 촬영모듈
530 : 이송모듈 600 : 감지부
700 : 수거부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외부의 모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유입부와 흡입부 사이에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여 일시적으로 기절 시키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에서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촬영이 끝난 모기의 수거 및 살처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가 중공되되, 일측이 상기 포집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포집부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배출팬;
    을 포함하고,
    상호 연통되는 상기 유입부 및 포집부와 함께 상기 본체 내부에서 공기가 일방향으로 순환되어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포집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모기를 기절시키는 작업 간에는 일시적으로 구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일측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고, 상단면이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며, 하단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된 모기를 걸러내어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감전모듈;
    상기 감전모듈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모듈; 및
    상기 감전모듈에서 일시적으로 기절시켜 포집된 모기가 상기 촬영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
    를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모듈은,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포집부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흡입부 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와 흡입부가 연통되는 공간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며, 메쉬망 형상의 전도체를 갖는 제1전극판; 및
    상기 포집부 내부로 유입된 모기가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가이드 상단을 가로막도록 구비되며, 메쉬망 형상의 전도체를 갖는 제2전극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은 상기 공급모듈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포집된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모듈은,
    상기 제1전극판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전극판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 스윙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포집부에 모기가 포집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극판이 상기 제1전극판에 밀착되도록 스윙 이동되며,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은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연계에 의해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모기를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은,
    서로 다른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이 밀착될 경우, 각각의 양극과 음극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모기가 감전되도록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판은,
    모기를 감전시킨 이후,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기절한 모기가 상기 촬영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가이드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향 스윙 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1전극판 또는 제2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 가능하여, 기절한 모기의 배출 작업 간에 상기 감전모듈에 잔여되는 모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고착된 모기를 떨어뜨림과 동시에 상기 감전모듈의 청결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와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는 클린모듈;
    을 더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유입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포집부 측으로 유입되는 모기를 감지하고 자동 계수하는 적외선 광센싱 구조를 갖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모기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전극판이 상기 제1전극판 측으로 스윙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급모듈에서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모기에 대한 감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포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로부터 일시적으로 기절한 모기를 전달 받는 촬영판;
    상기 촬영판의 상단에 안착된 모기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에서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촬영판을 상기 촬영모듈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모듈;
    을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에서 모기만이 선택적으로 유인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분사되도록 하는 이탄분사모듈;
    을 더 포함하는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20220112530A 2022-09-06 2022-09-06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251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30A KR102519804B1 (ko) 2022-09-06 2022-09-06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30A KR102519804B1 (ko) 2022-09-06 2022-09-06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804B1 true KR102519804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530A KR102519804B1 (ko) 2022-09-06 2022-09-06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962A1 (en) * 2019-05-24 2022-07-14 Anastasiia Romanivna ROMANOV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985A (ko) * 1995-12-08 1999-09-27 스티븐 엘.메킬 전자식 곤충 트랩핑 장치 및 방법
KR101003178B1 (ko) 2010-04-23 2010-12-22 김정하 흡입식 포충기
KR101476256B1 (ko)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20170046426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이티엔디 세척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9-02-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985A (ko) * 1995-12-08 1999-09-27 스티븐 엘.메킬 전자식 곤충 트랩핑 장치 및 방법
KR101003178B1 (ko) 2010-04-23 2010-12-22 김정하 흡입식 포충기
KR101476256B1 (ko)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20170046426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이티엔디 세척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9-02-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962A1 (en) * 2019-05-24 2022-07-14 Anastasiia Romanivna ROMANOV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US11241002B2 (en) Remote insec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42711B1 (ko)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KR102519804B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CN103168762B (zh) 田间灯诱昆虫图像采集装置
US20180125052A1 (en) Luminaire disease vector attenuator and surveillance device
KR101815300B1 (ko) 선명한 영상촬영이 가능한 포충기
CN104918007B (zh) 基于计算机视觉的大田虫情监控采样装置及采样方法
CN103179993A (zh) 昆虫实时监测装置
US10925274B2 (en) Smart trap for mosquito classification
KR101815301B1 (ko) 세척기능을 갖춘 포충기
US20230064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nd semi-automated mosquito separation identification counting and pooling
CN110495434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害虫自动识别计数系统及方法
KR101642712B1 (ko) 모기의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
CN108925526B (zh) 一种昆虫电击有效性的测试装置及方法
KR102519805B1 (ko)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2041866B1 (ko) 유해성 말벌류 포획장치
CN111202035B (zh) 一种用于农林业虫害预测的害虫自动收集装置及方法
JPH11127752A (ja) 吸引式捕虫機
TWM639883U (zh) 農用誘蟲評估裝置
KR20200072336A (ko)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CN219500247U (zh) 一种伊蚊成蚊远程连续诱杀监测仪器
CN208446429U (zh) 一种蚊媒监测仪
JP2000135043A (ja) 飛翔性害虫の発生状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