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15B1 -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15B1
KR101953515B1 KR1020180087503A KR20180087503A KR101953515B1 KR 101953515 B1 KR101953515 B1 KR 101953515B1 KR 1020180087503 A KR1020180087503 A KR 1020180087503A KR 20180087503 A KR20180087503 A KR 20180087503A KR 101953515 B1 KR101953515 B1 KR 10195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st
frame
ima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남효훈
장원철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8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재배장소에 끈끈이시트에 포획되는 해충의 정확한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분광 카메라에 의해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와 관한 해충정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충이 포획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 수직으로 배치시켜 영상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충예찰 표적부와;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와 수평으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 이미지를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하고 해충예찰 표적부의 높이조절 및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장치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Harmful insect intelligence report system}
본 발명은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물의 재배장소에 끈끈이시트에 포획되는 해충의 정확한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분광 카메라에 의해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에 관한 해충정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물의 재배시에는 흔히 해충의 피해를 입게 된다. 예를 들어 과수 나방류와 같은 해충의 경우 과실에 피해를 주어 과실의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해충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해당 작물과 관련된 해충의 출몰 시기나 해당 작물 주변의 해충 밀도 등을 관리자가 미리 파악하여 이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해충의 경우 매우 활발하게 움직이는 생물이기 때문에 관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해충을 관찰하기 위한 수단으로 끈끈이(flypaper)라 하는 점착시트(이하 "끈끈이시트"라 함)로 직사각형의 끈끈이시트를 끈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작물의 일측에 매달아 두고 끈끈이 시트에 포획된 해충의 관찰 및 계수함으로써 그 개체의 발생 상황을 직접 육안으로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방제 조치를 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의 발생밀도와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원거리의 현장에 직접가야 하는 불편함과,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조사원이 초보자인 경우 해충의 종류를 오판하는 실수가 발생 되어 적절한 방제 대책을 강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끈끈이시트를 끈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매달아 놓은 경우에는 끈끈이시트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적으로 휘어지거나 틀어져서 평판상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이미지 확인에 어려움이 있고,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을 별도의 마이크로 영상판독장치 등에 의해 정밀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끈끈이시트는 점착부분에 의한 파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관, 조사분석 등을 할 때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페로몬과 끈끈이를 이용해 해충을 유인한 상태에서 포획함으로써 해충의 예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해충 유인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바닥면에 부착된 끈끈이 시트와, 본체 내부 한쪽에 설치되어 페로몬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페로몬 방출기가 구비되어 페로몬에 의해 유인공간으로 유인된 해충은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어 포획되고, 끈끈이에 포집된 해충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 후 자료분석 PC로 송출하여 원거리의 현장에 가지 않고도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 해충 정보 수집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해충 정보 수집장치의 경우에는 페로몬 방출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도록 한 것이어서 작물재배 지역의 일정영역 공간에서 해충이 차지하는 평균 분포도 산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일채널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단일 파장대역의 영상분포에 의해 해충 정보를 조사, 분석하도록 한 것이어서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어 수많은 해충의 종류나 해충의 색상 등을 인식하여 정확한 해충 정보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두운 날씨나 야간에는 조명을 사용하여 해충 정보 수집을 하게 되면 조명에 의해 해충이 집중적으로 유인될 수 있기 때문에 해충 분포도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제10-1651917호 KR 제10-1118245호 KR 제10-1864507호 KR 제10-1803198호
본 발명에 의해 해충 정보 시스템은, 작물재배 공간에 해충이 포획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가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해충예찰 표적부와,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와 대향되고 이격된 위치에 수평선상으로 다분광으로 촬영되는 영상촬영부가 설치되어 영상촬영부에 의해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해충 모니터링을 하여 해충의 관리 및 방제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해충이 포획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 수직으로 배치시켜 영상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충예찰 표적부와;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와 수평으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 이미지를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하고 해충예찰 표적부의 높이조절 및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장치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끈끈이시트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는; 사각틀체로 구비되어 끈끈이시트의 주연부를 고정시키고 제1개구부를 가진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납안내홈이 형성되고 제2개구부를 가진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프레임은 제1,2지지틀체로 이루어지되 끈끈이시트의 주연부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시트고정핀이 전면에 적어도 4개지점에 형성되고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걸림단턱을 가진 손잡이부가 구비된 제1지지틀체와, 상기 시트고정핀과 대향된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틀체의 손잡이부를 제외한 틀체에 맞대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틀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시트프레임의 제1개구부와 대향된 제2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되 사각틀체의 상부에 시트프레임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수납안내홈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의 하단 양측은 수평연결대가 구비되어 영상촬영 장치부의 수평받침대에 신축되게 접속되어 간격조절부로 설치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 직하부에 이격된 받침지지대를 구비하되 고정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회전축부를 구비하여 수평연결대의 선단에 연결시킨 받침지지대를 관통하도록 한 다음 받침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고정프레임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촬영 장치부는, 높이조절부를 가진 고정지주의 상단에 수평받침대가 설치되어 수평받침대에 수평연결대로 접속된 해충예찰 표적부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수평받침대에 설치된 수직지지판에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가 구비되며, 영상촬영부의 상측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보호커버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촬영부는 RGB카메라, NIR카메라,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영상촬영부의 촬영주기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대별 해충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설정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해충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수신된 해충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를 산출하는 해충정보 분석부와, 해충정보 분석부를 통한 해충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해충정보 저장부와,상기 해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해충정보를 관리자에게 유,무선으로 송출하고 관리서버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송수신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은 해충예찰 표적부에 끈끈이시트를 팽팽하게 지지시켜 끈끈이시트에 포획되는 해충의 정확한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해충예찰 표적부의 설치높이 및 설치간격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끈끈이시트의 점착부분에 닿지 않고 원형 그대로 해충예찰 표적부에서 간편하게 분리 및 보관, 휴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다분광 촬영수단을 구비한 영상촬영부에 의해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에 관한 정보를 조사 및 분석을 명확히 하여 이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해충의 관리 및 방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해충예찰 표적부의 고정프레임을 회전시켜 영상촬영부에 의해 끈끈이시트의 일측 뿐만 아니라 양측의 점착부를 각각 영상촬영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해충정보를 광범위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해충예찰 표적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해충예찰 표적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시트프레임에 끈끈이시트를 결합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해충예찰 표적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또 다른 해충예찰 표적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구성에 의한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충 정보 시스템은, 작물재배 공간에 해충이 포획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A)를 고정시키는 시트프레임(110)과, 상기 시트프레임(110)을 고정프레임(120)에 수직으로 배치시켜 영상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시트프레임(1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해충예찰 표적부(100)와;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100)와 수평으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끈끈이시트(A)에 포획된 해충 이미지를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촬영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하고 해충예찰 표적부(100)의 높이조절 및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장치부(200)와; 영상촬영 장치부(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끈끈이시트(A)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분석하고 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300);로 이루어져 있다.
해충예찰 표적부(100)는, 사각틀체로 구비되어 끈끈이시트(A)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팽팽하게 지지시키고 제1개구부(110a)를 가진 시트프레임(110)과, 상기 시트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납안내홈(121)이 형성되고 제2개구부(120a)를 가진 고정프레임(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끈끈이시트(A)는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격자모양으로 구획선(B)이 표시되어 해충의 개체수 확인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끈끈이시트(A)의 양측 점착부에 보호지(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는 통상의 끈끈이시트에 해당되며, 끈끈이시트(A)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점착부를 이용하여 포획되는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예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프레임(110)은 제1,2지지틀체(111)(112)로 이루어지되 끈끈이시트(A)의 주연부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시트고정핀(113)이 전면에 적어도 4개지점에 형성되고 상측에 걸림단턱을 가진 손잡이부(114)가 구비된 제1지지틀체(111)와, 상기 시트고정핀(113)과 대향된 핀구멍(115)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틀체(111)의 손잡이부 부분을 제외한 틀체에 맞대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틀체(1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2지지틀체(111)(112) 사이에 끈끈이시트(A)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팽팽하게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해충예찰 표적부(100)의 끈끈이시트(A)에 포획되는 해충의 정확한 영상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해충예찰 표적부(100)의 끈끈이시트(A)에 포획된 해충을 연구기관 등에 정밀검사 및 분석을 의뢰하거나 끈끈이시트(A)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시트프레임(110)의 손잡이부(114)를 이용하여 끈끈이시트(A)의 점착부분에 닿지 않고 원형 그대로 해충예찰 표적부(100)에서 간편하게 분리 및 보관,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시트프레임(110)의 제1개구부(110a)와 대향된 제2개구부(120a)가 형성된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되 사각틀체의 상부에 시트프레임(110)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수납안내홈(121)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20)의 상단에 시트프레임(110)의 걸림단턱을 가진 손잡이부(114)가 걸리면서 더이상 삽입되지 않고 시트프레임(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양측은 수평연결대(122)가 구비되고 수평연결대(122)의 선단은 영상촬영 장치부(200)의 수평받침대(212)의 양측단에 형성된 삽입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가진 간격조절부(123)에 의해 해충예찰 표적부(100)와 영상촬영 장치부(200)의 설치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촬영조건에 맞추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8은 고정프레임(12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구성에 관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직하부에 이격된 받침지지대(125)를 구비하되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중앙에 회전축부(124)를 구비하여 수평연결대(122)의 선단에 연결시킨 받침지지대(125)를 관통하도록 한 다음 받침지지대(125)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26)에 의해 회전축부(124)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고정프레임(12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20)을 회전시키는 모터(126)는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끈끈이시트(A)의 양면 점착부에 부착된 보호지를 분리시켜 끈끈이시트(A)의 양면에 해충이 포획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영상촬영부(220)에 위치한 끈끈이시트(A)의 점착부에 포획된 해충을 촬영한 다음 반대편의 끈끈이시트(A)에 점착된 포획된 해충을 촬영하기 위해 고정프레임(120)의 회전각도는 180도 회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수단에 의해 끈끈이시트(A)의 양면 점착부에 포획된 해충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주기는 30분 또는 1시간 단위별로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끈끈이시트(A)의 일측 점착부 촬영이 이루어진 다음 곧바로 회전하여 반대편 점착부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끈끈이시트(A)의 양면에 포획된 해충을 촬영한 해충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조사 및 분석하도록 한다.
영상촬영 장치부(200)는, 작물재배 공간에 설치되고 높이조절부(211)를 가진 고정지주(210)의 상단에 수평받침대(212)가 설치되고 수평받침대(212)에 수평연결대(122)로 접속된 해충예찰 표적부(100)를 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수평받침대(212)에 설치된 수직지지판(213)에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220)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영상촬영부(220)의 후단에 관리서버(300)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영상촬영부(220)의 상측에는 태양광 모듈(231)이 구비된 보호커버판(230)이 설치되어 보호커버판(230)의 의해 영상촬영부(220)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영상촬영부(220) 및 관리서버(300)의 공급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촬영부(220)는 RGB카메라(221), NIR카메라(222), 열화상카메라(223)를 포함하는 촬영수단에 의해 다분광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RGB카메라(221) 및 NIR카메라(222)는 원하는 밴드의 빛만 통과시킬 수 있는 밴드패스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필터장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GB카메라(221)는 400~700 nm 파장대역의 빛을 통과시켜 촬영이 이루어지고, NIR카메라(222)는 780~850 nm 파장대역의 빛을 통과시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RGB카메라(221)와 NIR카메라(222)의 영상이미지를 조합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조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열화상카메라(223)는 야간에 조명을 사용하지 않고 IR 영상을 이용하여 야간에 발생되는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에 관한 정보를 조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RGB카메라(221)는 R.G.B 영상으로 해충의 색상을 촬영하여 해충의 색상 상태에 따른 해충의 종류별 정보를 파악하고, NIR카메라(222)는 해충의 분포 및 개체수를 파악한 다음 RGB카메라(221)와 NIR카메라(222)의 영상을 조합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리서버(300)는 영상촬영 설정부(310), 데이터 변환부(320), 해충정보 분석부(330), 해충정보 저장부(340), 송수신부(3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촬영 설정부(310)는 영상촬영부(220)의 촬영주기를 30분 또는 1시간 간격 등으로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대별 해충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변환부(320)는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해충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해충정보 분석부(330)는 데이터 변환부(320)를 통해 수신된 영상촬영부(220)의 다분광촬영수단에 의해 획득된 해충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해충정보 저장부(340)는 해충정보 분석부(330)를 통한 해충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음 향후 해충의 사전 방제작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송수신부(350)는 해충정보 저장부(340)에 저장된 작물재배 지역의 해충정보를 관리자에게 유,무선으로 송출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포함하는 해충정보를 확인하고 판단하여 농약 살포 등의 방제작업 시기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원격관리모듈이 구비되어 관리서버(3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끈끈이시트 B : 구획선
100 : 해충예찰 표적부 110 : 시트프레임
110a : 제1개구부 111,112 : 제1,2지지틀체
113 : 시트고정핀 114 : 손잡이부
115 : 핀구멍 120 : 고정프레임
120a : 제2개구부 121 : 수납안내홈
122 : 수평연결대 123 : 간격조절부
124 : 회전축부 125 : 받침지지대
126 : 모터 200 : 영상촬영 장치부
210 : 고정지주 211 : 높이조절부
212 : 수평받침대 213 : 수직지지판
220 : 영상촬영부 221 : RGB카메라
222 : NIR카메라 223 : 열화상카메라
230 : 보호커버판 231 : 태양광 모듈
300 : 관리서버 310 : 영상촬영 설정부
320 : 데이터 변환부 330 : 해충정보 분석부
340 : 해충정보 저장부 350 : 송수신부

Claims (8)

  1. 해충이 포획되는 점착부를 가진 끈끈이시트(A)를 고정시키는 시트프레임(110)과, 상기 시트프레임(110)을 고정프레임(120)에 수직으로 배치시켜 영상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충예찰 표적부(100)와;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100)와 수평으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끈끈이시트(A)에 포획된 해충 이미지를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촬영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하고 해충예찰 표적부(100)의 높이조절 및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장치부(200)와;
    상기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끈끈이시트(A)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해충예찰 표적부(100)는;
    사각틀체로 구비되어 끈끈이시트(A)의 주연부를 고정시키고 제1개구부(110a)를 가진 시트프레임(110)과, 상기 시트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납안내홈(121)이 형성되고 제2개구부(120a)를 가진 고정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프레임(110)은 제1,2지지틀체(111)(112)로 이루어지되 끈끈이시트(A)의 주연부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시트고정핀(113)이 전면에 적어도 4개지점에 형성되고 상측에 걸림단턱을 가진 손잡이부(114)가 구비된 제1지지틀체(111)와, 상기 시트고정핀(113)과 대향된 핀구멍(115)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틀체(111)의 손잡이부 부분을 제외한 틀체에 맞대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틀체(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시트프레임(110)의 제1개구부(110a)와 대향된 제2개구부(120a)가 형성된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되 사각틀체의 상부에 시트프레임(110)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수납안내홈(121)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양측은 수평연결대(122)가 구비되어 영상촬영 장치부(200)의 수평받침대(212)에 신축되게 접속되어 간격조절부(123)로 설치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직하부에 이격된 받침지지대(125)를 구비하되 고정프레임(120)의 하단 중앙에 회전축부(124)를 구비하여 수평연결대(122)의 선단에 연결시킨 받침지지대(125)를 관통하도록 한 다음 받침지지대(125)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26)에 의해 회전축부(124)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고정프레임(12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 장치부(200)는, 높이조절부(211)를 가진 고정지주(210)의 상단에 수평받침대(212)가 설치되어 수평받침대(212)에 수평연결대(122)로 접속된 해충예찰 표적부(100)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수평받침대(212)에 설치된 수직지지판(213)에 다분광 촬영수단을 가진 영상촬영부(220)가 구비되며, 영상촬영부(220)의 상측에는 태양광 모듈(231)이 구비된 보호커버판(230)이 설치되어 영상촬영부(220) 및 관리서버(300)의 공급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영상촬영부(220)의 촬영주기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대별 해충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설정부(310)와,
    상기 영상촬영부(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해충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320)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320)를 통해 수신된 해충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충의 종류 및 분포, 개체수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를 산출하는 해충정보 분석부(330)와,
    해충정보 분석부(330)를 통한 해충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해충정보 저장부(340)와,
    상기 해충정보 저장부(340)에 저장된 해충정보를 관리자에게 유,무선으로 송출하고 관리서버(3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송수신부(35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KR1020180087503A 2018-07-27 2018-07-27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KR10195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03A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8-07-27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03A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8-07-27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515B1 true KR101953515B1 (ko) 2019-02-28

Family

ID=655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03A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8-07-27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8617A (zh) * 2021-02-20 2021-06-01 浙江农林大学 基于色板诱导计数的茶园小绿叶蝉监测设备及监测方法
CN113092469A (zh) * 2021-03-30 2021-07-09 阜阳师范大学 沥青路面纹理构造图像采集装置
KR20220062916A (ko) 2020-11-09 2022-05-17 전라남도 해충 자동 촬영 장치
CN114726989A (zh) * 2022-04-07 2022-07-08 福建省农业科学院科技干部培训中心 水稻病虫害拍摄杆
KR102519805B1 (ko) 2022-09-06 2023-04-11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2519804B1 (ko) 2022-09-06 2023-04-11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473A (ko) * 2009-05-26 2010-1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20110115888A (ko) * 2010-04-16 2011-10-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071B1 (ko) * 2013-05-24 2013-08-28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영상 기반의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 시스템
KR101651917B1 (ko) 2014-11-17 2016-08-29 대한민국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03198B1 (ko) 2016-06-29 2017-1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파의 병해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4507B1 (ko) 2016-11-23 2018-06-04 이선희 해충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473A (ko) * 2009-05-26 2010-1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101118245B1 (ko) 2009-11-16 2012-03-19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20110115888A (ko) * 2010-04-16 2011-10-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071B1 (ko) * 2013-05-24 2013-08-28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영상 기반의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 시스템
KR101651917B1 (ko) 2014-11-17 2016-08-29 대한민국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03198B1 (ko) 2016-06-29 2017-1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파의 병해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4507B1 (ko) 2016-11-23 2018-06-04 이선희 해충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916A (ko) 2020-11-09 2022-05-17 전라남도 해충 자동 촬영 장치
CN112868617A (zh) * 2021-02-20 2021-06-01 浙江农林大学 基于色板诱导计数的茶园小绿叶蝉监测设备及监测方法
CN113092469A (zh) * 2021-03-30 2021-07-09 阜阳师范大学 沥青路面纹理构造图像采集装置
CN114726989A (zh) * 2022-04-07 2022-07-08 福建省农业科学院科技干部培训中心 水稻病虫害拍摄杆
KR102519805B1 (ko) 2022-09-06 2023-04-11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2519804B1 (ko) 2022-09-06 2023-04-11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515B1 (ko)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US11965870B2 (en) Multi-sensor platform for crop health monitoring
CN106102448B (zh) 植物状态自动化分析装置以及利用其的植物分析方法
US10192185B2 (en) Farmland management system and farmland management method
KR101118245B1 (ko)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JP6390054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301071B1 (ko) 영상 기반의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 시스템
CN105979001A (zh) 农林四情监控系统
CN11394032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害虫防控系统
KR102261087B1 (ko) 영상기반 감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056094A1 (en) Fluorescence imaging system
CN104065931A (zh) 一种白蚁视频远程监测及诱杀系统
EP3626077A1 (de) Schädlingskontrolle
CN110169408A (zh) 农林业虫情测报装置及其采用该装置的虫情测报方法
KR20180043082A (ko) 식물병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045945A (ja) 害虫発生調査装置
US20210259230A1 (en) Adapter for automation of detection devices, remote, automatic and uninterrupted counting of target pests and lepidopteran perimeter controller
CN216144369U (zh) 一种作物监测系统
Darras et al. Eyes on nature: Embedded vision cameras for multidisciplinary biodiversity monitoring
US202002582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632157B1 (ko) 해충 자동 촬영 장치
KR102499264B1 (ko) 3축 구동장치를 이용한 해충 포집 및 관리시스템
KR102643855B1 (ko) Rgb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수집 기능을 활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WO2024111827A1 (ko)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상습 녹조발생 하천 녹조 모니터링장치
CN108157315A (zh) 一种蚊媒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