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916A -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자동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2916A KR20220062916A KR1020200148663A KR20200148663A KR20220062916A KR 20220062916 A KR20220062916 A KR 20220062916A KR 1020200148663 A KR1020200148663 A KR 1020200148663A KR 20200148663 A KR20200148663 A KR 20200148663A KR 20220062916 A KR20220062916 A KR 202200629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unit
- pair
- rail
- trap
-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266 injurious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71 remote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 H04N5/23218—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04N5/225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자동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방이 개방된 촬영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트랩, 상기 트랩의 내부에 배치되어 움직일 수 있고 카메라가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을 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 결합된 상기 테이블을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고 촬영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으로 기설정된 주기로 촬영공간의 바닥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으로 기설정된 주기로 촬영공간의 바닥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충 자동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재배현장에는 여러 종류의 해충이 발생한다. 해충을 미리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트랩(trap)을 재배현장에 설치한 다음, 트랩에 포획된 해충을 조사하여 발생밀도와 종류를 파악하여 누적관리를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제 조치를 취한다. 이에 해충의 발생밀도와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자가 현장에 직접 찾아가 포획된 해충을 수집하여 촬영하여 해충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조사자가 재배현장을 직접 방문하게 되면서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었다.
본 발명은 과수, 식물 등의 재배현장에 설치하여 해충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충정보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자동 촬영 장치는 사방이 개방된 촬영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트랩, 상기 트랩의 내부에 배치되어 움직일 수 있고 카메라가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을 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 결합된 상기 테이블을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고 촬영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으로 기설정된 주기로 촬영공간의 바닥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자동 촬영 장치는 상기 트랩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에 앉은 해충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자동 촬영 장치는 상기 트랩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을 비추는 조명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자동 촬영 장치는 상기 테이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테이블과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레버 및 상기 한 상의 고정 레버를 이동시키는 레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레버 일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고정레버는 상기 레버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가이드홈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한 쌍의 레버는 하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두개의 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어 있고 양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트랩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및 상기 테이블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구동부 및 상기 Y축 구동부는 각각, 상기 수평레일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리드 볼 스크류의 일단과 연결된 수평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 리드 볼 스크류는 상기 테이블과 나사결합되어 관통하며, 상기 수평 리드 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Z축 구동부는 상기 촬영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레일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레일블록, 상기 촬영공간에서 촬영공간의 바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레일블록 중 선택한 레일블록을 관통하는 수직레일, 상기 촬영공간에서 촬영공간의 바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직레일이 관통하지 않은 상기 레일블록과 나사 결합되어 관통하는 수직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수직 리드 볼 스크류와 연결된 수직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리드 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랩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촬영공간이 형성된 트랩본체, 그리고 상기 트랩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이 경사져 있는 지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자동 촬영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를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테이블이 구동유닛을 통해 X, Y, Z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해충 위치 및 다양한 크기의 해충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이미지 등을 분석 시스템이 장착된 서버로 전송하여 진단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다양한 해충의 예찰 및 진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1의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1의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자동 촬영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1의 해충 자동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자동 촬영 장치(1)는 다양한 크기의 해충에 대하여 발생 밀도를 원격 예찰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소해충과 나방류의 해충을 동시에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2종을 장착하고 X, Y좌표 이동이 가능하며 일정한 주기로 자동 촬영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이미지를 전송하여 원격진단이 가능하다. X, Y축으로 좌표이동이 가능한 직교좌표 구동부와 Z축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부를 통해 카메라가 유입된 해충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해충 자동 촬영 장치(1)는 트랩(10), 테이블(20), 구동유닛(40), 제어부(80) 및 통신부(70)를 포함한다. 해충 자동 촬영 장치(1)는 센서유닛(50), 조명등(60) 및 거치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충 자동 촬영 장치(1)는 과수, 식물 등의 재배현장에 설치하여 유입된 해충을 촬영한다. 그리고 해충 자동 촬영 장치(1)는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충정보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랩(10)은 트랩본체(11), 그리고 지붕(12)을 포함하며 해충 자동 촬영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해충을 포획한다.
트랩본체(11)는 내부에 촬영공간(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트랩본체(11)는 외부 둘레를 따라 사방이 개방되어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랩본체(11)의 상면도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트랩본체(11)는 한 면만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과수, 식물 등의 재배현장에 해충 자동 촬영 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재배현장의 해충은 개방홀을 통해 촬영공간(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촬영공간(111)에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물(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유인물은 펩톤, 페닐알라닌, 과당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유인물은 특정 파장의 빛을 내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촬영공간(111)의 바닥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촬영공간(111)으로 유입된 해충은 바닥에 앉을 수 있다. 촬영공간(111)의 바닥은 흑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촬영공간(111)의 바닥은 백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촬영공간(111)의 바닥은 흑색으로 형성되고 바닥의 내부에 조명을 설치할 수 있다. 조명에서 빛이 발생하면 촬영공간(111)의 바닥은 밝아질 수 있다. 이에 해충의 색상에 따라 촬영공간(111)의 바닥 색상을 변경하여 해충이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촬영공간(111)의 바닥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해충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지붕(12)은 트랩본체(1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개방된 상면을 열고 닫는다. 지붕(12)은 일측이 트랩본체(11)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지붕(12)은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트랩본체(11)의 개방된 상면을 열고 닫는다. 그리고 지붕(12)의 타측은 트랩본체(11)와 잠금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잠금부재에 의해 지붕(12)은 트랩본체(11)의 상면에 고정되어 열리지 않는다.
한편, 지붕(12)은 트랩본체(11)의 상면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지면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지붕(12)은 트랩본체(11)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지붕(12)의 경사면에 의해 우수, 살포되는 약제 등은 지붕(12)에 고이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랩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테이블(20)은 촬영공간(111)에 위치하며 구동유닛(40)에 결합되어 있다. 테이블(20)은 구동유닛(40)에 의해 X, Y, Z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테이블(20)은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본 X축과 Y축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X축 방향의 관통홀과 Y축 방향의 관통홀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이에 X축 방향의 관통홀은 테이블(2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Y축 방향의 관통홀은 테이블(2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20)의 하면에는 카메라(C)를 고정하는 거치대(3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C)는 미소해충, 나방류의 해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2종의 카메라(C)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되는 카메라(C)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거치대(30)는 베이스(31),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 및 레버 구동부(33)를 포함한다.
베이스(31)는 테이블(20)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테이블(20)의 하면과 접하여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31)는 테이블(20)과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촬영공간(111)의 바닥과 마주하는 베이스(31)의 하면에는 베이스(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베이스(31)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상단이 가이드홈(311)에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가이드홈(311)에서 직선이동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직선이동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의 사이에 카메라(C)가 위치한다. 이때 카메라(C)의 렌즈 부분에 촬영공간(111)의 바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하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카메라(C)의 적어도 두개의 면을 동시에 파지하여 촬영공간(111)에서 카메라(C)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아울러, 카메라(C)와 접하는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따위의 완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카메라(C)의 외관을 보호한다.
레버 구동부(33)는 스크류(331), 그리고 핸들(332)을 포함한다. 스크류(331)는 가이드홈(311)에 위치하여 양단이 베이스(3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스크류(331)는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 외부 둘레에는 왼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외부 둘레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331)는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를 관통하고 있다. 일측 고정레버(32a)는 왼나사 부분에 위치하고 타측 고정레버(32b)는 오른나사 부분에 위치한다. 일측과 타측의 나사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331)의 일단은 베이스(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핸들(332)은 스크류(331)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스크류(331)를 회전시킨다. 핸들(332)을 이용하여 스크류(331)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가이드홈(311)에서 직선이동을 한다. 그리고 스크류(331)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의해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는 스크류(3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한다. 한 쌍의 고정레버(32a, 32b)의 간격은 카메라(C)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테이블(20)을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평레일(41), X축 구동부(42), Y축 구동부(43) 및 Z축 구동부(44)를 포함한다. X축 구동부(42), Y축 구동부(43) 및 Z축 구동부(44)는 동시에 구동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
수평레일(41)은 촬영공간(111)에 위치하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때 수평레일(41)은 촬영공간(11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수평레일(41)은 트랩(10)을 평면을 볼 때 X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Y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수평레일(41)은 연결되어 있다. 수평레일(41)은 LM가이드레일 구조를 갖는다.
X축 구동부(42)은 한 쌍의 지지대(421), 한 쌍의 가이드(422),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 및 수평 구동모터(424)를 포함하며 테이블(20)을 트랩(10)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 쌍의 지지대(421)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수평레일(41)의 부분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대(421)는 LM가이드블록 구조를 갖는다. 한 쌍의 지지대(421)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422)는 환봉 형태로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한 쌍의 지지대(421)에 지지되어 있으며 테이블(20)의 상부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422)는 한 쌍의 지지대(421)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는 양단이 한 쌍의 지지대(42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테이블(20)을 나사 결합되어 관통하고 있다.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의 일단은 일측의 지지대(42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의 회전으로 테이블(20)은 한 쌍의 가이드(422)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한 쌍의 가이드(422)의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수평 구동모터(424)는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수평 구동모터(424)의 구동력으로 수평 리드 볼 스크류(423)는 회전하게 된다. 수평 구동모터(424)는 정회전과 역회전할 수 있다. 수평 구동모터(424)의 회전 방향에 따라 테이블(20)의 직선이동 방향이 달라진다.
Y축 구동부(43)은 한 쌍의 지지대(431), 한 쌍의 가이드(432), 수평 리드 볼 스크류(433) 및 수평 구동모터(434)를 포함하며 테이블(20)을 트랩(10)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축 구동부(43)는 X축 구동부(42)의 한 쌍의 지지대, 한 쌍의 가이드, 수평 리드 볼 스크류 및 수평 구동모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대(431)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 수평레일(41) 부분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Y축 구동부(43)는 X축 구동부(42)와 직각을 이루어 트랩(10)의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블(20)을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시킨다. 여기서 Y축 구동부(43)의 한 쌍의 지지대(431)와 수평 리드 볼 스크류(433)는 X축 구동부(42)의 한 쌍의 지지대 및 수평 리드 볼 스크류와 간섭되지 않도록 테이블(2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있다.
X축 구동부(42)의 구동으로 테이블(20)은 X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때 Y축 구동부(43)는 테이블(20)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Y축 구동부(43)의 구동으로 테이블(20)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때 X축 구동부(42)는 테이블(20)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Z축 구동부(44)는 레일블록(441), 수직레일(442), 수직 리드 볼 스크류(443) 및 수직 구동모터(444)를 포함하며 X축 구동부(42)와 Y축 구동부(43)가 연결된 수평레일(41)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평레일(41)의 이동으로 테이블(20)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일블록(441)은 촬영공간(111)에 위치하여 수평레일(41)의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레일블록(441)은 복수로 이루어져 있다. 레일블록(441)은 수평레일(41)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고 있다. 레일블록(441)은 한 쌍의 지지대(421, 431)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레일블록(44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레일(442)은 트랩(10)의 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하단은 촬영공간(111)의 바닥과 결합되어 있고 상단은 트랩(10)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다. 수직레일(442)은 환봉을 포함한다. 수직레일(442)은 레일블록(441)을 관통하고 있다. 수직레일(442)은 복수의 레일블록(441) 중 적어도 2개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수직레일(442)은 복수로 이루어져 있다. 수직레일(442)은 수평레일(41)이 Z축 방향으로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수직 리드 볼 스크류(443)는 트랩(10)의 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촬영공간(111)의 바닥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레일블록(441)과 나사결합되어 관통하고 있다. 수직 리드 볼 스크류(443)는 복수의 레일블록(441) 중 수직레일(442)이 관통하게 있지 않은 레일블록(441)을 관통하고 있다. 수직 리드 볼 스크류(443)의 회전에 의해 수평레일(41)은 Z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한다.
수직 구동모터(444)는 수직 리드 볼 스크류(443)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수직 구동모터(444)는 트랩(10)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 구동모터(444)는 정회전, 역회전할 수 있다. 수직 구동모터(444)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레일(41)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수평레일(41)의 이동으로 X축 구동부(42)와 Y축 구동부(43)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테이블(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X축 구동부(42), Y축 구동부(43) 및 Z축 구동부(44)의 구동으로 거치대(30)를 통해 테이블(20)과 연결된 카메라(C)는 촬영공간(111)에서 X, Y,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충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X축 구동부(42), Y축 구동부(43) 및 Z축 구동부(44)를 스크류와 가이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테이블(20)을 X, Y, Z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조명등(60)은 촬영공간(111)에 배치되어 있으며 촬영공간(111)의 바닥을 비추어 카메라(C)가 해충을 촬영할 때 최적의 촬영조건을 제공한다. 조명등(60)은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한편, 조명등(60)은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센서유닛(50)은 촬영공간(111)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유닛(50)은 촬영공간(111)으로 진입한 해충을 감지한다. 센서유닛(50)은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80)는 카메라(C), 구동유닛(40), 조명등(60), 통신부(70) 및 센서유닛(50)과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C)의 촬영과 구동유닛(4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C)를 작동하여 촬영공간(111)의 바닥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센서유닛(50)에서 해충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C)가 촬영공간(111)의 바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C)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카메라(C)가 촬영공간(111)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유닛(4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카메라(C)가 촬영공간(111)에서 촬영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70)는 카메라(C)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 시스템이 장착된 서버(S)로 전송한다. 통신부(70)는 공지의 무선통신유닛을 포함한다.
분석 시스템은 서버(S)로 전송된 과수, 농작물 등의 재배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한다. 트랩(10)의 해충을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해충 정보를 분석하므로 해충에 대한 진단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해충 자동 촬영 장치
10: 트랩 11: 트랩본체
111: 촬영공간 12: 지붕
20: 테이블 30: 거치대
31: 베이스 311: 가이드홈
32a, 32b: 한 쌍의 고정레버 33: 레버 구동부
331: 스크류 332: 핸들
40: 구동유닛 41: 수평레일
42: X축 구동부 43: Y축 구동부
421, 431: 한 쌍의 지지대 422. 432: 한 쌍의 가이드
423, 433: 수평 리드 볼 스크류 424, 434: 수평 구동모터
44: Z축 구동부 441: 레일블록
442: 수직레일 443: 수직 리드 볼 스크류
444: 수직 구동모터 50: 센서유닛
60: 조명등 70: 통신부
80: 제어부 C: 카메라
10: 트랩 11: 트랩본체
111: 촬영공간 12: 지붕
20: 테이블 30: 거치대
31: 베이스 311: 가이드홈
32a, 32b: 한 쌍의 고정레버 33: 레버 구동부
331: 스크류 332: 핸들
40: 구동유닛 41: 수평레일
42: X축 구동부 43: Y축 구동부
421, 431: 한 쌍의 지지대 422. 432: 한 쌍의 가이드
423, 433: 수평 리드 볼 스크류 424, 434: 수평 구동모터
44: Z축 구동부 441: 레일블록
442: 수직레일 443: 수직 리드 볼 스크류
444: 수직 구동모터 50: 센서유닛
60: 조명등 70: 통신부
80: 제어부 C: 카메라
Claims (11)
- 사방이 개방된 촬영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트랩,
상기 트랩의 내부에 배치되어 움직일 수 있고 카메라가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을 향하게 장착되는 테이블,
결합된 상기 테이블을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고 촬영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으로 기설정된 주기로 촬영공간의 바닥을 촬영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트랩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에 앉은 해충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트랩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촬영공간의 바닥을 비추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테이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테이블과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레버 및
상기 한 상의 고정 레버를 이동시키는 레버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레버 일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고정레버는 상기 레버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가이드홈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한 쌍의 레버는 하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두개의 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레버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어 있고 양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
을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트랩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및
상기 테이블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를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7항에서,
상기 X축 구동부 및 상기 Y축 구동부는 각각,
상기 수평레일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리드 볼 스크류의 일단과 연결된 수평 구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 리드 볼 스크류는 상기 테이블과 나사결합되어 관통하며, 상기 수평 리드 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7항에서,
상기 Z축 구동부는
상기 촬영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레일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레일블록,
상기 촬영공간에서 촬영공간의 바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레일블록 중 선택한 레일블록을 관통하는 수직레일,
상기 촬영공간에서 촬영공간의 바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직레일이 관통하지 않은 상기 레일블록과 나사 결합되어 관통하는 수직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수직 리드 볼 스크류와 연결된 수직 구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리드 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트랩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촬영공간이 형성된 트랩본체, 그리고
상기 트랩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이 경사져 있는 지붕
을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자동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8663A KR102632157B1 (ko) | 2020-11-09 | 2020-11-09 |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8663A KR102632157B1 (ko) | 2020-11-09 | 2020-11-09 |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2916A true KR20220062916A (ko) | 2022-05-17 |
KR102632157B1 KR102632157B1 (ko) | 2024-02-01 |
Family
ID=8179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8663A KR102632157B1 (ko) | 2020-11-09 | 2020-11-09 |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215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2707B1 (ko) * | 2023-08-03 | 2024-05-03 | (주)서용엔지니어링 | 이동식 상수도 유충 감시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660Y1 (ko) * | 2005-01-04 | 2005-03-23 | 조은영 | 휴대폰 고정구 |
KR20110053762A (ko) * | 2009-11-16 | 2011-05-24 | 디비비전(주) |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
JP4972520B2 (ja) * | 2007-10-26 | 2012-07-11 | 株式会社国際マイクロ写真工業社 | 撮影装置 |
KR20160058643A (ko) * | 2014-11-17 | 2016-05-2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
KR101953515B1 (ko) | 2018-07-27 | 2019-02-28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
-
2020
- 2020-11-09 KR KR1020200148663A patent/KR1026321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660Y1 (ko) * | 2005-01-04 | 2005-03-23 | 조은영 | 휴대폰 고정구 |
JP4972520B2 (ja) * | 2007-10-26 | 2012-07-11 | 株式会社国際マイクロ写真工業社 | 撮影装置 |
KR20110053762A (ko) * | 2009-11-16 | 2011-05-24 | 디비비전(주) |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
KR101118245B1 (ko) | 2009-11-16 | 2012-03-19 | 디비비전(주) |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
KR20160058643A (ko) * | 2014-11-17 | 2016-05-2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
KR101953515B1 (ko) | 2018-07-27 | 2019-02-28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2707B1 (ko) * | 2023-08-03 | 2024-05-03 | (주)서용엔지니어링 | 이동식 상수도 유충 감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2157B1 (ko) | 2024-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7560B1 (ko) | 이동형 지능로봇을 이용한 영상기반 식물 생장관리 제어시스템 | |
US879418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teat modeling for use with a milking system | |
US11849207B2 (en) | Inspection system for use in monitoring plants in plant growth areas | |
US6363883B1 (en) | Animal related apparatus | |
KR101507554B1 (ko) |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 |
US20210329906A1 (en) | Apparatus for spraying insecticides | |
JP4953073B2 (ja) | 捕虫装置 | |
EP117098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sing and determining a position and robo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 |
KR101706345B1 (ko) | 애완견 관리를 위한 비문 인식처리장치 | |
KR101953515B1 (ko) |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 |
KR20220062916A (ko) | 해충 자동 촬영 장치 | |
WO2000011940A1 (en) |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n animal related area | |
JP5759929B2 (ja) | 捕虫装置、捕虫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虫の監視方法 | |
CN107734222A (zh) | 智能虫情测报系统 | |
US20210195863A1 (en) | Milking system with detection system | |
KR101972330B1 (ko) |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 |
EP4447660A1 (en) | System for image based remote surveillance in an insect trap | |
JP2009106300A (ja) | 捕虫装置及び捕虫シートの検査方法 | |
JP2009072131A (ja) | 捕虫装置及び捕虫シートの検査方法 | |
JP7177329B2 (ja) | 植物観察システム | |
CN209268438U (zh) | 一体化诱虫测虫装置 | |
KR102499264B1 (ko) | 3축 구동장치를 이용한 해충 포집 및 관리시스템 | |
CN216434624U (zh) | 一种昆虫迁移路线监测用红外裂隙灯及监测系统 | |
WO1999033021A1 (en) |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n animal related area | |
JP7527005B2 (ja) | 植物体撮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