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30B1 -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30B1
KR101972330B1 KR1020180143139A KR20180143139A KR101972330B1 KR 101972330 B1 KR101972330 B1 KR 101972330B1 KR 1020180143139 A KR1020180143139 A KR 1020180143139A KR 20180143139 A KR20180143139 A KR 20180143139A KR 101972330 B1 KR101972330 B1 KR 10197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rarium
environment
creating
companion animal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을
Original Assignee
한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을 filed Critical 한을
Priority to KR102018014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30B1/ko
Priority to PCT/KR2019/012629 priority patent/WO20201058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라리움에서 생육할 반려동물의 종류 및 생육 환경에 맞춰 최적의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원격으로 생육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테라리움(10) 상부 개구에 올려놓고 고정하며, 내부환경 감시부(130)와, 환경 조성부(15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종류에 맞는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외부환경 감시부(140)로 감지되는 외부환경이 반려 동물에 영향을 줄 시에,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시켜서, 보다 향상된 반려동물 생태환경을 조성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managing ecological environment of terrarium growing companion animal and system for managing growth of companion anim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라리움에서 생육할 반려동물의 종류 및 생육 환경에 맞춰 최적의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원격으로 생육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테라리움(Terrarium)은 폐쇄 공간인 유리 상자 안에 흙, 모래, 유목, 인조 호수 등을 적소에 배치하여 반려 동식물의 생육 환경을 자연환경에 가깝게 한 관상용 사육장으로서, 반려 동식물에게 필요한 생육 환경을 조성하면서 실내장식품으로서 꾸민다.
이러한 테라리움에서 생육하려는 반려 동물은 파충류, 곤충류, 양서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고, 종류별로 요구되는 생태 환경도 상이하며, 식물보다는 신중하게 생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만 건강하게 적절한 성장속도로 생육할 수 있다.
이에, 생태 환경을 반려 동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장치들은 테라리움을 개조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생육할 반려 동물의 종류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부속품을 개인적으로 구입하여 개조 및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로 주문 제작하여만 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 장치들은 반려 동물의 종류별로 결정한 생육 환경에 맞춰 동작하게 구성되는 데 그치고 있어서, 사람과 공존하는 공간에서 생육함에 따라 주변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장치의 구동에 의한 스트레스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주변 환경 및 장치 구동에 따른 영향은 반려 동물의 건강한 성장에 저해 요인이 되지만, 종래 장치는 이러한 저해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갖추지 않았다.
또한, 반려 동물의 생육 상태를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여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 시스템도 있지만, 실내 촬영용 감시 카메라를 활용하는 기술이어서, 테라리움을 집중 관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엔 부족하였다.
KR 10-2011-0138613 A 2011.12.28. KR 10-2018-0059988 A 2018.06.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라리움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생육할 반려동물의 종류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셋팅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또는 내장 구성의 가동에 따른 영향을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에 끼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며 동작할 수 있고, 실내는 물론이고 테라리움 내부도 집중적으로 촬용하여, 원격지에서 관찰할 수 있게 한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막게 할 케이스(160)를 갖고, 테라리움(10) 내의 반려동물을 위한 내부 환경을 조성하게 되어 있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에 있어서, 테라리움(1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20);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2)를 포함하며,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을 감시하는 내부환경 감시부(130); 외부 움직임감지센서(141) 및 외부 마이크(142)를 포함하며, 테라리움(10) 외부 환경을 감시하는 외부환경 감시부(140);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에 영향을 주기 위한 환경 조성부(150); 반려동물의 생육관리일정은 물론이고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에 따른 상황대응방안을 통신모듈(112)을 통해 접수한 후, 내부 환경을 감시하며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환경 조성부(150)로 내부 환경에 영향을 주고,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1)로 얻는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로 감시한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날 시에 상황대응방안에 따라 환경 조성부(150)를 제어하며, 카메라(120)로 촬영한 영상의 원격 수신과, 환경 조성부(150)의 원격 제어를 통신모듈(112)을 통해 수행하도록 허용한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경 조성부(150)는 램프(151), 환기팬(152) 및 스피커(154)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대응방안은 반려동물을 안정시킬 수 있는 음향신호를 상기 스피커(154)로 출력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는 온습도센서(133), 조도센서(134), 산소농도센서 및 센서 연결 단자(136)를 포함하되, 센서 연결 단자(136)는 수온센서, 수위센서 또는 수질측정기를 연결할 단자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상기 환경 조성부(150)는 분무기(155) 및 외부 연결 단자(156)를 포함하되, 외부 연결 단자(156)는 히터, 급배수기 또는 먹이공급기를 연결할 단자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연결 단자(136) 및 외부 연결 단자(156) 중에 연결된 단자 위치로 연결 대상을 인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제어기(114)를 포함하고,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2)로 얻는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할 시에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후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할 시에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60)는 테라리움(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촬영실(163)을 폭 방향으로 길게 조성되게 구비하되, 상기 촬영실(163)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테라리움(10)의 내부를 빛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120)로 촬영할 수 있게 한 반사경(164)이 비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팬/틸트/줌(pan/tilt/zoom)을 조절할 수 있으며, 촬영실(163)의 폭방향 중심에서 테라리움(10)의 내부를 직접 촬영하도록 뉘어 설치함은 물론이고, 뉘어 설치됨에 따라 팬(pan) 동작에 의해 반사경(164)을 촬영하여 테라리움(10) 내부를 반사경(164)을 통해 간접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실(163)의 전방 및 상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여, 테라리움(10) 외부를 상기 카메라(120)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경(164)은 모터(164a)에 의해 각도 조절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20)를 상기 반사경(164)으로 향하게 할 시에 상기 반사경(164)으로 줌 인(zoom in)하게 제어한 후 영상을 얻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반사경(164)을 통해 간접 촬영할 시에, 모터(164a)를 가동시켜 반사경(164)의 기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며 촬영한 영상을 합성하여 테라리움(10) 내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후,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합성 영상에서 대체시켜 얻는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 반려동물의 종류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설정모듈,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로부터 영상, 내부 환경 데이터 및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 모니터링모듈, 및 반려동물의 생육 상태를 입력받아 사육기록일지에 기록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한 스마트기기(300); 및 생육관리일정 및 상황대응방안을 포함한 관련 데이터를 반려동물의 종류별로 저장하여 두고, 스마트기기(300)에 의해 설정된 반려동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관련 데이터를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전달하여 사용되게 하고,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로부터 영상, 내부 환경 데이터 및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300)의 원격 모니터링을 지원하며, 서마트기기(300)에 의한 상기 카메라(120)의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한편, 스마트기기(300)에서 기록한 사육기록일지에 따라 생육관리일정을 수정하여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서 수정된 생육관리일정을 사용하게 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내장하거나 센서 연결 단자(136)에 연결한 내부환경 감시부(130)를 이용하여 내부환경를 감시하고, 내장하거나 외부 연결 단자(156)에 연결한 환경 조성부(150)로 내부 생태환경을 조성하게 구성되어,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반려 동물에 미치는 외부환경의 영향을 감시하여 완화할 조치를 취하므로, 반려 동물을 건강하게 생육할 수 있으며, 테라리움(10) 상부 개구에 쉽게 설치하여 테라리움(10) 내의 반려동물을 최적 생태환경에서 생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환경 조성부(150)의 가동에 의한 소음 또는 진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시켜서, 더욱 최적화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테라리움(10) 내부 장식에 의해서 카메라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곳이 발생하더라도, 하나의 카메라(120)에 복수의 반사경(164)을 결합하여,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한 효과를 거두므로, 테라리움(10) 내부 곳곳을 상세하게 관찰하며 반려 동물의 동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더하여, 테라리움(10) 외부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의 설치 상태도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의 투시도.
도 3은 테라리움(10) 위에 설치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의 촬영실(163)를 정면에서 투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서버(200)의 블록구성도 및 스마트기기(300)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는 조명 장치 또는 통풍구를 구비한 덮개로 막아 놓았던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덮개를 대신하여 막으며 고정 설치하게 되어 있고, 테라리움(10) 내의 반려 동물에게 최적의 생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갖추어서, 테라리움(10)의 개조 없이 용이하게 설치하며 반려동물을 생육 관리할 수 있고, 환경 변화가 반려동물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도 취하며 동작하므로, 반려동물을 좀 더 건강하게 생육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는 가동할 시의 반려동물 반응을 주시하여, 가동에 따른 소음 또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므로, 생태환경의 훼손을 줄일 수 있고, 카메라(120)와는 다른 각도의 촬영 영상을 반사경(164)을 통해 얻을 수 있게 하여, 테라리움(10) 내부 장식에 가려지는 카메라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므로, 작은 크기의 반려동물이더라도 놓치지 않고 원격 영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200) 및 스마트기기(300)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반려동물을 원격 모니터링하며 생육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를 테라리움(10)에 설치한 사용 상태도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테라리움(10)은 적어도 전방의 유리 벽체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내부에서 키우는 반려동물(또는 애완동물)의 최소한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상부 개구를 램프 또는 통풍구를 구비한 덮개로 막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는 외관을 보면,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기존 덮개를 대신하여 덮을 수 있는 케이스(160)를 갖추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최적 생태환경을 위한 복수의 구성요소를 케이스(160) 내에 갖추도록 구성된다.
물론, 케이스(160)는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 전체를 덮거나 아니면 부분적으로 덮는 크기로 제작하고, 나머지를 다른 부재(예를 들면 유리판)로 덮게 하여도 좋다.
여기서, 테라리움(10)에서 생육하는 반려동물은 곤충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포유류, 어류 등을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조경 및 감상 용도로 생육하기에 적절한 동물이면 되며, 애완동물로 지칭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은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에 설치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를 연결한 서버(200)와, 서버(200)의 지원을 받아 테라리움(10)을 원격 모니터링하며 테라리움(10)에서 생육하는 반려동물의 생육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2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를 보여주기 위해서 상부측 덮개를 분리한 후 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테라리움(10) 위에 설치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의 촬영실(163)를 정면에서 투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60)에 제어부(110), 카메라(120), 내부환경 감시부(130), 외부환경 감시부(140) 및 환경 조성부(150)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60)는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막게 한 커버 판(161)의 상부에 수납실(162) 및 촬영실(163)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실(163)은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전후 방향 중간에서 폭 방향으로 길게 가로지르게 조성되어 있고, 폭 방향 중간에 상기 카메라(120)가 내장되어 있으며,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테라리움(10) 내부를 빛 반사하여 상기 카메라(120)를 향하게 함으로써, 폭 방향 양측에서 테라리움(10) 내부를 투시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반사경(164)이 경사지게 비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반사경(164)은 상기 카메라(120)을 향하되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어서, 하부의 테라리움(10) 내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120)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테라리움(10)의 내부를 촬영함은 물론이고, 테라리움(10)의 외부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촬영실(163)은 하부를 통해 테라리움(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부를 개구하거나 아니면 투명 판재로 막아놓고, 정면측 및 상면측을 통해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정면 및 상면에 투시창(163a)을 갖게 하였다. 물론, 하부를 투명 판재로 막아놓았으면 정면 및 상면의 투시창(163a)은 개구된 상태로 두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팬/틸트/줌(pan/tilt/zoom)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닥을 촬영실(163)의 후방측 벽면에 닿도록 뉘어 놓아서, 하부 측의 테라리움(10) 내부를 정면 방향으로 하여 직접 촬영함은 물론이고, 팬(pan) 동작(1)을 수행하여 양측 반사경(164)을 향해 촬영함으로써 하부 측의 테라리움(10) 내부를 자신 위치와는 다른 위치(즉, 반상경이 설치된 위치)에서 반사경(164)의 도움을 받아 간접 촬영할 수 있고, 틸트(tilt) 동작을 수행하여 하부측의 테라리움(10) 내부는 물론이고 전방 및 상부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최근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정용 감시카메라로서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355°팬 동작 및 120°틸트 동작이 가능한 제품이 있으므로, 이 정도의 카메라를 채용하더라도 팬/틸트 동작을 수행하여 테라리움(10) 내외부를 광범위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의 줌(zoom) 기능은 반사경(164)을 향해 촬영할 시에 반사경(164)의 크기에 맞춰 줌 인(zoom in)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가능하면 반사경(164)만 촬영하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반사경(164)을 향해 줌 인함으로써, 반사경(164)의 배경 영상은 제외하고 반사경(164)을 통해 투시되는 테라리움(10) 내부만 촬영하게 한다. 이러한 줌 인(zoom in) 동작은 반사경(164)을 향하기 위한 팬(pan) 동작과 연동하도록 상기 제어부(110)에서 제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경(164)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64a)로 회전시켜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 상기 반사경(164)의 크기 및 상기 카메라(120)와의 이격 거리 등에 의해서 촬영 범위(2), 즉, 반사경(164)을 통한 간접 촬영의 화각이 제한되더라도, 기울기를 조절하여 테라리움(10) 내부 곳곳을 간접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팬/틸트/줌 기능을 갖는 상기 카메라(120)를 눕혀 설치하였으므로, 팬 동작(1)으로 양측 반사경(164)을 촬영하여 양측 반사경(164)에 의해 반사되는 테라리움(10) 내부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런데, 반사경(164)의 제한된 크기에 의해서, 반사경(164)을 통해 촬영할 수 있는 범위(2)는 제한된다. 이에, 모터(164a)로 반사경(164)을 회전시켜서, 실질적으로 틸(tilt) 동작하며 촬영할 수 있으므로, 테라리움(10) 내부 전체를 반사경(164)을 통해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경(164)은 촬영실(163)의 양측 끝단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능하면 상기 카메라(120)와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촬영실(163)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된 판재 중에 전면 판재에는 상기 투시창(163a)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투시창(163a)의 외곽 측에서 외부 환경을 감시할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는 상기 반사경(164)이 설치된 부위를 관통시켜 설치하고, 양측 반사경(164) 사이 전체를 투시창(1643)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는 테라리움(10) 외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 및 소리를 감시하기 위한 외부 움직임감시센서(131b) 및 외부 마이크(132b)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는 움직임 및 소리 이외에도 테라리움(10)에서 생육하는 반려동물을 자극할 수 있는 외부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센서도 포함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를 추가하여도 좋다.
상기 수납실(162)은 상기 촬영실(163)과 격리되도록 상기 촬영실(163)의 후방측에 조성되며, 상기 제어부(110), 내부환경 감시부(130) 및 환경 조성부(150)가 내장된다.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는 테라리움(10)의 내부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라리움(10)에서 생육하는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반려동물이 내는 소리를 수음하는 내부 마이크(132), 테라리움(10)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133), 테라리움(10) 내부 바닥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34), 테라리움(10) 내부 공기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135), 및 수납실(162)에 내장하기 어려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연결하게 한 센서 연결 단자(136)를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내부 마이크(132), 온습도센서(133), 조도센서(134) 및 산소농도센서(135)는 커버 판(161)을 관통하게 설치하여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을 감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서 연결 단자(136)는 수납실(162) 내 노출되게 설치하여, 수납실(162)을 구성하는 벽체 또는 커버 판(161)을 관통시켜 배선할 수 있는 센서 연결용 신호선을 연결하게 한다. 상기 센서 연결 단자(136)에 연결할 센서로는 수온센서, 수위센서 또는 수질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는 공지의 기술인 영상 분석 기술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카메라(120)의 영상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른 영상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마이크(132)는 상기 카메라(120)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를 구비한 감시카메라를 채용할 경우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촬영실(163)과 테라리움(10) 사이를 연통시키고, 촬영실(163) 전방 및 상방은 투명 재질의 투시창(163a)으로 막는 것이 좋다.
상기 환경 조성부(150)는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에 영향을 주어 환경 변화를 줌으로써, 반려 동물에게 적합한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라리움(10)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151), 테라리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팬(152), 외부 공기를 테라리움(10) 내부로 유입되게 하기 위한 송풍기(153), 테라리움(10) 내부를 향해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54), 테라리움(10)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무기(155) 및 수납실(162) 내에 수용하기 어려운 다른 종류의 환경 조성 장치를 연결하게 한 외부 연결 단자(156)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램프(151)는 커버 판(161)을 관통하는 창을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환기팬(152)은 커버 판(161)을 관통하는 유로를 통해 내부 공기를 흡기하여 배출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송풍기(153)는 수납실(162)을 조성하는 외벽을 관통하는 환기구와 커버 판(161)을 관통하는 유로를 통해 내외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154)는 커버 판(161)을 관통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무기(155)는 펌프(155b)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커버 판(161)에 관통되게 설치한 분사노즐(155a)로 테라리움(10) 내에 분사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153)는 외부 공기를 테라리움(10) 내부에 불어넣기 위한 팬을 구비할 수 있고, 아울러, 테라리움(10) 내부로 유입되게 할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온도 조절하는 냉온풍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냉온풍기는 예를 들어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무기(155)로 분사할 물은 펌프(155b)를 외부 배관에 연결하거나 또는 물통에 연결하여 공급받게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연결 단자(156)는 수납실(162)을 구성하는 벽체 또는 커버 판(161)을 관통시켜 배선할 수 있는 제어선을 연결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선을 통해 상기 외부 연결 단자(156)에 연결하는 것은 히터, 급배수기 또는 먹이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상기 외부 연결 단자(156)와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의 센서 연결 단자(136)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되, 연결할 단자 위치가 기기 종류별로 지정되어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110)가 연결 단자의 위치로 연결 기기의 종류를 식별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110)는 메인 컨트롤러(111), 통신모듈(112), 메모리(113) 및 출력제어기(114)를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112)은 통신망 중의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에 더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추가하여도 좋다.
상기 출력제어기(114)는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출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종류에 맞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램프(151)의 경우는 출력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있으므로, 그러한 기술을 채용하면 된다.
환기팬(152)의 경우는 환기팬(152)의 모터를 가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을 전력 제어하여 가변하거나,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기술을 채용하면 된다.
송풍기(153)의 경우는 팬을 구비할 시에 환기팬(152)과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게 하면 되고, 냉온풍기를 구비할 시에 냉온풍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면 된다.
스피커(154)는 음량을 조절하게 하면 된다.
분무기(155)의 경우는 모터 제어방식으로 펌프(155b)를 제어하면 된다.
외부 연결 단자(156)를 통해 연결되는 기기 중에 급배수기의 경우는 급수 밸브 또는 배수 밸브를 제어하여 급수 유량 또는 배수 유량을 조절하게 하면 되고, 먹이공급기는 먹이 투입 속도를 조절하게 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111)에 의한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11)는 조성 조건 접수 동작, 생태 환경 조성 동작, 상황 대응 동작, 및 원격 지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성 조건 접수 동작은 통신모듈(112)을 통해 외부(후술하는 서버)와 접속되어 외부에서 전송하는 생육관리일정 및 상황대응방안을 수신하고, 메모리(113)에 저장하여 두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생육관리일정은 반려동물의 생육에 적합한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을 시간대별 또는 일정별로 기록하여 둔 자료로서, 예를 들어, 내부환경 감시부(130)로 감시할 수 있는 항목으로서, 온도, 습도, 조도, 산소농도, 수온, 수위, 수질 등의 적절한 값과, 반려동물이 먹이를 요구할 시에 취한 행동의 특정 패턴 또는 내는 소리의 특정 음파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성장 속도의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먹이를 주어야 하는 시점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대응방안은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에 따라 상기 환경 조성부(150)로 변경할 환경을 기록하여 둔 자료이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놀랄 때에 취하는 행동의 특정 패턴 또는 내는 소리의 특정 음파 패턴을 특징적 상태변화로 하여 기록하여 두고, 그에 따라 변경할 환경 조건 및 환경 조성부(150)의 가동 조건을 대응방안으로 하여 기록한 데이터일 수 있다.
테라리움(10)은 관상용으로 실내에 설치하므로, 사람이 주변에 있을 때, 또는, 주변에서 소음이 발생할 때에 놀랄 수 있고, 또한,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가동에 따라 놀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반려동물이 환경 변화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아 취하는 행동 또는 소리로 나타나는 특징적 상태변화와, 이에 따라 변경할 내부 환경 조건을 상황대응방안으로 한다.
상기 생태 환경 조성 동작은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테라리움(10) 내부 환경(또는 생육 환경)을 조성하는 동작이다. 즉,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로 감시한 내부 환경이 상기 생육관리일정에 기록되어 있는 적정 내부 환경인지를 비교하여, 적정 내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조절해야 할 내부 환경 조절량을 산출하고,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시켜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에 영향을 줌으로써, 내부 환경 조절량만큼의 환경 변화를 주며, 이에, 테라리움(10)의 내부 환경을 적정 내부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태 환경 조성 동작은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먹이를 주기도 하며, 생육관리일정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 보다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등록특허 제10-1893044호에 예시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등록특허 제10-1893044호에는 기술되어 있는 아니한 생태 환경 조성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 연결 단자(136)에 수온센서, 수위센서 또는 수질측정기가 연결되어 있고, 외부 연결 단자(156)에 급배수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111)는 수온, 수위 또는 수질에 관련된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급배수기를 제어하여 수온 조절 동작, 수위 조절 동작 또는 수질 개선을 위한 환수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황 대응 동작은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로 감지되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영향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로 감지되는 외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고, 동시에,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의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또는 내부 마이크(132)로 검출한 반려동물의 움직임 또는 소리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대응방안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감지되면, 대응 동작을 수행된다. 여기서의 대응 동작은 상기 상황대응방안에 포함된 변경 환경 조건에 따라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시켜 환경 변화를 주는 동작이다.
대응 동작으로는 반려 동물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음향신호를 상기 스피커(154)를 통해 출력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반려동물의 소리를 들려주게 하는 것도 좋다.
한편, 먹이공급기(156)가 상기 외부 연결 단자(156)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응 동작으로서 먹이를 주게 할 수도 있다. 다른 대응 동작을 예시하면, 램프(151), 환기팬(152), 송풍기(153) 및 분무기(155)의 동작이 테라리움(10) 내의 반려동물에게 익숙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동작 중에 미리 선별된 동작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생육관리일정에 따른 적정 내부 환경을 크게 변동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할 시에, 상기 상황대응방안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의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또는 내부 마이크(132)로 검출한 반려동물의 움직임 또는 소리에서 감지되는 경우에 대응 동작을 수행된다. 이때의 대응 동작은 가동시킨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구성요소 중에 특징적 상태변화를 일으키는 구성요소를 기록하여 두고, 이후 그 구성요소를 다시 가동시킬 시에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작으로 할 수 있다. 즉,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또는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가동시켜야 하는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능하면 스트레스를 덜 받도록 출력을 조절한다.
상기 원격 지원 동작은 통신모듈(112)을 통해 연결된 외부(후술하는 서버)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120) 및 모터(164a)를 원격제어하게 하며 카메라(120)로 촬영한 영상을 외부에 전송하고, 내부환경 감시부(130)로 얻는 내부 환경 데이터, 상황대응방안에 따라 취한 대응 조치 전후에 감지된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 및 그 반려동물 상태변화를 일으킨 외부 환경 또는 가동시킨 환경 조성부(150)의 종류를 메모리(113)에 기록한 후 외부로 전달하고, 환경 조성부(150)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허용하는 동작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는 테라리움(10) 내외부를 모두 촬영할 수 있으므로, 원격 제어에 따라 하달받는 지령이 없을 시에는 테라리움(10) 내부를 촬영하게 하여 상기 생태 환경 조성 동작 및 상황 대응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원격 제어에 따라 하달받는 지령이 있을 시에는 지령에 따라 테라리움(10)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게 제어한다.
한편, 반사경(164)을 통해 얻는 영상은 도 3을 참조하며 반사경(164)을 설명할 시에 살펴본 바와 같이 촬영 범위(2)가 축소되어서, 테라리움(10) 내부 중에 일부 영역을 촬영한 영상으로 되지만, 테라리움(10) 내부 전체를 촬영한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즉, 테라리움(10) 내부를 반사경(164)을 통해 간접 촬영하라는 지령을 받으면, 초기에 반사경(164)의 기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도록 모터(164a)를 제어하며 반사경(164)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테라리움(10) 내부 영역을 부분적으로 촬영한 영상을 얻고, 이때 부분적으로 얻는 영상을 합성하여 테라리움(10) 내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다시 말해서, 반사경(164)을 통해 촬영할 영역을 테라리움(10)의 폭방향 일측에서 폭방향 타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도록 상기 반사경(164)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이때 얻는 영상을 파노라마 영상을 얻기 위한 합성 기술을 채용하여서, 테라리움(10) 내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그런 다음, 지령에 따라 모터(164a)를 제어하며 반사경(164)을 통해 실시간 촬영한 부분 영상을 합성 영상에서 대체시키고, 이러한 합성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즉, 지령을 받는 시점의 정지 영상으로 획득한 전체 영상 중에서 실시간 촬영한 부분 영상에 해당되는 부분만 실시간 영상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물론, 합성 영상 중에 실시간 영상으로 대체하는 부분은 모터(164a)의 가동에 의해 매순간 바뀌게 되므로, 실시간 영상으로 대체하였던 부분의 최종 영상은 그 부분의 최종 영상 프레임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메인 컨트롤러(111)를 구비하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를 서버(200) 및 스마트기기(300)와 연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이 구성된다.
도 5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를 통신망을 통해 연계시킨 서버(200)와 스마트기기(300)의 블록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생육관리일정 및 상황대응방안(스트레스에 관련된 반려 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를 포함)을 포함한 반려동물 관련 테이터를 반려동물의 종류별로 정하여 두는 데이터베이스부(210), 스마트기기(300)에서 접속하여 반려동물의 종류를 설정할 시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생육관리일정 및 상황대응방안)을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게 전달하여 사용되게 하는 생태 환경 지원부(220), 내부환경 데이터,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 및 외부 환경 또는 가동시킨 환경 조성부(150) 종류를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 관리하면서 스마트기기(300)에서 조회하게 하고, 스마트기기(300)에서 카메라(120) 및 모터(164a)를 원격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의 촬영 영상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 환경 조성부(150)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니터링 지원부(230), 및 스마트기기(300)에서 기록한 사육기록일지를 받아 생육관리일정을 수정하여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수정된 생육관리일정을 사용하게 하는 일정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반려동물의 종류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200)에 전달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서 사용되게 하는 설정모듈(310), 카메라(120), 모터(164a) 및 환경 조성부(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200)에서 조회할 수 있게 한 데이터를 받아 원격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모듈(320) 및 반려동물의 생육 상태를 입력받아 사육기록일지에 기록하고 서버(200)에 전달하는 관리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한 설정모듈(310), 모니터링모듈(320) 및 관리모듈(330)은 상기 스마트기기(300)에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은 반려동물에 적합한 생육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하게 하면서, 반려 동물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건강하게 생육시킬 수 있고, 테라리움(10) 내에서 이곳저곳으로 이동하는 반려동물이 숨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찾아가며 생육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을 언제 어디서든 생생하게 확인하며 생육할 수 있게 한다.
10 : 테라리움
100 :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110 : 제어부
111 : 메인 컨트롤러 112 : 통신모듈
113 : 메모리 114 : 출력제어기
120 : 카메라
130 : 내부환경 감시부
131 : 내부 움직임감지센서 132 : 내부 마이크
133 : 온습도센서 134 : 조도센서
135 : 산소농도센서
136 : 센서 연결 단자
140 : 외부환경 감시부
141 : 외부 움직임감지센서 142 : 외부 마이크
150 : 환경 조성부
151 : 램프 152 : 환기팬
153 : 송풍기 154 : 스피커
155 : 분무기 155a : 분사노즐 155b : 펌프
156 : 외부 연결 단자
160 : 케이스
161 : 커버 판 162 : 수납실
163 : 촬영실 163a : 투시창
164 : 반사경 164a : 모터
200 : 서버
300 : 스마트기기

Claims (9)

  1. 테라리움(10)의 상부 개구를 막게 할 케이스(160)를 갖고, 테라리움(10) 내의 반려동물을 위한 내부 환경을 조성하게 되어 있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에 있어서,
    테라리움(1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20);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2)를 포함하며,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을 감시하는 내부환경 감시부(130);
    외부 움직임감지센서(141) 및 외부 마이크(142)를 포함하며, 테라리움(10) 외부 환경을 감시하는 외부환경 감시부(140);
    테라리움(10) 내부 환경에 영향을 주기 위한 환경 조성부(150);
    반려동물의 생육관리일정은 물론이고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에 따른 상황대응방안을 통신모듈(112)을 통해 접수한 후, 내부 환경을 감시하며 생육관리일정에 따라 환경 조성부(150)로 내부 환경에 영향을 주고,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1)로 얻는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상기 외부환경 감시부(140)로 감시한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날 시에 상황대응방안에 따라 환경 조성부(150)를 제어하며, 카메라(120)로 촬영한 영상의 원격 수신과, 환경 조성부(150)의 원격 제어를 통신모듈(112)을 통해 수행하도록 허용한 제어부(110);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60)는
    테라리움(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촬영실(163)을 폭 방향으로 길게 조성되게 구비하되, 상기 촬영실(163)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테라리움(10)의 내부를 빛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120)로 촬영할 수 있게 한 반사경(164)이 비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팬/틸트/줌(pan/tilt/zoom)을 조절할 수 있으며, 촬영실(163)의 폭방향 중심에서 테라리움(10)의 내부를 직접 촬영하도록 뉘어 설치함은 물론이고, 뉘어 설치됨에 따라 팬(pan) 동작에 의해 반사경(164)을 촬영하여 테라리움(10) 내부를 반사경(164)을 통해 간접 촬영할 수 있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성부(150)는
    램프(151), 환기팬(152) 및 스피커(154)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대응방안은
    반려동물을 안정시킬 수 있는 음향신호를 상기 스피커(154)로 출력하는 방안을 포함하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환경 감시부(130)는
    온습도센서(133), 조도센서(134), 산소농도센서 및 센서 연결 단자(136)를 포함하되, 센서 연결 단자(136)는 수온센서, 수위센서 또는 수질측정기를 연결할 단자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상기 환경 조성부(150)는
    분무기(155) 및 외부 연결 단자(156)를 포함하되, 외부 연결 단자(156)는 히터, 급배수기 또는 먹이공급기를 연결할 단자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연결 단자(136) 및 외부 연결 단자(156) 중에 연결된 단자 위치로 연결 대상을 인지하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환경 조성부(15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제어기(114)를 포함하고, 내부 움직임감지센서(131) 및 내부 마이크(132)로 얻는 반려동물의 특징적 상태변화가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할 시에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후 상기 환경 조성부(150)를 가동할 시에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제어하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실(163)의 전방 및 상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여,
    테라리움(10) 외부를 상기 카메라(120)로 촬영할 수 있게 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164)은
    모터(164a)에 의해 각도 조절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20)를 상기 반사경(164)으로 향하게 할 시에 상기 반사경(164)으로 줌 인(zoom in)하게 제어한 후 영상을 얻게 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반사경(164)을 통해 간접 촬영할 시에, 모터(164a)를 가동시켜 반사경(164)의 기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며 촬영한 영상을 합성하여 테라리움(10) 내부 전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후,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합성 영상에서 대체시켜 얻는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하는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
    반려동물의 종류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설정모듈,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로부터 영상, 내부 환경 데이터 및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 모니터링모듈, 및 반려동물의 생육 상태를 입력받아 사육기록일지에 기록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한 스마트기기(300); 및
    생육관리일정 및 상황대응방안을 포함한 관련 데이터를 반려동물의 종류별로 저장하여 두고, 스마트기기(300)에 의해 설정된 반려동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관련 데이터를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 전달하여 사용되게 하고,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로부터 영상, 내부 환경 데이터 및 반려동물 상태변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300)의 원격 모니터링을 지원하며, 서마트기기(300)에 의한 상기 카메라(120)의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한편, 스마트기기(300)에서 기록한 사육기록일지에 따라 생육관리일정을 수정하여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100)에서 수정된 생육관리일정을 사용하게 하는 서버(200);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KR1020180143139A 2018-11-20 2018-11-20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KR10197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39A KR101972330B1 (ko) 2018-11-20 2018-11-20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PCT/KR2019/012629 WO2020105862A1 (ko) 2018-11-20 2019-09-27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39A KR101972330B1 (ko) 2018-11-20 2018-11-20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30B1 true KR101972330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39A KR101972330B1 (ko) 2018-11-20 2018-11-20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2330B1 (ko)
WO (1) WO20201058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62A1 (ko) * 2018-11-20 2020-05-28 한을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CN111742854A (zh) * 2020-08-04 2020-10-09 中国科学院生物物理研究所 一种动物图形识别能力的检测装置和方法
KR20200129115A (ko) * 2020-07-20 2020-11-17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애완동물 사육 장치
WO2021214797A1 (en) * 2020-04-22 2021-10-28 Davoodi Abargoii Seyed Mohammadreza Biometric laboratory animal house with monovalant device control and remote view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592A (ja) * 2003-09-09 2005-03-31 Link I:Kk 生物育成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10138613A (ko)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넥스트원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밀폐형 테라리움 식물 성장장치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JP2013242841A (ja) * 2012-04-23 2013-12-05 Maspro Denkoh Corp 動物の監視装置
KR20170133076A (ko) * 2016-05-25 2017-12-05 한전수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80059988A (ko)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60904B2 (en) * 2014-05-13 2018-01-18 Eco Net Ltd. Digital sports fishing
KR101972330B1 (ko) * 2018-11-20 2019-04-25 한을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592A (ja) * 2003-09-09 2005-03-31 Link I:Kk 生物育成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10138613A (ko)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넥스트원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밀폐형 테라리움 식물 성장장치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JP2013242841A (ja) * 2012-04-23 2013-12-05 Maspro Denkoh Corp 動物の監視装置
KR20170133076A (ko) * 2016-05-25 2017-12-05 한전수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80059988A (ko)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62A1 (ko) * 2018-11-20 2020-05-28 한을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WO2021214797A1 (en) * 2020-04-22 2021-10-28 Davoodi Abargoii Seyed Mohammadreza Biometric laboratory animal house with monovalant device control and remote viewing
KR20200129115A (ko) * 2020-07-20 2020-11-17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애완동물 사육 장치
KR102301788B1 (ko) 2020-07-20 2021-09-15 지앙수 글로벌 조유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애완동물 사육 장치
CN111742854A (zh) * 2020-08-04 2020-10-09 中国科学院生物物理研究所 一种动物图形识别能力的检测装置和方法
CN111742854B (zh) * 2020-08-04 2023-09-29 中国科学院生物物理研究所 一种动物图形识别能力的检测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62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330B1 (ko) 반려동물을 위한 테라리움 생태환경 조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반려동물 생육관리 시스템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KR101856845B1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305292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US20080159079A1 (en) Remotely Operable Game Call or Monitoring Apparatus
US9504235B2 (en) Aquarium lighting system
US10033923B2 (en) Motorized camera with automated image capture
JP2005229835A (ja) 水槽監視システム
US20110001834A1 (en) Four-sided photography camera
US20150068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housing and protection during adverse enviornmental conditions
KR101867985B1 (ko) 양봉용 관제 시스템
US7307770B2 (en) Hologram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40556B1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육 환경의 조절 방법
KR20130006225U (ko) 어항관리장치
JP3221358U (ja) 小動物観測装置
CN113170744A (zh) 基于时间生物学的小型动物生物节律表型全时监测装置
KR20190048709A (ko) 사물인터넷 기반 곤충사육 시스템
KR20110007924A (ko) 원격 사육장 관리 시스템
KR101433717B1 (ko) 어종 맞춤형 낚시 장치
KR20190063271A (ko) 양계장 관리 시스템
KR102238199B1 (ko) 인공지능 대화형 스마트 화분 스피커
CN104181753A (zh) 激光照明匀化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7351459B2 (ja) 野生動物検出装置
CN207995267U (zh) 一种智能野生动物行为监测器
US9554099B1 (en) Multifunctional security surveillance and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