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17B1 -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17B1
KR101651917B1 KR1020140160394A KR20140160394A KR101651917B1 KR 101651917 B1 KR101651917 B1 KR 101651917B1 KR 1020140160394 A KR1020140160394 A KR 1020140160394A KR 20140160394 A KR20140160394 A KR 20140160394A KR 101651917 B1 KR101651917 B1 KR 10165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information
pest
communication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43A (ko
Inventor
최홍수
김미경
정태우
유재승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6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포집 장치; 및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 및 포집 장치의 배출홀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의 배출홀로부터 유입된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며;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배출홀과 연결되는 유입구; 수용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 및 회전통에 회전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통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실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포집기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실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용실의 과밀화를 방지하여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사 요원이 수용실을 변경하기 위해 스마트 포집기의 설치 장소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마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해충의 종류 및 계수를 파악하기 위한 공중 포집기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바람이 강한 날이나 비가 오는 날 등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는 해충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조사 요원이 직접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영상 정보 기타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수리 및 관리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수리 및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이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망을 구비하는데, 수용망에 수용된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면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없으므로, 조사 요원이 주기적으로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수용망을 비워주거나 교체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수용망을 교체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충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포집기로부터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다수의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망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포집 장치; 및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 및 포집 장치의 배출홀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의 배출홀로부터 유입된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며;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배출홀과 연결되는 유입구; 수용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 및 회전통에 회전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통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회전통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 가능한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회전통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통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는,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유입구와 각각의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며, 유입구와 회전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회전통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와 회전통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통을 회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플레이트는,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며, 수용 공간은,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끼움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 공간은, 일측면에 마련되며, 고정 플레이트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수용실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회전통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실은,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을 구비하고, 회전통은, 수용실의 개방된 전면과 수용 공간의 일측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실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 처리부는, 포집 장치의 배출홀과 유입구를 연결하며,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및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 장치는,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통신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제어 신호는,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직접 전달되거나 제2 통신부를 경유하여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중앙 처리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스마트 포집기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실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용실의 과밀화를 방지하여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사 요원이 수용실을 변경하기 위해 스마트 포집기의 설치 장소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 및 단말기에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소수의 인력으로도,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확인하고,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넷째,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섯째,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을 포집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포집 장치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수용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제1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제2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의 중앙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의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해충을 포집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 포집기(10), 스마트 포집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버(20), 및 서버(20)로부터 해충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단말기(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10)를 통해 해충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해충 정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이다.
스마트 포집기(10)는 해충을 포집하여 수용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포집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장치(40), 포집 장치(40)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이송하는 이송관(50), 포집 장치(40)와 이송관(50)을 지지하는 지지대(70) 및 해충 정보가 수집되며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 장치(60)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0)와 수용 장치(6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바닥면(C)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포집 장치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포집 장치(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 배출홀(44), 포집망 프레임(46) 및 연통홀(48)을 포함한다.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배출홀(44)은 포집망(42)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전면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배출홀(44)은 포집망(42)의 후면에 형성되며, 포집망(42)을 통해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연통홀(48)을 구비할 수 있다. 포집망 프레임(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을 둘러쌀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포집망(42)의 외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집망(42)을 외부로부터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 해충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
연통홀(48)은 포집망 프레임(46)은 후면에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후술할 이송관(50)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통홀(48)의 내부에 포집망(42)의 배출홀(44)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통홀(48)은 후술할 이송관(50)과 결합됨으로써,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이송관(5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관(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연통되어, 포집망(42)의 배출홀(44)에서 배출된 해충을 후술할 수용 장치(6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72), 제2 폴리(73), 와이어 로프(74), 및 손잡이(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풀리(72)는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풀리(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포집망(42)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74)는 일단은 포집망(42)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포집망(42)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와이이 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포집망(42)의 상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긴 후에 포집망(42)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74)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 프레임(46)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포집망 프레임(46)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다. 즉, 와이어 로프(74)와 포집망 프레임(46)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 로프(74)와 포집 장치(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대(70)에 의하여 포집 장치(40) 및 포집 장치(40)와 연결된 이송관(50)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의 중간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76)를 파지한 후에,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포집 장치(40)는 이송관(50)과 연결되어있으므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송관(50)의 길이 또한 함께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관(5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주름관의 형상을 가지며, 포집 장치(40)와 연동되어 포집 장치(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하여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이송관(50)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의 설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나 높이에 맞추어 포집 장치(40)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수용 장치의 개념도이다.
수용 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 및 해충과 함께 함께 유입된 물을 분리시키는 제1 필터(80),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 기능을 수행하는 제2 필터(90),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100),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110), 및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 포집기(1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제1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필터(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 유입구(83), 분리망(85), 배출구(87) 및 배출 밸브(89)를 포함한다.
하우징(81)은 내부에 소정의 분리 공간(81a)이 형성되며, 유입구(83)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에 장착되며,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해충과 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은 제1 필터(8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의 분리가 이뤄지는 분리 공간(81a)이 형성된다. 유입구(83)는 이송관(50)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40)를 통해 포집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외부의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을 안내할 수 있다.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의 하부에 장착되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그물망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해충은 분리망(85)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분리망(85)을 통과하여 분리망(85)의 하부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충과 함께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해충과 분리시킬 수 있다.
배출구(87)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물을 외부로 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87)는 분리망(85)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측면에 형성되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망(85)을 통과하지 못한 해충은 배출구(87)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분리망(85)을 통과한 물은 배출 밸브(89)를 통해 수용 장치(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2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필터(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2), 유입구(94) 및 배출구(96)를 포함한다.
하우징(92)은 내부에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이뤄지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94)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배출구(96)는 해충 및 항옹항습 공간에서 항온항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2)은 제2 필터(9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수행되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항온항습 공간(92a)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항온항습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구(94)는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와 연결되며,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에서 배출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에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94)를 통해 공기는 항온항습이 이뤄진 상태에서 해충과 함께 배출구(9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중앙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앙 처리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 안내관(102), 유입구(103), 배출구(104),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및 조명(미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중앙 처리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안내관(102),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있고, 안내관(102)은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유입구(103)는 안내관(102)에 해충을 유입시키며, 배출구(104)는 안내관(102)을 통과한 해충을 배출시킨다.
또한,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명(미도시)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90)의 배출구(96)와 연결된 유입구(103)를 통해 안내관(102)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해충의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계수 센서(10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Area Beam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해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관(102)은 카메라(106)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을 가지는 투명창(102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조명(미도시)은 카메라(106)가 해충의 영상 정보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안내관(102)의 통과하는 해충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는(106)는 안내관(102)를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6)는 안내관(102)보다 해충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용부의 수용실을 촬영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4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용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 유입구(112), 고정 플레이트(113), 지지링(114), 베어링(115), 회전통(116), 수용실(117), 구동 모터(118) 및 흡인팬(119)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11a),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끼움홈(113b)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111b), 및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양측 단부가 각각 걸림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대(111c)를 구비한다.
유입구(1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중앙 처리부(100)의 배출구(104)와 연결되어 중앙 처리부(100)의 배출구(104)로부터 배출된 해충을 수용실(117)로 유입시킨다.
다음으로,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와 회전통(116)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13)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유입구(112)와 수용실(117)을 연통시키는 연통홀(113a), 및 고정 플레이트(113)의 정면에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되며, 하우징(111)의 끼움 돌기(111b)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홈(113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13)가 마련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13b)에 하우징(111)의 끼움 돌기(111b)가 끼워지고 양측 단부가 각각 이와 대응되는 걸림대(111c)에 걸림되어 지지되도록 고정 플레이트(113)를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결합 사시도이다.
지지링(11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 플레이트(113)에 고정된다. 지지링(114)은, 후술할 베어링(115)이 회전통(116)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통(116)의 직경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큰 직경을 가진다.
도 11은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베어링(115)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114)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링(114)에 삽입된 회전통(116)을 회전 지지한다. 베어링(115)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 개의 베어링(115)이 지지링(114)의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통(116)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링(114)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베어링(115)에 의하여 회전 지지된다. 회전통(11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구동 모터(118)의 제2 기어(118a)와 치합되는 제1 기어(116a)를 포함하며, 제1 기어(116a)와 제2 기어(118a)에 의하여 구동 모터(118)의 구동력이 회전통(116)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이 접촉되면, 회전통(116)의 회전 시에 회전통(116)과 고정 플레이트(113)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전통(116)과 고정 플레이트(113)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 후면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커지면 이러한 간격을 통해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에 수용된 해충이 다른 하나의 수용실(117)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 사이의 간격은,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 후면의 접촉이 방지됨과 동시에 수용실(117)들 간의 해충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 예를 들어, 0.1 mm 일 수 있다.
또한, 회전통(116)은,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과 회전통(116) 사이에 고정 플레이트(113)가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통(116)은, 회전통(116)의 전면, 달리 말하면, 후술할 수용실(117)의 개방된 전면이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용실(117)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회전통(116)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즉, 회전통(116)이 동일한 각도 간격만큼 회전될 때마다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이 변경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실(117)이 회전통(116)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수용실(1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회전통(116)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연통홀(113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수용실(11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117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용실(117)이 마련됨에 따라, 회전통(116)이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되면 복수의 수용실(117) 중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과 유입구(112)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또한, 수용실(117)의 개방된 후면은 수용망(117a)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이로 인해 수용실(117)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은 수용실(11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 모터(118)는, 회전통(1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수용 공간(111a)에 설치된다. 구동 모터(1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제1 기어(116a)와 치합 가능한 제2 기어(118a)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118)가 회전되면 구동 모터(118)의 구동력이 제2 기어(118a)와 제1 기어(116a)를 통해 회전통(116)에 전달되어 회전통(116)이 회전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8)는 복수의 수용실(117) 중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이 유입구(112)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회전통(116)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구동 모터(118)는,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태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동 모터(118)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회전통(116)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118)는 하루에 한번 씩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회전통(116)을 하루 한번 씩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사 요원이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를 방문할 필요 없이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용실(117)의 과밀화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인팬(119)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수용 공간(111a)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유입구(112)와 연통된 수용실(117)로 유도한다. 즉, 흡인팬(119)을 구동하여 수용 공간(111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수용 공간(111a)의 압력이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해충이 유입구(112)와 연통된 수용실(117)로 빨려 들어와 수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 포집기(1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는 중앙 처리부(100)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on)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대한 해충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포집기(10), 서버(20), 단말기(30) 사이에는 해충 정보 및 제어 신호가 교환될 수 있다.
서버(20)는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해충 정보를 통합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는 스마트 ㅍ포집기의 제1 통신부로부터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받고,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는 기억 매체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로부터 각각 전송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30)는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고,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3 통신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입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단말기(30)와 서버(20) 사이 또는 단말기(30)와 스마트 포집기(10) 사이에 정보를 각각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부는 서버(20)의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영상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포집기(10)와 이격된 장소에서도 단말기(30)를 통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여러 지역을 직접 돌아다닐 필요없이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영상 출력을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입력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30)에 입력부가 마련됨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중앙 처리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기타 스마트 포집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를 통해 계수 센서(105), 및 카메라(106), 조명 등의 ON/OFF 및 회전통(116)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조명 및 회전통(116)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는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로 직접으로 전달되거나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서버(20)의 제2 통신부와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부에 의하여 중앙 처리부(100)는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를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이 한 명의 사용자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의 관리에 필요한 인력이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0 : 스마트 포집기
20 : 서버 30 : 단말기
40 : 포집 장치 42 : 포집망
44 : 배출홀 46 : 포집망 프레임
48 : 연통홀 50 : 이송관
60 : 수용 장치 70 : 지지대
72 : 제1 풀리 74 : 와이어 로프
76 : 손잡이 80 : 제1 필터
81 : 하우징 81a : 분리 공간
83 : 유입구 85 : 분리망
87 : 배출구 89 : 배출 밸브
90 : 제2 필터 92 : 하우징
92a : 항온항습 공간 94 : 유입구
96 : 배출구 100 : 중앙 처리부
101 : 하우징 102 : 안내관
102a : 투명창 103 : 유입구
104 : 배출구 105 : 계수 센서
106 : 카메라 110 : 수용부
111 : 하우징 111b : 끼움 돌기
111c : 걸림대 112 : 유입구
113 : 고정 플레이트 113a : 연통홀
114 : 지지링 115 : 베어링
116 : 회전통 116a : 제1 기어
117 : 수용실 117a : 수용망
118 : 구동 모터 118a : 제2 기어
119 : 흡입팬

Claims (13)

  1.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포집 장치; 및
    상기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수용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 및
    상기 회전통에 상기 회전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통을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 가능한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회전통을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유입구와 각각의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회전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회전통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회전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실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상기 회전통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실은,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수용실의 개방된 전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실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감지하고, 상기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상기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및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장치는,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부에 직접 전달되거나 상기 제2 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부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40160394A 2014-11-17 2014-11-17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65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ko) 2014-11-17 2014-11-17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ko) 2014-11-17 2014-11-17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43A KR20160058643A (ko) 2016-05-25
KR101651917B1 true KR101651917B1 (ko) 2016-08-29

Family

ID=5611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ko) 2014-11-17 2014-11-17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9-02-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289B1 (ko) * 2017-11-07 2019-08-09 주식회사 엑스티엘 전류값 측정을 통한 포충기 고장 유무 판단 시스템
KR102175130B1 (ko) * 2018-12-14 2020-11-05 대한민국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US20220217962A1 (en) * 2019-05-24 2022-07-14 Anastasiia Romanivna ROMANOV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KR102632157B1 (ko) * 2020-11-09 2024-02-01 전라남도 해충 자동 촬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37B1 (ko)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포획기
KR101476256B1 (ko)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473A (ko) * 2009-05-26 2010-1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570728B1 (ko) * 2013-11-19 2015-11-23 대한민국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37B1 (ko)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포획기
KR101476256B1 (ko)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15B1 (ko) 2018-07-27 2019-02-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43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17B1 (ko)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KR102229276B1 (ko) 수질검사를 위한 채수 장치
US11579158B2 (en) Automatic human urine detection system
CN103792378B (zh) 自移动粮仓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2020095050A (ja) 冷却システムおよび光学カップ
CN105636436A (zh) 一种智能成像系统以及安装有该智能成像系统的捕虫装置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US20200355597A1 (en) Automated airborne particulate matter collection, sampling, imaging, identification, measuring, and analysis system
CN104597265A (zh) 全自动粪便分析仪
KR101570728B1 (ko)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JP2017218325A (ja) 情報収集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物品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巻取装置
CN115571637B (zh) 一种用于智慧医疗系统的样本接收装置
CN204157515U (zh) 一种智能成像系统以及安装有该智能成像系统的捕虫装置
CN110684641A (zh) 智能孢子捕捉分析仪
CN107607533A (zh) 一种智能马桶尿检装置的伸缩检测机构及检测方法
CN208441190U (zh) 自动尿检的智能马桶
CN207379933U (zh) 一种智能马桶尿检装置的伸缩检测机构
KR102198139B1 (ko)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CN213802308U (zh) 一种大气污染颗粒物实时在线分析装置
CA3111496A1 (en) Milking system with detection system
ITTO20110009A1 (it) Centrifuga da laboratorio, con sistema di caricamento e scaricamento continuo dei contenitori, con rotore in rotazione
CN211881841U (zh) 基于微信平台的烟草害虫测报系统
CN108082751A (zh) 智能尿检马桶的试纸自动出舱装置
CN215975815U (zh) 一种孢子捕捉分析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