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130B1 -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130B1
KR102175130B1 KR1020180162471A KR20180162471A KR102175130B1 KR 102175130 B1 KR102175130 B1 KR 102175130B1 KR 1020180162471 A KR1020180162471 A KR 1020180162471A KR 20180162471 A KR20180162471 A KR 20180162471A KR 102175130 B1 KR102175130 B1 KR 10217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uction
air
wind speed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842A (ko
Inventor
최홍수
김미경
정태우
김승노
임재을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6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1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27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with the valve members swinging around an axis located at the edge of or outside the valv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포충망; 상기 포충망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포트와 흡입 덕트와 연통하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 상기 제1 포트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센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개방하여 잉여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 풍속의 유실을 막는 압력조절밸브; 지상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및 일단이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흡입 덕트;를 포함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WIND RESPONSE TYPE APPARATUS FOR COLLECTING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을 이용해 흡입력을 발생시켜서 해충을 강제로 포집하는 구조를 가진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마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해충의 종류 및 계수를 파악하기 위한 스마트 공중 포집기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스마트 공중 포집기에 대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강제 흡입되어 포집망설치부로 이동되는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포집된 해충의 개체수를 연산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의 결과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해충에 대한 계수를 정확히 할 수 있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폴(1)에 도르래(2)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포충망(3)과, 지상에서 흡입 덕트(4)를 통해 포충망(3)에 강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5)을 포함하여 포집 대상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고정식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외부 풍속과는 무관하게 흡입팬을 이용해 공기와 함께 포집 대상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 장치 내에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식 스마트 공중 포집기의 경우 흡입력은 4m/s의 속도로 공기를 빨아들이는데 외부 유입 풍속이 4m/s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력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외부 유입 공기의 속도가 흡입 풍속보다 강한 경우 흡입력 저하를 유발하여 해충 포집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49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 유입 공기에 의한 해충 포집 능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경량화가 가능한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 없이도 하며 흡입 공기압의 압력을 조절하여 해충 포집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중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포충망; 상기 포충망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포트와 흡입 덕트와 연통하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 상기 제1 포트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센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개방하여 잉여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 풍속의 유실을 막는 압력조절밸브; 지상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및 일단이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흡입 덕트;를 포함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상기 제1 포트의 끝부분에 힌지 타입으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포트를 폐쇄하고 상기 잉여 유입 공기에 의해 위로 젖혀져서 상기 제1 포트를 개방하는 힌지 커버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포트의 입구에 배치되어 해충이 상기 제1 포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은 'T'자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충망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속도가 흡입 풍속보다 강한 경우 흡입력 저하를 유발하여 해충 포집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조절밸브가 힌지 타입의 커버로 구성되어 풍속과 중력에 의해서만 작동하므로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 밸브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기존 스마트 공중 포집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한 해충 비래 규모 파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압력조절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압력조절밸브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는 공중에 배치되는 포충망(20)과, 포충망(20)의 말단에 설치된 분기관(31)과, 분기관(31)에 설치되어 풍속에 감응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30)와, 지상에 설치된 흡입팬(50)과, 분기관(31)과 흡입팬(50) 간에 설치된 흡입 덕트(40)를 포함한다.
포충망(20)은 소정 높이의 폴(10)에 설치된 도르래(1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중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포충망(20)은 포집된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다공성의 망형 부재이다.
분기관(31)은 포충망(20)의 말단에 설치되고, 포충망(20)에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를 외부, 즉 대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는 관형체인 제1 포트(33)와, 흡입 덕트(40)와 연통하는 관형체인 제2 포트(34)가 분기 형성되어 있다. 분기관(31)은 'T'자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조절밸브(30)는 제1 포트(33)에 설치되어 포충망(20)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흡입 덕트(40)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센 경우에는 제1 포트(33)를 개방하여 잉여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40)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제1 포트(33)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 풍속의 유실을 막는다.
압력조절밸브(30)는 제1 포트(33)의 끝부분에 힌지 타입으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포트(33)를 폐쇄하고 상기 잉여 유입 공기에 의해 위로 젖혀져서 상기 제1 포트(33)를 개방하는 힌지 커버(35)를 구비한다. 힌지 커버(35)와 제1 포트(33)를 연결하는 힌지(36)는 경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소정의 합성수지 플레이트가 접힌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압력조절밸브(30)에서,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고 압력조절밸브(30)와 접촉하는 제1 포트(33)의 끝부분 단면은 압력조절밸브(30)를 구성하는 힌지 커버(35)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분기관(31)의 내부에는 제1 포트(33)의 입구에 배치되어 해충이 제1 포트(3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흡입팬(50)은 지상에 설치되어 해충의 포집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흡입팬(50)은 대기중으로 송풍을 하도록 설치된다. 흡입팬(50)의 전단에는 포집된 해충을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흡입 덕트(40)는 공기와 함께 해충을 이동시키는 관으로서 일단이 흡입팬(50)의 흡입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포트(34)에 연결된다. 포충망(20)이 폴(10)에 설치된 도르래(1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흡입 덕트(40)는 연질 소재는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는 흡입팬(50)에서 대기중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해충을 강제 흡입할 수 있는 포집력을 발생시킨다.
흡입팬(50)에서 발생한 흡입력은 흡입 덕트(40)를 거쳐서 분기관(31)에 가해진다. 상기 흡입력에 의해 포충망(20)에 공기와 함께 포집되는 해충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2 포트(34)를 통과하여 흡입 덕트(40)를 통해 흡입팬(50) 내부로 이송되어 수집된다.
압력조절밸브(30)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흡입 덕트(40)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밸브(30)의 힌지 커버(35)는 자중에 의해 닫혀서 제1 포트(33)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 풍속의 유실을 막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포충망(20)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흡입 덕트(40)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밸브(30)의 힌지 커버(35)가 잉여 유입 공기에 의해 자중을 극복하고 위로 젖혀져서 제1 포트(33)를 개방함으로써 잉여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는 압력조절밸브(30)와 풍속과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공중포충망(20)으로부터 포집기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의 속도가 외부의 풍속보다 낮은 경우에도 흡입력이 저하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기존 스마트 공중 포집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한 해충 비래 규모 파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폴 11: 도르래
20: 포충망 30: 압력조절밸브
31: 분기관 33: 제1 포트
34: 제2 포트 35: 힌지 커버
36: 힌지부 40: 흡입 덕트
50: 흡입팬

Claims (5)

  1. 공중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포충망;
    상기 포충망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포트와 흡입 덕트와 연통하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
    상기 제1 포트에 설치되고 상기 포충망에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센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개방하여 잉여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외부 유입 공기의 풍속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흡입 풍속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포트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 풍속의 유실을 막는 압력조절밸브;
    지상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및
    일단이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흡입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상기 제1 포트의 끝부분에 힌지 타입으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포트를 폐쇄하고 상기 잉여 유입 공기에 의해 위로 젖혀져서 상기 제1 포트를 개방하는 힌지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포트의 끝부분 단면은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의 입구에 배치되어 해충이 상기 제1 포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 필터;를 더 포함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T'자형 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KR1020180162471A 2018-12-14 2018-12-14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KR10217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71A KR102175130B1 (ko) 2018-12-14 2018-12-14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71A KR102175130B1 (ko) 2018-12-14 2018-12-14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42A KR20200073842A (ko) 2020-06-24
KR102175130B1 true KR102175130B1 (ko) 2020-11-05

Family

ID=714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71A KR102175130B1 (ko) 2018-12-14 2018-12-14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0212A1 (de) * 2017-09-01 2019-03-07 Biogents Ag Insektenfalle und Verfahren zum Anlocken und/oder Fangen von Fluginsekt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063A (ja) * 2001-11-14 2003-05-21 Akira Nishinomiy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KR101507554B1 (ko) * 2014-12-12 2015-04-01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430U (ja) * 1992-10-22 1994-05-20 株式会社菱晃 天窓の構造
KR101049197B1 (ko) 2008-12-12 2011-07-14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393105B1 (ko) * 2012-09-17 2014-05-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투엠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101651917B1 (ko) * 2014-11-17 2016-08-29 대한민국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89406B1 (ko) * 2016-11-15 2018-08-20 대한민국 경량 해충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063A (ja) * 2001-11-14 2003-05-21 Akira Nishinomiy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KR101507554B1 (ko) * 2014-12-12 2015-04-01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42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US8544419B1 (en) Livestock insect-remova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2175130B1 (ko)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KR101067110B1 (ko) 해충 방지용 가로등
KR20100067827A (ko)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JP2021016386A (ja) 捕虫装置
KR101953746B1 (ko)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JP6499009B2 (ja) 換気フード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CN105941368A (zh) 一种捕虫盒以及具备该捕虫盒的捕虫机
CN110122445A (zh) 一种智能昆虫诱捕器
KR20210033677A (ko)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CN110150251A (zh) 一种风道设计方法及包含该风道的风吸式杀虫灯
WO2018230007A1 (ja) 送風装置
CN208258844U (zh) 一种吸虫器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KR101889406B1 (ko) 경량 해충 포집 장치
KR100905418B1 (ko) 모기 채집기
KR20210155282A (ko) 곤충 샘플 포집 장치
KR101940177B1 (ko) 포충 및 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 커튼
JP2021019547A (ja) 捕虫装置
CN217389741U (zh) 一种便携式光源信息素诱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