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269Y1 - 해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269Y1
KR200421269Y1 KR2020060011177U KR20060011177U KR200421269Y1 KR 200421269 Y1 KR200421269 Y1 KR 200421269Y1 KR 2020060011177 U KR2020060011177 U KR 2020060011177U KR 20060011177 U KR20060011177 U KR 20060011177U KR 200421269 Y1 KR200421269 Y1 KR 200421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sts
suction fan
pest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명
Original Assignee
송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명 filed Critical 송종명
Priority to KR2020060011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2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충 포집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해충 포집장치는, 상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포집망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길이재의 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본체의 상면을 폭넓게 커버하는 판재형의 루프와, 상기 루프의 저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본체의 입구측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및 포집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본체의 상부 입구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인등에 의해 포집된 해충을 흡입하여 본체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축류 흡입팬과,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기를 통해 유인등과 흡입팬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관리기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흡입팬의 송풍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통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해충 포집장치는, 흡입팬의 동작시 그 송풍압에 의해 송풍통로를 개방시키므로 흡입팬의 비동작시에는 송풍통로가 차단되는 것에 의해 포집된 해충의 탈출을 원천적으로 차단 할 수 있으므로 종전에 비해 해충 포집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격이 저렴하면서 구조가 간소한 축류팬을 사용하므로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정비가 용이하여 해충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해충, 포집, 유인등, 감지, 통로

Description

해충 포집장치{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통로 개폐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통로 개폐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5 : 포집망
17 : 지지대 20 : 루프
25 : 유인등 27 : 감지기
30 : 흡입팬 40 : 제어기
41 : 케이스 45 : 전원관리기
50 : 개폐수단 51,52 : 좌·우 회동판막
53 : 탄성 스프링 55 : 스토퍼
h : 힌지축
본 고안은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팬의 동작시 선택적으로 포집통로를 개방하여 포집된 해충이 탈출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이화명충, 밤나방, 멸구, 번개매미, 잔딧물, 하늘소, 깍지벌레, 노린재 등과 같은 농업해충과 파리나 모기 또는 바퀴벌레 등과 같이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위생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각종 살충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그 사용상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살충제가 갖는 제약을 해소하고자 해충을 유인 포집하여 고사시키는 해충 포집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해충 포집장치는 기본적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등과, 이 유인등에 의해 군집되는 해충을 포집망으로 강제 포집하기 위한 축류식 흡입팬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 포집장치는 단순히 유인등에 의해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이므로 주간에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축류식 흡입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의 탈출이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고자 곤충을 흡입하는 축류 흡입팬의 하측에 깔때기 모양의 유도관을 구비시키고, 이 유도관이 포집망에 연결되게 한 해충 포집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유도관을 통한 해충의 탈출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 으나 여전히 유도관을 통해 외부로 탈출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인등과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곤충을 유인하는 것에 의해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해충의 포집을 가능하게 하고, 축류형 흡입팬을 채용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정비성을 향상시키면서 미동작시에는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포집율을 높일 수 있는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는, 상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포집망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길이재의 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본체의 상면을 폭넓게 커버하는 판재형의 루프와, 상기 루프의 저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본체의 입구측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및 포집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본체의 상부 입구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인등에 의해 포집된 해충을 흡입하여 본체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축류 흡입팬과,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기를 통해 유인등과 흡입팬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관리기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흡입팬의 송풍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통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감지기는 본체의 입구측에 군집한 해충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주야간 판별을 위한 빛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그리고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본체의 입구를 차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반으로 접어질 수 있게 한쌍으로 분할되면서 상호 분할 경계면에 인접되는 부분이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회동판막와, 상기 좌·우 판막의 각 일면에 양단이 연결 고정되어 흡입팬의 송풍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회동판막이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하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입구측에 돌출 구비되어 좌·우 회동판막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통로 개폐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통로 개폐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는 농경지 등에 설치되어 작물에 해로운 곤충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원통형상 또는 팔각형상 등의 관형상을 갖는 본체(10)와, 이 본체(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17), 그리고 본체(10)의 상면을 커버하는 루프(20)와, 곤충 유인을 위한 유인등(25) 및 이를 감지하는 감지기(27)와, 곤충을 포집망(15)내로 강제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30) 및 각 전장품(유인등, 흡입팬, 감지기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와, 전원공급 및 관리를 담당하는 전원관리기(45)와, 송풍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본체(10)의 연결통로를 탄력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5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면에는 소정크기의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포집망(15)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망(15)은 금속재의 그물망을 원통형으로 가공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합성수지원사를 등을 그물형태로 직조한 그물형 포집망(15)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입구의 주위로 유인물질을 보관 할 수 있는 유인제 보관 부(18)가 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유인물질은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직관 형태로 제공되어도 상관 없으나, 포집된 곤충이 포집망(15)으로 원활하게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되면서 전체적인 지름이 감소되는 원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체(10)는 그 상면 입구측에 흡입팬(30)이 설치되며 지지대(17)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지지대(17)는 상술한 본체(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종의 다리로서,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3개 이상이 구비되며 지면을 향해 삼각대 형태로 배치되어 본체(10)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7)는 상기 본체(10)를 지면에서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루프(20)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술한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여 빗물 등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일종의 커버부재로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루프(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주대에 의해 본체(1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본체(10) 뿐만 아니라 후술할 본체(10)측에 구성되는 케이스(41)까지 커버 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유인등(25)은 루프(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상측 입구측으로 해충이 유인되도록 하는 발광체로서, 상기 본체(10)의 입구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인등(25)은 통상의 전구식 형광등(삼파장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곳에서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인등(25)은 제어기(40)의 제어를 받아 주간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야간에만 제한적으로 점등되게 구성된다.
감지기(27)는 크게 본체(10)의 입구측에 군집한 해충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27a)와, 주야간 판별을 위한 빛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27b) 그리고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27c)로 구성되며, 이들 각 감지센서의 센싱과 제어기(40)의 제어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감지센서(27a)는 유인등(25)과 유인물질에 의해 본체(10)의 상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여 제어기(4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며, 이때 상기 제어기(40)는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후술할 축류 흡입팬(30)을 동작시켜 본체(10)의 입구측에 군집된 해충을 흡입한다. 이러한 제1감지센서(27a)는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센서(27b)는 빛을 감지하여 제어기(40)에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어기(40)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유인등(25)의 점등 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2감지센서(27b)는 낮과 밤을 감지하여 유인등(25)이 밤에만 제한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제어기(40)에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유인등(25)의 점등시간은 제어기(40)에 포함된 타이머와 병행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CdS 셀 센서, 광전관, 포토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상기 제3감지센서(27c)는 빗물을 감지하여 제어기(40)에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어기(40)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든 전장품에 대한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4감지센서는 우천시 빗물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통상의 빗물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축류형의 흡입팬(30)은 상술한 본체(10)의 상부 입구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인등(25)에 의해 포집된 해충을 흡입하여 본체(10) 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흡입팬(30)은 본체(10)의 입구측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흡입하는 것에 의해 유인등(25)에 의해 군집된 곤충을 본체(10) 내부로 강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흡입팬(30)은 제어기(40)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에 의해 본체(10)의 상부에 군집된 해충을 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된다.
제어기(40)는 상기 유인등(25)과 흡입팬(30)과 같은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마이콤으로서 다수의 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전장품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기(40)는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관리기(45)는 상술한 제어기(40)를 포함한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기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구비한 태양열발전장치 등과 같은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자가발전장치 역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어기(40)와 전원관리기(45)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감전 및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자 형태을 갖는 케이스(41)내에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케이스(41)는 도어를 구비한 형태로 상술한 본체(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개폐수단(50)은 관형상의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포집망(15)에 포집된 해충이 본체(10)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알루미늄 판재로 되어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회동판막(51,52)과, 이들 좌·우 회동판막(51,52)이 서로 회동될 수 있게 하는 힌지축(h) 그리고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이 탄력적 으로 회동되게 하여 폴더 형태로 접어질 수 있게 하는 탄성 스프링(53) 및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안하는 스토퍼(5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은 본체(1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면서 무게가 경량이고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판재로 제공된다. 이러한 좌·우 회동판막(51,52)은 상기 본체(10)가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이 되게 각각 반원판으로 구비되며, 상호 분할된 경계면으로 힌지축(h)이 끼워질 수 있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 구성된다.
즉,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은 상호 형합되는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본체(10)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은 탄성 스프링(53)에 의해 본체(10)를 차폐 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의 탄성 스프링(53)은 좌 회동판막(51)과 우 회동판막(52)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단이 탄력적으로 좌·우 회동판막(51.52)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53)은 상기 좌·우 회동판막(51.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상술한 좌·우 회동판막(51,52)의 상면에 각각 걸림되는 스토퍼(55)가 돌출 구비되며, 이때의 스토퍼(55)는 상술한 좌·우 회동판막(51,52)이 탄성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수단(50)은 흡입팬(30)의 동작시 송풍압에 의해 좌·우 회동판막(51,52)이 힌지축(h)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좌·우 회동판막(51,52)에 의해 막혀 있던 본체(10)의 통로가 개방되므로 결과적으로 흡입팬(30)의 흡입력이 본체(10)의 내부 하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팬(30)의 미작동시에는 탄성 스프링(53)에 의해 좌·우 회동판막(51,52)이 위치 복귀되어 결과적으로 본체(10)의 통로를 차단한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본체(10) 내부 또는 포집망(15)에 포집된 해충의 탈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해충 포집장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운영되어질 수 있다.
먼저, 제2감지센서(27b)의 감지정보에 따라 제어기(40)가 야간으로 판별하는 경우에는 먼저 유인등(25)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렇게 유인등(25)이 점등되면 유인등(25)의 불빛과 루프(20) 일측에 보관되는 유인물질에 의해 해충이 본체(10)의 입구 상측으로 군집하게 된다.
이어서, 제1감지센서(27a)가 본체(10)의 입구 상측에 군집한 해충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기(40)에 인가하게 되고 제어기(40)는 흡입팬(30)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30)이 구동되면 강력한 바람이 본체(10)의 내측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본체(10)의 통로를 차폐하고 있는 좌·우 회동판막(51,52)이 하방 향으로 접혀지는 형태로 회동하여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입구 상측에 군집한 해충은 흡입팬(30)과 본체(10)를 통해 포집망(15)으로 흡입되게 된다. 즉, 흡입과정에서 다수의 해충이 흡입팬(30)의 날개가 고속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충격사하게 되며 이렇게 충격사한 해충은 본체(10)를 따라 낙하하여 포집망(15)으로 포집되며, 충격사하지 않은 해충은 본체(10)에 설치된 개폐수단(50)의 구조에 의해 외부로의 탈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제2감지센서(27b)의 감지정보에 의해 제어기(40)가 주간으로 판별하는 경우에는 점등된 유인등(25)을 소등하게 된다. 이때는 유인물질만으로 해충을 유인하게 되고, 유인된 해충은 제1감지센서(27a)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제어기(40)가 흡입팬(30)을 동작시켜 본체(10) 내부로 흡입하여 포집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포집장치(1)는 제3감지센서(27c)를 통해 주야간을 판단하여 야간시에는 유인등(25)과 유인물질을 통해 포집을 실시하고, 주간에는 유인물질을 통해 포집을 실시하는 것이다.
한편, 제3감지센서(27c)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40)가 각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하도록 하여 빗물에 의한 기기의 손상과 누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해충 포집장치는, 흡입팬의 동작시 그 송풍압에 의해 송풍통로를 개방시키므로 흡입팬의 비동작시에는 송풍통로가 차단되는 것에 의해 포집된 해충의 탈출을 원천적으로 차단 할 수 있으므로 종전에 비해 해충 포집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격이 저렴하면서 구조가 간소한 축류팬을 사용하므로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정비가 용이하여 해충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상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포집망(15)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길이재의 지지대(17)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본체(10)의 상면을 폭넓게 커버하는 판재형의 루프(20)와;
    상기 루프(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입구측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25) 및 포집된 해충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27)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입구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인등(25)에 의해 포집된 해충을 흡입하여 본체(10)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축류 흡입팬(30)과;
    상기 본체(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41)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기(27)를 통해 유인등(25)과 흡입팬(30)을 제어하는 제어기(40) 및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관리기(45)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흡입팬(30)의 송풍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통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27)는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 군집한 해충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27a)와, 주야간 판별을 위한 빛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27b) 그리고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27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입구를 차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반으로 접어질 수 있게 한쌍으로 분할되면서 상호 분할 경계면에 인접되는 부분이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회동판막(51,52)와;
    상기 좌·우 판막의 각 일면에 양단이 연결 고정되어 흡입팬(30)의 송풍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회동판막(51,52)이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하는 탄성 스프링(53)과;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 돌출 구비되어 좌·우 회동판막(51,52)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5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KR2020060011177U 2006-04-26 2006-04-26 해충 포집장치 KR200421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77U KR200421269Y1 (ko) 2006-04-26 2006-04-26 해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77U KR200421269Y1 (ko) 2006-04-26 2006-04-26 해충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07A Division KR100753435B1 (ko) 2006-04-26 2006-04-26 해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269Y1 true KR200421269Y1 (ko) 2006-07-10

Family

ID=4176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77U KR200421269Y1 (ko) 2006-04-26 2006-04-26 해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2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26B1 (ko) 2010-08-18 2013-03-18 김희숙 해충 포획기
KR101349733B1 (ko) 2012-06-13 2014-01-24 옥윤선 해충 포획장치
KR101424238B1 (ko)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917178B1 (ko) * 2017-02-10 2018-1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정용 자동 벌레 퇴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26B1 (ko) 2010-08-18 2013-03-18 김희숙 해충 포획기
KR101424238B1 (ko)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349733B1 (ko) 2012-06-13 2014-01-24 옥윤선 해충 포획장치
KR101917178B1 (ko) * 2017-02-10 2018-1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정용 자동 벌레 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791645B1 (ko) 해충 포집장치
ES2741436T3 (es) Trampa para insectos que tiene un amortiguador accionado por aire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100972670B1 (ko)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101067110B1 (ko) 해충 방지용 가로등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JP2001231424A (ja) 照明器用捕虫ユニット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101862046B1 (ko)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JP2005117970A (ja) 害虫捕獲器
KR10089548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전원제어 비래해충 포충장치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CN201312523Y (zh) 害虫捕捉器
KR200424113Y1 (ko)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