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826B1 - 해충 포획기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826B1
KR101241826B1 KR1020100079915A KR20100079915A KR101241826B1 KR 101241826 B1 KR101241826 B1 KR 101241826B1 KR 1020100079915 A KR1020100079915 A KR 1020100079915A KR 20100079915 A KR20100079915 A KR 20100079915A KR 101241826 B1 KR101241826 B1 KR 10124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closing door
electromagnet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302A (ko
Inventor
김희숙
Original Assignee
김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숙 filed Critical 김희숙
Priority to KR102010007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8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유해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획기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는 유인수단;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인수단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하방으로 보내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 하부에 위치되며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개폐도어; 상기 하우징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통과한 해충이 모이도록 하는 포집챔버; 상기 영구자석에 대해 선택적으로 반발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위치마다 마련되는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유인수단, 송풍팬, 전자석의 작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기{HARMFUL INSECT CATCHING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유해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획기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다양한 종류의 해충들도 생태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지만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생활에 불편을 주는 유해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해충들을 인위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여러 형태의 해충 포획기들이 있지만 제거하고자 하는 해충의 습성에 따라 적합한 유인수단을 갖추게 된다. 대표적으로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한 후 포집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5532호(2009.06.08 공개)의 "해충 포획기"가 있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해충 포획기는 하면에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이 설치된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해충침입구와, 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에 유인된 해충을 공기와 함께 흡인하는 전동팬으로 이루어지는 흡인수단과, 흡인수단의 하부에 상단부가 접속된 통형상 케이스를 가지고 흡인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풍압에 의하여 개방됨과 동시에 흡인수단의 정지와 동시에 폐쇄되는 셔터판이 설치되는 셔터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셔터판(6b)이 흡인수단(5)에 의해 형성되는 풍압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는 구조이고, 풍압이 작용하지 않을시에는 셔터판(6b)이 수평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고자 셔터판(6b)에 밸런서(6e)가 마련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의 셔터판의 동작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오랜 사용이나 유지보수의 소홀 혹은 취급의 부주의로 인해 셔터판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셔터판의 무게중심이 맞지않게 되어 풍압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셔터판이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포집된 해충은 셔터판을 통과하여 다시 날아 도망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강제 포집된 해충들은 곧바로 죽지 않고 하루 또는 몇일이 지나야 자연사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포충자루(15)를 분리하여 죽은 해충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아직 죽지 않은 해충들이 날아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5532호(2009.06.08 공개)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372362호(2003.02.04 등록)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송풍팬이 동작될 때에만 정확하게 개폐도어가 열릴 수 있는 구조이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우징에 보조하우징을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포집된 해충을 보조하우징으로 보내어 수일이 경과한 후에 청소함으로써 포집된 해충이 다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충 포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해충 포획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는 유인수단;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인수단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하방으로 보내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 하부에 위치되며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개폐도어; 상기 하우징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통과한 해충이 모이도록 하는 포집챔버; 상기 영구자석에 대해 선택적으로 반발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위치마다 마련되는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유인수단, 송풍팬, 전자석의 작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 동작되며 상기 힌지축과 먼 가장자리에 상기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작용을 하며 상기 개폐도어의 좌우 양단부에 영구자석이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반원형의 제1개폐도어와 제2개폐도어가 각각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결합되어 동시에 개폐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해충포획기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 하나 이상의 보조하우징이 연결되되, 상기 보조하우징에는 송풍팬, 개폐도어 및 전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포획기는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이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조합을 통해 송풍팬의 동작시에만 정확하게 열리며, 송풍팬이 정지되면 개폐도어도 정확히 닫히기 때문에 포집된 해충이 개폐도어를 통해 다시 날아갈 수 없어 해충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보조하우징을 연결하여 포집된 해충을 보조하우징으로 보내어 충분한 시간 동안 보조하우징에 체류하게 하여 자연사시킨 후 청소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충이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며 유지관리도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개폐도어의 작동상태도.
도 5는 개폐도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개폐도어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포획기의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개폐도어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개폐도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개폐도어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주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포획기의 사용상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기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0), 유인수단(200), 송풍팬(300), 개폐도어(400), 영구자석(500), 전자석(600), 태양전지모듈(7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빈 중공체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 유인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유인수단(200)은 후술할 태양전지모듈(700)로부터 전기를 받아 켜지며 해충들을 유인하게 되고, 공지의 LED램프나 일반램프, 냄새를 이용하는 것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에 송풍팬(300)이 마련되며 송풍팬(300) 역시 태양전지모듈(700)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유인수단(200)에 의해 유인된 해충들은 송풍팬(300)의 회전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하방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유인수단(200)을 보고 해충들이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유입구(110)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송풍팬(300) 하부에 개폐도어(400)가 마련되는데 개폐도어(400)에는 영구자석(500)이 부착되어져 있고, 회동되거나 슬라이딩되면서 하우징(100)의 내부 상하공간을 분리시키거나 연통되게 한다.
개폐도어(400)에 마련되는 영구자석(500)은 후술할 전자석(600)과 상호 작용하여 개폐도어(400)가 개폐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개폐도어(400)는 회동되는 타입의 것으로 하며, 하우징(100)의 내부 형상에 맞게 성형된 판상부재를 힌지축(410)을 기준으로 회동 동작되게 설치하며, 힌지축(410)과 먼 가장자리에 영구자석(500)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도어(400)는 반원형의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가 각각 제1힌지축(410a)과 제2힌지축(410b)에 끼워져 회동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으로 한다.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는 가상적인 원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의 내측 단부 근처에 제1힌지축(410a)과 제2힌지축(410b)이 끼워지고 각 힌지축의 양단부는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의 외측 가장자리(힌지축과 가장 먼 곳)에 영구자석(500)이 하나씩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도어(400)는 힌지축(410)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데, 개폐도어(400)의 닫힘위치 및 열림위치 각각에 전자석(600)이 각각 설치된다. 즉,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의 상측에 하나씩의 전자석(600)이 마련되고,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의 하부측 중앙에 하나의 전자석(600)을 마련한다.
제1개폐도어(400a)에 마련되는 영구자석은 제1영구자석(500a)이라 하며, 제2개폐도어(400b)에 마련되는 영구자석은 제2영구자석(500b)이라 한다. 그리고 제1개폐도어(400a) 상측에 마련되는 전자석이 제1전자석(600a)이 되고, 제2개폐도어(400b) 상측에 마련되는 전자석은 제2전자석(600b)이 된다. 그리고 제1개폐도어(400a) 및 제2개폐도어(400b) 하부측 중앙에 설치되는 전자석은 제3전자석(600c)이 된다.
전자석(600)은 전기가 공급되면 자화되며 태양전지모듈(7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1영구자석(500a)과 제2영구자석(500b)은 그 극성이 상호 반대가 되도록 배치하며, 제1전자석(600a) 및 제2전자석(600b)도 상호 극성이 반대가 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제1개폐도어와 제2개폐도어가 열림동작시와 닫힘동작시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개폐도어(400)가 열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제1전자석(600a)과 제2전자석(600b)에 전기를 공급하여 자화되도록 하며, 마주보는 제1영구자석(500a)과 제1전자석(600a)은 S극끼리 반발하여 제1개폐도어(400a)가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제2영구자석(500b)과 제2전자석(600b)은 N극끼리 반발하여 제2개폐도어(400b)가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제3전자석(600c)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회동된 제1개폐도어(400a) 및 제2개폐도어(400b)는 제3전자석(600c)의 철심에 대해 인력이 작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속된다.
반면에 열렸던 개폐도어(400)가 닫히게 되는 경우에는 제3전자석(600c)에만 전기를 공급시키게 되며, 제3전자석(600c)은 자화되어 제1영구자석(500a)과 마주보는 일측은 N극이 되고 제2영구자석(500b)과 마주보는 타측은 S극이 된다. 따라서 제1영구자석(500a)과 제3전자석(600c)은 N극끼리 반발하고 제2영구자석(500b)과 제3전자석(600c)은 S극끼리 반발하여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는 상방으로 회동동작한다. 상방으로 회동된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는 자화되지 않은 제1전자석(600a) 및 제2전자석(600b)의 철심과 인력이 작용되어 수평되게 구속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유인수단(200)에 의해 유인된 해충들은 송풍팬(300)의 회전력에 의해 열린 상태인 제1개폐도어(400a)와 제2개폐도어(400b)를 지나 하방으로 이동된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포집된 해충들이 담길 수 있는 포집챔버(120)를 두며, 포집챔버(120)는 하우징(100)에 대해 탈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집챔버(120)로 들어온 해충들이 다시 빠져나가기 쉽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집챔버(120)의 입구는 깔대기 형상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충 포획기를 구성하는 유인수단(200), 송풍팬(300), 전자석(600)은 전기공급을 받아서 각자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태양전지모듈(700)을 이용하도록 한다.
태양전지모듈(700)은 태양광을 받아 전기로 전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판(710)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100) 상측에 지붕 형태로 태양전지판(710)을 설치하도록 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 의해 유인수단(200), 송풍팬(300) 및 전자석(600)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유인수단(200), 송풍팬(300), 전자석(600) 등은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소비하게 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가정용 전기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해충 포획기에는 제어부가 마련되며 프로그램된 절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충 포획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해충 포획기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해충 포획기는 주로 야간에 사용되기 때문에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유인수단(200)이 켜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송풍팬(300)이 가동되고 개폐도어(400)가 열리도록 한다. 본 해충 포획기를 자동화하는 경우에는 타이머 장치를 두어서 일정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작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포획기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6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주요부 구성도이다.
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되, 개폐도어(400)가 회동방식이 아닌 직선 슬라이딩되는 방식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팬(300) 하측에 개폐도어(400)가 위치되며, 개폐도어(4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영구자석(500)이 하나씩 결합된다. 그리고 개폐도어(400)의 좌우측에 전자석(600)이 배치되어 영구자석(500)과 마주보도록 한다.
두개의 영구자석(500) 중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1영구자석(500a)이라 하고 우측의 것을 제2영구자석(500b)이라 한다. 전자석(600)도 좌측의 것을 제1전자석(600a)이라 하고 우측의 것을 제2전자석(600b)이라 한다.
제1영구자석(500a)과 제2영구자석(500b)은 그 극성배치가 동일하도록 하며, 제1전자석(600a)과 제2전자석(600b)은 극성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개폐도어(400)가 닫히는 경우 제1전자석(600a)에 전기가 공급되며 제1영구자석(500a)과 S극끼리 마주보게 되어 상호 반발하여 개폐도어(40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영구자석(500b)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제2전자석(600b)과 맞붙게 된다.
반대로 개폐도어(400)가 열리는 경우 제2전자석(600b)에 전기가 공급되며 제2영구자석(500b)과 N극끼리 마주보는 상태가 되어 반발력이 형성됨으로써 개폐도어(400)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1영구자석(500a)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제1전자석(600a)과 붙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제2실시예에서는 개폐도어(40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충유입부(130)가 열리거나 막혀야 하기 때문에 개폐도어(400)의 중심부는 폭은 넓고 가장자리는 폭이 좁은 형태로 함이 적합하다. 그리고 하우징(100) 내부 구조도 꼬깔 형태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7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의 경우는 하나의 하우징(100)에 유인수단(200), 송풍팬(300) 및 개폐도어(400)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제3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 하부에 하나 이상의 보조하우징(80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보조하우징(800)에도 송풍팬(300), 개폐도어(400), 영구자석(500), 전자석(600)이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도어(400)의 열림동작과 닫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제3실시예에서 하우징(100)과 보조하우징(800)에 마련되는 개폐도어(400)는 회동방식으로 하며, 회동구조는 하나의 개폐도어(400)의 어느 일측단부를 회동축으로 하고, 개폐도어(400)의 양단 중 어느 일측단부에는 상면에 제1영구자석(500a)을 설치하고 타측단부에의 하면에 제2영구자석(500b)을 마련하도록 한다.
그리고 개폐도어(400)보다 높은 위치로 제1영구자석(500a)과 마주보게 제1전자석(600a)을 설치하도록 하고, 개폐도어(400)보다 낮은 위치에 제2영구자석(500b)과 대향하는 제2전자석(600b)을 두도록 한다.
하우징(100) 하부에 마련되는 보조하우징(800)은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가 적합하고 가장 하부의 보조하우징(800)에 포집챔버(120)를 연결시키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개폐도어(400)는 매일 온/오프되어 열림과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지만, 보조하우징(800)의 개폐도어(400)는 수일에 한번씩 개폐되도록 하여 포집된 해충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제1보조하우징(800a)의 경우 기산일로부터 5일째부터 4일에 한번씩 개폐되도록 하고, 제2보조하우징(800b)은 기산일로부터 8일째부터 4일에 한번씩 개폐되도록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용은 포집된 해충들이 보조하우징 내부에서 자연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여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보조하우징(800)에 설치되는 송풍팬(300)은 하우징(100)의 송풍팬(300)보다는 작은 용량의 소형의 것으로 충분하다. 즉, 하우징의 송풍팬은 유인된 해충을 강제로 하방으로 보내어야 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강해야 하지만, 보조하우징에 마련되는 송풍팬은 청소를 목적으로 하는 바 소용량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포획기를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는 설치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늘이 지는 경우 태양전지판(710)에 의한 전기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0) 상부의 태양전지판(710)을 분리하여 햇볕을 잘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두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태양전지판(710)은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배터리로 전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0) 하부를 받쳐줄 수 있는 지지대(900)를 마련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된 태양전지판(710)은 지지대(900) 위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충 포획기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분리되거나 다시 조립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각 요소간 결합구조는 공지의 암수결합 방식이나 자석(M)을 이용한 결합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유해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유입구
120 : 포집챔버 130 : 해충유입부
200 : 유인수단 300 : 송풍팬
400 : 개폐도어 410 : 힌지축
410a: 제1힌지축 410b: 제2힌지축
400a: 제1개폐도어 400b: 제2개폐도어
500 : 영구자석 500a: 제1영구자석
500b: 제2영구자석 600 : 전자석
600a: 제1전자석 600b: 제2전자석
600c: 제3전자석 700 : 태양전지모듈
710 : 태양전지판 800 : 보조하우징
800a: 제1보조하우징 800b: 제2보조하우징
900 : 지지대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는 유인수단;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인수단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하방으로 보내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 하부에 위치되며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여닫힐 수 있는 개폐도어;
    상기 하우징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통과한 해충이 모이도록 하는 포집챔버;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 근방에 마련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의 관계를 이루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유인수단, 상기 송풍팬 또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 동작되며 상기 힌지축과 먼 가장자리에 상기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작용을 하며 상기 개폐도어의 좌우 양단부에 영구자석이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반원형의 제1개폐도어와 제2개폐도어가 각각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결합되어 동시에 개폐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포획기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 하나 이상의 보조하우징이 연결되되, 상기 보조하우징에는 송풍팬, 개폐도어 및 전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KR1020100079915A 2010-08-18 2010-08-18 해충 포획기 KR10124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15A KR101241826B1 (ko) 2010-08-18 2010-08-18 해충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15A KR101241826B1 (ko) 2010-08-18 2010-08-18 해충 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02A KR20120017302A (ko) 2012-02-28
KR101241826B1 true KR101241826B1 (ko) 2013-03-18

Family

ID=4583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915A KR101241826B1 (ko) 2010-08-18 2010-08-18 해충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575A (zh) * 2018-10-24 2019-01-11 杨建清 一种通过洛仑兹力原理的阳台蔬菜种植用飞虫捕捉装置
US11241003B2 (en) * 2020-12-02 2022-02-08 Zhejiang Sorbo Technology Co.,Ltd. Mosquito-killing 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005A (zh) * 2017-12-22 2019-07-02 王俞璎 一种农业用稻田自动杀虫装置
CN112931458A (zh) * 2021-02-04 2021-06-11 浙江硕而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灭蚊灯
CN112772603A (zh) * 2021-02-05 2021-05-11 浙江硕而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手动功能的灭蚊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72U (ja) * 1992-10-07 1994-05-06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捕獲虫利用による捕虫器
JP2002000154A (ja) 2000-06-27 2002-01-08 Ikeda Rika:Kk フェロモントラップを利用した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93447Y1 (ko) 2005-06-03 2005-08-22 경기도(농업기술원) 해충포획기
KR200421269Y1 (ko) 2006-04-26 2006-07-10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72U (ja) * 1992-10-07 1994-05-06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捕獲虫利用による捕虫器
JP2002000154A (ja) 2000-06-27 2002-01-08 Ikeda Rika:Kk フェロモントラップを利用した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93447Y1 (ko) 2005-06-03 2005-08-22 경기도(농업기술원) 해충포획기
KR200421269Y1 (ko) 2006-04-26 2006-07-10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575A (zh) * 2018-10-24 2019-01-11 杨建清 一种通过洛仑兹力原理的阳台蔬菜种植用飞虫捕捉装置
CN109169575B (zh) * 2018-10-24 2020-12-11 杭州玉甄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洛仑兹力原理的阳台蔬菜种植用飞虫捕捉装置
US11241003B2 (en) * 2020-12-02 2022-02-08 Zhejiang Sorbo Technology Co.,Ltd. Mosquito-killing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02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826B1 (ko) 해충 포획기
KR10142423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CN111623464B (zh) 一种公共场所用防尘网自清洁的排气系统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CN204560702U (zh) 诱导式捕蚊器
CN202635391U (zh) 一种光气飞虫诱捕器
CN207324342U (zh) 空压机用防尘罩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200364384Y1 (ko) 해충 포집장치
CN103141458B (zh) 一种用于田间的昆虫捕捉器
CN209234742U (zh) 一种设有吸虫风道的捕虫器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CN217389745U (zh) 一种便于拆卸清理的灭蚊照明一体灯
CN209279352U (zh) 空调自动除尘控制电路
CN110199967A (zh) 一种采用光纤灯的果树种植用杀虫装置
CN202750597U (zh) 一种捉蚊机
CN201898801U (zh) 仿生自动捕虫器
WO2015056824A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N202618081U (zh) 一种捕蚊器
CN201499532U (zh) 一种可接连组合的蟑螂自动捕杀装置
KR102616208B1 (ko) 포충기
CN113229241B (zh) 多功能太阳能灭虫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