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746B1 -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746B1
KR101953746B1 KR1020170116921A KR20170116921A KR101953746B1 KR 101953746 B1 KR101953746 B1 KR 101953746B1 KR 1020170116921 A KR1020170116921 A KR 1020170116921A KR 20170116921 A KR20170116921 A KR 20170116921A KR 101953746 B1 KR101953746 B1 KR 10195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gas
housing
hollow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to KR102017011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서 해충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의 해충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함체와, 상단이 상기 함체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함체에 내설되는 흡입관과, 외부 공기를 흡기해서 상기 함체의 중공으로 배출하며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는 흡기팬과, 흡기류를 따라 흡기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을 구성하고 상기 흡입관과 연통하게 설치되는 포집관을 구비한 트랩; 상기 트랩에 대한 유인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와,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체크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일정 주기로 증감을 순차 반복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유인가스가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과, 상기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 이후 유인가스가 상대적인 국소 영역으로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국소 분사 시간 구간으로 구분해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PORTABLE APPARATUS FOR CAPTURING INSECTS}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서 해충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의 해충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균의 전염 매체인 모기 등과 같은 각종 해충은 인간에게 직접적인 악영향을 주므로, 해충의 발생 위치와 밀도 및 병원균 감염 여부를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충 관리는 지역별 및 시기별로 해충을 포집해서 출몰 지역과 병원균 감염 여부를 직접 체크하며, 이를 위해서 해충 포집용 기구(이하 '해충포집장치')가 활용된다.
해충포집장치는 포집하는 해충의 종류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형태와 구조가 다양하며, 필요에 따라 해충 유인을 위한 유인제 및 유인가스 등의 유인수단이 해충포집장치에 활용된다.
상기 유인수단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03178호(2010년12월15일자 등록)에서 개시한 유인등과, 유인향을 자체적으로 확산시키는 단품형 유인제와, 유인제의 확산 효율을 높이는 유인가스 등이 예시된다.
상기 유인수단의 종류는 포집 대상 해충의 종류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데, 모기 등과 같이 비교적 활동 반경이 넓은 해충의 경우에는 원거리까지 유인제를 확산할 수 있는 유인가스가 활용된다.
그런데, 유인가스를 활용하는 종래 해충포집장치는 일정량의 유인가스를 지속적으로 분사해서 원거리까지 확산시키므로, 유인가스 분사량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유인가스를 불필요하게 소모시키므로, 유인가스의 소비 대비 해충의 포집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 해충포집장치는 유인가스의 분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일정 시간에만 유인가스가 분사되도록 분사 시간만을 제어하므로, 유인가스의 기본적인 소모량만이 단순히 감소됐을 뿐, 유인가스 분사 중에 해충의 포집 효율은 전혀 변화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유인가스 분사 방식의 종래 해충포집장치는 유인가스 보관파트와 유인가스 분사파트와 해충 포집파트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므로, 자체 중량이 크고 구조 또한 복잡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 해충포집장치는 자체 수명이 다할 때까지 설치된 위치에만 배치되어서 해충 포집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해충포집장치 인근에 있는 해충과 원거리에 위치한 해충 모두를 효과적으로 유인해서 유인가스의 소모량 대비 해충 포집율을 높이고, 해충포집장치가 해충 포집 과정에서 소비하는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서 해충의 이동방향과 포집 환경 등에 따라 설치 위치 이동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해충포집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함체와, 상단이 상기 함체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함체에 내설되는 흡입관과, 외부 공기를 흡기해서 상기 함체의 중공으로 배출하며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는 흡기팬과, 흡기류를 따라 흡기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을 구성하고 상기 흡입관과 연통하게 설치되는 포집관을 구비한 트랩;
상기 트랩에 대한 유인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와,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체크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일정 주기로 증감을 순차 반복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유인가스가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과, 상기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 이후 유인가스가 상대적인 국소 영역으로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국소 분사 시간 구간으로 구분해 제어하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해충포집장치 인근에 있는 해충과 원거리에 위치한 해충 모두를 효과적으로 유인해서 유인가스의 소모량 대비 해충 포집율을 높이고, 해충포집장치가 해충 포집 과정에서 소비하는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서 해충의 이동방향과 포집 환경 등에 따라 설치 위치 이동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에서 유인가스가 광대역 분사되는 상태와 국소 분사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유닛에 의해 전자밸브의 개폐 정도와 온오프가 제어되는 모습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바닥면 모습을 평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해충포집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210)와, 상단이 함체(210)의 상면을 향하도록 함체(210)에 내설되는 흡입관(220)과, 외부 공기를 흡기해서 함체(210)의 중공으로 배출하며 흡입관(220)에 설치되는 흡기팬(250)과, 흡기류를 따라 흡기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231)을 구성하고 흡입관(220)과 연통하게 설치되는 포집관(230)을 구비한 트랩(200); 트랩(200)에 대한 유인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330)와, 타이머(350)와, 타이머(350)의 시간을 체크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일정 주기로 증감을 순차 반복하도록 전자밸브(33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340)을 구비한 컨트롤러(300)로 구성되되; 제어유닛(340)은, 상기 유인가스가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전자밸브(330)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과, 상기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 이후 유인가스가 상대적인 국소 영역으로 퍼지도록 전자밸브(330)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국소 분사 시간 구간으로 구분해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해충포집장치는 모기 등의 해충을 포집관(230) 주변의 유효 흡입 범위까지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해충의 포집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고, 해충을 유효 흡입 범위 안으로 유인하기까지 소모되는 유인가스의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해충포집장치의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트랩(200)은 해충을 유인해서 강제 흡입한 후에 포집망(231)에 포집하는 기구로, 함체(210)와 흡입관(220)과 흡기팬(250)과 포집관(230)을 포함한다.
함체(210)는 상면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이루고, 컨트롤러(300)의 전자밸브(330)로부터 인출된 제2호스(L2)와 연통한다. 따라서 제1호스(L1)를 매개로 가스탱크(100)로부터 컨트롤러(300)에 이송된 유인가스는 제2호스(L2)를 통해 함체(210)의 중공으로 배출된다.
흡입관(220)은 함체(210)의 중공에 내설되어서, 상기 중공에서 흡기 채널과 배기 채널을 구분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의 흡입관(220)은 함체(21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서, 흡입관(220)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따라 함체(21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결국, 흡입관(220)은 함체(210) 중공으로 외부 공기가 흡기되는 흡기 채널이고, 흡입관(220)을 제외하는 함체(210)의 중공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채널이 된다.
함체(210)는 흡입관(220)을 연결하는 거치대(211)를 구성한다. 거치대(211)는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따라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막대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그 형상과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흡기팬(250)은 흡입관(220)에 내설되어서, 상기 흡기 채널과 배기 채널에서의 원활한 기류가 지속되게 한다. 흡기팬(250)은 컨트롤러(300)의 제어유닛(34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흡기팬(250)과 제어유닛(340)은 유,무선 통신 수단에 구분없이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흡기팬(250)과 제어유닛(340)은 변압기(370)를 매개로 흡기팬(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트랩(200)과 컨트롤러(300)는 전선(WL)을 매개로 연결된다.
포집관(230)은 포집망(231)을 구성하는 관 형상이며, 흡기관(220)에 연통하게 연결되어서 흡기팬(250)의 흡기력에 의한 발생 기류가 포집관(230)으로 전달된다. 결국, 포집관(230)의 입구측에 발생하는 흡기류는 인근에 근접한 해충을 포집관(230) 안으로 강제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해충은 포집관(230)에 구성된 포집망(231)으로 강제 이송되어 포획된다. 본 실시의 포집관(230)은 상기 입구측이 흡기관(2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게 배치되며, 상기 입구측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서 보다 넓은 범위로 흡기력의 영향이 미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포집관(230)은 흡기관(220)의 상단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형태를 이루며, 포집망(231)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포집관(230)을 흡기관(220)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랩(200)은 흡기 채널과 배기 채널로 구분되며, 유인가스는 상기 배기 채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인근에 위치하는 해충은 상기 유인가스에 의해 트랩(200) 인근으로 접근한다. 그런데 해충은 상기 흡기 채널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야 하는 반면, 상기 유인가스는 상기 배기 채널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므로, 해충은 상기 흡기 채널이 아닌 배기 채널로 응집할 수 있다. 따라서 해충이 상기 배기 채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함체(210)의 상면에는 해충의 유입 방지를 위한 통기형 커버(260)가 설치된다. 통기형 커버(260)는 일반적인 망 형상을 이루며, 이외에도 원활한 환풍이 가능하면서도 해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300)는 트랩(200)에 구성된 흡기팬(2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유인가스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장치로, 전자밸브(330)와 제어유닛(340)과 타이머(350)를 포함한다. 또한 흡기팬(250)과 전자밸브(330)와 제어유닛(340)과 타이머(350)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장치이므로, 전력원을 이루는 전원유닛(360)과, 상기 장치들의 동작에 맞는 변압을 처리하는 변압기(37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전원유닛(360)은 일반적인 배터리일 수 있고, 이외에도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300)는 상기 구성들을 탑재하고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310)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컨트롤러(300)를 조작하기 위해 케이스(310)로 노출된 입출력장치(미도시)를 보호하는 덮개(320)가 케이스(310)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덮개(320)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서, 덮개(320)를 덮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장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밸브(330)는 가스탱크(100)로부터 이송된 유인가스의 배출량을 제어유닛(330)의 제어에 따라 조정한다. 따라서 전자밸브(330)는 가스탱크(100)와 제1호스(L1)를 매개로 연통하고 트랩(200)과는 제2호스(L2)를 매개로 연통한다.
타이머(350)는 시간의 흐름을 체크해서 제어유닛(330)에 시간정보를 전달하며, 사용자가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기(3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에서 유인가스가 광대역 분사되는 상태와 국소 분사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유닛에 의해 전자밸브의 개폐 정도와 온오프가 제어되는 모습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유닛(340)은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흡기팬(350)과 전자밸브(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지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전자밸브(3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의 (a)도면에서와 같이, 제어유닛(340)은 대략 2분 정도 동안에는 트랩(200)에서 분사되는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최대치(Qmax)가 되도록 자동밸브(340)의 개폐 또는 온/오프(ON/OFF)를 제어해서 트랩(200)으로부터 유인가스를 최대한 광대역으로 분사시키고, 이를 통해 최대한 먼 곳에 있던 해충들까지 포집관(230) 주변의 유효 흡입 범위 안으로 유인한다. 이후, 도 4의 (b)도면에서와 같이, 제어유닛(340)은 대략 6분 정도 동안에는 트랩(200)에서 분사되는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기본 분사량(Qbase)으로 감소하도록 전자밸브(330)의 개폐 또는 온/오프를 제어해서, 유인가스가 분사되어 형성하는 순환류가 포집관(230)의 입구측에 인접한 국소 영역에만 집중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효 흡입 범위 안으로 유인된 해충을 포집관(230)의 입구측으로 흡입한다.
이에 따라, 유인가스를 지속적으로 동일한 양이 분사되도록 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증감시켜서, 해충의 포집 효율은 높이고 유인가스의 소모량은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도면과 같이, 제어유닛(340)은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에서 트랩(200)에서 분사되는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최대치(Qmax)가 되어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전자밸브(330)의 개폐도를 펄스 제어하고,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보다 긴 국소 분사 시간 구간(L)에서는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최대치(Qmax)의 절반 이하보다 적은 기본 분사량(Qbase)이 분사되도록 전자밸브(330)의 개폐도를 펄스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a)도면에서 'R' 구간은 전자밸브(330)가 폐쇄되어 유인가스의 배출이 차단된 휴지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에서 전자밸브(330)의 개폐가 최대 분사량(Qmax)으로 여러 번 개폐가 반복되게 할 수 있으며, 국소 분사 시간 구간(L)에서도 전자밸브(330)의 개폐가 기본 분사량(Qbase)으로 여러 번 개폐가 반복되게 제어유닛(340)에 의해 전자밸브(330)가 제어될 수 있고,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과 국소 분사 시간 구간(L)의 사이에는 또 다른 휴지 구간이 존재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자밸브(330)의 개폐도가 제어유닛(340)에 의해 정밀하고 간편하게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b)도면과 같이, 제어유닛(340)은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에서는 전자밸브(330)가 개방되어 있도록 제어하고, 국소 분사 시간 구간(L)에서는 전자밸브(330)의 개폐가 반복되도록 전자밸브(330)를 온/오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의 (b)도면에서 'R1'은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과 국소 분사 시간 구간(L) 사이에서 전자밸브(330)가 폐쇄되어 유인가스의 분사가 차단된 제1 휴지 구간을 의미하고, 'R2'는 국소 분사 시간 구간(L)과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W) 사이에서 전자밸브(330)가 폐쇄되어 유인가스의 분사가 차단된 제2 휴지 구간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의 바닥면 모습을 평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흡입관(220)의 하단에는 내면에 나선형 돌기(222)가 형성된 노즐(221)이 구성되고; 함체(210)의 중공에서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따라 회오리를 일으키도록, 상기 유인가스의 배출구(H)가 함체(210)의 중공 가장자리를 향해 형성되고; 함체(210)는, 상기 중공의 바닥면(212)이 흡입관(22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향해 개구된 배출홀(212a)이 구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측면은 나선형 돌기(214)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212)과 내측면의 경계면(213)은 곡면 형상을 이루는 한편; 흡기팬(250)과 동축(261)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배출홀(212a)을 통해 외부 공기를 함체(210)의 중공으로 유입시키는 흡입팬(2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트랩(200)은 포집관(230)에 흡기류를 일으키기 위해서 흡기팬(250)이 흡입관(22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이렇게 위치한 흡입관(220)의 풍력은 함체(210)의 바닥면(212)으로 직접 향하게 된다. 그런데, 흡기팬(250)의 풍력에 의한 기류는 바닥면(212)과 직접 충돌하면서 주변에 와류를 일으키고, 상기 와류는 함체(210)의 상면을 향하는 기류를 방해하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함체(210)의 입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력은 크게 상실되고, 이를 통해 유인가스는 분사 범위는 크게 감소한다.
본 실시의 트랩(200)은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중공의 바닥면(212)을 흡입관(22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성형해서, 흡입관(2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충격 없이 바닥면(212)의 가장자리로 분산되게 한다.
또한, 바닥면(212)의 가장자리로 분산된 공기는 곡면 형상의 경계면(213)을 타고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따라 상승되게 한다. 이때, 흡입관(220)의 하단에는 노즐(221)을 구성해서 흡입관(2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력을 강화시키고, 더 나아가 노즐(221)의 내면에는 나선형 돌기(222)를 형성시켜서 노즐(221)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회오리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바닥면(212)을 타고 가장자리를 향해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또한 원형 함체(210)의 내면에는 나사산 돌기(214)를 추가 형성시켜서, 회오리를 일으킨 공기가 해당 기류 형태를 유지하면서 함체(210)의 상면까지 상승한다.
결국, 함체(210)의 상면에서 분사하는 공기는 지속되는 자체 회오리 기류에 의해 효율적인 분산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유인가스를 포함한 상기 공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분사된다.
더 나아가 제2호스(L2)와 연결되어서 함체(210)의 중공으로 유인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구(H)는 함체(210)의 중공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형성되어서, 앞서 설명한 함체(210) 내에 회오리 기류에 맞춰서 유인가스가 회오리 기류로 이송된다. 또한, 회오리 기류를 따라 회전하는 공기와 유인가스가 함체(210)의 상면을 향해 원활히 상승하도록, 흡기팬(250)과 동축(261)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흡입팬(260)을 흡입관(220)의 하단에 배치한다. 이때 본 실시의 흡입팬(260)은 흡입관(2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닥면(212)의 하부에 배치되고, 흡입관(220)의 둘레부를 향해 개구된 배출홀(212a)을 통해서만 발생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결국, 흡기팬(250)과 함께 구동하는 흡입팬(260)은 발생시킨 공기를 배출홀(212a)을 통해 함체(210)의 중공으로 배출하고,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회오리 기류로 회전하는 유인가스와 공기가 함체(210)의 상면을 향해 상승하는 것을 가속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의 함체(210)의 바닥면(212)은 상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므로, 바닥면(212)의 저면은 오목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물론 흡입팬(260)에 의한 발생 공기는 바닥면(212)의 오목한 부분으로 집중되면서 배출홀(212a)로의 원활한 배출에 지장을 주므로, 흡입팬(260)과 바닥면(212) 사이에 흡입팬(260)을 향한 볼록면(216)을 구성한다. 따라서 흡입팬(26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볼록면(216)을 중심으로 분산되어서 배출홀(212a)을 통해 원활히 배출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흡입팬(260)은 함체(210)의 하단에 구성되며, 흡입팬(260)의 기류 형성을 위해서 함체(210)는 흡기구(217)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스탱크 200; 트랩 210; 함체
211; 거치대 212; 바닥면 213; 경계면
214; 나선형 돌기 220; 흡입관 221; 노즐
222; 나선형 돌기 230; 포집관 231; 포집망
250; 흡기팬 260; 흡입팬 261; 동축
300; 컨트롤러 H; 배출구 L1; 제1호스
L2; 제2호스 WL; 전선

Claims (3)

  1. 상면이 개구된 함체와, 상단이 상기 함체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함체에 내설되는 흡입관과, 외부 공기를 흡기해서 상기 함체의 중공으로 배출하며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는 흡기팬과, 흡기류를 따라 흡기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을 구성하고 상기 흡입관과 연통하게 설치되는 포집관을 구비한 트랩; 상기 트랩에 대한 유인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와,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체크해서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유인가스의 분사량이 일정 주기로 증감을 순차 반복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유인가스가 최대한 넓게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과, 상기 광대역 분사 시간 구간 이후 유인가스가 상대적인 국소 영역으로 퍼지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국소 분사 시간 구간으로 구분해 제어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함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흡입관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관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함체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는 해충의 유입 방지를 위한 통기형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의 하단에는 내면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노즐이 구성되고; 상기 함체의 중공에서 상기 흡입관의 둘레부를 따라 회오리를 일으키도록, 상기 유인가스의 배출구가 상기 함체의 중공 가장자리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함체는, 상기 중공의 바닥면이 상기 흡입관의 하단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흡입관의 둘레부를 향해 개구된 배출홀이 구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측면은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과 내측면의 경계면은 곡면 형상을 이루는 한편; 상기 흡기팬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배출홀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함체의 중공으로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16921A 2017-09-13 2017-09-13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KR10195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21A KR101953746B1 (ko) 2017-09-13 2017-09-13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21A KR101953746B1 (ko) 2017-09-13 2017-09-13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746B1 true KR101953746B1 (ko) 2019-03-04

Family

ID=6575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21A KR101953746B1 (ko) 2017-09-13 2017-09-13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7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82A (ko) 2019-10-22 2021-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CN113229247A (zh) * 2021-06-10 2021-08-10 湖北师范大学 一种手持式社会昆虫快速捕捉和分离装置
KR102499269B1 (ko) 2021-12-17 2023-02-14 아이티컨버젼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미소해충 포집 및 자동 진단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46B1 (ko) * 2007-11-21 2009-06-01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JP2015080451A (ja) * 2013-10-23 2015-04-27 日本炭酸瓦斯株式会社 害虫ガス誘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46B1 (ko) * 2007-11-21 2009-06-01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KR100997230B1 (ko) * 2009-12-16 2010-11-29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날벌레 포충기
JP2015080451A (ja) * 2013-10-23 2015-04-27 日本炭酸瓦斯株式会社 害虫ガス誘引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82A (ko) 2019-10-22 2021-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KR102327261B1 (ko) * 2019-10-22 2021-11-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CN113229247A (zh) * 2021-06-10 2021-08-10 湖北师范大学 一种手持式社会昆虫快速捕捉和分离装置
KR102499269B1 (ko) 2021-12-17 2023-02-14 아이티컨버젼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미소해충 포집 및 자동 진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746B1 (ko) 포집효율을 높인 이동식 해충포집장치
US5323556A (en) Trap for catching mosquitoes or all night flying insects and method therefor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10368536B2 (en) Insect trap
US7441368B1 (en) Sensor triggered apparatus for capturing pests
US20030051391A1 (en) Mosquito incinerator
EA200600338A1 (ru) Ловушка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лесных, садовых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вредных насекомых и способ удержи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таких вредителей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N105941368A (zh) 一种捕虫盒以及具备该捕虫盒的捕虫机
KR101884528B1 (ko) 모기 포획 장치
CN108935383A (zh) 一种主动式物理杀虫装置及其控制方法
CN206247490U (zh) 空调
KR101781912B1 (ko) 모기채집장치
CN202127736U (zh) 一种柜式蝇虫诱捕器
CN114831093A (zh) 风吹式诱虫装置
CN107616157A (zh) 蝇蚊诱捕器
CN102301986A (zh) 一种柜式蝇虫诱捕器
CN201360491Y (zh) 一种新型的捕蚊机诱蚊、捕蚊气流回路
KR102175130B1 (ko)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CN211558542U (zh) 一种大覆盖范围多用途农林业害虫诱捕器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CN207491879U (zh) 蝇蚊诱捕器
CN208258844U (zh) 一种吸虫器
CN218354254U (zh) 一种具有防逃逸单元的吸风捕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