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42Y1 - 흡입식 포충기 - Google Patents

흡입식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42Y1
KR200387042Y1 KR20-2005-0007414U KR20050007414U KR200387042Y1 KR 200387042 Y1 KR200387042 Y1 KR 200387042Y1 KR 20050007414 U KR20050007414 U KR 20050007414U KR 200387042 Y1 KR200387042 Y1 KR 200387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an
motor
battery
repell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루
Priority to KR20-2005-0007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인등과 흡입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모듈을 구성한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식 포충기{inhalation type insect trap}
본 고안은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인등과 흡입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모듈을 구성한 흡입식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충기는 일몰직후 활발히 활동하는 해충(나방, 하루살이, 모기, 멸구, 이화명충 등)이 좋아하는 특수 반사에 의한 유인등의 불빛으로 강제로 유인하여 흡입팬으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포획하는 장치입니다. 또한, 유인등과 흡입팬은 전기의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흡입팬의 모터는 교류(AC) 모터이다.
이와 같은 포충기는 전기를 이용하기 힘든 곳이나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산악 지역에 사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밤에만 유인등과 흡입팬이 작동하도록 타이머를 맞추어 사용하는 수동 제어 장치에서는 매일 타이머를 맞추는 작업을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를 이용할 수 없거나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흡입식 포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흡입식 포충기는 유인등; 포획망; 상기 유인등에 모인 해충을 날개로 흡입하여 상기 포획망으로 포획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의 모터를 지지한 채 흡입된 해충을 상기 포획망으로 유도하는 유도통체; 상기 유인등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를 이용할 수 없거나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유인등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LED가 사용되면, 소비전력이 낮아 배터리 소모가 적고, 빛의 직진성이 강해 먼 곳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태양광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이 광센서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모터와 상기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면, 타이머와 같은 수동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유도통체를 지지하는 다리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인등 상방에 거울이 더 배치되면, 햇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하여 새들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유인등은 상기 유도통체에 지지되는 갓에 장착되고, 상기 갓의 표면에는 거울필름이 코팅되면, 거울필름의 장착이 간편하고 깨질 염려가 적다.
상기 흡입팬은 위쪽에 날개 아래쪽에 모터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팬의 날개에 거울필름이 코팅되면, 새로부터의 피해가 큰 경우 낮에도 날개를 회전시켜 빛의 반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포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식 포충기는 유인등(1), 포획망(3), 유인등(1)과 포획망(3) 사이에 배치되는 흡입팬(5), 흡입팬(5)을 지지한 채 흡입된 해충을 포획망(3)으로 유도하는 유도통체(7), 유인등(1)과 흡입팬(5)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9), 배터리(9)를 충전하는 태양광모듈(11)로 이루어진다.
유인등(1)은 직류(DC)전원을 사용하는 LED(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ED(1)는 블루, 그린, 레드, 화이트, 옐로우 등 여러 파장대의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이 낮아 배터리(9)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AC전원을 이용한 기존 3파장(블루, 그린) 램프에 비해 빛의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먼 곳의 해충을 유인하는데 탁월하다. 또한, 갓(13)의 아래쪽에 둥글게 또는 원하는 위치에 수많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LED(1) 사용시 제어부(미도시)로 ON/OFF(깜빡거림 현상)를 제어하여 보다 많은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유인등(1)은 갓(13)의 소켓에 장착된다. 이 갓(13)에는 후술된 거울필름(21)이 코팅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갓(13)에 네잎 클로버 모양의 거울필름(21)을 부착하여 여러 각으로 빛을 반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갓(13)은 소정 간격 배치된 연결편(15)에 의해 유도통체(7)에 지지된다. 이 연결편(15) 사이로 해충들이 들어와 유동통체(7)로 빠져 포획망(3)에 포획된다.
포획망(3)은 유도통체(7)의 하단에 고리 등에 걸려 배치되는 것이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이 포획망(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중 구조로 안쪽에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하여, 흡입팬(5)이 정지하였을 때 포획한 해충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획망(3)의 아래쪽에는 포획한 곤충을 쉽게 처리 할 수 있는 도어(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어(4)가 연못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포획한 곤충을 연못으로 자연 낙하 시켜 개구리 등 천적들의 먹이로 활용하여, 먹이 공급원의 생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포획망(3)은 다리(19)에 걸려 배치될 수 있다.
흡입팬(5)은 직류(DC)모터(5a)와 날개(5b)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a)는 유도통체(7)에 브래킷(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날개(5b)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유도통체(7)에 흡입유로를 먼저 형성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해충의 흡입을 잘 하게 한다. 또한, 날개(5b)의 재질은 나일론 재질로 무게를 현격히 줄여 부하량을 최소화하며 열의 의한 변경과 충격의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대로, 날개(5b)가 모터(5a)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5b)는 적어도 유도통체(7)의 상단 또는 그 위쪽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술한 거울필름(21)을 날개(5b)의 표면에도 코팅하면, 햇빛에 노출되어 빛의 반사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도통체(7)의 하단 외주면에는 다리(1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다리(7)를 구성하여 바람이 불 경우 접촉면이 4각형의 1모서리보다 3각형의 모서리의 접촉면이 크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다리(1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경사면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리의 구조와 기능은 카메라 설치할 때 이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태양광모듈(11)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낮에는 배터리(9)를 충전하고, 이 축적된 배터리 전원으로 야간에 유인등(1)과 모터(5a)를 동작하여 해충을 포획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모듈(11)과 배터리(9)의 사용으로, 전기의 이용이 불편하거나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서도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 포충기의 설치지역이 농작물이나 과수원이 있는 경우에는 해충의 포획뿐 아니라 새를 쫓는 허수아비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포충기에 별도의 거울을 설치하여, 햇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하여 새들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이 거울은 유인등(1)의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햇빛으로의 노출율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햇빛 반사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물론, 태양광모듈(11)도 햇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갓(13)의 표면에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37892호의 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 재질의 거울필름(21)이 코팅되는 것이, 설치가 간편하고 새가 부딪치거나 부주의로 깨질 우려가 매우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팬(5)의 날개(5b)에도 거울필름(31)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거울필름(31)은 낮에는 고정된 상태로 있지만, 새로부터의 피해가 큰 경우 낮에도 날개(5b)를 회전시켜 빛의 반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한편, 태양광을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유인등(1)과 흡입팬(5)을 제어부(미도시)로 제어함으로써, 해충이 활동하는 시간에만 자동으로 유인등(1)과 흡입팬(5)을 동작시키고, 해충이 활동하지 않는 낮에는 기기 동작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흡입식 포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흡입식 포충기에 배터리와 태양광모듈의 구성이 채택 결합됨으로써, 태양광을 이용하여 낮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축전된 전원으로 야간에 유인등과 모터를 동작하여 해충을 포획할 수 있어, 전기의 전원 이용이 불편하거나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유인등을 LED로 사용함으로써, (1)소비전력이 낮아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2)기존 삼파장 램프보다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먼 곳의 해충을 유인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3)원하는 위치와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4)LED을 깜박깜박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셋째, 태양광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이 광센서로부터 입력받아 흡입팬과 LED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타이머와 같은 수동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넷째, 유도통체를 지지하는 다리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경사면에서의 설치가 편리하다.
다섯째, 유인등의 상방에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햇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어, 농작물이나 과수원에 설치될 경우 새 쫓는 허수아비 역할을 하여, 새들로부터 농작물이나 과일을 보호할 수 있다.
여섯째, 유인등이 장착되는 갓의 표면에는 거울필름이 코팅됨으로써, 위 거울의 효과뿐 아니라 거울필름의 장착이 간편하고 새나 부주의로 인한 깨질 염려가 적다.
일곱째, 상기 흡입팬은 위쪽에 날개 아래쪽에 모터가 배치되며, 흡입팬의 날개에 거울필름이 코팅됨으로써, 낮에도 햇빛의 반사를 유도할 뿐 아니라, 새로부터의 피해가 큰 경우, 날개를 회전시켜 빛의 반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포충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갓에 거울필름이 코팅된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인등(LED) 3 : 포획망
4 : 도어 5 : 흡입팬
5a : 모터 5b : 날개
7 : 유도통체 9 : 배터리
11 : 태양광모듈 13 : 갓
15 : 연결편 17 : 브래킷
19 : 다리 21 : 거울필름

Claims (7)

  1. 유인등;
    포획망;
    상기 유인등에 모인 해충을 날개로 흡입하여 상기 포획망으로 포획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의 모터를 지지한 채 흡입된 해충을 상기 포획망으로 유도하는 유도통체;
    상기 유인등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흡입식 포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등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3. 제 2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이 광센서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모터와 상기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통체를 지지하는 다리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등의 상방에 거울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등은 상기 유도통체에 지지되는 갓에 장착되고, 상기 갓의 표면에는 거울필름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위쪽에 날개 아래쪽에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의 날개에 거울필름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포충기.
KR20-2005-0007414U 2005-03-18 2005-03-18 흡입식 포충기 KR200387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14U KR200387042Y1 (ko) 2005-03-18 2005-03-18 흡입식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14U KR200387042Y1 (ko) 2005-03-18 2005-03-18 흡입식 포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719A Division KR100691360B1 (ko) 2005-03-18 2005-03-18 흡입식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42Y1 true KR200387042Y1 (ko) 2005-06-16

Family

ID=4368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14U KR200387042Y1 (ko) 2005-03-18 2005-03-18 흡입식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4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987B1 (ko) 2006-02-02 2006-07-25 주식회사 현진기업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100753435B1 (ko) * 2006-04-26 2007-08-31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CN109997819A (zh) * 2019-05-16 2019-07-12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昆虫采集设备及蛙类养殖装置
CN110100805A (zh) * 2019-05-25 2019-08-09 张国山 风吸太阳能诱捕器
KR102402878B1 (ko) * 2021-06-02 2022-05-31 (주)다목에코텍 해충 유인포집장치
KR20230020093A (ko) * 2021-08-03 2023-02-10 (주)다목에코텍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987B1 (ko) 2006-02-02 2006-07-25 주식회사 현진기업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100753435B1 (ko) * 2006-04-26 2007-08-31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CN109997819A (zh) * 2019-05-16 2019-07-12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昆虫采集设备及蛙类养殖装置
CN109997819B (zh) * 2019-05-16 2024-04-05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昆虫采集设备及蛙类养殖装置
CN110100805A (zh) * 2019-05-25 2019-08-09 张国山 风吸太阳能诱捕器
KR102402878B1 (ko) * 2021-06-02 2022-05-31 (주)다목에코텍 해충 유인포집장치
KR20230020093A (ko) * 2021-08-03 2023-02-10 (주)다목에코텍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2603570B1 (ko) 2021-08-03 2023-11-17 (주)다목에코텍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360B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200387042Y1 (ko) 흡입식 포충기
CN205196795U (zh) 一种农业灭虫器
KR102457324B1 (ko) 포충기
KR20060043085A (ko) 종일 점등형 광 방충기
CN213074129U (zh) 一种用于病虫害防控的诱虫扑杀装置
EP3534703B1 (en) Lamp for eliminating insects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WO2020158986A1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조명등과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JP2005046018A (ja) 飛来害虫防除システム
CA2767934A1 (en) Insect trap with a flowing trapping fluid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20100008217U (ko) 단파장 엘이디를 이용한 산림 해충 방제용 친환경 포획장치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CN210519875U (zh) 一种简易式昆虫诱捕器
KR20140036604A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JP2005117970A (ja) 害虫捕獲器
JP3872064B2 (ja) 誘蛾灯装置
KR200221535Y1 (ko) 포충기
KR101152776B1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CN112568208B (zh) 一种植物保护的灭害虫装置
CN210382338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