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987B1 -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 Google Patents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987B1
KR100603987B1 KR1020060010225A KR20060010225A KR100603987B1 KR 100603987 B1 KR100603987 B1 KR 100603987B1 KR 1020060010225 A KR1020060010225 A KR 1020060010225A KR 20060010225 A KR20060010225 A KR 20060010225A KR 100603987 B1 KR100603987 B1 KR 10060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optical fiber
pes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임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to KR102006001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원 등 농작물재배지와 축사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함으로서, 야행성 해충을 자동으로 유도하여 포집하기 위한 구조의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연직 하방으로 불빛을 유도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하부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발광부로 유도되는 해충을 하부로 강제 포집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의 측면에 부착되어 해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일몰 및 일출에 따라 자연광을 감지하여 발광부의 불빛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 포집, 해충, LED

Description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The Extermination For A Vermin Inducement Using Optical Fiber And 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도시한 제 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도시한 제 2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부 11: 유도부재
11a: 관통구 11b; 후크
12: LED 20: 지지부
30: 포집부 31: 몸체
32: 송풍팬 40: 저장부
41: 망체 42:배출구
43: 코일스프링 50:센싱부
100: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본 발명은 과수원 등 농작물재배지와 축사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하여 야행성인 해충을 자동으로 유도 및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식물에는 피해가 없고 야행성 해충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과 파장이 발생할 수 있는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몰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고 날이 밝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기 내부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쌓이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열려 죽어있는 해충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병해충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의 종래기술로 개발된 유도등은 백열등 또는 형광등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포집기는 일반 등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소모가 매우 크며, 또한 사람이 일일이 전등을 점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출이 되는 아침인 경우에는 야행성 해충이 활동을 멈추는 바, 이때에는 전등을 점등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람이 강제로 전등을 점등시키지 않는 한 계속해서 전등의 불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들을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포집기 내부에서 해충이 그대로 썩어 이로 인한 제3의 병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전구는 전력 소비량이 너무 많아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하기 때문에 대부분 농가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일몰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고 날이 밝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기 내부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쌓이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열려 죽어있는 해충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 포집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과수원 등 농작물재배지와 축사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하여 야행성인 해충을 자동으로 유도 및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식물에는 피해가 없고 야행성 해충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과 파장이 발생할 수 있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일몰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고 날이 밝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기 내부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쌓이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열려 죽어있는 해충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연직 하방으로 불빛을 유도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하부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발광부로 유도되는 해충을 하부로 강제 포집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집부;와, 상기 포 집부의 측면에 부착되어 해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일몰 및 일출에 따라 자연광을 감지하여 발광부의 불빛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발광부는, 불빛을 연직 하방으로 유도하기 "갓" 형상의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의 내부에 다수 개재되는 LED 또는 LED 및 전등을 광원으로 한 광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도부재는 외주면을 통해 불빛이 투영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의 관통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도부재는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포집부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저장부는 상기 포집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망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식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쌓여지는 해충의 무게에 따라 상기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는 상기 망체의 상부에 걸쳐지고, 하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센싱부는 빛을 검지하는 센서인 광검지센서(CD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 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도시한 제 1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를 도시한 제 2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수원 등 농작물재배지와 축사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하여 야행성인 해충을 자동으로 유도 및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식물에는 피해가 없고 야행성 해충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과 파장이 발생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몰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고 날이 밝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기 내부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쌓이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열려 죽어있는 해충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100)는 크게 5개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발광부(10)와, 지지부(20)와, 포집부(30)와, 저장부(40)와, 센싱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0)는 불빛을 발생시켜 각종 해충들을 유도하기 위한 것 으로, 불빛을 연직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11)와, 상기 유도부재(11)의 내부에 다수 개재되는 LED(12)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LED(12)로만 이루어진것 이외에 LED(12) 및 전등을 광원으로 한 광섬유(미도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도부재(11)는 "갓"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내부에 개재된 LED(12)의 불빛의 일부가 외부로 투영되어 확산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의 관통구(1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유도부재(11)는 반투명 재질 또는 빛이 투영되어 확산될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도부재(11)의 상부에는 나무나, 천정, 또는 기타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11b)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발광부(10)의 내부 안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구조로써, 상기 포집부(30)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결합되는게 포집부(30)이다.
이 때 상기 포집부(30)는 그 형상이 사각 또는 삼각 또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발광부(10)로 유도되는 해충을 하부로 강제 포집하기 위한 송풍팬(32)이 내장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송풍팬(32)은 발광부(10)의 유도부재(11) 하부로 모여드는 해충을 강제로 빨아 들여 하부에 결합된 저장부(40)로 해충을 강제 저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40)는 상기 포집부(30)의 측면에 고정되는 망체(41)와, 상기 망체(41)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망체(41)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식 배출구(42)와, 상기 배출구(42)의 상부에 쌓여지는 해충의 무게에 따라 상기 배출구(42)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단부는 상기 망체(41)의 상부 또는 포집부(30)의 몸체(31) 하부에 걸쳐지고, 하단부는 상기 배출구(42)의 상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센싱부(50)는 일몰 및 일출에 따라 자연광를 감지하여 발광부(10)의 불빛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센서이다.
이러한 센싱부(50)는 주로 광전스위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광감지센서(CD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감지센서는 자연광을 센싱하여 자연광이 조사될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이와 반대로 자연광이 조사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을 연결시켜 상기 LED와 송풍팬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센싱부는 광감지센서 이외에, 전파 방식(통제소에서 점등 또는 소등 전파를 보내 무선으로 작동하는 방식), 직접작동 방식(직접 차단기를 통해 ON OFF하는 방식), 타이머 방식(일출, 일몰시간을 입력해 놓고 자동 타이머의 시간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감응식 스위치방식이 있는데, 이는 황화카드뮴이나 실리콘과 같은 감광물질로 만들어진 센서가 들어있다. 감광물질이란 빛의 밝기에 따라 원자의 성질이 달라지는 물질을 말한다. 이 물질에 어느 밝기 이상의 햇빛을 쪼이면 전자를 한 원자에서 다음 원자로 이동시킨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발광부 및 송풍팬을 원 하는 경우에 켜고 끌 수 있다. 새벽이 되어 점점 밝아지고 센서속의 감광물질에 어느 밝기 이상의 햇빛이 비추어지면, 전류가 흘러 차단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발광부 및 송풍팬의 전원은 차단된다. 반대로 저녁이 되어 점점 어두어지면 이 센서속의 감광 물질들이 활성을 잃어 차단회로에 전류가 끊어지고, 발광부 및 송풍팬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부 및 송풍팬이 가동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몰에는 작동되고 일출시에는 작동이 점멸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센싱부(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몰이 되면 LED(12)와 송풍팬(32)은 동시에 가동한다.
농작물 등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이나 사람이나 가축에게 피해를 주는 모기 등은 대부분 야행성으로써 낯에는 농작물 또는 풀숲 등에서 은신하고 있다가 일몰시부터 활동을 개시하는데 LED(12)의 발광빛을 보면 모여들기 시작한다.
이때에 송풍팬(32)의 가동에 따라 해충들은 저장부(40)의 망체에 강제로 포집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망체(41)에 포집된 해충들이 많이 누적되어 일정량 이상의 무게가 쌓이면 코일스프링(43)이 늘어나면서 배출구(42)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죽어있는 해충들은 자동으로 저장부(40) 밖으로 배출하게 되고, 배출된 해충들에 의해 배출구(42)의 상의 무게가 가벼워 지면 상기 코일스프링(43)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배출구(42)는 다시 폐쇄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에 따르면, 과수원 등 농작물재배지와 축사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하여 야행성인 해충을 자동으로 유도 및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식물에는 피해가 없고 야행성 해충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과 파장이 발생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LED 이외에 광원에 광섬유를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일몰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고 날이 밝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또한 포집기 내부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쌓이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열려 죽어있는 해충을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연직 하방으로 불빛을 유도되는 발광부(10);
    상기 발광부(10)의 하부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부(20);
    상기 발광부(10)로 유도되는 해충을 하부로 강제 포집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고정되는 포집부(30);
    상기 포집부(30)의 측면에 부착되어 해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 및
    일몰 및 일출에 따라 자연광을 감지하여 발광부(10)의 불빛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센싱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0)는, 불빛을 연직 하방으로 유도하기 "갓" 형상의 유도부재(11)와, 상기 유도부재(11)의 내측에 다수 개재되는 LED(12) 또는 LED(12)와 전등을 광원으로 한 광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11)는 외주면을 통해 불빛이 투영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의 관통구(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 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11)는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30)는 원통형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내부에 고정되는 송풍팬(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는 상기 포집부(30)의 측면에 고정되는 망체(41)와, 상기 망체(41)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망체(41)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식 배출구(42)와, 상기 배출구(42)의 상부에 쌓여지는 해충의 무게에 따라 상기 배출구(42)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단부는 상기 망체(41)의 상부에 걸쳐지고, 하단부는 상기 배출구(42)의 상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50)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인 광감지센서(CD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1020060010225A 2006-02-02 2006-02-02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10060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225A KR100603987B1 (ko) 2006-02-02 2006-02-02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225A KR100603987B1 (ko) 2006-02-02 2006-02-02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987B1 true KR100603987B1 (ko) 2006-07-25

Family

ID=371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225A KR100603987B1 (ko) 2006-02-02 2006-02-02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9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24B1 (ko) 2008-12-31 2012-06-01 그린테크주식회사 살충기
KR101168513B1 (ko) 2010-08-27 2012-07-31 이남용 끈끈이 해충 포집기
KR101349733B1 (ko) 2012-06-13 2014-01-24 옥윤선 해충 포획장치
KR101424238B1 (ko)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825680B1 (ko) *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80048005A (ko) * 2016-11-02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방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72U (ja) * 1992-10-07 1994-05-06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捕獲虫利用による捕虫器
KR20030095513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모기 퇴치기
KR200387042Y1 (ko) 2005-03-18 2005-06-16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200394218Y1 (ko) 2005-06-07 2005-09-01 박상영 해충 박멸기
KR200396720Y1 (ko) 2005-07-04 2005-09-27 송종명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72U (ja) * 1992-10-07 1994-05-06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捕獲虫利用による捕虫器
KR20030095513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모기 퇴치기
KR200387042Y1 (ko) 2005-03-18 2005-06-16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200394218Y1 (ko) 2005-06-07 2005-09-01 박상영 해충 박멸기
KR200396720Y1 (ko) 2005-07-04 2005-09-27 송종명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24B1 (ko) 2008-12-31 2012-06-01 그린테크주식회사 살충기
KR101168513B1 (ko) 2010-08-27 2012-07-31 이남용 끈끈이 해충 포집기
KR101424238B1 (ko)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349733B1 (ko) 2012-06-13 2014-01-24 옥윤선 해충 포획장치
KR101825680B1 (ko) *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20180048005A (ko) * 2016-11-02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방충기
KR102069939B1 (ko) 2016-11-02 2020-02-24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방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987B1 (ko)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1053432B1 (ko)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US7308774B2 (en) Solar insect killer and catcher
KR20060043085A (ko) 종일 점등형 광 방충기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EP3534703B1 (en) Lamp for eliminating insects
KR20120097077A (ko)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JP2005046018A (ja) 飛来害虫防除システム
KR101391090B1 (ko) 유해 조류 및 곤충 퇴치장치
JP2003070402A (ja) 捕虫器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KR20100008217U (ko) 단파장 엘이디를 이용한 산림 해충 방제용 친환경 포획장치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CN109042587A (zh) 一种园林用灭虫灯
US11864550B2 (en) Insect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apturing insects and use of the insect capturing device
JP2014117214A (ja) 捕虫器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0221535Y1 (ko) 포충기
AU2005101064A4 (en) Solar insect killer and catcher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EP1803348A1 (en) Solar insect killer and catcher
CN212686488U (zh) 一种具有捕虫功能的农业垃圾回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