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35Y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35Y1
KR200221535Y1 KR2020000033736U KR20000033736U KR200221535Y1 KR 200221535 Y1 KR200221535 Y1 KR 200221535Y1 KR 2020000033736 U KR2020000033736 U KR 2020000033736U KR 20000033736 U KR20000033736 U KR 20000033736U KR 200221535 Y1 KR200221535 Y1 KR 200221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insect
addition
lamp
ins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순
Original Assignee
김봉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순 filed Critical 김봉순
Priority to KR2020000033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35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해충의 피해를 막는데 주로 사용되었던 살충제에 의한 피해를 막고 대부분의 곤충이 불빛에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존의 외등이나 가로등을 활용하여 포집하기 위하여 측하면이 막혀있고 상면은 깔대기 모양의 흡입부가 형성된 몸체의 일측면에는 힌지로 연결된 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반대편 끝단에 나사산과 너트가 구비된 고정막대가 결합된 흡입휀이 상기 흡입휀 상단 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부의 하단 출구에는 포집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inhalation trap}
본 고안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모기나 나방과 같은 곤충들을 불빛으로 유인 포획하도록 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나 농작물등에 해를 미치는 곤충을 해충이라 분류하고 그 피해를 막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기 해충은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와 같은 인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미치는 것에서 벼멸구나 밤나방 혹파리등과 같은 농작물이나 수목에 해를 미치는 해충들이 그 대표적인 예로 분류된다.
현재 해충에 의한 피해를 막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농약과 같은 살충제이다.
하지만 이러한 살충제는 대부분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독극물로 작용하거나 먹이 사슬의 가장 상위에 위치한 인간에게는 간접적으로 체내에 누적되어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과 농업기술의 발달 이후로 계속되어진 살충제의 남용으로 해충의 저향력이 커져 기존의 살충제에는 거의 면역화되어 이제는 살충제의 독성을 증가 시키는 방향으로의 연구가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또 농약과 살충제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으며 해충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된 살충제는 해충 뿐만 아니라 그 천적들을 비롯한 다른 생물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현재 심각하게 인류의 생존에 위협이 되고있는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살충제나 농약이 단기적인 효과는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생분해성 살충제나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유도살충등의 많은 방법이 연구되고 그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으나 강력한 극약처방과 같은 살충제의 효과에 비해 그 효과는 미약한 수준이다.
그 중 유도살충의 대표적인 예는 몸체에 적외선 히터램프를 장착하여 불빛을 보고 모여든 곤충이 접근하면 가열된 램프의 열에 의해 타죽도록하는 포충기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빛에 반응하는 곤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특히 나방과 같은 유해 곤충을 포획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약품이나 부품의 교체없이 전원을 연결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죽은 곤충이 바닥에 널려있으며 상기 포충기의 램프나 몸체가 죽은 곤충에 의해 오염되며 곤충이 탈때의 소음과 냄새는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게된다.
또한 상기 포충기는 곤충의 특성상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설치해야하며 이에따른 전원의 연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 빛과 함께 곤충을 태워 죽일 정도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램프이기에 전력의 손실 또한 크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가로등이나 외등과 같은 조명등에 설치하여 조명등에 모여드는 곤충을 포집 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기존의 살충제의 경우에 반해 환경오염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친환경적이며 냄새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살충제나 적외선히터등을 이용한 포충기의 경우 죽은 곤충을 별도로 청소하여 처리하는 불편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기위한 배선의 필요가 없으며 휴대가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입구가 깔대기 모양의 흡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힌지로 연결된 문이 형성되어있는 몸체와 상기 흡입부의 입구에는 흡입휀이 모터와 연결되며, 출구에는 포집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힌지 12 : 문
13 : 흡입부 14 : 포집망
15 : 밴드 16 : 걸림턱
17 : 통기홀 18 : 밧데리
19 : 다리
2 : 흡입휀
21 : 모터 22 : 날개
23 : 케이스 24 : 고정홀
25 : 고정막대 26 : 연결고리
27 : 연결끈 28 : 훅
3 : 외등
31 : 전등갓 32 : 너트
4 : 가로등
S : 스위치
이에 본 구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원통형의 몸체(1)의 일측면에는 힌지(11)로 연결된 문(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의 상단에는 흡입휀(2)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휀(2)의 상면에는 수 개의 고정홀(2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24)에 반대편 끝단에 나사산과 너트(32)가 구비된 고정막대(25)가 결합된 흡입휀(2)이 상기 흡입휀(2) 상단 입구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에서는 본 고안이 기존의 외등(3)과 결합한 형상을 보여주며 상기 외등(3)의 전등갓(31)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용이하게 본 고안인 포충기를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몸체(1)의 형상은 상기 도에 나타난 원통형의 예를 제외하고도 사용하는 장소나 미관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직육면체나 둥근 가로등 주에 부착시킬 경우 일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흡입휀(2)에 의한 흡입을 최대한으로 하기위해 몸체(1)의 저면이나 측면에도 통풍홀을 형성하며 흡입휀(2)의 상면은 중심부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뿐만아니라 바닥면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등의 여러가지 실시 예를 고려하여 저면에 다리(19)를 형성하거나 측면이나 상면에 고정끈이나 고정고리등의 다양한 부착 또는 고정 수단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등이나 가로등에 설치할 경우에는 그 등의 본래 목적인 조명에 방해되지 않도록 포충기의 본체(1)와 흡입휀(2)을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빛의 산란으로 실제 포충기를 설치한다해도 조명효과가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상단 입구에 깔대기 모양의 흡입부(1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힌지(11)로 연결된 문(1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상기 흡입부(13)의 입구에는 모터(21)와 날개(22)와 케이스(23)로 구성된 연결된 통상의 흡입휀(2)이 장착되며, 상기 흡입부(13)의 출구에는 포집망(14)이 형성된 포충기의 단면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흡입부(13)는 출구 끝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포집망(14)을 장착할 경우에 고무밴드와 같은 신축성있는 밴드(15)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 고정막대(25)와 흡입휀(2)의 결합은 상기 고정막대(25)가 어느 정도의 범위안에서 움직임이 자유롭게하여 기울어진면이나 바람이나 기타 외부영향이 많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밧데리(18)가 내장되어 상기 모터(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에는 스위치(S)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도 일정 시간동안 흡입휀(2)을 가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 사용이 어두워진 다음이므로 낮 시간동안에는 충전을 하고 밤에 가동 시킬 수 있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과수에 영향을 주는 밤나방이나 벼멸구등의 해충의 피해를 막는데 있어서 일조량에 의해 농작물이나 과수의 생육이 지장을 받지 않는 범위안에서 야간이나 특정한 시기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나 기타의 수단으로 자체 전력 생산과 저장이 가능하도록하면 별도의 전기에너지의 공급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 밑면에 구성된 다수의 통기홀(17)은 흡입휀(2)이 작동효율을 높이기위하여 공기가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것이며 이러한 상기 통기홀(17)은밑면뿐 아니라 측면등 여러곳에 내부의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기존의 조명등이나 가로등과 같은 곳에 용이하게 상기 포충기를 설치하기 위한 대표적인 구성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포충기의 상부 외면에는 수개의 연결고리(25)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연결고리(25)와 결합하는 연결끈(26)을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정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천정에 고정막대 또는 연결끈(26)에 상응하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와 연결고리(25)를 고정막대나 연결끈(26)으로 연결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복잡한 기존의 가로등에 결합할 때는 연결끈(26)과의 매듭으로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때 연결끈(26)의 양끝단은 용이하게 고리에 걸 수 있도록 훅(28)을 연결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은 천정이나 기울어진 벽면에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임을 알 수 있으며 포충기의 필요가 없는 시기에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연결고리(25)와 결합하는 연결끈(26)의 반대측 끝단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집개를 부착시켜 고정하고자하는 곳에 물림으로서 설치하는 실시예도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유인등을 두지않고 기존의 외등이나 가로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명등의 역할과 집충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살충제의 사용을 억제하도록하여 환경오염과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집된 곤충은 몸체의 포집망에 모아지므로 상기 포집망안의 곤충을 버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그 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밧데리를 내장하는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설치가 간편해지고 휴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측하면이 막혀있고 상면은 깔대기 모양의 흡입부(13)가 형성된 몸체의 일측면에는 힌지(11)로 연결된 문(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13)의 상단 입구에는 상면에 수개의 고정홀(24)을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4)에 결합하는 고정막대(25)를 형성하되 그 끝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유도등(3)과 너트(32)로 결합하도록 한 흡입휀(2)이 장착되며, 상기 흡입부(13)의 하단 출구에는 포집망(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13)의 하단에는 외주방향으로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신축성있는 밴드(15)가 상기 포집망(14)을 걸림턱(16)의 상단에서 밀착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통상의 밧데리(18)가 내장되어 모터(21)와 유도등(3)에 연결되며 전력을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는 스위치(S)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수개의 연결고리(2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25)에는 그 끝단에 훅(28)이 형성된 연결끈(26)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측면과 밑면에는 다수의 통기홀(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밑면에는 수개의 받침 다리(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KR2020000033736U 2000-12-01 2000-12-01 포충기 KR200221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36U KR200221535Y1 (ko) 2000-12-01 2000-12-01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36U KR200221535Y1 (ko) 2000-12-01 2000-12-01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535Y1 true KR200221535Y1 (ko) 2001-04-16

Family

ID=7309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36U KR200221535Y1 (ko) 2000-12-01 2000-12-01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3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60B1 (ko) * 2005-03-18 2007-03-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100849037B1 (ko)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포획기
KR100924161B1 (ko) * 2007-02-06 2009-10-28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스탠드형 포충기
KR200458843Y1 (ko) 2009-07-14 2012-03-15 한석윤 해충 포집장치
KR101123248B1 (ko) 2009-10-09 2012-03-21 주식회사 에이엔티에코영농 해충 박멸장치
KR101127975B1 (ko) 2009-08-19 2012-03-29 (주)팜클 곤충퇴치기
CN108167753A (zh) * 2018-02-11 2018-06-15 肇庆学院 一种具有驱虫功能的节能路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60B1 (ko) * 2005-03-18 2007-03-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100924161B1 (ko) * 2007-02-06 2009-10-28 강경종 필터가 구비된 스탠드형 포충기
KR100849037B1 (ko)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포획기
KR200458843Y1 (ko) 2009-07-14 2012-03-15 한석윤 해충 포집장치
KR101127975B1 (ko) 2009-08-19 2012-03-29 (주)팜클 곤충퇴치기
KR101123248B1 (ko) 2009-10-09 2012-03-21 주식회사 에이엔티에코영농 해충 박멸장치
CN108167753A (zh) * 2018-02-11 2018-06-15 肇庆学院 一种具有驱虫功能的节能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20120097077A (ko)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KR200221535Y1 (ko) 포충기
KR100603987B1 (ko) Led 및 광섬유를 이용한 해충 유도 포집기
KR200364384Y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387042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CN210519875U (zh) 一种简易式昆虫诱捕器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200407272Y1 (ko) 흡입식 포충기
CN215582972U (zh) 一种果蔬种植用防病虫装置
CN114532309B (zh) 一种用于林果防虫害的灭虫装置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200410977Y1 (ko) 해충 포살기
CN210226638U (zh) 一种新型led昆虫诱捕灯
CN210382338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
KR200390970Y1 (ko) 수조를 갖는 날벌레용 포충기
CN112790173A (zh) 一种基于农业物联网的声波捕捉装置
KR200335127Y1 (ko) 해충 포획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