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754B1 -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754B1
KR101004754B1 KR1020100031084A KR20100031084A KR101004754B1 KR 101004754 B1 KR101004754 B1 KR 101004754B1 KR 1020100031084 A KR1020100031084 A KR 1020100031084A KR 20100031084 A KR20100031084 A KR 20100031084A KR 101004754 B1 KR101004754 B1 KR 10100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quarantine
control unit
bee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신이현
박찬
장규식
조동구
유재승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3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방역정보입력기(100)와, 방역정보입력기(100)로부터 방역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합관리하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역정보입력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111)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11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113)로 구성된 입력기본체(110)와, 가이드통체(113)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113)를 밀폐하는 안착부(121)와, 안착부(121)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113)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22)와, 가이드부(1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123)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113)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120)와, 가이드부(122)에 설치되되 포집망(123)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120)가 가이드통체(1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120)를 통해 가이드통체(113)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111)와 가이드통체(113)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A)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130)와, 가이드부(122)에 내설되어 가이드부(122)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140)와, 감지장치(1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날벌레를 연산한 후 연산된 날벌레 개수 데이터를 출력하고, GPS수신기(G)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하는 제어유닛(150)과, 제어유닛(150)에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유닛(I)과, 제어유닛(150)의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유닛(160)과, 현재 위치정보를 제어유닛(150)으로 출력하는 GPS수신기(G)를 포함하고;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는, 각각의 포충기 송신유닛(160)으로부터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로부터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에 포집된 날벌레의 개수 또는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 주변에서 실시한 방역정보를 판독하며, 위치정보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100)가 이동한 궤적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부(230)와, 포집된 날벌레 개수 또는 방역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부(22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240)로 이루어져, 날벌레 포집상태 또는 방역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역정보 관리시스템{Disinf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본 발명은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날벌레를 정확하게 계수하여 날벌레 개수 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날벌레 포집장소 주변의 방역에 대한 방역정보 또한 통합관리할 수 있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날벌레의 발생밀도 확인 및 살아 있는 날벌레의 병원균 감염 여부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날벌레를 수집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날벌레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날벌레 포집위치에 설치된 포충기로부터 일일히 날벌레를 수거하여, 작업실로 옮겨야 했다.
하지만, 상기 관리자가 날벌레를 일일히 수거하여 작업실로 옮기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었음은 물론, 통상적으로 포충기가 설치되는 환경은 사람이 활동하기에 부적합한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날벌레 수집작업을 하기에 매우 어려웠다.
한편, 상기 포충기는 외부로부터 날벌레를 흡입하는 팬기구과, 팬기구에 의해 흡입되는 날벌레를 포집하는 포충망을 갖추고서, 날벌레를 포집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관리자는 포집된 날벌레를 일일히 계수하여 개체수를 연산하거나, 포집된 날벌레의 총무게를 기준되는 날벌레의 무게로 나누어 전체 날벌레 개체수를 추정한다.
하지만, 관리자가 날벌레를 일일히 계수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되었고, 관리자가 날벌레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며, 날벌레의 대략적인 개체수를 추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더불어, 각각의 포충기는 작업실로부터 원거리에 있어,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39095호는 방역정보를 통합관리하는 방역 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방역정보만을 통합관리할 수 있을 뿐, 각 방역장소에 대한 날벌레 계수 작업은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정밀하게 날벌레를 계수하며, 계수된 날벌레의 통합관리 및 방역정보의 통합관리를 유기적으로 할 수 있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날벌레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계수할 수 있으며, 별도의 통합관리실에서 날벌레 포집상태 또는 방역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방역정보입력기와, 방역정보입력기로부터 방역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합관리하는 방역정보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역정보입력기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로 구성된 입력기본체와, 가이드통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통체(113)를 밀폐하는 안착부와,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을 갖추고서, 가이드통체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와, 가이드부에 설치되되 포집망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날벌레포집기구가 가이드통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날벌레포집기구를 통해 가이드통체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에 외부본체와 가이드통체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와, 가이드부에 내설되어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날벌레를 연산한 후 연산된 날벌레 개수 데이터를 출력하고, GPS수신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제어유닛의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유닛과, 현재 위치정보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GPS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는, 각각의 포충기 송신유닛으로부터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방역정보입력기에 포집된 날벌레의 개수 또는 해당 방역정보입력기 주변에서 실시한 방역정보를 판독하며, 위치정보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가 이동한 궤적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부와, 포집된 날벌레 개수 또는 방역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역정보입력기에 구비된 감지장치를 매개로 날벌레를 포집하는 동시에 계수할 수 있으며, 별도의 통합관리실에서 방역정보입력기로부터 계수된 날벌래 수 또는 방역정보를 입력받아 날벌레 포집상태 또는 방역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정보입력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X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정보입력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X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은, 방역정보입력기(100)와, 입력기(100)와 데이터 교환을 하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와, 방역정보관리서버(200)와 데이터 교환을 하는 단말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역정보입력기(100)는, 입력기본체(110)와, 입력기본체(110)에 안착되는 날벌레포집기구(120)와, 입력기본체(110)에 설치되는 보호부재(180)와, 입력기본체(110)에 내설되는 팬기구(130)과, 날벌레포집기구(120)에 내설되어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140)와, 보호부재(180)에 설치되는 제어유닛(150)과, 제어유닛(150)에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수신기(G)와, 제어유닛(150)에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유닛(I)과, 정보의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출력장치(D)와, 제어유닛(150)의 결과값 또는 방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유닛(160)과, 방역정보관리서버(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닛(1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기본체(110)는, 상방으로 개구된 외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1)에 내설되는 고정바(112)와, 고정바(112)를 매개로 외부본체(111)에 내설되는 가이드통체(11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본체(111)는, 하부가 폐쇄된 원형 통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본체(111)를 하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하였지만, 하부가 폐쇄된 관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112)는, 일단이 외부본체(111)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고정바(112)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통체(113)는, 상하로 관통된 원형 관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통체(113)는, 외부 둘레면이 고정바(112)의 타단에 고정되어, 외부본체(111)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통체(113)는, 고정바(112)에 의해 외부본체(111)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부본체(111)와 가이드통체(113) 사이에는 팬기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배출로(A)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통체(113)를 원형 관 형상으로 하였지만, 상하로 관통된 관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통체(113)의 외부 둘레면에는 날벌레유인제(F)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유인제(F)는 통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물망에 담겨, 가이드통체(113)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재(113a)에 걸려진다. 한편, 상기 날벌레유인제(F)로는 젖산, 암모니아, 아세트산, 옥테놀 등이 사용되며, 날벌레를 유인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날벌레포집기구(120)는, 가이드통체(113)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121)와, 안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통체(113)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122)와, 가이드부(122)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집망(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21)는, 주위로 모여든 날벌레가 가이드부(122)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하로 관통되어 안착부(121) 및 입력기본체(110)의 가이드통체(113)와 연통되며, 안착부(121)로 흡입된 날벌레를 포집망(123)으로 안내한다. 이때, 가이드부(122)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122a)와, 하부에 위치하여 제1가이드부(122a)로부터 이격되는 제2가이드부(1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망(123)은, 그물망 형상으로, 제2가이드부(122b)의 하부에 끼워져, 가이드부(122)로부터의 날벌레를 포집한다.
상기 보호부재(180)는, 입력기본체(110)의 외부본체(111) 둘레면에 설치되는 지지바(181)와, 지지바(18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림막(1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81)는, 외부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대(S1)와, 외부본체(111)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림막지지대(S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지지대(S1)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S1a)와, 베이스(S1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본체(11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체(S1b)로 구성된다.
상기 가림막지지대(S2)는, 가림막(18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외부본체(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안착부(121) 보다 위에 위치한다.
상기 가림막(182)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서, 가림막지지대(S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입력기본체(10)을 가린다. 이때, 가림막(182)은 입력기본체(110)를 가릴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팬기구(130)은, 입력기본체(110)의 가이드통체(113)에 내설되어, 외부 공기를 입력기본체(110)의 외부본체(111) 내부로 흡입한다. 이때, 팬기구(130)은 흡입된 날벌레가 포집망(123)에 포집되도록 포집망(123)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팬기구(130)은 공기를 흡입하는 통상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장치(140)는, 날벌레포집기구(20)의 제1가이드부(122a)와 제2가이드부(122b)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장치본체(141)와, 감지장치본체(141)에 내설되는 감지센서(142)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본체(141)는, 제1가이드부(122a)의 하단이 삽입고정되고, 제2가이드부(122b)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141a)와, 고정부재(141a)에 내설되는 발광부설치부재(141b) 및, 수광부설치부재(141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41a)는, 상하로 관통되어, 날벌레포집기구(20)의 제1가이드부(122a) 및 제2가이드부(122b)와 각각 연통되는 관통부(141a1)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부(141a1)과 연통되는 발광부설치부(141a2)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부(141a1)와 연통되며 관통부(141a1)를 중심으로 발광부설치부(141a2)와 대향되는 수광부설치부(141a3)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설치부재(141b)는, 사각패널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141a)의 발광부설치부(141a2)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광부설치부재(141c)는, 사각패널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141a)의 수광부설치부(141a3)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발광부설치부재(141b)와 대향된다.
상기 감지센서(142)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로서, 적외선을 송출하는 발광부(142a) 및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142b)가 한 쌍을 이뤄 감지장치본체(141)에 내설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142a)는, 감지장치본체(141)의 발광부설치부재(141b)에 내설되어, 관통부(141a1)를 향해 적외선을 방출하며, 수광부(142b)는 감지장치본체(141)의 수광부설치부재(141c)에 내설되어 발광부(142a)로부터의 적외선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42)는, 최적의 정밀도를 위해 다수개가 구비되어, 감지장치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142)로 적외선 센서를 적용하였지만, 가시광선을 이용한 가시 광 송수신 센서가 이용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50)은, 가림막(182)의 저면에 설치되며, 각각의 감지센서(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센서(142)의 발광부(142a)와 수광부(142b)를 작동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150)은 발광부(142a)가 적외선을 송출하도록 하며, 적외선을 수신한 수광부(32a)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이때, 제어유닛(150)은 각각의 수광부(142b)로부터의 신호를 매개로 적외선의 변화량을 판독하여, 포집망(123)으로의 날벌레 유입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장치본체(141)를 통과하여 포집망(123)으로 유입된 날벌레의 개수를 연산하여 이를 송신유닛(160)으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유닛(150)이 감지센서(142)를 매개로 날벌레를 연산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주지관용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50)은, 지리정보에 대한 수치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저장부(151)와, 입력된 방역정보 또는 GPS수신기(G)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지리정보 저장부(151)로부터 출력된 수치지도상에 대응시키는 지리정보 처리부(152)를 포함하여, 입력유닛(I)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유닛(D)에 맵정보를 출력한다. 더불어, 제어유닛(150)은 입력유닛(I)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송신유닛(160)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유닛(150)이 가림막(182)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림막(182)이 설치되면, 비, 바람, 하늘에서 낙하하는 조류의 배변 등과 같은 외부요인으로부터 입력기를 보호할 수 있어, 각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비 및 조류의 배변이 방역정보입력기(100)에 묻으면 방역정보입력기(100)의 부식을 초래하여, 방역정보입력기(100)가 본래의 기능을 장기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경우 가림막(182)이 이를 방지하여, 방역정보입력기(100)가 본래의 기능을 장기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가림막(182)은, 그늘을 형성한다. 따라서, 음지를 좋아하는 날벌레의 특성상 가림막(182) 주변으로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해 날벌레 포집을 더욱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GPS수신기(G)는,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통상의 것으로, 비가림막(18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50)으로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유닛(I)은, 가림막(182)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50)에 방역정보 또는 방역정보입력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방역정보는 방역대상 주소, 실태조사일자, 질병매개체 정보, 방역작업 예정일자, 약품명, 약품 사용량, 유충발생지, 분무소독대상지, 연막소독대상지, 방역장치 설치대상지, 취약시설관리대상지 또는 소독의무대상시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출력유닛(D)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가림막(182)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제어유닛(15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보여준다.
상기 송신유닛(160)은, 가림막(182)의 상면에 설치되어, 연산된 날벌레 개수 데이터·방역정보·방역정보입력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무선출력한다.
상기 수신유닛(170)은, 송신유닛(160)에 이웃되게 가림막(182)의 상면에 설치되어, 방역정보관리서버(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유닛(160) 및 수신유닛(170)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송수신율이 향상된다.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는,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송신유닛(160)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포충상태 또는 방역정보를 판별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30)와, 제어부(220)로부터의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 또는 제어부(22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부(250)와, 제어부(22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240)로 구성되어, 별도의 통합관리실에 설치된다.
상기 수신부(210)는, 송신유닛(160)으로부터 날벌레 개수 데이터 또는 방역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장치(300)의 송신기(35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입력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유닛(150)을 원격제어하여,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제어유닛(150)이 제어하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원격으로 작동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로부터 제어유닛(15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력부(240)에 제어유닛(15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로부터의 날벌레 개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날벌레 데이터값 저장부(221)와, 수치지도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저장부(222)와, 수신부(210)로부터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궤적정보로 저장하되 방역일자별로 저장하는 궤적정보 저장부(223)와, 수신부(210)로부터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 설치지역에서 획득된 방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역정보 저장부(224)를 갖추고서, 출력부(240)를 매개로 날벌레의 포집상태 또는 방역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출력부(24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유닛(150)의 작동상태 또는 제어부(22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낸다.
상기 송신부(250)는, 제어부(220)로부터의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수신유닛(170)으로 무선송출하고, 제어부(220)로부터의 날벌레 개수 데이터값·지리정보·궤적정보·방역정보를 단말장치(300)의 수신기(310)으로 무선송출한다.
상기 단말장치(300)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수신부(210)와 데이터신호를 주고 받는 수신기(310)와, 송수신기(310)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320)과, 제어기(320)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기(330)과, 제어기(32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340)와, 제어기(32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310)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로 날벌레데이터값·지리정보·궤적정보·위치정보·방역정보·약품 재고정보를 방역정보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제어기(32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320)은, 송수신기(310)로부터 날벌레데이터값·지리정보·궤적정보·위치정보·방역정보·약품 재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입력기(340)의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의 정보를 출력기(330)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기(330)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제어기(320)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외부로 나타낸다.
상기 입력기(340)은 작업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기(320)에 입력신호를 입력한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300)는 자기 위치를 확인을 위한 GPS장치(미도시)가 보강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방역정보입력기(100)는 날벌레 포집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별도의 통합관리실에 있는 작업자가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부(230)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제어부(220)에 입력하면, 제어부(220)는 송신부(250)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한다. 이때,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수신유닛(170)은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유닛(150)으로 출력하고, 제어유닛(150)은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매개로 각각의 전기구성요소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 중 팬기구 작동제어신호에 의해 팬기구(130)가 구동되면, 팬기구(130)는 외부공기를 입력기본체(110)의 가이드통체(113) 내부로 흡입한다.
이때, 상기 입력기본체(110)의 외부본체(111)에 설치된 날벌레유인제가 입력기본체(110)의 주변으로 퍼져나가면, 입력기본체(110)의 주변에서 서식하는 날벌레는, 날벌레유인제에 의해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안착부(121) 주변으로 유인된다.
상기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안착부(121) 주변으로 날벌레가 유인되면, 날벌레는 외부본체(11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안착부(121) 내부로 흡입되어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제1가이드부(122a)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날벌레는 제1가이드부(122a)로부터 배출되며, 고정부재본체(141a)의 관통부(141a1)를 통과하여, 포집망(123)으로 이동한다.
상기 날벌레가 고정부재본체(141a)의 관통부(141a1)를 통과하면, 감지센서(142)의 발광부(142a)로부터 송출되어 수광부(142b)로 이동하는 적외선이 날벌레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150)은,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수광부(142b)로부터 적외선이 차단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여 날벌레가 포집망(123)으로 유입되었는 가를 판별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유닛(150)은 판별된 정보를 바탕으로 포집망(123)으로 유입된 날벌레의 개수를 연산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150)은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날벌레 개수 값을 무선송출한다.
한편, 상기 날벌레포집기구(120)의 포집망(123)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배출로(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배출로(A)를 통과하는 공기는 날벌레유인제(F)와 혼합되면서, 날벌레유인제(F)를 입력기본체(110)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날벌레유인제(F)가 입력기본체(110) 외부로 더욱더 확산되어, 날벌레가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안착부(121) 주위로 많은 수의 날벌레가 모인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로(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안착부(121)의 주변에 모인 날벌레에 공압을 가한다. 이때, 팬기구(130)에는 포집하고자 하는 날벌레의 하중에 따른 팬기구의 구동력이 설정되어 있어, 기준값 이하의 하중이 나가는 날벌레는 공기배출로(A)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에 의해 안착부(121)로부터 멀리 날려진다. 따라서, 포집하고자 하는 날벌레만 안착부(121)로 유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방역정보입력기(100)로부터 날벌레 개수 값이 무선송출되면,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매개로 날벌레 개수 값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는, 날벌레 데이터값 저장부(221)에 날벌레 개수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날벌레 개수값을 출력부(240)에 나타내어, 통합관리실의 관리자가 출력부(240)를 매개로 각각의 방역정보입력기(100)의 날벌레 포집상태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입력부(230)를 매개로 제어부(22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어부(220)에 해당 포충기 작동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매개로 해당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제어유닛(150)은 수신유닛(170)을 매개로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전기적 구성요소에 대한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제어유닛(150)은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외부로 무선출력하고,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출력부(240)에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방역장비(미도시)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100) 주변의 날벌레를 방역함과 동시에 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가 입력유닛(I)을 매개로 방역정보를 입력하면, 제어유닛(150)은 방역정보 입력과정을 출력유닛(D)에 나타냄과 더불어 입력유닛(I)를 통해 입력된 방역정보를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무선송출한다.
계속해서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매개로 해당 방역정보를 수신하여, 방역정보 저장부(224)에 저장하며, 출력부(240)에 해당 방역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관리자는 해당 방역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방역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50)은 GPS수신기(G)로부터의 방역정보입력기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유닛(160)을 매개로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이때,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매개로 이를 수신하여, 출력부(240)에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의 현재위치를 나타낸다. 특히, 제어부(220)는, 방역정보입력기(100)가 장소를 이동할 시, 이동된 장소에 따른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위치정보를 매개로 방역정보입력기(100)의 궤적정보를 생성하여 궤적정보 저장부(223)에 방역일자별로 저장하며, 출력부(240)에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이동경로를 표시하여, 방역작업이 어떠한 흐름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방역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관리자는 방역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방역정보관리서버(200)에 의해 원격제어되도록 하였지만, 방역정보입력기(100) 스스로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작업자가, 입력유닛(I)을 매개로 제어유닛(150)에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어,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원격제어 없이도 방역정보입력기(100)를 작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있는 작업자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있더라도, 단말장치(300)를 매개로 방역정보관리서버(200)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자가 입력기(340)를 매개로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로부터 수집된 날벌레 데이터값·방역정보·궤적정보 등을 호출하는 요청신호를 입력하면, 요청신호는 송신부(250)을 매개로 무선송출되고,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220)는 수시된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방역정보입력기(100)로부터 수집된 날벌레 데이터값·방역정보·궤적정보 등을 송신부(250)를 매개로 무선 송출하고, 단말장치(300)의 수신기(3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기(3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로부터 날벌레 데이터값·방역정보·궤적정보를 수신한 제어기(320)는 날벌레 데이터값·방역정보·궤적정보를 저장하여 출력기(330)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외부에서도 방역정보관리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단말장치(300)를 매개로 단말장치(300)가 위치한 지역의 방역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작업자가 단말장치(300)의 입력기(340)를 매개로 제어기(320)에 지리정보 요청신호를 출력하면, 제어기(320)는 송신기(350)를 매개로 지리정보 요청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가 수신부(210)를 매개로 지리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지리정보저장부(222)에 저장된 해당 지리정보를 송신부(250)을 매개로 무선 송출하고, 단말장치(300)의 제어기(320)가 수신기(310)를 매개로 해당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출력기(330)에 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해당 지리정보에 의해 지도를 확인하면서, 입력기(340)를 매개로 방역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320)는 송신기(350)을 매개로 방역정보를 무선 송출하고, 방역정보관리서버(200)의 제어부(220)가 수신부(210)를 매개로 방역정보를 수신하여, 방역정보저장부(224)에 이를 저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방역정보입력기(100), 방역정보관리서버(200), 단말장치(300) 간의 데이터 교환을 무선으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으로 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방역정보 관리시스템은 방역정보입력기(100)를 통해 해당 지역에 따른 날벌레 포충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지역에서의 방역상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관리자가 보다 편리하게 포충 및 방역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00; 방역정보입력기 110; 입력기본체 111; 외부본체 112; 고정바 113; 가이드통체 120; 날벌레포집기구 121; 안착부 122; 가이드부 122a; 제1가이드부 122b; 제2가이드부 123; 포집망 130; 팬기구 140; 감지장치 150; 제어유닛 160; 송신유닛 170; 수신유닛 180; 보호부재 181; 지지바 182; 가림막 200; 포충관리서버 210; 수신부 220; 제어부 230; 입력부 240; 출력부 250; 송신부 I; 입력유닛 300; 단말장치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외부본체(111)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외부본체(11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통체(113)로 구성된 입력기본체(110); 외부공기를 가이드통체(113)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 외부본체(111)와 가이드통체(113) 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로(A)를 통해서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팬기구(130);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장치(140); 감지장치(14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포집되는 날벌레의 개체수를 연산하는 제어유닛(150); 제어유닛(150)에 방역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유닛(I); 현재 위치정보를 제어유닛(150)으로 출력하는 GPS수신기(G); 제어유닛(150)의 연산값, 방역정보, 현재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유닛(160);을 포함하는 방역정보입력기(100)와,
    방역정보입력기(100)로부터 제어유닛(150)의 연산값, 방역정보,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합관리하는 방역정보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방역정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체(113)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깔때기 형상의 안착부(121)와, 상호 연통되는 제1가이드부(122a) 및 제2가이드부(122b)를 갖추고서 안착부(121)의 하방으로 연통되어 가이드통체(113)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22)와, 가이드부(1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망(123)을 갖춘 날벌레포집기구(120)가 보강구비되는 한편,
    입력기본체(110) 내부에 날벌레유인제(F)가 배치되고,
    팬기구(130)는 포집망(123)의 하방에 배치고정되며,
    감지장치(140)는,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설치부(141a2) 및 수광부설치부(141a3)를 갖추고서, 제1가이드부(122a)와 제2가이드부(122b)를 일렬로 밀폐연결하는 감지장치본체(141); 감지장치본체(141)의 발광부설치부(141a2)에 설치되는 발광부(142a)와, 감지장치본체(141)의 수광부설치부(141a3)에 설치되는 수광부(142b)를 갖추고서, 감지장치본체(141)를 통과하는 날벌레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본체(110)에 가림막지지대(S2)를 매개로 가림막(182)이 보강설치되어, 입력기본체(110)와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상부에 배치된 가림막(182)에 의해 입력기본체(110)의 상부 개구면과 날벌레포집기구(120)의 상부 개구면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에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부(250)가 구비되고, 방역정보입력기(100)에 송신부(250)로부터의 방역정보입력기 작동제어신호를 제어유닛(150)으로 출력하는 수신유닛(170)이 구비되는 한편,
    방역정보입력기(100)의 제어유닛(150)은 가림막(182)의 저면에 설치되고, 송신유닛(160) 및 수신유닛(170)은 가림막(182)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정보관리서버(200)에 송신부(250)가 구비되는 한편,
    방역정보관리서버(200)와 데이터 교환을 하는 단말장치(300)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KR1020100031084A 2010-04-05 2010-04-05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KR10100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84A KR101004754B1 (ko) 2010-04-05 2010-04-05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84A KR101004754B1 (ko) 2010-04-05 2010-04-05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754B1 true KR101004754B1 (ko) 2011-01-07

Family

ID=4361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084A KR101004754B1 (ko) 2010-04-05 2010-04-05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078B1 (ko) * 2021-06-17 2021-10-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35B1 (ko) * 2006-04-26 2007-08-31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KR20090003679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90039095A (ko) * 2007-10-17 2009-04-22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방역 지리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35B1 (ko) * 2006-04-26 2007-08-31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KR20090003679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90039095A (ko) * 2007-10-17 2009-04-22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방역 지리정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US11490609B2 (en) * 2020-06-25 2022-11-08 Satish K.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KR102313078B1 (ko) * 2021-06-17 2021-10-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1927C (en) Electronic pes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160263B2 (en)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using networked systems
US7779575B2 (en) Pulse container for an insect electrocutor
KR100689966B1 (ko) 포획율을 향상시킨 바퀴벌레 트랩 및 이를 이용한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JP6725874B2 (ja) 虫検知装置、捕虫装置および虫検知方法
KR101229487B1 (ko)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KR100863112B1 (ko) 쥐 포획 상자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050151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imal incidence
WO2013063670A1 (pt) Método e sistema de controle e eliminação de pragas
KR20100067827A (ko)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20050087978A (ko)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001317B1 (ko) 원격 포충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0997230B1 (ko) 날벌레 포충기
KR101004754B1 (ko) 방역정보 관리시스템
KR20100137759A (ko)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JP2686507B2 (ja) 鱗支目その他の飛翔性害虫の自動計数印字式フェロモントラップ
JPH11155458A (ja) 自動カウント式フェロモントラップ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N113382631B (zh) 使用粘板的动物捕捉器检测系统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80098275A (ko) 보행해충 트랩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08253235A (ja) 有害小動物管理システム
Potamitis et al. Smart traps for automatic remote monitoring of Rhynchophorus ferrugineus (Coleoptera: Curculionidae)
JP2000135043A (ja) 飛翔性害虫の発生状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